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770B1 - 배 추출물과 한약재 추출물을 배합한 항 비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배 추출물과 한약재 추출물을 배합한 항 비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770B1
KR101487770B1 KR20120069827A KR20120069827A KR101487770B1 KR 101487770 B1 KR101487770 B1 KR 101487770B1 KR 20120069827 A KR20120069827 A KR 20120069827A KR 20120069827 A KR20120069827 A KR 20120069827A KR 101487770 B1 KR101487770 B1 KR 101487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parts
taxa
p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69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2917A (ko
Inventor
나창수
김황곤
Original Assignee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20069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770B1/ko
Publication of KR20140002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6Prunus, e.g.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4Alismataceae (Water-plantain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 추출물과 한약재 추출물을 배합한 항 비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배와 길경의 추출물에 택사 등의 추출물을 배합하여 대사기능의 증진, 면역기능의 활성화 등을 도와주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길경 추출물과 택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 비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상기 배길경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택사 추출물 2 내지 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더하여 구기자 추출물 1 내지 3중량부를 더 포함하거나, 의이인 추출물 0.5 내지 2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배 추출물과 한약재 추출물을 배합한 항 비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ANTIOBESTIC COMPOSITION MIXED WITH EXTRACT OF PEAR AND MEDICINAL HERB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배 추출물과 한약재 추출물을 배합한 항 비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배와 길경의 추출물에 택사 등의 추출물을 배합하여 대사기능의 증진, 면역기능의 활성화 등을 도와주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에너지대사의 불균형으로 에너지 섭취가 에너지 소비보다 클 때 일어난다. 경제생산 활동의 증가와 식생활 문화의 변화로 몸속에 축적되는 칼로리의 양이 많아지는 반면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신체활동량은 오히려 감소하게 됨에 따라 비만의 유병율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또한, 비만은 미용상의 문제를 야기시킬 뿐 아니라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질환, 뇌졸중, 일부암 등을 유발함으로써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고, 비만의 증가는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어 비만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현재 알려져 있는 비만치료제(제니칼, 리덕틸, 엑소리제 등) 중 상당수는 심장질환, 호흡기질환, 신경계질환 등의 부작용과 함께 효능의 지속성이 낮다. 현재 비만치료제 개발 전략은 식사량 감소 유도, 열량흡수의 억제, 발열반응 촉진, 에너지 대사 조절, 신경계를 통한 신호전달조절과 같은 것들이다. 이러한 전략하에 비만 억제를 위한 시도가 계속되고 있으나 안전성과 효능을 동시에 갖는 것들이 많지 않다. 따라서 안전성이 입증된 천연물로부터 비만 치료 전략에 부합하는 성분을 찾는 것이 효과적인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배는 예로부터 한방의 중요 약재로 활용될 만큼 인체에 유익한 과일로 알려져 왔고, 본초강목, 동의보감 등에 의하면 배는 맛은 달고 차가우며, 무독하고, 즙을 내어 복용하면 효율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왔고 담, 가래, 기침, 해열, 진통, 배변과 이뇨 촉진(다이어트 효과), 숙취해소, 종기 등의 치료에 효능이 알려져 있고, 식품분야에서는 고기를 연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최근에는 항암제로서의 효과도 발표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생도라지(길경)과 배의 조합이 매우 잘 어울려 맛과 향이 배가됨에 착안하고, 또한 비만 방지 내지는 대사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한약재를 조합함으로써 배의 고유한 향과 맛도 살리면서 체중증가를 억제시키고 지질대사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조합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배와 길경을 추출물에 대사기능을 증진시키는 한약재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비만을 억제하고 대사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길경 추출물과 택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 비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배길경 추출물은 배 100중량부에 대하여 길경 5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으로 이를 분쇄 및 압착하여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길경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택사 추출물 2 내지 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더하여 구기자 추출물 1 내지 3중량부를 더 포함하거나, 의이인 추출물 0.5 내지 2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배길경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기 추출물 0.5 내지 2중량부, 의이인 추출물 0.5 내지 2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배 100중량부에 대하여 길경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를 분쇄 및 압착하여 배길경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물 1 L에 택사 100g을 넣어 약탕기에 전탕한 후 필터링하여 택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배길경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택사 추출물 2 내지 5 중량부를 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비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배합단계에서 상기 배길경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구기자 추출물 1 내지 3중량부 및 이의인 추출물 0.5 내지 2중량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배와 길경(생도라지)을 배합하여 배와 길경의 추출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배와 길경의 추출물을 배길경 추출물이라 하겠다. 길경은 배 100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10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6.25중량부 정도로 맞추어 사용하였다. 배의 식감과 도라지의 상큼한 식감을 동시에 발현시키기에 가장 적당한 배합비율이다. 재료를 세척하고 이를 압착 분쇄하고 잔사는 여별하여 즙액을 추출하고 이를 다시 93 내지 98℃에서 2 내지 4시간 정도 숙성시켜 잔사를 여별한 후 여과기를 거쳐 청정한 즙액을 얻을 수 있다. 또는 배추출물을 얻은 후, 여기에 길경을 넣고 93 내지 98℃에서 2 내지 4시간 정도 숙성시켜 잔사를 여별한 후 여과기를 거쳐 청정한 즙액을 얻을 수도 있다.
