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544B1 - 스퀴지 승강 기구 및 플랫 스크린 날염 장치 - Google Patents

스퀴지 승강 기구 및 플랫 스크린 날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544B1
KR101490544B1 KR20110026644A KR20110026644A KR101490544B1 KR 101490544 B1 KR101490544 B1 KR 101490544B1 KR 20110026644 A KR20110026644 A KR 20110026644A KR 20110026644 A KR20110026644 A KR 20110026644A KR 101490544 B1 KR101490544 B1 KR 101490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eegee
carrier
rack
pinion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26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8295A (ko
Inventor
시로 이찌노세
도시히로 마쯔시따
Original Assignee
도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8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16Print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40Inking units
    • B41F15/42Inking units comprising squeegees or do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40Inking units
    • B41F15/42Inking units comprising squeegees or doctors
    • B41F15/423Driving means for reciprocating squeeg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40Inking units
    • B41F15/42Inking units comprising squeegees or doctors
    • B41F15/426Inking units comprising squeegees or doctors the squeegees or doctors being magnetically attra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효율적으로 스퀴지의 승강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스퀴지 승강 기구 및 이것을 구비한 플랫 스크린 날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직물(C)을 날염하는 플랫 스크린 날염 장치(1)에 있어서의 스퀴지의 승강 기구는, 스퀴지 캐리어(6)와, 스퀴지 캐리어(6)의 왕복 이동 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타이밍 벨트(12)와, 스퀴지 캐리어(6)에 설치된 풀리(13a, 13b)와, 스퀴지 캐리어(6)에 지지되는 제1 및 제2 스퀴지(7a, 7b)를 구비하고, 스퀴지 캐리어(6)가 좌측으로 주행할 때 풀리(13a)가 회전함으로써 스퀴지(7b)를 상승시키고 또한 스퀴지(7a)를 하강시키고, 스퀴지 캐리어(6)가 우측으로 주행할 때 풀리(13b)가 회전함으로써 스퀴지(7b)를 하강시키고 또한 스퀴지(7a)를 상승시키는 전달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스퀴지 승강 기구 및 플랫 스크린 날염 장치{SQUEEGEE LIFTING MECHANISM AND FLAT SCREEN PRI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스퀴지 승강 기구 및 이 스퀴지 승강 기구를 구비한 플랫 스크린 날염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랫 스크린 날염 장치는 일반적으로 엔드리스 벨트에 의해 반송되는 직물에 대해, 스크린을 통해 염료를 압출하여 직물을 날염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직물의 반송 방향과 직행하는 방향인 직물의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2개의 스퀴지가 설치되어 있고, 이 2개의 스퀴지 사이에 염료를 투입한다. 그리고, 제1 방향으로 스퀴지를 주행시킬 때에는, 진행 방향 전방측의 스퀴지를 스크린으로부터 소정 거리 상승시키는 동시에, 진행 방향 후방측의 스퀴지를 하강시켜 스크린에 대해 만곡될 때까지 누른다. 이 후방측의 스퀴지의 압박에 의해, 스크린을 투과시켜 염료를 압출하여 직물에 침투시킨다. 이 상태에서 스퀴지가 직물의 폭 방향 단부까지 주행하면, 계속해서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의 제2 방향으로 스퀴지는 주행한다. 이때, 제1 방향으로 주행할 때에 상승하고 있던 스퀴지를 하강시키고, 하강하고 있던 스퀴지를 상승시킨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와 같이, 플랫 스크린 날염 장치에서는 직물을 날염하는 동안, 스퀴지가 승강 동작을 반복한다.
일본 특허 제2936466호 공보
상기 스퀴지의 승강 기구에 대해 설명하면, 우선, 특허 문헌 1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기구(108)가 좌측으로 끌어당겨짐으로써 로드(121)가 좌측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피니언(129)이 회전한다. 그 결과, 제1 지지 부재(130)가 밀어 내려지는 동시에 제2 지지 부재(130')가 들어 올려짐으로써, 스퀴지(114A)가 스크린(118)에 접압되어, 스퀴지(114A')가 들어 올려진다. 또한, 전동 기구(108)가 우측으로 끌어당겨짐으로써 좌측으로 끌어당겨지는 경우와 역의 동작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전동 기구(108)를 좌우로 끌어당김으로써 스퀴지의 승강 동작을 행하지만, 전동 기구(108)를 끌어당겼을 때에 로드(121)가 그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기 전에 스퀴지 캐리어(110)가 그 방향으로 바로 움직여 버리면, 스퀴지의 승강 동작도 행해지지 않게 되어 버린다.
