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276B1 - 버킷 휠 장치 - Google Patents

버킷 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276B1
KR101485276B1 KR1020137007974A KR20137007974A KR101485276B1 KR 101485276 B1 KR101485276 B1 KR 101485276B1 KR 1020137007974 A KR1020137007974 A KR 1020137007974A KR 20137007974 A KR20137007974 A KR 20137007974A KR 101485276 B1 KR101485276 B1 KR 101485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ucket wheel
disposed
prime mover
outpu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7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9779A (ko
Inventor
타카시 나카노
츠요시 카모노
Original Assignee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filed Critical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69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9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1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wheels turning round an axis, e.g. bucket-type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1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wheels turning round an axis, e.g. bucket-type wheels
    • E02F3/181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wheels turning round an axis, e.g. bucket-type wheels including a convey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1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wheels turning round an axis, e.g. bucket-type wheels
    • E02F3/22Component parts
    • E02F3/24Digging wheels; Digging elements of wheels; Drives for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1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wheels turning round an axis, e.g. bucket-type wheels
    • E02F3/22Component parts
    • E02F3/24Digging wheels; Digging elements of wheels; Drives for wheels
    • E02F3/246Digging wheels; Digging elements of wheels; Drives for wheel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47/00Machines for obtaining or the removal of materials in open-pit mines
    • E21C47/02Machines for obtaining or the removal of materials in open-pit mines for coal, brown coal, or the like

Abstract

점검(overhaul)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단기간에 제조할 수 있고, 또한, 값싸게 공급할 수 있는 버킷 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회전축(3a)에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암(3b)의 각 선단에 버킷(3c)이 배치되고, 그 회전축(3a)이 감속 장치(1)를 통하여 원동기(2)에 의해 구동되고, 리클레이머(50) 등의 장치의 불출 장치로서 사용되는 버킷 휠 장치(A)이며, 상기 회전축(3a)의 반대 감속 장치 측의 일단이 프레임에 회전 자유롭게 외팔보식으로 지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회전축(3a)의 타단이 커플링 장치(4)를 통하여 감속 장치(1)의 출력축(1b)과 연결되고, 그 감속 장치(1)의 입력축(1a)에는 원동기(2)의 출력축(2a)이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버킷 휠 장치{BUCKET-WHEEL DEVICE}
본 발명은 석탄이나 철광석 등 이른바 「벌크(bulk) 」를 스톡 야드(stock yard)나 선창 등으로부터 불출하기 위하여, 「리클레이머(reclaimer)」나 「스태커·리클레이머(stacker·reclaimer)」나 「언로더(unloader)」등 불출 장치(긁어냄 장치)로서 사용되는 버킷 휠 장치(bucket wheel device)에 관한 것이다.
리클레이머나 스태커·리클레이머는 종래부터 스톡 야드에서부터 산적된 벌크를 소정의 장소로 불출할 때 등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언로더는 선박에 적재된 벌크를 선창에서부터 스톡 야드 등으로 불출할 때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클레이머, 스태커·리클레이머나 언로더에는 퇴적한 벌크를 긁어내는 「불출 장치」로서 「버킷 휠 장치」가 붐(boom) 선단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버킷 휠 장치에서는 전기 모터나 유압 모터 등의 원동기로부터 감속 장치를 통하여 버킷 휠 본체의 회전축에 동력이 전달되고, 그 버킷 휠 본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버킷 휠 장치는 처음에 상기 스태커·리클레이머 등의 붐 선단에 원동기의 출력축으로부터 붐의 길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감속 장치의 입력축에 동력이 전달되고, 이러한 감속 장치 내에서 베벨 기어 유닛(bevel gear unit)을 통하여 회전축의 방향이 직각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다단으로 배치된 감속 기어 쌍을 통하여 소정의 감속비를 얻고, 상기 붐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그 감속 장치의 출력축으로부터, 커플링(coupling) 장치를 통하여 상기 버킷 휠 본체를 지탱하는 회전축에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특허문헌1 참조).
이 때문에, 붐의 선단 부분의 폭방향 치수가 커지고, 그 결과, 붐의 선단부가 중량적으로 무거워지고, 이 때문에 상기 스태커·리클레이머 등의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를 크게 하는 것이 불가피하게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최근 도 7,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버킷 휠 장치(100A)의 감속 장치(101)로서, 유성 기어(planetary gear) 감속 기구를 사용한 상기 감속 장치(101)를 사용함과 동시에 그 원통형의 외주벽(101a) 자체를 출력축으로 하고, 그 출력축을 버킷 휠 본체(103)의 회전축(103a)으로서 겸용하고, 그 원통형의 외주벽(101a)에 복수의 붐(103b)을 방사형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각 붐(103b)의 선단에 버킷(103c)을 배치한 형식의 것이 채용되어 있었다.