한편, 택사(Alimatis Rhizoma)는 매우 강한 이뇨 작용을 가지고 있는데, 이렇게 이뇨를 촉진시켜서 신장의 모세혈관의 투과율을 높여주므로 혈압 강하 및 혈청지질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있다. 한방에서는 덩이뿌리를 말려 약재로 사용한다. 약성은 한(寒)하고 감(甘)하며, 이수(利水)·지사(止瀉)·지갈(止渴)의 효능이 있다. 소변불리(小便不利)·수종창만(水腫脹滿)·신장염·방광염·요도염·임신부종·각기·설사·번갈(煩渴)·당뇨·고혈압·지방·간 등의 증상에 사용한다.
구기자는 가시가 헛개나무(구: 枸)와 비슷하고 줄기는 버드나무(기: 杞)와 비슷하여 두글자를 합쳐서 枸杞(구기)라고 불렀다고 한다. 이 약은 냄새가 거의 없고 수렴성이며 약성은 약간 달고 차다. 약리작용으로 비특이성면역증강 작용, 조혈작용, 콜레스테롤강하작용, 항지방간작용, 혈압강하, 혈당강하, 생장촉진, 항암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그리고, 황기는 기를 보강해주는 주요 약초로서, 정장작용을 도와주며 필수 아미노산, 엽산 등이 풍부하여 체력을 보강해주며 신장기능을 활성화시켜 체중감량에 좋으며 의이인은 식욕을 억제하며 체내 노폐물 배출에 도움이 되고 피부미용에도 좋다.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체지방을 배출하는데도 효과가 있다.
한약재의 추출은 열수추출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물 1 L에 한약재 100g을 넣어 전탕하고 잔사를 여별한 후 추출액을 원심분리 후 다시 잔사를 여별하고 상층액을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현재까지 배길경 추출물과 택사의 배합을 통해, 체중증가의 억제, 식이 섭취량의 감소, 중성지방의 감소 등 복합적인 효과가 있음을 구체적으로 실험을 통해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지 않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의 효과를 실험적으로 보여준다. 바람직하게는 배길경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택사 2 내지 5중량부가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1중량부(농도로 환산하면 약 3%)정도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항 비만 조성물은 음료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식감과 기호도의 측면도 고려된 것이다.
체중증가의 억제에 택사 추출물이 가장 효과가 좋지만 구기자 추출물도 초기체중증가 억제 효과가 뛰어나며 지속적 유지능력도 뛰어난 편이다. 그리고 택사와 더불어 사용되는 경우 그 상승효과가 더욱 뛰어나다. 바람직하게는 배길경 추출물에 대하여 택사 2 내지 5중량부, 구기자 1 내지 3중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상승작용이 좋은 범위이다. 또한 구기자와 택사의 조합은 섭취 대비 체중증가율이 낮아서 실질적인 체중증가 억제 효과가 뛰어나다.
한편, 택사의 경우 HDL-콜레스테롤 농도가 높지 않아 지질대사와 관련하여서는 부족한 부분이 있으나, 이의인은 HDL-콜레스테롤의 농도를 상승시켜 지질대사를 활성화 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배길경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의인 추출물 0.5 내지 2 중량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지질대사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택사추출물의 경우 유리지방산의 유의한 감소를 보여주는데 택사 추출물이 포함된 제재가 중성지방을 에너지원으로 만드는 유리지방산에 반응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다시 말해, 택사와 이의인의 조합은 전반적인 혈청 지질변화에 바람직한 형태를 보여준다.