이로 인해, 이 스퀴지 캐리어(110)가 용이하게 움직이지 않도록, 가이드 레일(109)과 접촉하는 브레이크 기구를 스퀴지 캐리어에 설치하고 있다. 이 브레이크 기구를 항상 작동시킴으로써, 전동 기구(108)를 끌어당기면 로드(121)가 그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고, 그 후 스퀴지 캐리어(110)가 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브레이크 기구를 항상 작동시키고 있음으로써, 스퀴지 캐리어(110)를 이동시키기 위한 힘이 여분으로 필요해져 비효율적이라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효율적으로 스퀴지의 승강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스퀴지 승강 기구 및 이것을 구비한 플랫 스크린 날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스퀴지 승강 기구는 피날염물을 날염하는 플랫 스크린 날염 장치에 있어서의 스퀴지의 승강 기구이며, 상기 피날염물의 상방에서 왕복 이동하는 스퀴지 캐리어와, 상기 스퀴지 캐리어의 왕복 이동 방향에 따라서 설치된 치를 갖는 직선 형상 기어부와, 상기 스퀴지 캐리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직선 형상 기어부의 치와 맞물리는 풀리와, 상기 스퀴지 캐리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및 제2 스퀴지와, 상기 풀리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스퀴지에 전달하는 전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달 수단은, 상기 스퀴지 캐리어가 제1 방향으로 주행할 때 상기 제1 스퀴지를 상승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2 스퀴지를 하강시키고, 상기 스퀴지 캐리어가 제2 방향으로 주행할 때 상기 제1 스퀴지를 하강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2 스퀴지를 상승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스퀴지 승강 기구에 따르면, 스퀴지 캐리어가 주행함으로써 직선 형상 기어부와 맞물리는 풀리가 회전하고, 그 결과, 각 스퀴지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브레이크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효율적으로 스퀴지를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스퀴지 승강 기구는 스퀴지 캐리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을 이용하여 스퀴지를 승강시킬 수 있어, 스퀴지를 승강시키기 위해 새로운 구동원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술한 직선 형상 기어부라 함은, 타이밍 벨트나 랙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제1 및 제2 스퀴지는 스퀴지 캐리어에 의해, 직접 지지되어 있어도 좋고, 사이에 다른 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스퀴지 승강 기구는 다양한 구성을 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풀리는 2개로 하고, 전달 수단은 상기 각 풀리에 일방향 클러치를 통해 접속된 2개의 피니언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상기 스퀴지 캐리어에 설치되어, 상기 각 피니언과 맞물리는 2개의 치부(齒部) 및 상기 2개의 치부를 사이에 끼우도록 형성된 2개의 결치부(缺齒部)를 갖는 랙과, 상기 랙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의 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해 하강하고,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승하는, 제1 스퀴지를 지지하는 제1 승강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의 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승하고,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해 하강하는, 제2 스퀴지를 지지하는 제2 승강 부재를 갖고, 상기 한쪽의 일방향 클러치는 상기 풀리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풀리의 회전을 상기 피니언에 전달하고, 상기 다른 쪽의 일방향 클러치는 상기 풀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풀리의 회전을 상기 피니언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부재는 캠 팔로워나 피니언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회전 부재를 캠 팔로워로 한 경우에는 랙에 캠을 형성하고, 회전 부재를 피니언으로 한 경우에는 랙에 이 피니언과 맞물리기 위한 치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각 승강 부재는 각 스퀴지를 직접적으로 지지하고 있어도 좋고, 사이에 다른 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지지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직선 형상 기어부는 스퀴지 캐리어가 주행 방향을 전환시킬 때의 충격을 경감시키기 위해, 양 단부가 탄성체를 개재하여 플랫 스크린 날염 장치 본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니언은 랙과의 맞물림을 원활하게 하는 관점으로부터 결치 피니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퀴지 캐리어 및 랙은 각각 자석을 갖고 있고, 랙이 이동 방향의 각 단부에 있어서 상기 랙측 자석 및 스퀴지 캐리어측 자석이 서로 끌어당기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랙의 정지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플랫 스크린 날염 장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스퀴지 승강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효율적으로 스퀴지를 승강시킬 수 있는 스퀴지 승강 기구 및 이것을 구비한 플랫 스크린 날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플랫 스크린 날염 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퀴지 캐리어가 좌측으로 주행하는 상태에 있어서의 도 1의 A-A에서 본 도면.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퀴지 캐리어가 우측으로 주행하는 상태에 있어서의 도 1의 A-A에서 본 도면.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퀴지 캐리어가 좌측으로 주행하는 상태에 있어서의 도 1의 A-A에서 본 도면으로, 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부의 부재를 생략한 도면.