또, 상기 회전축(103a)은 그 반대 감속 장치(101) 측의 단부에 있어서도, 베어링(103B)에 의해 프레임(151f) 측에 지지되고, 그 결과, 작동 상태 및 비작동 상태에 있어서, 감속 장치(101)와 베어링(103B)에 의해 이른바 「양팔보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 7, 도 8에 있어서, 부호 151은 리클레이머(150)의 붐, 부호 159는 점검용 등의 플랫폼, 도 7에 있어서, 부호 102는 상기 감속 장치(101)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이다.
그런데, 상기한 버킷 휠 장치의 경우, 감속 장치(101)의 원통형 외주벽(101a)이 버킷 휠 본체(103)의 회전축(103a)이 되어 있고, 또한 그 회전축(103a)이 양팔보 지지되어 있는 것으로 인하여 정기적으로 감속 장치(101)의 점검을 실시할 때, 버킷 휠 장치(100A) 전체를 스태커·리클레이머나 언로더로부터 떼어낼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버킷 휠 장치(100A) 전체가 중량적으로 6t(58.8kN) ~ 10t(98kN) 정도 이상의 중량을 가지기 때문에, 이러한 감속 장치(101)의 점검시에 많은 시간과 많은 노동이 필요한 대대적인 작업이 되었다.
또한, 상기 감속 장치(101)는 그 출력축이 상기 버킷 휠 본체(103)의 회전축(103a)로서도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감속 장치(101)는 버킷 휠 장치(100A)의 불출 능력에 맞추고 그때마다 설계와 제작이 행해지고 있었다. 이 때문에, 감속 장치(101)에 사용되는 베어링 등의 부품도 특별 주문품이 많고, 제조와 관련하여 긴 기간과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점검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보다 단기간에 제조할 수 있고, 또한 값싸게 공급할 수 있는 감속 장치를 구비한 버킷 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킷 휠 장치는 버킷 휠 본체의 회전축에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암(arm)의 각 선단에 벌크를 긁어내는 버킷이 배치되고, 그 회전축이 감속 장치를 통하여 원동기에 의해 구동되고, 리클레이머나 스태커·리클레이머나 언로더 등의 장치의 불출 장치로서 사용되는 버킷 휠 장치이며, 상기 회전축의 반대 감속 장치 측의 일단이, 프레임 측에 회전 자유롭게 외팔보(cantilever)식으로 지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회전축의 타단이 감속 장치의 출력축과 연결되고, 그 감속 장치의 입력축에 원동기의 출력축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버킷 휠 장치에 따르면, 감속 장치는 상기 버킷 휠 본체의 회전축과 해당 감속 장치의 출력축과의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버킷 휠 본체를 떼어내지 않고 감속 장치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가 있다.
요컨대, 프레임에 버킷 휠 본체의 회전축의 반대 감속 장치 측의 일단이 외팔보식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감속 장치의 점검시에 그 버킷 휠 본체를 프레임에 배치한 상태 그대로 상기 버킷 휠 본체의 회전축과 해당 감속 장치의 출력축과의 연결을 해제하는 것만으로 감속 장치를 떼어내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 때문에 감속 장치의 점검을 용이하면서도 단시간에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버킷 휠 장치의 불출 능력에 맞추고 상기 버킷 휠 본체의 회전축의 굵기를 적의 변경하면 강도적인 문제는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가속 장치로서 시판품을 채용할 수가 있다.