면역 및 염증 지표와 관련하여서는 인터루킨-1β함량변화의 경우 이의인 배합 투여군이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고, 이는 면역 및 염증에 관련된 림프구의 활성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사료되며, 황기의 경우에도 인터루킨-1β 및 인터루킨-6의 함량변화에 긍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황기는 대체적으로 아미노산, 엽산 등이 풍부하여 체력을 보강해주며 신장기능을 활성화시켜 주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염증 반응에도 상당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기력 보강 등의 이유로 황기등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배길경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기 0.5 내지 2 중량부의 함량이 좋다.
택사추출물과 구기자 추출물의 조합은 전반적으로 체중증가 억제의 효과가 뛰어나며, 택사 추출물과 이의인 추출물의 조합은 지질대사와 관련하여 효능이 좋을 뿐만 아니라 염증과 관련하여서도 효과가 좋다. 한편, 황기는 저장성의 향상에도 상당한 도움을 주고, 유리지방산과 관련한 수치도 나쁘지 않아 중성지방의 저하에도 상당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택사, 구기자, 이의인, 황기를 배길경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2 내지 5 중량부, 1 내지 3중량부, 0.5 내지 2중량부 및 0.5내지 2 중량부의 범위로 배합하여 사용하면 여러가지 수치를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배길경 추출물과 택사 추출물의 조합은 체중증가 억제효과가 뛰어나며 중성지방의 저하효과도 뛰어나다. 구기자 추출물의 추가는 체중증가 억제 효과를 더욱 상승시키며, 이의인 추출물의 추가 배합은 지질대사에 있어 상당한 긍정적 효과를 보여준다. 택사, 구기자, 이의인 및 황기의 조합은 전반적인 대사기능 및 면역기능 향상에 상당한 도움이 되어 실질적인 항 비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의 투여가 체중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실험 재료
실험동물
공시동물로서는 체중이 약 200 내지 210 g의 Sprague Dawley계의 백서(흰쥐)를 항온항습 환경의 사육장(실내온도 24~26 ℃, 습도 25~30%)내에서 12시간 간격으로 명암유지를 하였으며, 고형사료(Pellet, GMO, 한국)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면서 1주일 이상 실험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사료
비만유도는 9주동안 실시하였으며 비만유도를 위한 고지방식이는(Dyets. USA)의 구성은 단백질(17.7%), 지방(40.0%), 섬유질(5.0%), 회분(4.0%), 수분(3.3%), 탄수활물(31.4%)로 칼로리 구성은 단백질 0.732㎉/g, 지방 3.6㎉/g, 탄수화물 1.21㎉/g로 총 5.542㎉/g 이었다. 섭취량은 그룹별로 정해진 용량이 주어지도록 통제하였다.
실험약물
각 그룹의 비만 처치는 4주간 실시하였는데, 구기자, 의이인, 택사, 황기를 추출하여 배추출물에 첨가하여 총 4가지 약물을 투여하였으며 각 약물의 농도는 각 3%로 하여 적용하였으며, 컨트롤 그룹은 멸균수을 섭취시켰다.
조성약물은 의이인 (주) 한약사랑, 구기자 (주)옴니허브, 택사 두리약업사, 황기 광명당한약도매에서 각각 국산 약재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백서는 각 실험군에 고지방식이 사료를 자유 급이한 후 약물 처치를 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 group, n=4)과 약물을 투여한 집단(각 의이인, 구기자, 황기, 택사 3%를 배합한 집단, n=4)으로 군을 분류하였다.
대조군(Control group, CON) : 고지방식이 비만유발
실험군Ⅰ(Experimental group Ⅰ, Exp Ⅰ) : 고지방식이 비만유발 + 배길경추출액과 구기자 3% 배합 투여
실험군Ⅱ(Experimental group Ⅱ, Exp Ⅱ) : 고지방식이 비만유발 + 배길경추출액과 의이인 3 % 배합
실험군Ⅲ(Experimental group Ⅱ, Exp Ⅱ) : 고지방식이 비만유발 + 배길경추출액과 택사 3 % 배합
실험군Ⅳ(Experimental group Ⅲ, Exp Ⅲ) : 고지방식이 비만유발 + 배길경추출액과 황기 3% 배합
추가적으로 배길경추출액 95중량%, 택사 추출액 3중량%, 구기자 추출액 2중량%의 배합과, 배길경 추출액 93중량%, 택사추출액 3중량%, 구기자 추출액 2 중량%, 황기 추출액 1중량%, 의이인 추출액 1 중량%의 배합비율 등으로 약물을 투여하였다.
