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810B1 - 콩모자이크괴저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콩모자이크괴저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810B1
KR101491810B1 KR20130076803A KR20130076803A KR101491810B1 KR 101491810 B1 KR101491810 B1 KR 101491810B1 KR 20130076803 A KR20130076803 A KR 20130076803A KR 20130076803 A KR20130076803 A KR 20130076803A KR 101491810 B1 KR101491810 B1 KR 101491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cmnv
primer
seq
primer set
vi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6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988A (ko
Inventor
신용길
허노열
김상목
이시원
강은하
김유정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20130076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810B1/ko
Publication of KR20150003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 C12Q1/6851Quantitative ampl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5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plants, fungi or alga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콩모자이크괴저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BCMNV 진단용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BCMNV 진단용 키트 및 RT-PCR을 이용한 BCMNV 진단 방법을 이용하면, 콩과 작물에서 BCMNV의 감염 여부를 항혈청을 이용한 진단법에 비해 1000배 이상 정확하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검역 현장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콩모자이크괴저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Primer set for diagnosing Bean commom mosaic necrosis virus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콩모자이크괴저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열번호 3 및 1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1 및 1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BCMNV (Bean common mosaic necrosis virus) 진단용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및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을 포함하는 BCMNV 진단용 키트 및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BCMNV를 진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업적으로 중요한 작물의 대부분은 식물 바이러스 또는 비로이드 (viroid) 감염에 의해 수확량 감소 및 품질 저하가 나타나고, 이로 인해 심각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식물 바이러스에 의한 병은 곰팡이 또는 세균에 의한 병과는 다르게 농약을 살포하여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식물체나 종자의 바이러스 감염 여부에 대한 정밀하고 신속한 진단은 재배 작물의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고, 바이러스 병 관리를 위한 선결요건이다.
콩모자이크괴저바이러스 (Bean common mosaic necrosis virus, BCMNV)는 BCMV (Bean common mosaic virus)에서 분류되었으며 (Mink et al ., Arch . Virol . 139:231-235, 1994), 현재 분류학적으로 바이러스 그룹 IV (+)센스 ssRNA 바이러스이며, 포티바이러스과 (Potyviridae) 포티바이러스속 (Potyvirus)으로 분류되고, 길이 720~770 nm × 너비 12~15 nm의 입자 크기를 갖는다. BCMNV 입자는 단백질 95%와 핵산 5%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피 단백질에는 적어도 8가지의 단백질 분해효소가 있어 기주 공격이나 기주에 대한 방어에 이용한다. 약 10 kb로 구성되어 있는 단일 가닥 RNA에는 외피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 (CP) 이외에도 P1, HcPro, P3, 6K1, Cl, 6K2, VPg, Nla 및 Nlb 유전자가 포함되어 있다. 식물 병원성 바이러스인 BCMNV에 감염된 식물체에서는 괴사, 황백화, 반점 형성 및 기형 증상이 일어나며, 이 때문에 아프리카, 유럽, 북아메리카 및 라틴아메리카 등에서는 작물의 수확량 감소 (약 35~98%)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BCMNV는 강낭콩 (Phaseolus vulgaris)을 주요 기주로 생활하며, 숙마 (양마, sunnhemp), 팥 및 녹두 등의 다른 콩과 작물도 기주로 삼는다. 또한, BCMNV는 우리나라의 검역 대상 병원체로서 수입되는 여러 가지 식물체로부터 이를 검출할 수 있는 진단법을 필요로 한다.
바이러스 진단법으로 과거에는 전자현미경과 혈청학적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방법은 바이러스의 존재를 확인할 수는 있지만 형태적 특징으로 종을 진단하기는 불가능하다. 혈청학적 방법 중 ELISA 방법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진단 방법이나 PCR을 이용한 진단보다 검출 감도가 약 1,000배 정도 낮으며, 항체와 검사 시료의 비특이적 반응으로 진단에 실패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BCMNV의 경우에도 바이러스 진단을 위해 ELISA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식물체 추출물과 항혈청의 비특이적 반응으로 인해 오진단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검사 시료에서 BCMNV의 감염률이 낮은 경우에는 진단에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검역 현장에서는 하나의 검사 시료에 대해 다양한 병원체의 진단을 수행해야하므로 여러 가지 진단법을 사용할 경우 많은 노동력과 검사 비용이 소요된다.
현재 RNA 바이러스의 진단에는 높은 검출 감도와 편리성을 갖는 RT-PCR 방법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PCR 방법을 이용하여 바이러스를 진단하는 경우에는, 특이적 반응의 강도가 낮아 감염 여부의 판별이 곤란하거나, 다른 핵산과의 비특이적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대비한 검사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분리주 특이적 프라이머를 사용할 경우 진단에 실패할 수 있기 때문에 바이러스 종 내에 존재하는 모든 분리주를 검출할 수 있는 종 특이 프라이머의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BCMNV 진단용 최적 프라이머 및 이에 부합하는 검정용 프라이머 (nested primer)와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종 특이 프라이머 은행 및 양성 대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BCMNV 진단용 프라이머는 지금까지 알려진 BCMNV 모든 계통들과 반응할 수 있게 개발되었으며, 양성 및 음성 반응의 검증을 위한 도구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0857043호에는 '콩모자이크바이러스 진단용 특이 프라이머'가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24116호에는 '동부연한얼룩바이러스 검출용 PCR 프라이머 쌍 및 이를 이용한 동부연한얼룩바이러스 검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콩모자이크괴저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콩모자이크괴저바이러스 (Bean common mosaic necrosis virus; BCMNV)에 감염된 식물에서 BCMNV를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최적 프라이머 세트, 검정용 (nested) PCR 프라이머 세트 및 PCR 반응시 양성 대조구로 이용할 수 있는 DNA 단편을 포함하는 플라스미드를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열번호 3 및 1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1 및 1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BCMNV (Bean common mosaic necrosis virus) 진단용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및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을 포함하는 BCMNV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BCMNV를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BCMNV 진단용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BCMNV 진단용 키트 및 RT-PCR을 이용한 BCMNV 진단 방법을 이용하면, 콩과 작물에서 BCMNV의 감염 여부를 항혈청을 이용한 진단법에 비해 1000배 이상 정확하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검역 현장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콩모자이크괴저바이러스 (BCMNV) 감염 증상이 나타난 식물체 사진이다.