도 5는 도 4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도 4의 D-D선 단면도.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퀴지 캐리어가 단부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의 도 1의 A-A에서 본 도면으로, 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부의 부재를 생략한 도면.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퀴지 캐리어가 우측으로 주행하는 상태에 있어서의 도 1의 A-A에서 본 도면으로, 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부의 부재를 생략한 도면.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퀴지 캐리어가 좌측으로 주행하는 상태에 있어서의 도 1의 A-A에서 본 도면으로, 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캠 팔로워와 승강 부재의 관계를 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랙을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캠 팔로워를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퀴지 캐리어가 우측으로 주행하는 상태에 있어서의 도 1의 A-A에서 본 도면으로, 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캠 팔로워와 승강 부재의 관계를 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14는 스퀴지 캐리어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스퀴지 승강 기구 및 이것을 구비한 플랫 스크린 날염 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랫 스크린 날염 장치(1)는 직물(피날염물)(C) 등을 반송하기 위한 엔드리스 벨트(2)와, 스크린(3)과, 날염 유닛(4)을 주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스크린(3)이나 날염 유닛(4)은 엔드리스 벨트(2)를 따라서 복수 설치되어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1개만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엔드리스 벨트(2)는 도 1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직물(C)을 간헐적으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엔드리스 벨트(2)는 플랫 스크린 날염 장치(1)의 양 단부에 설치된 구동 롤러(도시 생략)에 의해 구동되고 있다. 엔드리스 벨트(2)는 직물(C)을 적재하는 표면이 점착성을 갖고 있으므로, 직물(C)이 벨트(2) 상을 미끄럼 이동하는 경우가 없다.
날염 유닛(4)은 직물(C)의 폭 방향(도 1의 상하 방향)에 걸쳐서 연장되는 2개의 가이드 프레임(5)과, 이 가이드 프레임(5)을 따라서 주행하는 2개의 스퀴지 캐리어(6)와, 2개의 스퀴지 캐리어(6) 사이에 걸쳐서 연장되는 2개의 스퀴지(7)를 주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스퀴지 캐리어(6)는 스크린(3)을 사이에 두도록 스크린(3)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스퀴지 캐리어(6)는 가이드 프레임(5)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스퀴지 캐리어(6)는 상면 및 하면에 슬라이드 슈(61)를 갖고 있고, 이 슬라이드 슈(61)가 가이드 프레임(5)의 레일부(51) 상을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5 및 도 7 참조). 또한, 스퀴지 캐리어(6)는 구동 벨트(8)에 의해 가이드 프레임(5)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 구동 벨트(8)는 구동 모터(9)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축(10)의 양 단부에 설치된 구동 풀리(11)에 의해 구동되고 있다.
이 날염 유닛(4)은 2개의 스퀴지(7) 사이에 염료를 투입한 상태에서 스퀴지(7)를 직물(C)의 폭 방향을 따라서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직물(C)을 날염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퀴지 캐리어(6)가 좌측으로 주행할 때에는, 진행 방향 전방측(좌측)에 위치하는 제2 스퀴지(7b)가 스크린(3)으로부터 소정 거리 간격을 두도록 상승되어 있고, 진행 방향 후방측(우측)에 위치하는 제1 스퀴지(7a)는 스크린(3)에 접촉하여 만곡되도록 하강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퀴지 캐리어(6)가 우측으로 주행할 때에는, 제1 스퀴지(7a)가 상승하고 제2 스퀴지(7b)가 하강한다. 이와 같이, 직물(C)의 날염 중, 각 스퀴지(7)는 상승 및 하강을 차례로 반복한다.