약물투여
약물은 자유식으로 구강투여하여, 고지방식이 사료를 자유급이한 후 5주 뒤에 시작하였다. Control군은 일반 증류수를 섭취시켰으며, 구기자, 의이인, 택사, 황기는 각 100g을 증류수 1L에 넣은후 약탕기로 초탕에서 2시간가량 다린후 whatman페이퍼를 활용하여 필터링한 액을 활용하였다. 시약은 각각의 사전에 준비된 구기자, 의이인, 택사, 황기의 액을 나주 배돌이 영농조합법인의 3배로 도라지 배즙에 3%의 농도로 조절하여 제조한후 하루에 각 군별로 1회씩 시약을 급수 시켰다. 하루 일회 투여량은 70ml로 자유급이 하였다.
측정방법
체중, 식이섭취량 식이효율 측정
체중 측정은 매주 각 집단별로 개체의 체중을 측정하였으며, 섭취량은 실험기간 5주 동안 주 2회 측정하였다. 식이효율(EF : Food Efficiency)은 실험기간 중의 총 사료 섭취량에 대한 체중의 증가량의 비로써 다음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EF(%)=[Body weight gain/ food intake]×100
지질대사 측정
Total cholesterol
Total cholesterol 은 Cholesterol-SL Kit(ELITech, France)를 사용하여 546nm파장에서 측정하였다.
HDL ( High density lipoprotein )- cholesterol
HDL-cholesterol은 HDL-C-SL Kit(ELITech, France)를 사용하여 546nm파장에서 측정하였다.
LDL ( Low density lipoprotein )- cholesterol
LDL-cholesterol(Direct)은 LDL-cholesterol Kit(Daichi, Japan)을 사용하여 700nm 파장에서 측정하였다.
Triglyceride
Triglyceride는 Triglyceride-SL Kit(ELITech, France)를 사용하여 505nm파장에서 측정하였다.
Free fatty acid
Free fatty acid는 Sicdia nefazyme Kit(영연 화학, 한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액 및 혈청학적 검사
채혈에 의하여 얻어진 혈액 중 약 100μl를 EDTA-bottle에 넣은 후 곧바로 Multispecies Hematology Analyser(950, Hemavet, USA)에 주입하여 WBC, RBC, HGB, HCT를 측정하였다. 나머지 혈액은 고속원심분리기(Centricon T-42K, Italy)에서 3,500rpm으로 20분간 시행하여 혈청을 분리하였으며, 혈청 분석으로는 AST와 ALT를 측정하였다.
TNF -α 측정
TNF-α 측정은 Rat TNF-α(Invitrogen,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Rat TNF-α 가 coating된 microplate에 Rat TNF-α standard, serum, control 100ul를 첨가하고 plate cover로 tapping한 후에 1분간 mixing하고 실온에 2시간 방치하였다. Washing solution 400 ul로 4회 washing 후 Rt TNF-α Biontin Conjugate 100 ul를 첨가하고 plate cover를 덮고 실온에 1시간 방치하였다. Washing solution 400 ul로 4회 washing 후 Streptavidin-HRP Working solution 100 ul를 첨가하고 plate cover를 덮고 실온에 30분간 방치하였다. Washing solution 400 ul로 4회 washing 후 Stabilized Chromogen 100 ul를 첨가하고 plate cover를 덮고 실온(dark상태) 30분간 방치하였다. Stop solution 100 ul를 plate에 넣고 발색반응을 중지시킨 후 Spectramax(M2, Molecular Devices, USA)로 450 ㎚에서 OD(Optical density)를 측정하였다. Standard Curve를 만들어 sample의 TNF-α 양을 assay하였다.
