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773B1 - 단자 휴징장치 - Google Patents

단자 휴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773B1
KR101491773B1 KR20130117977A KR20130117977A KR101491773B1 KR 101491773 B1 KR101491773 B1 KR 101491773B1 KR 20130117977 A KR20130117977 A KR 20130117977A KR 20130117977 A KR20130117977 A KR 20130117977A KR 101491773 B1 KR101491773 B1 KR 101491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ower electrode
lead wire
electrode ba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7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석
Original Assignee
범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범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범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7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7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2End caps, i.e. of insulating or conductive material for covering or maintaining connections between wires entering the cap from the same e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덕션 히팅코일의 단부에 단자를 안정되고 견고하게 가압 융착하여 압착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작업공정이 간편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품질을 균일화시킬 수 있도록 한 단자 휴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판(11)과 하판(12)을 구비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상판(11)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전극봉(20); 상기 프레임(10)의 하판(12)에 고정되어 단자가압홈(31)을 구비하는 하부전극봉(30); 상기 하부전극봉(30)의 후방에 설치되어 단자공급홈(41)을 구비하는 단자가이드(40); 상기 단자가이드(40)의 일측에 설치되어 단자공급홈(41)으로 단자(1)를 정렬공급하는 볼피더(50)와 리니어피더(60); 상기 단자공급홈(41)으로 공급된 단자(1)를 단자가압홈(31)으로 이송시키는 단자이송대(70); 상기 하부전극봉(30)의 전방으로 설치되어 단자(1)의 고정부(1a)에 끼워진 히팅코일(2)의 리드선(2a)을 고정시키는 한쌍의 리드선홀더(80); 및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단자 휴징장치{Terminal fusing device}
본 발명은 단자 휴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인덕션 히팅코일의 단부에 단자를 안정되고 견고하게 가압 융착하여 압착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작업공정이 간편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품질을 균일화시킬 수 있도록 한 단자 휴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덕션 히팅코일에서 발생하는 자력선이 도체용기를 통과할 때 와전류가 흘러 도체용기 전체가 통째로 가열이 되도록 하는 것이 전자유도 가열방식(Induction Heating)이다.
전자유도 가열방식은 주로 전기밥솥 및 전자유도 전기곤로에 이용되는데, 종래의 열판 가열방식은 용기의 밑바닥에서만 열이 가해지지만, 전자유도 가열방식을 적용한 제품은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스테인리스 오븐에 골고루 열이 전해지기 때문에, 히팅코일에 전기를 흘려 자기장을 형성시켜 가열하는 전자유도 가열방식이 선호되고 있다.
도체로는 주로 전도율이 높은 구리나 알루미늄을 사용하는데, 대형 전기기기에는 평각형의 것이 사용되며, 많이 사용되는 권선은 지름이 0.025∼3.2mm의 둥근 구리선이다. 그리고, 절연형식은 초기에는 절연 테이프 또는 실로 감은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화학공업의 발달과 더불어 에나멜선이 급속도로 증가되었다.
히팅코일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양쪽 끝단에 단자가 결합되는 부위에 있는 핫 멜트와 에나멜과 같은 피복을 제거해야 하는데, 종래에는 히팅코일 끝단부에 솔더링한 후 단자를 압착하는 방식과 히팅코일 끝단에 단자를 압착하여 결합시킨 후 순간적으로 전기 스파크를 일으켜 발생하는 열로 스폿(spot) 용접을 하여 핫 멜트와 에나멜을 제거하였다. 하지만, 히팅코일은 여러 가닥의 도선을 꼬아서 핫 멜트와 에나멜로 코팅하여 형성되는데, 전기 스파크를 일으켜 발생하는 열로 스폿 용접을 하는 방식을 사용할 경우 핫 멜트와 에나멜 잔분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남게 된다. 따라서 전기저항이 높아지고 전류 공급이 불안전하게 되어 효율성이 저하된다.