이 스퀴지(7)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기구인 스퀴지(7)의 승강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밍 벨트(12)(본 발명의 직선 형상 기어부에 상당)가 각 가이드 프레임(5)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타이밍 벨트(12)는 그 양 단부가 가이드 프레임(5)에 연결되어 있고, 이 타이밍 벨트(12)의 각 단부와 가이드 프레임(5) 사이에 인장 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개재시켜도 좋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결치 피니언(15)과 랙(17)의 맞물림이 원활해진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퀴지 캐리어(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2개의 풀리(13)는 상기 타이밍 벨트(12)와 맞물려 있다. 또한, 도 4 및 도 6의 우측의 풀리(13)를 제1 풀리(13a), 좌측의 풀리(13)를 제2 풀리(13b)로 한다. 이들 각 풀리(13)는, 사이에 일방향 클러치(14)를 통해 결치 피니언(15)과 연결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퀴지 캐리어(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16)에 대해 일방향 클러치(14)와 결치 피니언(15)이 고정되어 있고, 이 일방향 클러치(14)에 풀리(13)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일방향 클러치(14)나 결치 피니언(15)도, 도 4 및 도 6의 우측에 위치하는 것을 제1 일방향 클러치(14a) 및 제1 결치 피니언(15a)으로 하고, 도 4의 좌측에 위치하는 것을 제2 일방향 클러치(14b) 및 제2 결치 피니언(15b)으로 한다.
제1 일방향 클러치(14a)는 제1 풀리(13a)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풀리(13a)와 결합하여 그 회전을 회전축(16)을 통해 제1 결치 피니언(15a)으로 전달한다. 한편, 제1 풀리(13a)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일방향 클러치(14a)는 제1 풀리(13a)와 결합하지 않고, 제1 풀리(13a)는 제1 일방향 클러치(14a)에 대해 자유 회전으로 되어, 그 회전은 제1 결치 피니언(15a)에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이것과는 반대로, 제2 일방향 클러치(14b)는 제2 풀리(13b)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풀리(13b)와 결합하여 그 회전을 제2 결치 피니언(15b)에 전달하지만, 제2 풀리(13b)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일방향 클러치(14b)는 제2 풀리(13b)와 결합하지 않으므로 그 회전은 자유 회전으로 되어 제2 결치 피니언(15b)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이들 각 결치 피니언(15)과 맞물리는 랙(17)이 스퀴지 캐리어(6)에 지지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랙(17)은 직물(C)의 폭 방향(도 4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스퀴지 캐리어(6)에 형성된 가이드부(62)에 의해 양 단부가 지지되어 있다. 또한, 랙(17)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면에 있어서 치부(171)가 2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우측에 있는 제1 치부(171a)가 제1 결치 피니언(15a)과 맞물리고, 좌측에 있는 제2 치부(171b)가 제2 결치 피니언(15b)과 맞물린다. 이들 양 치부(171)를 사이에 끼우도록 외측에 제1 결치부(172a) 및 제2 결치부(17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치부(172)는 결치 피니언(15)과 접촉하는 경우가 없도록 오목부로 되어 있다.
또한, 랙(17)은 우측 단부에 제1 자석(173a), 좌측 단부에 제2 자석(173b)을 갖고 있고,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좌측 단부까지 이동했을 때에는, 제2 자석(173b)이 스퀴지 캐리어(6)에 지지된 자석(63b)과 서로 끌어당김으로써, 랙(17)을 안정적으로 그 위치에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했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제1 자석(173a)이 스퀴지 캐리어(6)에 지지된 자석(63a)과 서로 끌어당겨, 랙(17)을 그 위치에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랙(17)은 그 양 치부(171a, 171b) 사이의 중앙부에 캠(174)이 형성되어 있고(도 7도 더불어 참조), 이 캠(174)이, 후술하는 캠 팔로워(18)(본 발명의 회전 부재에 상당)를 회전시킨다.