IL -1β 측정
IL-1β 측정은 Rat IL-1β(Invitrogen,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Rat IL-1β 가 coating된 microplate에 Rat IL-1β standard 100 ul, serum, control 50 ul에 Standard Dilulent Buffer 50 ul를 첨가하고 plate cover로 tapping한 후에 1분간 mixing하고 실온에 3시간 방치하였다. Washing solution 400 ul로 4회 washing 후 Rt Biotinylated anti IL-1β 100 ul를 첨가하고 plate cover를 덮고 실온에 1시간 방치하였다. Washing solution 400 ul로 4회 washing 후 Streptavidin-HRP Working solution 100 ul를 첨가하고 plate cover를 덮고 실온에 30분간 방치하였다. Washing solution 400 ul로 4회 washing 후 Stabilized Chromogen 100 ul를 첨가하고 plate cover를 덮고 실온(dark상태) 30분간 방치하였다. Stop solution 100 ul를 plate에 넣고 발색반응을 중지시킨 후 Spectramax(M2, Molecular Devices, USA)로 450 ㎚에서 OD(Optical density)를 측정하였다. Standard Curve를 만들어 sample의 IL-1β 양을 assay하였다.
IL -6 측정
IL-6의 분비를 유도하기 위하여 100ng/ml Lipo-polysaccharide(LPS)를 카드뮴, 아연과 함께 처치하고 세포배양 6시간 후 세포배양액의 상층액을 모아서 Interleukin-6[(h)IL-6] human, ELISA system(Amersham Life Science, England)을 이용하여 IL-6의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IL-6 측정방법은 IL-6에 대한 항체가 코팅된 microtitre plate에 biotinylated antibody 50㎕를 넣은 다음 약물처리한 세포배양 상층액을 50㎕넣은 후 실온에서 2시간 방치한 다음 세척하였다. 그 다음 streptavidine-HRP 용액을 100㎕을 넣고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다음 TMB substratedyddor 100㎕를 추가하여 반응시킨 후 정지용액을 넣고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표준곡선을 작성하여 IL-6의 농도를 산출하였으며 세 번 반복실험을 실시하였다.
통계 분석
통계학적 분석은 SPSS 12.0 ver. for windows를 사용하였다. 관절염 유발 후 용량별 투여에 따른 각 군간의 통계학적 분석은 ANOVA test를 시행하였고, 측정 시기에 따른 차이를 검정하기 위하여 paired t-test를 시행하였다. 실험의 분석에서 유의수준은 p<0.05로 설정하여 검정하였다.
실험결과
체중변화에 미치는 영향
배길경추출물에 구기자, 의이인, 택사, 황기 배합 투여가 체중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은 1주째 20.3±1.1 g/week, 2주째 38.6±2.8 g/week, 3주째 48.7±3.9 g/week, 4주째 68.1±5.9 g/week의 변화 추이를 나타내었으며, 대조군에 비하여 택사배합투여군의 1주째와 2주째, 4주째에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고, 황기배합투여군의 1주째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구기자배합투여군과 의이인배합투여군도 실험기간동안 유의성은 없었으나 감소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를 도 1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51706219-pat00001
증체량 , 식이섭취량 , 식이효율에 미치는 영향
배길경추출물에 구기자, 의이인, 택사, 황기 배합 투여가 증체량, 식이섭취량, 식이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증체량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택사배합투여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고, 식이섭취량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구기자배합투여군과 택사배합투여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고, 식이효율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구기자배합투여군과 택사배합투여군에서 유의성은 없었으나 감소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51706219-pat00002
혈청 지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배길경추출물에 구기자, 의이인, 택사, 황기 배합 투여가 혈청 지질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total cholesterol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의이인배합투여군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고, HDL-cholesterol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의이인배합투여군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고, LDL-cholesterol 및 triglyceride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free fatty acid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택사배합투여군이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51706219-pat00003
Tumor Necrosis Factor -α( TNF -α), Interleukin -1β( IL -1β), Interleukin -6( IL -6) 함량변화에 미치는 영향
배길경추출물에 구기자, 의이인, 택사, 황기 배합 투여가 혈청 TNF-α, IL-1β, IL-6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TNF-α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각 실험군은 비슷한 수치를 보였으며, IL-1β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의이인배합투여군이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고, 택사배합투여군과 황기배합투여군은 유의성은 없었으나 감소의 경향을 보였으며, IL-6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각 실험군은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구기자배합투여군은 증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51706219-pat00004
기타
배길경추출물과 택사 추출물에 구기자의 조합, 또는 이의인의 조합, 또는 황기의 추가 조합 등의 결과, 전반적인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Claims (8)

  1. 배 100중량부에 대하여 길경 5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으로 이를 분쇄 및 압착하여 배길경 추출물을 제조하고, 배길경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택사 추출물 2 내지 5 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비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택사 추출물은 배길경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1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비만 조성물.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배길경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구기자 추출물 1 내지 3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비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배길경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의이인 추출물 0.5 내지 2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비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배길경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구기자 추출물 1 내지 3중량부, 황기 추출물 0.5 내지 2중량부, 의이인 추출물 0.5 내지 2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비만 조성물.