도 2는 BCMNV 진단을 위해 설계한 프라이머 지도를 나타낸다. 프라이머 위치는 GenBank 등록번호 NC_004047을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도 3은 BCMNV 진단용 프라이머 조합 28가지 (표 3 참고)를 이용하여 RT-PCR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다 (1차 선발: 조합 3~7, 9, 10, 12, 14, 16 및 20~27 선발).
도 4는 1차 선발한 BCMNV 진단용 프라이머 조합으로 유연관계가 있는 다른 바이러스 (표 4 참고)에 대해 RT-PCR을 수행하여, BCMNV 진단용 프라이머를 2차 선발한 결과를 나타낸다 (조합 3~7, 14, 16, 20, 22, 23, 25, 26 및 27 선발). 각 레인 별 선발대상 바이러스는 다음과 같다. 레인 1, 11, 21, 31, 41, 51, 61, 71, 81, 91, 101, 111, 121, 131, 141, 151, 161, 171: BCMNV; 레인 2, 12, 22, 32, 42, 52, 62, 72, 82, 92, 102, 112, 122, 132, 142, 152, 162, 172: BCMV; 레인 3, 13, 23, 33, 43, 53, 63, 73, 83, 93, 103, 113, 123, 133, 143, 153, 163, 173: LMV; 레인 4, 14, 24, 34, 44, 54, 64, 74, 84, 94, 104, 114, 124, 134, 144, 154, 164, 174: PRSV; 레인 5, 15, 25, 35, 45, 55, 65, 75, 85, 95, 105, 115, 125, 135, 145, 155, 165, 175: PepMoV; 레인 6, 16, 26, 36, 46, 56, 66, 76, 86, 96, 106, 116, 126, 136, 146, 156, 176: PVMV; 레인 7, 17, 27, 37, 47, 57, 67, 77, 87, 97, 107, 117, 127, 137, 147, 157, 167, 177: PVA; 레인 8, 18, 28, 38, 48, 58, 68, 78, 88, 98, 108, 118, 128, 138, 148, 158, 168, 178: PVY; 레인 9, 19, 29, 39, 49, 59, 69, 79, 89, 99, 109, 119, 129, 139, 149, 159, 169, 179, 189: WMV2; 레인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ZYMV.
도 5는 2차 선발한 BCMNV 진단용 프라이머 조합으로 기주 관련 바이러스 (표 4 참고)에 대해 RT-PCR을 수행하여, BCMNV 진단용 프라이머를 3차 선발한 결과를 나타낸다 (조합 3, 5, 6, 7, 14, 16, 20, 23, 26 및 27 선발). 각 레인 별 선발대상 바이러스는 다음과 같다. 레인 1, 6, 11, 16, 21, 26, 31, 36, 41, 46, 51, 56, 61: BCMNV; 레인 2, 7, 12, 17, 22, 27, 32, 37, 42, 47, 52, 57, 62: CLRV; 레인 3, 8, 13, 18, 23, 28, 33, 38, 43, 48, 53, 58, 63: SBMV; 레인 4, 9, 14, 19, 24, 29, 34, 39, 44, 49, 54, 59, 64: TBRV; 레인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TSV.
도 6은 3차 선발한 BCMNV 진단용 프라이머 조합에서 강낭콩 (기주)의 게놈 DNA에 대해 비특이적 반응이 나타난 프라이머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BCMNV 진단용 프라이머 조합을 선발한 결과를 나타낸다 (조합 14, 16 및 26 선발). 각 레인 별 프라이머 조합은 다음과 같다. 레인 1: BCMNV-N30/BCMNV-C10 (1,072 bp); 레인 2: BCMNV-N50/BCMNV-C10 (827 bp); 레인 3: BCMNV-N60/BCMNV-C10 (687 bp); 레인 4: BCMNV-N10/BCMNV-C20 (567 bp); 레인 5: BCMNV-N30/BCMNV-C30 (339 bp); 레인 6: BCMNV-N10/BCMNV-C40 (359 bp); 레인 7: BCMNV-N81/BCMNV-C01 (820 bp); 레인 8: BCMNV-N81/BCMNV-C02 (647 bp); 레인 9: BCMNV-N81/BCMNV-C03 (485 bp); 레인 10: BCMNV-N82/BCMNV-C03 (290 bp); 레인 11: 양성 대조구; 레인 12: 음성 대조구.
도 7은 최종적으로 선발된 BCMNV 진단용 프라이머 조합의 end-point PCR 결과를 나타낸다. 각 레인 별 희석 배수는 다음과 같다. 레인 1~8: 순서대로 BCMNV 원액~10-7 희석액; 레인 9: 음성 대조구; 레인 10~17: 순서대로 BCMNV 원액~10-7 희석액; 레인 18: 음성 대조구; 레인 19~26: 순서대로 BCMNV 원액~10-7 희석액; 레인 27: 음성 대조구.