캠 팔로워(18)는 각 풀리(13a, 13b) 사이에 있어서 스퀴지 캐리어(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팔로워(18)는 스퀴지 캐리어(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19)에 고정되어 있다. 이 회전축(19)은 선단에 피니언(20)을 갖고 있고, 캠 팔로워(18)가 회전함으로써 피니언(20)도 연동하여 회전한다. 또한, 베어링(21)을 통해 풀리(22)가 회전축(19)에 대해 자유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팔로워(18)는 다리부(181)를 2개 갖고 있고, 이 다리부(181) 사이에 있어서, 랙(17)에 형성된 캠(174)을 수용하는 오목부(182)를 획정하고 있다. 이 캠 팔로워(18)는, 중간 위치에 있어서는 오목부(182)에 캠(174)이 수용된다(도 8 참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퀴지 캐리어(6)가 좌측으로 주행할 때에는, 캠 팔로워(18)는 좌측의 다리부(181b)가 캠(174) 상에 위치하여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한 상태로 되어 있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퀴지 캐리어(6)가 우측으로 주행할 때에는, 캠 팔로워(18)는 우측의 다리부(181a)가 캠(174) 상에 위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6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니언(20)을 사이에 두도록, 제1 및 제2 승강 부재(23a, 23b)가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각 승강 부재(23)에는 피니언(20)과 맞물리는 치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피니언(2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승강 부재(23a)가 하강하고 제2 승강 부재(23b)가 상승한다. 또한, 피니언(2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승강 부재(23a)가 상승하고 제2 승강 부재(23b)가 하강한다. 그리고, 각 승강 부재(23)에는 브래킷 지지 부재(24)가 고정되어 있다.
각 승강 부재(23)에는 브래킷 지지 부재(24)가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이 브래킷 지지 부재(24)는 브래킷(25)을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브래킷(25)에는 스퀴지 홀더(26)가 설치되어 있다. 스퀴지 홀더(26)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하는 2개의 스퀴지 캐리어(6) 사이에 연장되어 있어, 스퀴지(7)를 보유 지지하고 있다. 또한, 브래킷 지지 부재(24)는 높이 조정 노브(27)의 스크류부(271)와 나사 결합하고 있고, 높이 조정 노브(27)를 회전시킴으로써 브래킷 지지 부재(24)를 승강 부재(23)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스퀴지 캐리어(6)에는 각 결치 피니언의 근방에 영구 자석(6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영구 자석(64)이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결치 피니언(15)의 치와 서로 끌어당김으로써, 결치 피니언(15)의 회전 정지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치 피니언(15)의 회전 정지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결치 피니언(15)과 랙(17)의 치부(171)의 맞물림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플랫 스크린 날염 장치의 스퀴지 승강 기구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퀴지 캐리어(6)가 좌측으로 주행할 때에는, 각 풀리(13a, 13b)가 타이밍 벨트(12)와 맞물려 있으므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풀리(13a, 13b)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결치 피니언(15a)은 제1 풀리(13a)와 마찬가지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제2 결치 피니언(15b)은 일방향 클러치(14b) 때문에 제2 풀리(13b)의 회전이 전달되지 않아 풀리(13b)의 회전에 의한 회전은 없다.
