KR101492120B1 - 차량 부품 - Google Patents

차량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120B1
KR101492120B1 KR20140037167A KR20140037167A KR101492120B1 KR 101492120 B1 KR101492120 B1 KR 101492120B1 KR 20140037167 A KR20140037167 A KR 20140037167A KR 20140037167 A KR20140037167 A KR 20140037167A KR 101492120 B1 KR101492120 B1 KR 101492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s
connecting member
pipe
circumferential surfac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37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8816A (ko
Inventor
김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트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트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트랄
Priority to KR20140037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2120B1/ko
Publication of KR20140068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8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4Reducing; 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4Reducing; Closing
    • B21D41/045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24Pipe joints or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suspensions, brakes or whee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의 차량 부품은, 볼스터드; 일측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1홈과 상기 복수의 제1홈과 엇갈리며 상기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2홈을 가진 연결부재; 및 일측에는 상기 볼스터드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를 가지며, 타측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제1홈과 제2홈이 형성된 부분과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제2수용부를 가진 볼스터드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부품{Part for Automotive Vehicle}
이는 차량 부품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서 쓰이는 부품과 부품 사이를 연결하는 차량 부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빌라이저는 차량의 롤링을 억제하는 장치로서, 차체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차체에 지지되는 스테빌라이저 바와 이 스테빌라이저 바를 로어 암과 같은 서스팬션 암에 연결하는 스테빌라이저 링크로 구성된다.
스테빌라이저 링크는 보통 볼스터드하우징과 연결부재를 포함하는데, 진동과 충격을 감수해야 하는 차체의 특성상 이러한 차량 부품은 내구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DE 20100041791)에 의한 차량 부품(1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단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상기 차량 부품(10)은 볼스터드하우징(11), 접합부(12) 및 연결부재(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3)의 길이방향(P방향)으로의 움직임과 회전방향(Q방향)으로의 움직임은 각각 상기 접합부(12)의 환형 홈(14)과 축 방향 홈(15)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연결부재(13)의 길이방향(P방향)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환형 홈(14)과 회전방향(Q방향)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축 방향 홈(15)이 각각 따로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합부(12)가 길어질 수밖에 없고, 접합부(12)에서 슬립(slip)이 일어나며, 접합부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연결부재를 포함한 차량 부품이 갖는 접합부의 길이를 축소시키고, 접합부에서 슬립(slip)이 일어나거나 접합부가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차량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의 스테빌라이저 링크는 볼스터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측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1홈을 가진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홈과 엇갈리며 상기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2홈을 가진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홈의 피치와 상기 제2홈의 피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일측에 상기 볼스터드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를 가진 볼스터드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측에 상기 연결부재의 제1홈과 제2홈이 형성된 부분과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제2수용부를 가진 볼스터드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홈 또는 제2홈은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일정한 피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홈 또는 제2홈의 피치는 0.8 mm에서 2.0 mm 사이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에 있어 적어도 상기 제1홈 및 제2홈이 형성된 부분은 중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일측 단부는 상기 인서트 사출 시에 사출 용융물이 연결부재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쇄를 위해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단부에 마개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마개는 금속 재질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의 차량 부품은 일측의 둘레면에 길이방향 및 둘레방향 각각에 대해 복수의 열로 배열되어 형성된 다수의 돌기를 가지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측에는 타 부품과 연결되기 위한 조인트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를 가지는 플라스틱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측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돌기가 형성된 부분과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제2수용부를 가진 플라스틱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의 차량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복수의 제1홈과 일정한 피치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제1홈과 엇갈리는 복수의 제2홈을 연결부재의 일측 둘레면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 부품과 조인트로 연결될 플라스틱하우징을 인서트 사출을 통해 상기 연결부재의 제1홈 및 제2홈이 형성된 부분과 일체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일측은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홈 및 제2홈은 상기 연결부재 일측을 둘러싸는 3개의 롤다이(roll die)에 의해 너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중공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일측 단부는 상기 인서트 사출 전에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은 연결부재와 조인트수용부의 접합부에 있어서, 동일 접합부에서 P방향은 물론 Q방향에 대한 구속을 동시에 담당하므로 종래 구조와 동일길이의 접합부를 고려할 때 두 방향에 대한 구속 및 접합강도를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차량 부재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인 차량 부품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 부품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및 연결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의 형상을 설명하는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연결부재에 마개가 결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연결부재의 일측에 돌기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스테빌라이저 링크가 차량의 부품 간을 연결한 모습을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5은 프레스 1단에 의하여 형성된 홈을 갖는 연결부재가 볼스터드하우징과 결합된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프레스 2단에 의하여 형성된 홈을 갖는 연결부재가 볼스터드하우징과 결합된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7는 연결부재의 일 측면을 둘러싸는 3개의 롤다이(roll die)의 배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8은 종래의 평다이의 배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9은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차량 부품(20)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도 2는 차량 부품(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부품(20)은 볼스터드(21), 연결부재(22) 및 볼스터드하우징(23)을 포함할 수 있다.