도 8은 최종적으로 선발된 BCMNV 진단용 프라이머 조합에 대한 네스티드 (nested) PCR 프라이머 조합 (표 5 참고)을 이용하여 RT-PCR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다. 각 레인 별 프라이머 조합은 다음과 같다. 레인 1: BCMNV-N40/BCMNV-C40 (129 bp); 레인 2: BCMNV-N20/BCMNV-C50 (176 bp); 레인 3: BCMNV-N30/BCMNV-C50 (132 bp); 레인 4: BCMNV-N20/BCMNV-C60 (137 bp); 레인 5: BCMNV-N82/BCMNV-C04 (207 bp); 레인 6: BCMNV-N82/BCMNV-C05 (189 bp).
도 9는 BCMNV 진단용 프라이머 조합 14 (BCMNV-N30 및 BCMNV-C30 프라이머)에 의해 증폭되는 339 bp의 BCMNV 염기서열을 나타낸다. 프라이머 결합 위치는 [_]로 표시하였다.
도 10은 BCMNV 진단용 프라이머 조합 16 (BCMNV-N10 및 BCMNV-C40 프라이머)에 의해 증폭되는 359 bp의 BCMNV 염기서열을 나타낸다. 프라이머 결합 위치는 [_]로 표시하였다.
도 11은 BCMNV-N30 및 BCMNV-C30 프라이머 위치 및 BCMNV-N10 및 BCMNV-C40 프라이머 위치를 모두 포함하는 DNA 단편 (양성 대조구)과 BCMNV 진단용 프라이머 조합 14 및 조합 16을 이용한 RT-PCR 결과를 나타낸다.
도 12는 BCMNV-N30 및 BCMNV-C30 프라이머 위치 및 BCMNV-N10 및 BCMNV-C40 프라이머 위치를 모두 포함하는 양성 대조구의 염기서열 (1,239 bp)을 나타낸다. BCMNV-N10 및 BCMNV-C10 프라이머의 결합 위치는 [_]로 표시하였다.
도 13은 BCMNV-N30 및 BCMNV-C30 프라이머 위치를 포함하며, 비특이적 염기서열을 삽입한 돌연변이-양성 대조구의 염기서열 (345 bp)을 나타낸다. BCMNV-N30 및 BCMNV-C30 프라이머의 결합 위치는 [_], 네스티드 PCR 프라이머인 BCMNV-N40 및 BCMNV-C40 프라이머의 결합 위치는 <_>, 염기서열 삽입 위치는 {_}로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번호 3 및 1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1 및 1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BCMNV (Bean common mosaic necrosis virus) 진단용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BCMNV 진단용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는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3 및 1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조합 14; 표 3 참고) 및 서열번호 1 및 1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조합 16; 표 3 참고)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열번호 3 및 1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1 및 1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에 서열번호 4 및 1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네스티드 프라이머 (nested primer) 세트 1) 및 서열번호 2 및 14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네스티드 프라이머 세트 2)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열번호 3 및 1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조합 14) 및 서열번호 1 및 1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조합 16)에 서열번호 4 및 1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네스티드 프라이머 세트 1) 및 서열번호 2 및 14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네스티드 프라이머 세트 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BCMNV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는 BCMNV 진단용 프라이머 조합 14 (BCMNV-N30; 서열번호 3 및 BCMNV-C30; 서열번호 12)의 RT-PCR 산물에 대한 검정 기능을 가진 네스티드 프라이머 세트 (BCMNV-N40; 서열번호 4 및 BCMNV-C40; 서열번호 13) 및 BCMNV 진단용 프라이머 조합 16 (BCMNV-N10; 서열번호 1 및 BCMNV-C40; 서열번호 13)의 RT-PCR 산물에 대한 검정 기능을 가진 네스티드 프라이머 세트 (BCMNV-N20; 서열번호 2 및 BCMNV-C50; 서열번호 1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1차 RT-PCR 검사 결과의 검정이 필요할 경우, 즉 RT-PCR 산물이 BCMNV로부터 유래된 결과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이 프라이머 조합에 대한 검정용 프라이머 (nested primer)를 이용하여 PCR 검사를 실시한다. 이때 RT-PCR 반응 결과가 BCMNV 유래에서 비롯되었다면 검정용 PCR에서 양성 반응을 나타낼 것이다 (도 8 참고).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는 각 프라이머의 서열 길이에 따라, 서열번호 1, 2, 3, 4, 12, 13 또는 14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 16개 이상, 17개 이상, 18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열번호 1의 프라이머 (18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1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 16개 이상, 17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열번호 3의 프라이머 (19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3의 서열 내의 15개 이상, 16개 이상, 17개 이상, 18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라이머"는 카피하려는 핵산 가닥에 상보적인 단일 가닥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말하며, 프라이머 연장 산물의 합성을 위한 개시점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의 길이 및 서열은 연장 산물의 합성을 시작하도록 허용해야 한다. 프라이머의 구체적인 길이 및 서열은 요구되는 DNA 또는 RNA 표적의 복합도 (complexity) 뿐만 아니라 온도 및 이온 강도와 같은 프라이머 이용 조건에 의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프라이머로서 이용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또한 뉴클레오티드 유사체 (analogue), 예를 들면, 포스포로티오에이트 (phosphorothioate), 알킬포스포로티오에이트 (alkylphosphorothioate) 또는 펩티드 핵산 (peptide nucleic acid)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삽입 물질 (intercalating agent)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및 증폭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을 포함하는, BCMNV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서열번호 21 및 22의 염기서열을 갖는 DNA 단편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DNA 단편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1 및 22의 염기서열을 갖는 DNA 단편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서열번호 21 또는 22의 염기서열을 갖는 DNA 단편은 BCMNV 진단용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RT-PCR 또는 PCR 반응에 대한 양성 대조구의 기능을 가진 플라스미드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12 및 13 참고).