그러므로 고주파 유도가열 방식을 이용하여 핫 멜트와 에나멜을 완전히 제거한 뒤에 단자를 결합함으로서, 단자 결합부위의 전기저항을 감소시키고 도전성을 높여서 전류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자 휴징장치가 요구된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특허 제10-1194221호에서는 인덕션 히팅코일의 휴징 방법 및 휴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구조적으로 단자의 고정부에 끼워진 히팅코일의 리드선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없기 때문에 인덕션 히팅코일의 단부에 단자를 안정되고 견고하게 가압 융착할 수 없어 압착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전체적으로 작업공정이 불편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제품의 품질을 균일화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리고 단자의 가압 융착시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 등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없으므로 작업환경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 등록특허 제10-1194221호(2012.10.18)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인덕션 히팅코일의 단부에 단자를 한층 더 안정되고 견고하게 압력과 열로 가압 융착하여 압착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단자 휴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자의 공급과 전체적인 작동이 컨트롤러를 통해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전체적으로 작업공정이 간편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품질을 균일화시킬 수 있도록 한 단자 휴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자의 가압 융착시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 등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단자 휴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의 상판에 상부전극봉을 승강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의 하판에 단자가압홈이 구비된 하부전극봉을 고정하며, 상기 하부전극봉의 후방에 단자공급홈이 구비된 단자가이드를 설치하고, 상기 단자가이드의 일측에 단자공급홈으로 단자를 정렬공급하는 볼피더와 리니어피더를 설치하며, 상기 단자공급홈에 공급된 단자를 단자가압홈으로 이송시키는 단자이송대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전극봉의 전방에 단자의 고정부로 끼워진 히팅코일의 리드선을 고정시키는 한쌍의 리드선홀더를 설치하며,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전극봉은 승강판의 하부에 고정하고, 상기 승강판은 프레임의 상판에 다수의 가이드봉으로 승강가능하게 지지시키며, 상기 상판에는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실린더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전극봉의 일측에는 가압 융착시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흡입관을 설치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하부전극봉은 단자를 500~700℃로 2~3초 정도 가압 융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일측 리드선홀더는 홀더지지대에 고정하고, 상기 타측 리드선홀더는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도록 홀더지지대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양측 리드선홀더의 마주하는 면에는 리드선이 끼워지는 반원형의 리드선홈을 각각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에는 동작을 제어하는 풋스위치 및 압력을 조정하는 레규레이터를 연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단자 휴징장치에 따르면 하부전극봉의 단자가압홈에 단자를 자동으로 공급하고, 단자의 고정부에 히팅코일을 끼운 상태에서 리드선을 한쌍의 리드선홀더에 고정한 후, 상부전극봉을 하강시켜 압력과 열에 의하여 단자를 휴징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인덕션 히팅코일의 단부에 단자를 안정되고 견고하게 가압 융착하여 압착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자의 공급 및 작동이 컨트롤러를 통해 자동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작업공정이 간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제품의 품질을 균일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자의 가압 융착시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 등을 흡입관으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연기와 냄새 등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고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전극봉을 보인 사시도.
도 7a,7b,7c는 본 발명에 따른 휴징장치의 원리 및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절연층이 피복된 히팅코일을 보인 단면도.
도 7b는 휴징 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c는 휴징 후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단자 휴징장치는 도 1 내지 도 7a,7b,7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판(11)과 하판(12)을 구비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상판(11)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전극봉(20); 상기 프레임(10)의 하판(12)에 고정되어 단자가압홈(31)을 구비하는 하부전극봉(30); 상기 하부전극봉(30)의 후방에 설치되어 단자공급홈(41)을 구비하는 단자가이드(40); 상기 단자가이드(40)의 일측에 설치되어 단자공급홈(41)으로 단자(1)를 정렬공급하는 볼피더(50)와 리니어피더(60); 상기 단자공급홈(41)으로 공급된 단자(1)를 단자가압홈(31)으로 이송시키는 단자이송대(70); 상기 하부전극봉(30)의 전방으로 설치되어 단자(1)의 고정부(1a)에 끼워진 히팅코일(2)의 리드선(2a)을 고정시키는 한쌍의 리드선홀더(80); 및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9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단자 휴징장치는 인덕션 히팅코일(2)의 단부를 단자(1)의 고정부(1a)에 연결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단자 휴징장치는 프레임(10),상부전극봉(20),하부전극봉(30),단자가이드(40),볼피더(50),리니어피더(60),단자이송대(70),리드선홀더(80) 및 컨트롤러(90)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의 단자 휴징장치는 인덕션 히팅코일(2)의 단자(1) 접속뿐만 아니라 각종 스위치,콘센트,배전반 등의 전선에 단자를 접속할 때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상기 프레임(10)은 테이블(T)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프레임(10)에는 상판(11)과 하판(12)이 구비되고, 상판(11)과 하판(12)의 양측에는 측판(13)이 연결된다.