볼스터드(21)는 실시예적으로 금속 재질일 수 있고, 구두부, 목부 및 나사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볼스터드하우징(23)의 후술할 제1수용부(28)에 수용될 수 있다.
연결부재(22)의 일측은 그 둘레면을 따라 길이방향(P방향)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일정한 피치(p1)로 형성된 복수의 제1홈(24)과 상기 복수의 제1홈(24)과 엇갈리며 상기 둘레면을 따라 일정한 피치(p2)로 형성된 복수의 제2홈(25)이 형성되어 있고, 제1홈(24)과 제2홈(25)이 서로 엇갈리며 교차함으로써 표면에 돌기(26)를 형성하고 있다.
연결부재(22)는 단면이 원형인 막대(rod)의 형태로서 중공이거나 중실일 수 있다. 연결부재(22)가 중공인 경우는 연결부재(22)의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재료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볼스터드하우징(23)은 일측에는 상기 볼스터드(21)를 수용할 수 있는 제1수용부(28)를 가지고 타측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제1홈(24)과 제2홈(25)이 형성된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제2수용부(27)를 갖는다. 볼스터드하우징(23)은 실시예적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22)의 제1홈(24)과 제2홈(25)이 형성된 부분이 금형에 인서트 된 상태에서 플라스틱이 사출 성형 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22)의 제1홈(24)과 제2홈(25)이 형성된 부분과 볼스터드하우징(23)의 제2수용부(27)는 그 접촉면이 서로 맞물려 접합된다.
종래의 차량 부품(10)은 그 연결부재(13)에 환형 홈(14) 부분과 축 방향 홈(15) 부분이 서로 영역을 달리하여 형성되어 있고, 환형 홈(14)은 길이방향(P방향)의 움직임을, 축 방향 홈(15)은 회전방향(Q방향)의 움직임을 각각 구속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길이방향(P방향)과 회전방향(Q방향)을 구속하는 영역이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접합부(12)가 길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계속되는 진동과 충격에 의하여 시간이 지나면서 볼스터드하우징(11)의 접합부(12)와 연결부재(13) 사이에서 슬립(slip)이 발생하고, 피로하중의 누적에 의하여 접합부(12)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연결부재(22)의 제1홈(24)과 제2홈(25)이 길이방향(P방향)과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서로 엇갈려 형성됨으로써 연결부재(22)와 제2수용부(27)의 접합부에 있어서, 동일 접합부에서 P방향은 물론 Q방향에 대한 구속을 동시에 담당하므로 종래 구조와 동일길이의 접합부를 고려할 때 두 방향에 대한 구속 및 접합강도를 더욱 강화시킬 수 있고, 접합부의 슬립의 발생을 방지하는 등 차량 부품(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연결부재(22)에 마개(29)가 결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부재(22)가 중공인 경우 연결부재(22)의 일측 단부는 인서트 사출 시에 사출 용융물이 연결부재(22)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폐쇄될 수 있다. 폐쇄를 위해서 실시예적으로 연결부재(22)의 상기 단부에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마개(29)가 삽입될 수 있다.