제1 결치 피니언(15a)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랙(17)의 제1 치부(171a)가 제1 결치 피니언(15a)과 맞물려 있으므로, 랙(17)은 좌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랙(17)의 제1 결치부(172a)가 제1 결치 피니언(15a)과 대응하는 위치에 이르면 제1 결치 피니언(15a)은 제1 결치부(172a)와 맞물리지 않으므로 자유 회전으로 되어 랙(17)은 그 위치에서 정지한다. 또한, 이 위치에 있어서 제2 결치 피니언(15b)은 랙(17)의 제2 치부(171b)와 맞물려 있지만, 제2 결치 피니언(15b)은 제2 풀리(13b)에 의한 회전이 없으므로, 랙(17)은 그 이상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랙(17)은, 정지했을 때에 제2 자석(173b)이 스퀴지 캐리어(6)에 지지되어 있는 자석(63b)과 서로 끌어당기므로 그 정지 위치에서 유지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랙(17)이 좌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랙(17)에 설치된 캠(174)이 캠 팔로워(18)를 소정 각도만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캠 팔로워(18)는 좌측의 다리부(181b)가 캠(174) 상에 적재되므로, 그 각도의 상태에서 유지된다. 이 캠 팔로워(18)가 회전하면 회전축(19)이 마찬가지로 회전함으로써 회전축(19)의 선단에 설치된 피니언(20)도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한다. 이에 의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승강 부재(23a)가 하강하고, 그 결과, 제1 스퀴지(7a)가 하강하여 스크린(3)에 눌려져 만곡된 상태로 된다. 또한, 제2 스퀴지(7b)는 제2 승강 부재(23b)가 피니언(20)의 회전에 의해 상승하는 것에 수반하는 스크린(3)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승한다.
스퀴지 캐리어(6)는 이 상태를 유지한 채 좌측 단부까지 주행하면, 다음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주행을 시작한다. 우측으로 주행함으로써, 각 부재가 상술한 것과는 반대 방향으로 작동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스퀴지 캐리어(6)가 우측으로 주행함으로써 각 풀리(13a, 13b)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풀리(13a, 13b)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은 제2 결치 피니언(15b)에만 전달되고, 제2 결치 피니언(15b)의 회전에 의해 랙(17)은 우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랙(17)에 있어서의 제2 결치부(172b)가 제2 결치 피니언(15b)과 대응하는 위치까지 도달하면 랙(17)은 정지한다. 또한, 이때 제1 결치 피니언(15a)은 랙(17)의 제1 치부(171a)와 맞물려 있지만 제1 결치 피니언(15a)에는 제1 풀리(13a)로부터의 회전이 전달되어 있지 않으므로, 랙(17)은 더 이상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랙(17)은 정지했을 때에 제1 자석(173a)이 스퀴지 캐리어(6)에 지지되는 자석(63a)과 서로 끌어당김으로써 안정된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랙(17)이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랙(17)의 캠(174)과 결합하는 캠 팔로워(18)는 소정 각도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캠 팔로워(18)는 우측의 다리부(181a)가 캠(174) 상에 적재되어 있음으로써 그 회전 각도가 유지되어 있다. 이 캠 팔로워(18)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피니언(20)도 마찬가지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승강 부재(23a)가 상승하고, 제2 승강 부재(23b)가 하강한다. 이 결과, 제1 스퀴지(7a)가 상승하고, 제2 스퀴지(7b)가 하강하여, 스퀴지 캐리어(6)가 좌측으로 주행할 때와는 반대의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스퀴지 캐리어(6)가 우측 단부까지 주행하면, 다시, 상술한 바와 같이 스퀴지 캐리어(6)는 좌측으로 주행한다. 