  7. 배 100중량부에 대하여 길경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를 분쇄 및 압착하여 배길경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물 1 L에 택사 100g을 넣어 약탕기에 전탕한 후 필터링하여 택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배길경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택사 추출물 2 내지 5 중량부를 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비만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단계에서 상기 배길경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구기자 추출물 1 내지 3중량부 및 의이인 추출물 0.5 내지 2중량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기자 추출물 내지 의이인 추출물은 물 1 L에 구기자 내지 의이인 100g을 넣어 약탕기에 전탕한 후 필터링하여 구기자 내지 의이인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비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20069827A 2012-06-28 2012-06-28 배 추출물과 한약재 추출물을 배합한 항 비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87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9827A KR101487770B1 (ko) 2012-06-28 2012-06-28 배 추출물과 한약재 추출물을 배합한 항 비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9827A KR101487770B1 (ko) 2012-06-28 2012-06-28 배 추출물과 한약재 추출물을 배합한 항 비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917A KR20140002917A (ko) 2014-01-09
KR101487770B1 true KR101487770B1 (ko) 2015-01-30

Family

ID=50139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69827A KR101487770B1 (ko) 2012-06-28 2012-06-28 배 추출물과 한약재 추출물을 배합한 항 비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7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928B1 (ko) * 2018-10-31 2020-04-08 강산농원영농조합법인 도라지 및 배 혼합액을 이용한 미세먼지 대응을 위한 면역 증진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563A (ko) * 2003-03-19 2004-09-30 한국 한의학 연구원 비만 및 성인병 치료용 조성물
KR100948281B1 (ko) * 2009-10-09 2010-03-18 임세규 식물생약제를 이용한 추출물로된 다이어트용 식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563A (ko) * 2003-03-19 2004-09-30 한국 한의학 연구원 비만 및 성인병 치료용 조성물
KR100948281B1 (ko) * 2009-10-09 2010-03-18 임세규 식물생약제를 이용한 추출물로된 다이어트용 식품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917A (ko) 201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06860B (zh) 预防和治疗糖尿病的组合物、其制备方法及应用
CN102813064B (zh) 乳仔猪用植物提取物饲料添加剂
CN103999910B (zh) 一种雪菊酥性饼干及其生产方法
CN104189035A (zh) 一种具有提高机体免疫力功能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CN101181539A (zh) 一种中药组合物的新应用
CN103300367B (zh) 一种具有降脂功能的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747481B1 (ko) 기능성 건빵 및 그 제조방법
KR101270736B1 (ko) 한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양증 개선용 조성물
CN103238841A (zh) 一种含玛咖、雪莲培养物的食品组合物及应用
KR101487770B1 (ko) 배 추출물과 한약재 추출물을 배합한 항 비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52630B1 (ko) 어린이 및 청소년 성장 발육에 도움을 주는 조성물
CN102688471A (zh) 一种具有抗疲劳作用的复方制剂
CN100345566C (zh) 一种用于减肥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6387451A (zh) 一种促进断奶羔羊生长发育的中药添加剂及其饲料
KR100670850B1 (ko) 진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피부 질환치료제
KR20060102621A (ko)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피부 질환치료제
CN102326813A (zh) 白花丹参功能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303306B1 (ko) 으름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230014156A (ko)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50078613A (ko) 침향 및 해양심층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알러지용 조성물
KR102208665B1 (ko) 산사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1332824B1 (ko)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60007076A (ko) 아토피 피부염, 여드름, 건선, 로사시아, 지루성 피부염 등의 피부질환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는, 항염증 및 면역조절 효과를 보유한 천연추출물제제 bsasm
CN101810795B (zh) 防止环境污染物伤害的中药提取物的组合物及制法和用途
RU2358562C1 (ru) Концентрат растительный для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напитка &#34;казан-бионан-3&#34;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