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은 DNA 폴리머라제, dNTPs 및 버퍼를 포함할 수 있으며, 리보뉴클레아제 (ribonuclease) 저해제, 내열성 중합 효소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DNA 폴리머라제는 RNA 의존성 DNA 폴리머라제 (RNA dependent DNA polymerase)와 같은 역전사 효소일 수 있으며, 다양한 소스로부터 기원한 역전사 효소, 예를 들면, 조류 골수 아세포증 바이러스-유래 역전사 효소 (avian myeloblastosis virus-derived virus reverse transcriptase; AMV RTase), 마우스 백혈병 바이러스-유래 역전사 효소 (murine leukemia virus-derived virus reverse transcriptase; MuLV RTase) 및 라우스-관련 바이러스 2 역전사 효소 (Rous-associated virus 2 reverse transcriptase; RAV-2 RTase)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버퍼는 역전사 버퍼 및 PCR 버퍼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내열성 중합 효소는 EF Taq 중합 효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또한 최적의 반응 수행 조건을 기재한 사용자 안내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안내서는 키트 사용법, 예를 들면, 역전사 완충액 및 PCR 완충액 제조 방법, 제시되는 반응 조건 등을 설명하는 인쇄물이다. 안내서는 팜플렛 또는 전단지 형태의 안내 책자, 키트에 부착된 라벨, 및 키트를 포함하는 패키지의 표면상에 설명을 포함한다. 또한, 안내서는 인터넷과 같이 전기 매체를 통해 공개되거나 제공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 시료에서 총 RNA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총 RNA를 주형으로 하고, 상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RT-PCR을 수행하여 표적 서열을 증폭하는 단계; 및
상기 증폭 산물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BCMNV를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식물 시료에서 총 RNA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시료에서 총 RNA를 분리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페놀 추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전체 RNA를 주형으로 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를 프라이머로 이용하여 RT-PCR을 수행하여 표적 서열을 증폭할 수 있다. 이러한 PCR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키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법에서, 상기 식물은 대두, 강낭콩 (Phaseolus vulgaris), 완두콩, 숙마 (양마, sunnhemp), 팥 및 녹두를 포함한 콩과 (Fabaceae) 식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강낭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BCMNV에 감염될 수 있는 식물이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증폭된 표적 서열은 검출가능한 표지 물질로 표지될 수 있다. 상기 표지 물질은 형광, 인광 또는 방사성을 발하는 물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지 물질은 Cy-5 또는 Cy-3이다. 표적 서열의 증폭시 프라이머의 5'-말단에 Cy-5 또는 Cy-3를 표지하여 PCR을 수행하면 표적 서열이 검출가능한 형광 표지 물질로 표지될 수 있다. 또한, 방사성 물질을 이용한 표지는 PCR 수행시 32P 또는 35S 등과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PCR 반응액에 첨가하면 증폭 산물이 합성되면서 방사성이 증폭 산물에 혼입되어 증폭 산물이 방사성으로 표지될 수 있다. 표적 서열을 증폭하기 위해 이용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조합은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BCMNV를 진단하는 방법은 상기 증폭 산물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증폭 산물의 검출은 DNA 칩, 겔 전기영동, 모세관 전기영동, 방사성 측정, 형광 측정 또는 인광 측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증폭 산물을 검출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서, 모세관 전기영동을 수행할 수 있다. 모세관 전기영동은 예를 들면, ABi Sequencer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겔 전기영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겔 전기영동은 증폭 산물의 크기에 따라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 또는 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형광 측정 방법은 프라이머의 5'-말단에 Cy-5 또는 Cy-3를 표지하여 PCR을 수행하면 표적 서열이 검출가능한 형광 표지 물질로 표지되며, 이렇게 표지된 형광은 형광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방사성 측정 방법은 PCR 수행시 32P 또는 35S 등과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PCR 반응액에 첨가하여 증폭 산물을 표지한 후, 방사성 측정기구, 예를 들면, 가이거 계수기 (Geiger counter) 또는 액체섬광계수기 (liquid scintillation counter)를 이용하여 방사성을 측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콩모자이크괴저바이러스 ( BCMNV ) 진단용 프라이머의 설계 및 조합
BCMNV에 감염된 식물체에서는 괴사, 황백화, 반점 및 기형 증상이 나타난다 (도 1). 이로 인한, 식물의 생산성 저하 및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BCMNV의 완전한 게놈 유전자를 이용하여 BCMNV 진단용 프라이머를 설계하였다.
BCMNV의 진단용 프라이머 설계를 위해, 미국 국립생물정보센터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로부터 BCMNV의 4가지 계통 (strain) 및 분류학적으로 BCMNV와 유사한 포티바이러스과 (Potyviridae) 5종의 염기서열을 다운로드 하였다 (표 1).