상기 상부전극봉(20)은 프레임(10)의 상판(11)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부전극봉(20)은 승강판(21)의 하부에 상부블록을 통해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기 승강판(21)은 상판(11)에 다수의 가이드봉(22)으로 승강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상판(11)에는 승강판(21)을 승강시키는 실린더(23)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0)의 상판(11)에는 가이드봉(22)을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관(24)이 설치된다.
상기 하부전극봉(30)은 프레임(10)의 하판(12)에 하부블록을 통해 수직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하부전극봉(30)에는 도 6에서와 같이 단자(1)가 정위치로 끼워져 지지되도록 하는 단자가압홈(31)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전극봉(20)과 하부전극봉(30)의 단자가압홈(31)은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상부전극봉(20)이 하강하여 단자(1)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통전될 때 저항열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상부전극봉(20)과 하부전극봉(30)에는 전류가 공급되고, 상부전극봉(20)이 도 5e와 도 7c에서와 같이 하강하여 하부전극봉(30)의 단자가압홈(31)에 끼워진 단자(1)를 매개로 서로 통전될 때 전류가 인가되어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하부전극봉(20)(30)은 단자(1)를 500~700℃로 2~3초 가압 융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부전극봉(30)의 일측에는 가압 융착시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 등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흡입관(10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흡입관(100)은 작업시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 등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므로 작업자를 연기와 냄새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또한 이를 통해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단자가이드(40)는 하부전극봉(30)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단자가이드(40)에는 하부전극봉(30)의 단자가압홈(31)과 통하도록 단자공급홈(41)이 형성된다.
상기 볼피더(50)와 리니어피더(60)는 단자가이드(40)의 일측에 설치되어 단자공급홈(41)으로 단자(1)를 순차적으로 정렬공급하는 것으로, 이러한 볼피더(50)는 투입된 다수의 단자(1)를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 및 이송하고, 리니어피더(60)는 정렬된 단자(1)를 단자가이드(40)의 단자공급홈(41)에 일렬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볼피더(50)와 리니어피더(60)를 통해 단자공급홈(41)으로 공급되는 단자(1)는 용접부(1b)가 상부에 위치하고, 또한 단자(1)의 고정홀(1c)은 후방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상기 단자이송대(70)는 단자공급홈(41)으로 공급된 단자(1)를 단자가압홈(31)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단자이송대(70)는 단자가이드(40)의 단자공급홈(41)의 후방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단자이송대(70)의 후방에는 단자이송대(7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실린더(71)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71)는 테이블(T)의 상부에 고정된 브래킷(72)에 지지된다.