사출을 위한 조건으로서 사출공간 내의 압력분포가 중요한데 중공축을 통해 압력이 새는 부분이 있으면 사출이 잘 이루어 지지 않는다. 즉 중공의 연결부재(22)를 인서트 하여 플라스틱 사출 성형을 하는 경우 연결부재(22)의 내부로 사출 용융물이 흘러나가게 되어 사출공간 내의 압력이 유지되지 못하므로 원하는 품질의 사출성형물을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중공의 연결부재(22)의 일측 단부를 폐쇄함으로써 사출공간 내부의 압력을 유지시켜 요구되는 품질의 사출성형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3은 연결부재(22)의 일측에 돌기(26)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부재(22)의 일측 둘레면은 제1홈(24)과 제2홈(25)에 의하여 돌기(26)가 형성된다. 돌기(26)의 형상은 위에서 보았을 때 다이아몬드 형상으로서 측면에서 보면 사각뿔 또는 사각 기둥과 같은 형상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홈과 제2홈의 단면형상, 깊이 및 피치(p1,p2) 등의 변화에 의하여 여러 가지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
도 4는 스테빌라이저 링크가 차량의 부품 간을 연결한 모습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 부품(20)의 일 실시예로서 스테빌라이저 링크(30)를 고려할 수 있다. 실시예적으로 스테빌라이저 링크(30)의 일측은 스테빌라이저 바(31)에 연결되고 타측은 쇽업소버의 스트러트(32)에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이점 쇄선 부분은 차량 바퀴를 나타낸다.
스테빌라이저 링크(30)는 보통 볼스터드, 볼스터드하우징 및 연결부재를 포함하는데 노면으로부터의 진동과 충격을 감수해야 하는 상황적 특성상 이러한 차량 부품은 내구성이 보장되어야 하므로 본 발명에 의한 돌기(26)를 갖는 연결부재(22)가 유용하다.
연결부재(22)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홈(24)과 제2홈(25)은 각각 일정한 피치(p1,p2)로 형성될 수 있다. 피치(p1,p2)는 홈과 홈 사이의 거리로서, 피치(p1,p2)가 너무 넓으면 사출시 에어트랩이 발생하여 돌기(26)가 잘 형성되지 않게 되므로 적당한 피치(p1,p2)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홈의 피치(p1)와 제2홈의 피치(p2)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다음의 표 1은 연결부재(22)의 여러 형태의 접합부에 대한 인장강도 압축강도 및 피로시험의 결과를 보여준다. 도 5는 프레스 1단에 의하여 1단의 홈이 형성된 경우(표 1의 구분 a)를 나타낸다. 도 6은 프레스 2단에 의하여 2단의 홈이 형성된 경우(표 1의 구분 b)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030376749-pat00001
상기 표 1은 프레스 1단에 의하여 홈을 형성한 경우(구분 a), 프레스 2단에 의하여 홈을 형성한 경우(구분 b), 너링에 의하여 피치(p1,p2)가 0.8 mm에서 1.0 mm가 되도록 돌기(26)를 형성한 경우(구분 c) 및 너링에 의하여 피치(p1,p2)가 2.0 mm가 되도록 돌기(26)를 형성한 경우(구분 d)의 4가지 경우에 대하여 인장강도, 압축강도 및 피로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피로시험에서 너링 공법에 의하여 돌기(26)를 형성한 경우(c,d)는 변위의 변화가 없다. 다시 말해 슬립(slip)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프레스 공법에 의하여 홈을 형성한 경우(a,b)는 변위의 변화가 있다. 특히 프레스 1단에 의하여 홈을 형성한 경우(a)에는 변위가 과다하게 변함을 보여준다. 또한, 너링에 의해 형성된 홈 사이의 피치(p1,p2)가 0.8 mm에서 1.0 mm인 경우(c)에는 인장강도의 측면에서 1000 kgf를 넘긴다. 그러나 피치(p1,p2)가 2.0 mm인 경우(d)에는 그렇지 않다.
도 7는 연결부재(22)의 일 측면을 둘러싸는 3개의 롤다이(roll die)(41,42,43)의 배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8은 종래의 평다이(47,48)의 배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연결부재(22)의 일측은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도 7를 참조하면, 연결부재(22)의 제1홈(24) 및 제2홈(25)은 연결부재(22)의 일 측면을 둘러싸는 3개의 롤다이(roll die)(41,42,43)에 의한 너링 공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3개의 롤다이(41,42,43)는 상기 연결부재(22)를 축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연결부재(22)의 둘레를 각각 120도의 간격을 두고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롤다이(41,42,43)는 그 외주면에 돌기(44,45,46)가 형성되어 있다. 3개의 롤다이(41,42,43)는 각 방향에서 동일하게 투입되어 3개가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연결부재(22)를 압착하여 소성 변형시킬 수 있다. 실시예적으로 외경이 10 mm이고 내경이 8 mm인 중공 파이프를 너링하는 경우 내경이 7.8 mm 정도로 줄어들면서 돌기(26)가 형성된다. 이 경우 직경이 8 mm의 금속 재질의 마개(29)를 억지끼워 마춤에 의하여 연결부재(22)의 일측 단부를 폐쇄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종래에도 평다이스(47,48)에 의한 너링 공법에 의하여 원형 단면의 연결부재(22)에 돌기(26)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중공의 연결부재(22)를 평다이스(47,48)로 너링하면 찌그러지는 경우가 많으며 표면에 돌기(26)가 선명하게 형성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3개의 롤다이(41,42,43)에 의한 너링 공법에 의하면 중공의 연결부재(22)라도 찌그러짐없이 선명하게 돌기(26)를 만들 수 있다.