종 특이적 염기서열 탐색을 위해 사용한 바이러스 정보
바이러스 명칭 (계통 또는 분리주 ) 두문자어 GeneBank 등록번호 (길이, bp )
Bean common mosaic necrosis virus (Michigan) BCMNV NC_004047 (9,612)
Bean common mosaic necrosis virus (Washington) BCMNV AY138897 (9,626)
Bean common mosaic necrosis virus (Michigan) BCMNV AY282577 (9,642)
Bean common mosaic necrosis virus (Kimberly) BCMNV AY864314 (9,893)
Bean common mosaic virus BCMV NC_003397 (9,992)
Bean common mosaic virus (Blackeye) BCMV AY575773 (9,992)
Potato virus Y PVY NC_001616 (9,704)
Soybean mosaic virus SMV NC_002634 (9,588)
Watermelon Moroccan mosaic virus WMV NC_006262 (10,035)
다운로드한 9종의 염기서열은 'FASTA' 포맷 (format)으로 정렬한 뒤, 서열 정렬 프로그램인 DNAMAN package (Lynnon Biosoft)를 사용하여 다중 정렬 (multiple alignment)을 수행하였다. 그 후 BCMNV의 종 특이적인 서열을 탐색하였고, 약 10 Kb의 서열 중 332~1,570 bp 부분 및 8,557~9,376 bp 부분을 대상으로 진단용 프라이머를 설계하였다 (도 2).
설계한 프라이머는 정방향 프라이머 (upstream) 9가지와 역방향 프라이머 (downstream) 11가지의 총 20가지로 (표 2), 이를 조합하여 PCR로 증폭 가능한 28가지 조합을 선발하였고, 각각의 RT-PCR 산물의 예상 크기는 표 3에 나타내었다.
BCMNV 종 공통 염기서열로부터 설계한 진단용 프라이머 정보
프라이머 명칭 염기서열 서열번호 길이 ( bp ) 위치*
정방향 BCMNV-N10 GCGAAGAGATTTGCTGAT 1 18 332-349
BCMNV-N20 AAGCAGAAGAAGGGAGGT 2 18 455-472
BCMNV-N30 TAAGCAAGCAGAGGAACGG 3 19 499-517
BCMNV-N40 AAGTGGTGCTTACGGAGA 4 18 562-579
BCMNV-N50 TTGTTGCTGAGACAGGTG 5 18 744-761
BCMNV-N60 GAGATGTCATACTGGCACC 6 19 884-902
BCMNV-N81 TGAGGTGTATGAATCCGTG 7 19 8,557-8,575
BCMNV-N82 GATTCTAAACTTGGACCACCTA 8 22 8,752-8,773
BCMNV-N83 ATGACCAGCAAATGGGAG 9 18 8,874-8,893
역방향 BCMNV-C10 ATCTTCTTGCGTGGCTGA 10 18 1,553-1,570
BCMNV-C20 CCAGTATGACATCTCACGG 11 19 880-898
BCMNV-C30 ATGACCAGCCCATACCTAC 12 19 819-837
BCMNV-C40 TTTACCTGCCTAACAGCC 13 18 673-690
BCMNV-C50 TCAGCAACTTTTCGGTCA 14 18 613-630
BCMNV-C60 ACATAAGCCTTGTCTCCG 15 18 574-591
BCMNV-C01 ACTCCTTTACTGCCCAGA 16 18 9,376-9,393
BCMNV-C02 TGGCTCTGTCTGAGGTTT 17 18 9,203-9,220
BCMNV-C03 TAACTTGTCGCAGCGTAGG 18 19 9,041-9,060
BCMNV-C04 CACACTCCATTCACATCG 19 18 8,941-8,958
BCMNV-C05 GGAGATGTCCCATTATCG 20 18 8,923-8,940
* GenBank 등록번호 NC_004047을 기준으로 작성
BCMNV 진단용 프라이머 조합 및 RT-PCR 산물의 예상 크기
조합 정방향 ( Upstream ) 역방향 ( Downstream ) PCR 산물 크기 ( bp )
1 BCMNV-N10 BCMNV-C10 1,239
2 BCMNV-N20 BCMNV-C10 1,116
3 BCMNV-N30 BCMNV-C10 1,072
4 BCMNV-N40 BCMNV-C10 1,009
5 BCMNV-N50 BCMNV-C10 827
6 BCMNV-N60 BCMNV-C10 687
7 BCMNV-N10 BCMNV-C20 567
8 BCMNV-N20 BCMNV-C20 444
9 BCMNV-N30 BCMNV-C20 400
10 BCMNV-N40 BCMNV-C20 337
11 BCMNV-N50 BCMNV-C20 155
12 BCMNV-N10 BCMNV-C30 506
13 BCMNV-N20 BCMNV-C30 383
14 BCMNV-N30 BCMNV-C30 339
15 BCMNV-N40 BCMNV-C30 276
16 BCMNV-N10 BCMNV-C40 359
17 BCMNV-N20 BCMNV-C40 236
18 BCMNV-N30 BCMNV-C40 192
19 BCMNV-N40 BCMNV-C40 129
20 BCMNV-N81 BCMNV-C01 820
21 BCMNV-N82 BCMNV-C01 625
22 BCMNV-N83 BCMNV-C01 503
23 BCMNV-N81 BCMNV-C02 647
24 BCMNV-N82 BCMNV-C02 452
25 BCMNV-N83 BCMNV-C02 330
26 BCMNV-N81 BCMNV-C03 485
27 BCMNV-N82 BCMNV-C03 290
28 BCMNV-N83 BCMNV-C03 168
실시예 2. BCMNV 진단용 최적 프라이머 세트 선발 및 진단용 프라이머 은행 구축
BCMNV의 진단용 최적 프라이머 세트의 선발을 위해 설계한 28가지 프라이머 조합으로 1~4차까지의 선발 과정을 진행하였다.