상기 버킷 휠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속 장치의 입력축이 그 감속 장치의 출력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면, 상기 출력축을 붐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한 구성으로 하면, 감속 장치를 폭방향 치수를 작게 길이방향 치수를 크게 한 형태, 요컨대, 그 출력축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여 감속 기어열을 배치함으로써 붐의 폭방향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버킷 휠 장치를 배치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버킷 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킷 휠 본체의 회전축의 타단이 상기 감속 장치의 출력축에 커플링 장치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면, 커플링 장치 부분으로 해제함으로써 상기 버킷 휠 본체의 회전축과 해당 감속 장치의 출력축과의 연결을 간단하게 해제할 수 있는 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버킷 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장치가 슈링크 디스크(shrink disk) 형태라면, 커플링 장치의 상기 회전축의 축 길이 방향 치수를 가급적 짧게 할 수 있어 상기 리클레이머나 스태커·리클레이머나 언로더 등의 붐의 선단부의 폭 치수를 보다 작게 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스태커·리클레이머 등의 카운터 웨이트를 작게 할 수 있어 전체를 보다 경량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버킷 휠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속 장치의 입력축이 붐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배치되고, 그 감속 장치 내부에 소망하는 감속비를 얻기 위한 복수단의 스퍼(spur) 기어로 이루어지는 감속 기어열이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감속 기어열의 붐의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부위에 회전축방향을 변경하는 베벨 기어 유닛을 배치함으로써 이 감속 장치의 출력축이 상기 붐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한 구성으로 하면, 감속 장치를 폭방향 치수가 작고 길이방향 치수가 큰 형태로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리클레이머나 스태커·리클레이머나 언로더 등의 붐의 길이방향으로는 치수적으로 큰 여유가 있는 것을 유효하게 이용하고, 붐의 폭방향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버킷 휠 장치를 배치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감속 장치와 원동기가 1개의 받침대 상에 배치되고, 그 감속 장치 또는 원동기의 점검과 관련하여, 받침대와 함께 감속 장치와 원동기가 프레임으로부터 떼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프레임으로부터의 탈착과 프레임에의 장착이 용이한 버킷 휠 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버킷 휠 장치에 따르면, 감속 장치의 점검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제조와 관련하여 단기간에 제조할 수 있고, 또한, 값싸게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킷 휠 장치를 붐 선단에 구비한 리클레이머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리클레이머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붐의 선단에 배치되어 있는 버킷 휠 장치와 그 주변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감속 장치 부분에 사선을 덧붙인 도 3의 Ⅳ-Ⅳ 시시도이다.
도 5는 탈착한 부분을 굵은 선으로 표시한 도 4의 요부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의 Ⅵ-Ⅵ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래의 버킷 휠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버킷 휠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 7의 ⅠⅠⅩ-ⅠⅠⅩ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버킷 휠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도 1, 도 2에 있어서, A는 버킷 휠 장치이고, 이러한 버킷 휠 장치(A)는 리클레이머(50) 등의 긁어냄 장치(불출 장치)로서 회전이 자유로우면서도 선단의 승강이 자유롭게 배치된 붐(51)의 선단 부위(51e)에 배치된다.
또한, 도 1, 도 2에 있어서, 부호 53은 카운터 웨이트를, 부호 54는 붐(51)의 선회 중심이 되는 선회축을, 부호 55는 운전실을, 도 1에 있어서 부호 56은 이 스태커·리클레이머(51)의 하부에 배치되고 도 1의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스스로 주행하기 위한 주행 장치를 나타내고, 도 2에 있어서 부호 57은 주행 레일(rail)을, 부호 58은 상기 버킷 휠 장치(A)로 불출된 벌크를 붐(51)의 기단까지 반송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를 나타내고, 도 1, 도 2에 있어서 부호 60은 그 리클레이머(50)로 불출된 벌크를 상기 주행방향을 따라 소정의 장소에 반송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를 나타낸다. 또한, 도 3, 도 4에 있어서, 부호 59는 점검용 등의 플랫폼을 나타낸다.
상기 버킷 휠 장치(A)의 경우, 도 3 ~ 도 6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붐(51)(도 1, 도 2 참조) 선단부의 프레임(51f)에 재치된 받침대(52) 상에, 그 버킷 휠 장치(A)의 원동기인 전동 모터(2)와, 그 전동 모터(2)의 회전수를 감속하는 감속 장치(1)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전동 모터(2)의 출력축(2a)과 상기 감속 장치(1)의 입력축(1a)은 커플링 장치(이 실시예에서는 기어 커플링 장치) (11)를 통하여 연결되고, 그 전동 모터(2)에 의해 감속 장치(1)가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전동 모터(2)로서, 제어 장치에 의해 회전수와 회전 토크가 자유롭게 제어 가능한 가변 전압·가변 전류 제어(VVVF 제어) 방식의 속도 가변 전동 모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전동 모터(2)로서는, VVVF 제어가 아닌 일반적인 전동 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 ~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감속 장치(1)의 출력축(1b)은, 소위 「슈링크 디스크(shrink disk)」형태의 커플링 장치(4)를 통하여 버킷 휠 본체(3)의 회전축(3a)과 연결되어 있다. 요컨대, 상기 감속 장치(1)의 출력축(1b)이 원통형으로 된 버킷 휠 본체(3)의 회전축(3a)의 감속 장치(1) 측의 공동(空洞) 부분에 끼워 붙여지고,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회전축(3a)의 외주부에 상기 버킷 휠 본체(3)의 끼워 붙여지는 부분의 축 길이방향 중앙에서 확경하고 그 양측에서 축경형의 양 테이퍼(taper) 면이 형성되고, 이러한 양 테이퍼 면의 외주 쪽으로 이에 대응한 양 테이퍼 면을 내주면에 구비하고, 축길이방향에서 둘로 분할된 슈링크 디스크 몸체가 배치되고, 또한 이러한 둘로 분할된 슈링크 디스크 몸체가 서로 근접하도록 축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볼트(4a)(도 5 참조)로 협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볼트(4a)(도 5 참조)로 협착됨으로써 상기 회전축(3a)이 직경방향 중심 방향(출력축(1b) 방향)으로 압압되고, 그 결과, 회전축(3a)과 상기 출력축(1b)이 마찰 압접하게 되어 그 출력축(1b)과 회전축(3a)이 연결되고, 그 결과, 상기 출력축(1b)에서 회전축(3a)으로 회전이 전달된다. 또한, 커플링 장치(4)로는 상기 테이퍼 면을 구비한 구성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출력축(1b)과 회전축(3a)은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플링 장치(4)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접속되어도 좋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도 좋다.