도 9은 차량 부품(20)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차량 부품(20)을 제작하는 방법은 복수의 제1홈(24)과 상기 복수의 제1홈(24)과 엇갈리는 복수의 제2홈(25)을 연결부재(22)의 일측 둘레면에 형성하는 단계(S10)와 타 부품과 조인트로 연결될 플라스틱하우징을 인서트 사출을 통해 상기 연결부재(22)의 제1홈(24) 및 제2홈(25)이 형성된 부분과 일체로 성형하는 단계(S20)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홈(24)과 제2홈(25)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홈(24) 또는 제2홈(25)은 일정한 피치(p1,p2)를 가지고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2)의 상기 일측은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홈(24) 및 제2홈(25)은 상기 연결부재(22) 일측을 둘러싸는 3개의 롤다이(roll die)(41,42,43)에 의해 너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2)는 중공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라스틱 인서트 사출 전에 상기 연결부재(22)의 일측 단부를 폐쇄하는 단계(S1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플라스틱 사출시 인서트 된 연결부재(22) 내부로 사출 용융물이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사출시 일정한 사출압력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품질이 향상된 사출성형물을 얻을 수 있다.
도 9는 연결부재의 일측 단부를 폐쇄하는 단계(S10a)가 복수의 제1홈과 복수의 제2홈을 형성하는 단계(S10) 이후에 오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연결부재(22)의 일측 단부를 폐쇄하는 단계(S10a)는 복수의 제1홈(24)과 상기 복수의 제1홈(24)과 엇갈리는 복수의 제2홈(25)을 연결부재(22)의 일측 둘레면에 형성하는 단계(S10) 이전 또는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인서트 사출 전에는 연결부재(22)에 부식방지를 위한 도장처리를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종래의 차량 부품
20 : 차량 부품
21 : 볼스터드
22 : 연결부재
23 : 볼스터드하우징
24 : 제1홈
25 : 제2홈
26 : 제1홈과 제2홈이 형성한 돌기
27 : 제2수용부
28 : 제1수용부
29 : 마개
30 : 스테빌라이저 링크
41, 42, 43 : 3개의 롤다이(roll die)

Claims (4)

  1. 볼스터드를 마련하는 볼스터드 준비단계;
    중공의 파이프를 마련하는 중공파이프 준비단계;
    상기 중공의 파이프의 일측 둘레면을 각각 120도의 간격을 두고 둘러싸도록 3개의 롤다이를 배치하는 롤다이 배치단계;
    상기 파이프의 상기 둘레면을 상기 3개의 롤다이를 이용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 소성변형시켜, 상부는 단면이 좁고 하부는 단면이 넓은 사각기둥 또는 사각뿔 형상의 복수의 돌기와 상기 복수의 돌기들 사이에 형성되는 피치 0.8~2.0 mm의 제1홈들과 상기 제1홈들과 서로 엇갈려 교차하는 방향으로 피치 0.8~2.0 mm의 제2홈들을 형성하는 파이프 둘레면 소성변형단계;
    상기 파이프 둘레면 소성변형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및 제2홈이 형성된 파이프의 끝단이 폐쇄되도록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마개를 설치하는 마개 설치단계;
    상기 마개 설치단계 이후에, 상기 볼스터드와 상기 마개가 설치된 파이프를 금형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타 부품과 조인트로 연결될 플라스틱하우징을 인서트 사출을 통해서 상기 제1 및 제2홈이 형성된 둘레면과 일체로 성형하되, 사출 용융물이 상기 복수의 돌기들 사이의 상기 제1홈들 및 제2홈들에 충진되면서 상기 둘레면 전체를 둘러싸도록 상기 사출 용융물을 공급하여 사출성형 하는 사출성형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부품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원통 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가지되, 상기 마개 설치 단계는 상기 파이프의 내부로 상기 몸체부가 삽입되는 단계 및 상기 플랜지부의 일면이 상기 파이프의 끝단에 접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품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둘레면 소성변형단계에서 상기 롤다이의 가압력은 상기 돌기가 형성된 파이프의 직경이 상기 파이프에 설치될 상기 몸체부의 직경보다 작아질 때까지 감소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품 제조방법.