우선 선발 대상 바이러스와 특이적인 반응 여부를 확인한 1차 선발에서 28가지 조합 중 18가지 조합 (표 3의 조합 3~7, 9, 10, 12, 14, 16 및 20~27)을 선발하였다 (도 3). 2차 선발 대상인 유연관계 바이러스 및 3차 선발 대상인 기주 관련 바이러스의 목록은 표 4에 정리하였다. 2차 선발에서 18가지 조합 중 비특이적 반응이 일어나지 않은 13가지의 조합 (표 3의 조합 3~7, 14, 16, 20, 22, 23, 25, 26 및 27)을 선발하였으며 (도 4), 3차 선발에서 13가지 조합 중 10가지 조합 (표 3의 조합 3, 5, 6, 7, 14, 16, 20, 23, 26 및 27)을 선발하였다 (도 5). 4차 선발에서 기주 (강낭콩)의 게놈 DNA에 대한 비특이적인 반응이 나타난 2가지 조합 및 밴드의 끌림 현상이 발생한 조합을 선발 대상에서 제외하고, 깔끔한 결과를 나타낸 3가지 조합 (표 3의 조합 14, 16 및 26)을 선발하였다 (도 6).
BCMNV 진단 프라이머의 2차 및 3차 선발 대상 바이러스
구분 학명 두문자어
2차 선발대상
(9종)
Bean common mosaic virus BCMV
Lettuce mosaic virus LMV
Papaya ringspot virus PRSV
Pepper mottle virus PepMoV
Pepper veinal mottle virus PVMV
Potato virus A PVA
Potato virus Y PVY
Watermelon mosaic virus 2 WMV2
Zucchini yellow mosaic virus ZYMV
3차 선발대상
(4종)
Cherry leaf roll virus CLRV
Southern bean mosaic virus SBMV
Tomato black ring virus TBRV
Tobacco streak virus TSV
1~4차 선발 후, 최종적으로 선발된 BCMNV 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 조합 14, 16 및 26에 대해 end-point PCR (희석 한계 실험)을 실시한 결과, 각각 10-5, 10-7 및 10-3의 민감도를 보였다 (도 7).
선발된 조합들에 대해서, 검정 시스템인 네스티드 프라이머 (nested primer) 조합을 설계하였으며 (표 5), 이때 주형으로 사용되는 RT-PCR 산물은 각각 1/100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네스티드 PCR 결과, 모든 조합에서 밴드가 확인되었으며, 일부에서는 비특이적인 밴드도 나타났다 (도 8). 검정용 프라이머인 네스티드 프라이머는 밴드의 밝기와 두께, 비특이적인 밴드의 유무, 크기 및 선발된 진단용 PCR 프라이머 조합 산물과의 크기 차이를 고려하여 최종 선발하였다.
선발된 조합들에 대한 검정용 네스티드 프라이머 조합
프라이머 조합 번호 정방향 역방향 길이 ( bp )
조합 14 BCMNV-N40 BCMNV-C40 129
조합 16 BCMNV-N20 BCMNV-C50 176
BCMNV-N30 BCMNV-C50 132
BCMNV-N20 BCMNV-C60 137
조합 26 BCMNV-N82 BCMNV-C04 207
BCMNV-N82 BCMNV-C05 189
실험 결과, 조합 14 (BCMNV-N30 및 BCMNV-C30)와 조합 16 (BCMNV-N10 및 BCMNV-C40)을 BCMNV 진단용 최적 프라이머 세트로 선발하였고, 검정 시스템인 네스티드 PCR 프라이머도 각각 한 세트씩 총 두 세트 (BCMNV-N40 및 BCMNV-C40, BCMNV-N20 및 BCMNV-C50)를 선발하였다. BCMNV를 검사하기 위해 최종적으로 선발한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네스티드 프라이머 세트 및 양성 대조구의 크기를 표 6에 정리하였으며, 프라이머 정보는 표 7에 기재하였다.
BCMNV 진단용 최적 프라이머 세트 및 검정용 네스티드 프라이머 세트
세트 최종 선발 프라이머 네스티드 프라이머 양성 대조구
( bp )
정방향 역방향 길이 ( bp ) 정방향 역방향 길이 ( bp )
1 BCMNV-N30 BCMNV-C30 339 BCMNV-N40 BCMNV-C40 129 1,239
2 BCMNV-N10 BCMNV-C40 359 BCMNV-N20 BCMNV-C50 176
최종 선발 프라이머의 염기서열
프라이머 염기서열 서열번호 프라이머 길이 ( bp ) 증폭 산물 길이 ( bp )
세트 1
(조합 14)
BCMNV-N30 TAAGCAAGCAGAGGAACGG 3 19 339
BCMNV-C30 ATGACCAGCCCATACCTAC 12 19
세트 2
(조합 16)
BCMNV-N10 GCGAAGAGATTTGCTGAT 1 18 359
BCMNV-C40 TTTACCTGCCTAACAGCC 13 18
세트 1
(nested)
BCMNV-N40 AAGTGGTGCTTACGGAGA 4 18 129
BCMNV-C40 TTTACCTGCCTAACAGCC 13 18
세트 2
(nested)
BCMNV-N20 AAGCAGAAGAAGGGAGGT 2 18 176
BCMNV-C50 TCAGCAACTTTTCGGTCA 14 18
실시예 3. BCMNV 의 진단 및 검사
바이러스 검사 현장에서 식물체로부터 BCMNV를 진단할 경우, 조합 14 (BCMNV-N30 및 BCMNV-C30)와 조합 16 (BCMNV-N10 및 BCMNV-C40)의 프라이머 세트를 사용하여 1회 (one-step) 또는 2회 (two-step)의 RT-PCR을 수행하면, 도 9 (BCMNV-N30 및 BCMNV-C30; 339 bp) 및 도 10 (BCMNV-N10 및 BCMNV-C40; 359 bp)에 표시된 위치에 프라이머가 결합하여 밴드를 형성할 것이다. 이때, 양성 대조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가 설계된 전체 영역을 포함하도록 플라스미드 (서열번호 21)를 제작하였다 (도 11 및 12).