이상의 사이클을 반복하여 직물(C)의 날염을 행한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플랫 스크린 날염 장치에 따르면, 새롭게 구동원을 설치하지 않고 스퀴지 캐리어(6)를 주행시킴으로써 스퀴지(7)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직선 형상 기어부로서 타이밍 벨트(12)를 채용하였지만, 타이밍 벨트(12) 대신에, 랙을 채용하거나, 가이드 프레임(5)에 직접 치부를 형성해도 좋고, 각 풀리(13a, 13b)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캠(174)은 상술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랙(17)의 상면에 형성된 볼록부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캠 팔로워(18)도 상술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타원형이나 계란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스퀴지 캐리어(6)에는 각 결치 피니언(15)의 근방에 영구 자석(64)이 하나씩 설치되어 있을 뿐이었지만, 보다 확실하게 결치 피니언(15)의 회전 정지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결치 피니언(15)의 근방에, 영구 자석(64)을 2개씩 설치할 수도 있고, 또한, 3개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각 결치 피니언(15)에 2개씩 영구 자석(64)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결치 피니언(15)의 상방 및 측방에 하나씩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플랫 스크린 날염 장치
6 : 스퀴지 캐리어
7 : 스퀴지
12 : 타이밍 벨트(직선 형상 기어부)
13 : 풀리
14 : 일방향 클러치
15 : 결치 피니언
17 : 랙
171 : 치부
172 : 결치부
18 : 캠 팔로워(회전 부재)
23 : 승강 부재
C : 직물(피날염물)

Claims (7)

  1. 피날염물을 날염하는 플랫 스크린 날염 장치에 있어서의 스퀴지의 승강 기구이며,
    상기 피날염물의 상방에서 왕복 이동하는 스퀴지 캐리어와,
    상기 스퀴지 캐리어의 왕복 이동 방향에 따라서 설치된 치를 갖는 직선 형상 기어부와,
    상기 스퀴지 캐리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직선 형상 기어부의 치와 맞물리는 풀리와,
    상기 스퀴지 캐리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및 제2 스퀴지와,
    상기 스퀴지 캐리어에 설치되어, 상기 풀리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스퀴지로 전달하는 전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달 수단은 상기 스퀴지 캐리어가 제1 방향으로 주행할 때 상기 제1 스퀴지를 상승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2 스퀴지를 하강시키고, 상기 스퀴지 캐리어가 제2 방향으로 주행할 때 상기 제1 스퀴지를 하강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2 스퀴지를 상승시키고,
    상기 풀리는 2개이고,
    상기 전달 수단은,
    상기 각 풀리에 일방향 클러치를 통해 접속된 2개의 피니언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상기 스퀴지 캐리어에 설치되어, 상기 각 피니언과 맞물리는 2개의 치부(齒部) 및 상기 2개의 치부를 사이에 끼우도록 형성된 2개의 결치부(缺齒部)를 갖는 랙과,
    상기 랙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의 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해 하강하고,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승하는, 제1 스퀴지를 지지하는 제1 승강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의 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승하고,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해 하강하는, 제2 스퀴지를 지지하는 제2 승강 부재를 갖고,
    상기 한쪽의 일방향 클러치는 상기 풀리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풀리의 회전을 상기 피니언에 전달하고, 상기 다른 쪽의 일방향 클러치는 상기 풀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풀리의 회전을 상기 피니언에 전달하고,
    상기 직선 형상 기어부는 상기 랙과 상기 피니언의 맞물림이 원활해지도록 양 단부가 탄성체를 개재하여 상기 플랫 스크린 날염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 벨트가 구동됨으로써 상기 스퀴지 캐리어가 이동하고, 스퀴지 캐리어의 이동에 의해 상기 풀리가 회전하고, 풀리의 회전과 함께 피니언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랙이 이동하고, 랙의 이동에 따라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하여 제1 승강 부재 및 제2 승강 부재를 승강시키는, 스퀴지 승강 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 부재는 캠 팔로워인, 스퀴지 승강 기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은 결치 피니언인, 스퀴지 승강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퀴지 캐리어 및 상기 랙은 각각 자석을 갖고 있고,
    상기 랙이 이동 방향의 각 단부에 있어서 상기 랙측 자석 및 스퀴지 캐리어측 자석이 서로 끌어당기는, 스퀴지 승강 기구.
  7. 제1항, 제3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퀴지 승강 기구를 구비한, 플랫 스크린 날염 장치.