  4. 볼스터드;
    중공의 파이프 일측의 둘레면에 상부는 단면이 좁고 하부는 단면이 넓은 사각기둥 또는 사각뿔 형상의 복수의 돌기와 상기 복수의 돌기들 사이에 형성되는 피치 0.8~2.0 mm의 제1홈들과 상기 제1홈들과 서로 엇갈려 교차하는 방향으로 피치 0.8~2.0 mm의 제2홈들이 형성된 연결부재; 및
    일측에는 상기 볼스터드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를 가지며, 타측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제1홈들 및 제2홈들이 형성된 상기 둘레면과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되, 사출성형물이 상기 복수의 돌기들 사이의 상기 제1홈들 및 제2홈들에 충진되어 상기 둘레면을 둘러싸며 일체로 사출성형된 제2수용부를 가진 볼스터드하우징
    을 포함하는 스테빌라이저 링크.
KR20140037167A 2014-03-28 2014-03-28 차량 부품 KR101492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7167A KR101492120B1 (ko) 2014-03-28 2014-03-28 차량 부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7167A KR101492120B1 (ko) 2014-03-28 2014-03-28 차량 부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720 Division 2012-1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816A KR20140068816A (ko) 2014-06-09
KR101492120B1 true KR101492120B1 (ko) 2015-02-11

Family

ID=51124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37167A KR101492120B1 (ko) 2014-03-28 2014-03-28 차량 부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21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068B1 (ko) * 2014-09-25 2015-06-01 주식회사 센트랄 차량용 링크 및 제조방법
TR201821268A2 (tr) * 2018-12-31 2020-07-21 Ditas Dogan Yedekparca Imalat Veteknik A S Bağlanti kolu
CN114289613A (zh) * 2021-12-25 2022-04-08 河南三元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双边缩口加工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5967A (en) * 1994-06-03 1997-04-01 Maclean-Fogg Company Ball joint link
US6398446B1 (en) * 1997-11-24 2002-06-04 Mac Lean-Fogg Company Ball joint component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5967A (en) * 1994-06-03 1997-04-01 Maclean-Fogg Company Ball joint link
US6398446B1 (en) * 1997-11-24 2002-06-04 Mac Lean-Fogg Company Ball joint component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816A (ko) 2014-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6446B1 (ko) 볼 조인트 및 볼 조인트 제조 방법
US20070085253A1 (en) Elastomeric bush bearing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JP4663752B2 (ja) スタビライ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157251B2 (en) Vibration damping mounting assembly
KR101492120B1 (ko) 차량 부품
JP6343535B2 (ja) 筒型防振装置
JP2010030421A (ja) スタビライ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394854B1 (ko) 플라스틱 부시 및 그 제조장치
KR20180110119A (ko) 볼 조인트 및 이것을 사용한 스태빌라이저 링크
US10451136B2 (en) High creep resistance plastic material reinforced rings
KR102625468B1 (ko) 커플링 로드, 휠 서스펜션 및 커플링 로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TWI659164B (zh) 扭矩桿及其製造方法
KR101573397B1 (ko) 볼 조인트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US20140339749A1 (en) Anti-vibration device
KR20170011329A (ko) 볼 조인트 및 그 제작방법
CN107076347B (zh) 封闭元件
US9127743B2 (en) Chassis bushing with integrated travel limiter
JP6257389B2 (ja) 筒型防振装置とその製造方法
KR20160142425A (ko) 부시형 마운트
US8920901B2 (en) Blow molded assembly with an attachment fastener portion, and method thereof
JP5391114B2 (ja) 防振装置セ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358323B2 (ja) 防振装置の製造方法
JP7175856B2 (ja) ボールシート、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ボールジョイントの製造方法
JP5687102B2 (ja) 防振装置
JP2008157434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及びダイナミックダンパの製造方法並びにプロペラシャ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