상기 한쌍의 양측 리드선홀더(80)는 하부전극봉(30)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한쌍의 양측 리드선홀더(80)는 단자(1)의 고정부(1a)에 끼워진 히팅코일(2)의 리드선(2a)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한쌍의 양측 리드선홀더 중 일측 리드선홀더(80)는 홀더지지대(81)에 고정되고, 상기 타측 리드선홀더(80)는 컨트롤러(90)의 제어를 받도록 홀더지지대(8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양측 리드선홀더(80)의 마주하는 면에는 리드선(2a)이 끼워지는 반원형의 리드선홈(80a)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90)를 통해 타측 리드선홀더(80)에 압력을 공급하면 타측 리드선홀더(80)를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타측 리드선홀더(8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90)는 상부전극봉(20),볼피더(50),리니어피더(60),단자이송대(70) 및 홀더지지대(81)의 전체적인 작동을 순차적으로 자동제어하는 것으로, 이러한 컨트롤러(90)에 의해 본 발명의 단자 휴징장치는 단자(1)를 자동으로 휴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90)는 테이블(T)의 상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90)에는 동작을 제어하는 풋스위치(91)가 연결되고, 또한 상기 컨트롤러(90)에는 압력을 조정하는 레규레이터(92)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볼피더(50)에 다수의 단자(1)를 투입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단자 휴징장치를 작동시키면, 볼피더(50)와 리니어피더(60)에 의해 도 5a에서와 같이 단자가이드(40)의 단자공급홈(41)으로 단자(1)가 1개씩 순차적으로 정렬된 상태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볼피더(50)와 리니어피더(60)를 통해 단자공급홈(41)으로 공급되는 단자(1)는 용접부(1b)가 상부에 위치하고, 또한 단자(1)의 고정홀(1c)은 후방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단자가이드(40)의 단자공급홈(41)으로 단자(1)가 공급되면, 후방에서 브래킷(72)에 지지된 실린더(71)가 작동하여 단자이송대(7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단자이송대(70)는 도 5b에서와 같이 단자가이드(40)의 단자공급홈(41)으로 공급된 단자(1)를 전방으로 밀어 단자(1)가 하부전극봉(30)의 단자가압홈(31)에 정위치로 끼워져 지지되도록 이동시킨다.
단자(1)가 하부전극봉(30)의 단자가압홈(31)으로 이동되어 정위치하게 되면, 작업자는 수작업으로 도 5c와 도 6에서와 같이 히팅코일(2)의 단부를 단자(1)의 고정부(1a)에 끼워 넣고, 이 상태에서 풋스위치(91)를 작동시키면 압력이 공급되어 타측 리드선홀더(80)가 일측 리드선홀더(80)측으로 도 5d에서와 같이 이동하고, 이에 의해 양측 리드선홀더(80)의 리드선홈(80a)으로 히팅코일(2)의 리드선(2a)이 끼워진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히팅코일(2)의 단부가 단자(1)의 고정부(1a)에 끼워진 상태에서 리드선(2a)이 양측 리드선홀더(80)의 리드선홈(2a)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면, 실린더(23)가 작동하여 상부전극봉(20)을 하강시키고, 이때 상부전극봉(20)이 하강하면서 도 5e에서와 같이 하부전극봉(30)의 단자가압홈(31)에 정위치된 단자(1)의 용접부(1b)를 누르면서 가압하게 되고, 또한 이와 같이 상,하부전극봉(20)(30)이 단자(1)를 매개로 서로 통전될 때 전류가 인가되어 저항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히팅코일(2)이 끼워진 단자(1)의 용접부(1b)는 안정되고 견고하게 가압 융착된다. 이때, 상,하부전극봉(20)(30)은 단자(1)를 500~700℃로 2~3초 가압 융착하게 된다.
단자(1)의 가압 융착이 완료되면 상기 작동의 역으로 각 부품들이 작동하게 되어 도 5a에서와 같이 초기 상태가 되므로, 이때 히팅코일(2)이 휴징된 단자(1)를 빼내고, 다음의 단자 휴징을 상기와 같이 순차적으로 진행하면 간단하고 편리하게 연속적으로 휴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7a,7b,7c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 휴징장치의 원리 및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7a에서와 같이 히팅코일(2)의 표면에는 에나멜 등의 절연층(2b)이 피복된다. 이때, 상기 절연층(2b)은 대략 350℃ 전후에서 녹고, 히팅코일(2)은 대략 1083℃ 정도에서 녹는다.