KR20110026644A 2010-03-26 2011-03-25 스퀴지 승강 기구 및 플랫 스크린 날염 장치 KR1014905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72760A JP5553656B2 (ja) 2010-03-26 2010-03-26 スキージ昇降機構、及びフラットスクリーン捺染装置
JPJP-P-2010-072760 2010-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295A KR20110108295A (ko) 2011-10-05
KR101490544B1 true KR101490544B1 (ko) 2015-02-05

Family

ID=44878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26644A KR101490544B1 (ko) 2010-03-26 2011-03-25 스퀴지 승강 기구 및 플랫 스크린 날염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553656B2 (ko)
KR (1) KR101490544B1 (ko)
CN (1) CN1022411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32693A (zh) * 2012-04-17 2012-08-15 湖州惠盛机械有限公司 一种平板印花机刮刀驱动装置
CN104943345B (zh) * 2015-06-25 2017-05-10 东莞市鸿程机械有限公司 走台硅胶丝印机自动刮刀旋转机构
JP6490525B2 (ja) * 2015-07-21 2019-03-27 東伸工業株式会社 自動スクリーン捺染装置
CN108463349A (zh) * 2015-11-12 2018-08-28 韩华新能源(马来西亚)私人有限公司 具有两个印刷片的用于沿着向前的和向后的方向在目标基片的上表面上产生至少一个网格线的印刷头
CN107215085B (zh) * 2017-07-13 2022-10-14 宁波天弘电力器具有限公司 一种高精度跑台印花机
CN107187180B (zh) * 2017-07-13 2022-10-14 宁波天弘电力器具有限公司 一种高精度跑台印花机的印刷部件
CN115055104B (zh) * 2022-08-19 2022-11-22 阳信鑫瑞染织有限公司 一种印染用印染混料桶清洁机
CN116100935B (zh) * 2023-04-10 2023-06-16 莱阳银通纸业有限公司 一种具有识别功能的高效丝网印刷机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43486U (ko) * 1976-04-19 1977-10-31
US4063503A (en) * 1976-06-14 1977-12-20 Shiro Ichinose Automatic screen printing machine
JPS5938112B2 (ja) * 1980-03-03 1984-09-13 東伸工業株式会社 自動スクリ−ン捺染機におけるスケ−ジ装置
JPS6044348A (ja) * 1983-08-23 1985-03-09 Tokai Shoji Kk スクリ−ン印刷機におけるスキ−ジ,ドクタ−の上下動反転駆動装置
KR910006018B1 (ko) * 1986-03-19 1991-08-09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피막용 합금
JPH0818424B2 (ja) * 1991-08-08 1996-02-28 東伸工業株式会社 自動スクリーン捺染機におけるスキージ圧力の調節設定装置
JP2936466B2 (ja) * 1995-09-07 1999-08-23 東伸工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スクリーン捺染機におけるスクリーン剥離装置
CN200942623Y (zh) * 2006-08-15 2007-09-05 沈学斌 丝印机刮墨、回墨结构
KR100930638B1 (ko) * 2007-11-08 2009-12-09 도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자동 스크린 날염기에 있어서의 스퀴지압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53656B2 (ja) 2014-07-16
CN102241186B (zh) 2014-06-18
KR20110108295A (ko) 2011-10-05
JP2011201250A (ja) 2011-10-13
CN102241186A (zh) 201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0544B1 (ko) 스퀴지 승강 기구 및 플랫 스크린 날염 장치
CN103183213A (zh) 一种自动循环输送机
CN108820691A (zh) 一种滚筒线上纸箱定位装置
KR102473563B1 (ko) 자동 스크린 나염장치
KR101221355B1 (ko) 스크린 나염기용 스퀴지 승강장치
US3078792A (en) Screen stencil printing machine
CN109095086B (zh) 一种用于全自动配药设备的配液输送系统及输送方法
CN103042692B (zh) 一种塑料焊接机发热源的输送装置
CN108296729B (zh) 一种输送机
WO2007058076A1 (ja) ノズルピッチ可変型多連ノズルユニット
CN105690989A (zh) 一种棒香烫金装置
JP4516696B2 (ja) 間欠駆動コンベヤ
JP2010046706A (ja) ワーク搬送装置
JP2011251438A (ja) スキージ位置調整機構、及びフラットスクリーン捺染装置
KR101037100B1 (ko) 스크린 날염기용 스퀴지 승강장치
CN104155165B (zh) 一种医用载玻片推片装片器
KR101810363B1 (ko) 곡면 스크린 인쇄장치
CN213169814U (zh) 一种输送平台结构
US8052371B2 (en) Bag supply apparatus
US7217079B2 (en) Slide fork
KR20070038475A (ko) 래크 피니언 구동방식을 이용한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구비한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
KR101210953B1 (ko) 용지공급장치
CN201240096Y (zh) 双排印丝机的传动装置
DE50005667D1 (de) Hub-Schleppsaugergetriebe für Bogen verarbeitende Maschine
CN210026724U (zh) 打印装置和金融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