또한, 진단 시 양성 대조구의 오염으로 인한 거짓 양성 반응이 나타날 경우를 대비하여 플라스미드 서열의 일부를 변형한 돌연변이-양성 대조구 (mutation positive control) (서열번호 22)를 제작했다 (도 13). 돌연변이-양성 대조구를 사용할 때에는, 조합 14의 프라이머 세트 (BCMNV-N30 및 BCMNV-C30) 및 네스티드 프라이머 세트 1 (BCMNV-N40 및 BCMNV-C40)을 사용해야 한다. 돌연변이-양성 대조구를 양성 대조구로 이용하면, 검사 후에 양성 반응이 나타난 시료의 염기서열을 분석할 때, 그것이 진짜 바이러스에 감염된 시료인지, 양성 대조구로부터 오염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진짜 바이러스에 감염된 시료에서 나온 밴드는 인위적으로 삽입한 도 13의 6 bp 서열 (CTCGAG)이 존재하지 않을 것이나, 양성 대조구로부터 오염된 시료에서 나온 밴드는 인위적으로 삽입한 도 13의 6 bp 서열 (CTCGAG)이 존재할 것이므로, 이러한 서열분석 결과를 통해 바이러스 감염 또는 오염 여부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BCMNV 바이러스 종 내에는 다양한 계통 (strain)이 있으므로, 염기서열의 일부가 치환되어 염기서열 확인 시 산물의 크기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110>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120> Primer set for diagnosing Bean commom mosaic necrosis virus and uses thereof <130> PN13156 <160> 22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 gcgaagagat ttgctgat 18 <210> 2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 aagcagaaga agggaggt 18 <210> 3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3 taagcaagca gaggaacgg 19 <210> 4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4 aagtggtgct tacggaga 18 <210> 5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5 ttgttgctga gacaggtg 18 <210> 6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6 gagatgtcat actggcacc 19 <210> 7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7 tgaggtgtat gaatccgtg 19 <210> 8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8 gattctaaac ttggaccacc ta 22 <210> 9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9 atgaccagca aatgggag 18 <210> 10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0 atcttcttgc gtggctga 18 <210> 11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1 ccagtatgac atctcacgg 19 <210> 12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2 atgaccagcc catacctac 19 <210> 13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3 tttacctgcc taacagcc 18 <210> 14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4 tcagcaactt ttcggtca 18 <210> 15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5 acataagcct tgtctccg 18 <210> 16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6 actcctttac tgcccaga 18 <210> 17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7 tggctctgtc tgaggttt 18 <210> 18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8 taacttgtcg cagcgtagg 19 <210> 19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9 cacactccat tcacatcg 18 <210> 20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0 ggagatgtcc cattatcg 18 <210> 21 <211> 123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CMNV positive control <400> 21 gcgaagagat ttgctgataa tgccatcaag gcatatgata gccagctgaa ggccttcgat 60 gaacttttga agaaaaactc tgatcttcag aagagattgt ttattgggca gaatagccca 120 attaagcaga aaaagggagg cgcatgtttc gtgcgtagtc tttcatttaa gcaagcagag 180 gaacggcatg ctaagtacct caagctgcaa gaagaagagc accaattttt aagtggtgct 240 tacggagaca aggcttatgt tggcagtgta caaggtacac ttgaccaaaa agttgctgag 300 aaggtgagtt tcaaatcacc ttactacaag agaacctgca aggctgttag gcaggtaaaa 360 gttttgaaga aagctgttgg ctcgggaaaa gttttggacc aagttcttga aattgttgct 420 gagacaggtg tcccagtaac ttttgttggc aagggtgcaa acaaaaccct tcgagcacaa 480 tatgtgcgta ggtatgggct ggtcatacca aaaatctttt tgtgtcatga gagtggacga 540 aaagttcacc gtgagatgtc atactggcac cacaaagaga cccttcagta tctgtgcaaa 600 catggaaagt atggcgcact taatgaaaac gcgctgtgta agggagacag tggcttactc 660 ttcgatcaac gcacagcttt tgtgaagaga gtcacatatc taccacattt cattgtgcgc 720 ggtcggcaag aggggcagct agtctgtgca actgaatatc ttgacaatgt acacacaatt 780 gaacattata cgcacaaacc ggaggagcag tttttcaaag ggtggaagca agtatttgac 840 aagatggcgc cccatacttt tgaacacgac tgtacaattg attacagtaa tgaacagtgt 900 ggcgaagtgg cagcaaccat atgtcaaaca ttgtttcctg ttaggaagct ttcttgcaac 960 aagtgcagac atcgaatcaa ggatttaagc tgggaagagt ttaagcaatt catcttagca 1020 catttaggat gctgcgcaaa attatgggaa gagcaaaaga atttgcctgg ccttgagaag 1080 atacactcac ttgtcgtgca agctacaagt gagaacatga tttttgaaac ttcaatggaa 1140 atagtgcggc tgacacaaaa ttatacaagt acccatatgt tgcaaataca agatatcaac 1200 aaagcactaa tgaaaggaag ttcagccacg caagaagat 1239 <210> 22 <211> 34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CMNV mutation positive control <400> 22 taagcaagca gaggaacggc atgctaagta cctcaagctg caagaagaag agcaccaatt 60 tttaagtggt gcttacggag acaaggctta tgttggcagt gtacactcga gaggtacact 120 tgaccaaaaa gttgctgaga aggtgagttt caaatcacct tactacaaga gaacctgcaa 180 ggctgttagg caggtaaaag ttttgaagaa agctgttggc tcgggaaaag ttttggacca 240 agttcttgaa attgttgctg agacaggtgt cccagtaact tttgttggca agggtgcaaa 300 caaaaccctt cgagcacaat atgtgcgtag gtatgggctg gtcat 345

Claims (9)

  1. 서열번호 3 및 1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1 및 1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BCMNV (Bean common mosaic necrosis virus) 진단용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3 및 1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1 및 1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MNV 진단용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3. 제1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4 및 1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2 및 14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MNV 진단용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및 증폭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을 포함하는, BCMNV 진단용 키트.