도 7b에서와 같이 단자(1)의 홀에 히팅코일(2)의 끝단을 삽입하고, 도 7c에서와 같이 상부전극봉(20)이 하강하여 단자(1)의 고정부(1a)를 압착하고, 상,하부전극봉(20)(30)에 전류를 인가하여 절연층을 녹인다.
전류 인가시 500~700℃ 정도의 열이 발생하고, 이 열에 의해 절연층은 녹고 구리 소재의 단자(1)와 히팅코일(2)에는 영향이 없다. 이때, 상기 열은 소재, 선경, 가닥수 등에 따라 변경된다.
압력과 열에 의하여 절연층은 밖으로 빠져나오고 단자(1)와 히팅코일(2)만 압착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단자 휴징장치는 하부전극봉(30)의 단자가압홈(31)에 단자(1)를 정렬하여 자동으로 공급하고, 단자(1)의 고정부(1a)에 히팅코일(2)의 끝단을 끼운 상태에서 리드선(2a)을 한쌍의 양측 리드선홀더(80)에 견고하게 고정한 후, 실린더(23)로 상부전극봉(20)을 하강시켜 압력과 열에 의하여 단자(1)의 용접부(1b)를 휴징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인덕션 히팅코일(2)의 단부에 단자(1)를 안정되고 견고하게 가압 융착하여 압착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자 휴징장치는 단자(1)의 공급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고 컨트롤러(90)에 의해 작동이 자동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작업공정이 간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제품의 품질을 균일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단자 휴징장치는 하부전극봉(30)의 일측에 가압 융착시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 등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흡입관(100)이 설치되기 때문에, 연기와 냄새 등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고 또한 이를 통해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 단자 1a : 고정부
2 : 히팅코일 2a : 리드선
10 : 프레임 11 : 상판
12 : 하판 20 : 상부전극봉
21 : 승강판 22 : 가이드봉
23 : 실린더 30 : 하부전극봉
31 : 단자가압홈 40 : 단자가이드
41 : 단자공급홈 50 : 볼피더
60 : 리니어피더 70 : 단자이송대
80 : 리드선홀더 80a : 리드선홈
81 : 홀더지지대 90 : 컨트롤러
91 : 풋스위치 92 : 레규레이터
100 : 흡입관

Claims (7)

  1. 상판(11)과 하판(12)을 구비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상판(11)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전극봉(20); 상기 프레임(10)의 하판(12)에 고정되어 단자가압홈(31)을 구비하는 하부전극봉(30); 상기 하부전극봉(30)의 후방에 설치되어 단자공급홈(41)을 구비하는 단자가이드(40); 상기 단자가이드(40)의 일측에 설치되어 단자공급홈(41)으로 단자(1)를 정렬공급하는 볼피더(50)와 리니어피더(60); 상기 단자공급홈(41)으로 공급된 단자(1)를 단자가압홈(31)으로 이송시키는 단자이송대(70); 상기 하부전극봉(30)의 전방으로 설치되어 단자(1)의 고정부(1a)에 끼워진 히팅코일(2)의 리드선(2a)을 고정시키는 한쌍의 리드선홀더(80); 및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휴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전극봉(20)은 승강판(21)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승강판(21)은 상판(11)에 다수의 가이드봉(22)으로 승강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상판(11)에는 승강판(21)을 승강시키는 실린더(2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휴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전극봉(30)의 일측에는 흡입관(10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휴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전극봉(20)(30)은 단자(1)를 500~700℃로 2~3초 가압 융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휴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 리드선홀더(80)는 홀더지지대(81)에 고정되고, 타측 리드선홀더(80)는 컨트롤러(90)의 제어를 받도록 홀더지지대(8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양측 리드선홀더(80)의 마주하는 면에는 리드선(2a)이 끼워지는 반원형의 리드선홈(80a)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휴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90)에는 동작을 제어하는 풋스위치(91)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휴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90)에는 압력을 조정하는 레규레이터(92)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휴징장치.
KR20130117977A 2013-10-02 2013-10-02 단자 휴징장치 KR101491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7977A KR101491773B1 (ko) 2013-10-02 2013-10-02 단자 휴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7977A KR101491773B1 (ko) 2013-10-02 2013-10-02 단자 휴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773B1 true KR101491773B1 (ko) 2015-02-11

Family

ID=52591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7977A KR101491773B1 (ko) 2013-10-02 2013-10-02 단자 휴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7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8477A (zh) * 2018-10-31 2019-01-04 廖承建 一种新型端子热压焊接机及端子的焊接方法
KR20190125778A (ko) 2018-04-30 2019-11-07 범일산업 주식회사 인덕션 히팅코일 단자 압착 휴징 자동화시스템
CN117182272A (zh) * 2023-11-07 2023-12-08 江苏良有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线圈的导电区焊接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3056A (ja) 2006-12-18 2008-07-03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圧着装置
JP2009021138A (ja) 2007-07-12 2009-01-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端子圧着機
KR20090035925A (ko) * 2007-10-08 2009-04-13 (주)케이엠 디지텍 전선의 탈피 겸용 압착장치
KR101194221B1 (ko) 2010-09-13 2012-10-29 정가영 인덕션 히팅코일의 휴징 방법 및 휴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3056A (ja) 2006-12-18 2008-07-03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圧着装置
JP2009021138A (ja) 2007-07-12 2009-01-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端子圧着機
KR20090035925A (ko) * 2007-10-08 2009-04-13 (주)케이엠 디지텍 전선의 탈피 겸용 압착장치
KR101194221B1 (ko) 2010-09-13 2012-10-29 정가영 인덕션 히팅코일의 휴징 방법 및 휴징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778A (ko) 2018-04-30 2019-11-07 범일산업 주식회사 인덕션 히팅코일 단자 압착 휴징 자동화시스템
CN109128477A (zh) * 2018-10-31 2019-01-04 廖承建 一种新型端子热压焊接机及端子的焊接方法
CN117182272A (zh) * 2023-11-07 2023-12-08 江苏良有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线圈的导电区焊接设备
CN117182272B (zh) * 2023-11-07 2024-02-06 江苏良有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线圈的导电区焊接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36213A1 (zh) 金属件与同轴电缆焊接的自动化系统及实现方法
KR101491773B1 (ko) 단자 휴징장치
CN103920962B (zh) 电子元件自动焊接生产装备
JP2012183552A (ja) ヒータチップ及び接合装置及び接合方法
US1613957A (en) Method and machine for electric welding
EP0535343B1 (en) Spot welding apparatus and spot welding method
CN106312218A (zh) 一种脉冲电流辅助自阻加热装置及利用其局部快速钎焊的方法
JP2017062945A (ja) ヒータチップ及び接合装置及び接合方法
US11207845B2 (en) Inductive thermo-crimping apparatus
KR102061250B1 (ko) 인덕션 히팅코일 단자 압착 휴징 자동화시스템
KR101194221B1 (ko) 인덕션 히팅코일의 휴징 방법 및 휴징 장치
KR100454820B1 (ko) 산소 측정용 프로브의 용강극으로 사용되는 몰리브덴단자와 구리 와이어를 자동으로 용접하는 장치
JP2000150287A (ja) コイル製造装置およびコイル端子用部材
US6862800B2 (en) Method for connection of coated lead wire to terminal of coil bobbin
JP3211580B2 (ja) はんだ付け装置
KR101720021B1 (ko) 난방용 탄소 발열체제조장치
CN206148778U (zh) 一种夹焊机
CN211588835U (zh) 焊接设备
JP2012094771A (ja) はんだ付け方法およびはんだ付け装置
CN103706934A (zh) 起动机电枢自动送丝焊接系统
CN107900475B (zh) 一种led发光灯条的自动焊锡方法及led光源模块
CN112404626B (zh) 一种利兹线焊接装置
CN219659129U (zh) 一种便携式电线接头熔接装置
CN217991213U (zh) 断路器引线的焊接装置
KR20130040433A (ko) 난방용 발열체 제조라인용 드릴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