  5. 제4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2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DNA 단편 및 서열번호 2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DNA 단편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DNA 단편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MNV 진단용 키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은 DNA 폴리머라제, dNTPs 및 버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MNV 진단용 키트.
  7. 식물 시료에서 총 RNA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총 RNA를 주형으로 하고,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RT-PCR을 수행하여 표적 서열을 증폭하는 단계; 및
    상기 증폭 산물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BCMNV를 진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콩과 (Fabaceae) 식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MNV를 진단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산물의 검출은 DNA 칩, 겔 전기영동, 모세관 전기영동, 방사성 측정, 형광 측정 또는 인광 측정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MNV를 진단하는 방법.
KR20130076803A 2013-07-02 2013-07-02 콩모자이크괴저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1491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6803A KR101491810B1 (ko) 2013-07-02 2013-07-02 콩모자이크괴저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6803A KR101491810B1 (ko) 2013-07-02 2013-07-02 콩모자이크괴저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988A KR20150003988A (ko) 2015-01-12
KR101491810B1 true KR101491810B1 (ko) 2015-02-16

Family

ID=52476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6803A KR101491810B1 (ko) 2013-07-02 2013-07-02 콩모자이크괴저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8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221B1 (ko) * 2020-11-03 2022-02-25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광대수염 모자이크 바이러스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938B1 (ko) * 2017-03-28 2020-04-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구마 황반 바이러스에 의한 질환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KR102068296B1 (ko) * 2017-03-28 2020-01-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애기똥풀 잎맥 황백화 바이러스에 의한 질환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KR102100945B1 (ko) * 2017-03-28 2020-04-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삽주 모틀 바이러스에 의한 질환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3260A (ko) * 2006-02-03 2007-08-2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콩모자이크바이러스 진단용 특이 프라이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3260A (ko) * 2006-02-03 2007-08-2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콩모자이크바이러스 진단용 특이 프라이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221B1 (ko) * 2020-11-03 2022-02-25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광대수염 모자이크 바이러스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988A (ko) 201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708B1 (ko) 레스베리윤문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 조합 및 이의 용도
Kogovšek et al. Single-step RT real-time PCR for sensitive detection and discrimination of Potato virus Y isolates
KR101491810B1 (ko) 콩모자이크괴저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2096635B1 (ko) 검역 식물바이러스인 블랙베리 황백화 원형반점 바이러스를 특이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1678851B1 (ko) 플란타인 모틀 바이러스 진단 또는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1479664B1 (ko) 안데스감자반점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US20080172766A1 (en) Methods for Detecting Isolates of the Potato Virus (Pvy) Responsible for Necroses
KR101457980B1 (ko) 카네이션둥근반점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1457979B1 (ko) 카네이션괴저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1491789B1 (ko) 강낭콩꼬투리얼룩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1651815B1 (ko) 화이트클로버모자이크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2096633B1 (ko) 검역 식물바이러스인 바나나 포엽 모자이크 바이러스를 특이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1174695B1 (ko) 호박모자이크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 조합 및 이의 용도
KR102279791B1 (ko) Tev를 특이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Mochizuki et al. Rapid and low-cost diagnosis of Japanese yam mosaic virus infection in Chinese yam (Dioscorea polystachya) leaves by a print-capture RT-PCR
KR101174815B1 (ko) 담배래틀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 조합 및 이의 용도
KR101093024B1 (ko) 아라비스모자이크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 조합 및 이의 용도
KR102279787B1 (ko) ChiVMV를 특이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1651812B1 (ko) 펠라르고늄띠모양반점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1093238B1 (ko) 양파황화위축바이러스의 진단용 특이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102279794B1 (ko) 감자 황반 모자이크 바이러스를 특이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1124602B1 (ko) 토마토덤불위축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 조합 및 이의 용도
KR101651811B1 (ko) 시금치잠복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1651813B1 (ko) 안데스감자잠복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1093236B1 (ko) 리크황화줄무늬바이러스의 진단용 특이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