그 결과, 상기 전동 모터(2)에 의해 감속 장치(1)를 통하여 상기 회전축(3a)이 회전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슈링크 디스크」 형태의 커플링 장치(4)를 사용함으로써 그 커플링 장치(4)의 회전축(1b,3a)의 축 길이방향 치수가 매우 짧아진다.
상기 버킷 휠 장치(A)의 버킷 휠 본체(3)는,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3a)의 외주면으로부터 측면으로 보았을 때 방사형(도 1의 버킷 휠 본체(3)를 참조)으로 복수의 암(3b)이 연속 설치되고(도 1 참조), 각 암(3b)의 선단(외경단)에는 벌크(예를 들면, 석탄이나 철광석)를 긁어내는 버킷(3c)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3a)은 베어링(12)을 통하여 상기 붐(51)의 프레임(51f) 측에 대하여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요컨대, 이 실시예에 따른 버킷 휠 장치(A)의 경우에는, 상기 회전축(3a)은 비작동 상태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12)을 통하여 프레임(51f) 측에 지지된 후술하는 지지축(13)에 의해 외팔보(cantilever)식으로 지지되어 있다. 즉,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회전축(3a)의 반대 감속 장치(1) 측의 부위는 내부에 원주형 공동(空洞)을 가진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회전축(3a) 내의 원주형 공동 내에는 그 회전축(3a)과 동축형으로 원주형의 지지축(13)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지지축(13)의 반대 감속 장치 측의 단부는 상기 프레임(51f) 측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축(13)과 회전축(3a) 사이에 자동 조심(Self-aligning) 고로(kolo) 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베어링(12)이 배치됨으로써 지지축(13)에 대하여 회전축(3a)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감속 장치(1)의 상기 입력축(1a)은, 도 3,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붐(51)의 길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이러한 입력축(1a)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내부에 배치된 3단식 스퍼 기어로 이루어지는 기어열(감속 기어열)에 의해 전동 모터(2)의 출력축(2a)의 회전수에 대하여 소망하는 회전수로 감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감속 장치(1)의 경우, 상기 기어열로부터 1쌍의 베벨 기어 유닛을 통하여 상기 출력축(1b)에, 회전축방향을 90도 변경하여, 즉, 직교하여 회전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1쌍의 베벨 기어 유닛은 상기 3단식 스퍼 기어로 이루어지는 기어열에 대하여 붐(5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결과,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전동 모터(2)의 출력축(2a)의 회전수에 대하여 소망하는 감속, 예를 들면 160분의 1로 감속되면서도 회전축의 방향이 내부에서 90도 변경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결과, 감속 장치(1)는 폭방향 치수가 작고, 길이방향 치수가 길어지는 것과 같은 형태가 실현되어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1쌍의 베벨 기어 유닛을 감속 장치(1) 내의 상기 입력축(1a) 측에 배치하고, 상기 3단식 스퍼 기어로 이루어지는 기어열을 감속 장치(1) 내의 상기 출력축(1b) 측에 배치하여도 좋다. 요컨대, 베벨 기어 유닛을 동력 전달의 상류측에 3단식 스퍼 기어로 이루어지는 기어열을 동력 전달의 하류측에 배치하여도 전술한 것과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룰 수가 있다.
상기 받침대(52)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51f)에 대하여 복수의 착탈이 자유로운 연결 핀(pin)(34) 또는 도시하지 않은 이음 볼트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고, 따라서, 복수, 예를 들면 2개 ~ 4개의 연결 핀(34) 또는 도시하지 않은 이음 볼트를 떼어냄으로써 프레임(51f)으로부터, 위쪽에 설치된 전동 모터(2)와 감속 장치(1)를 받침대(52)와 함께 떼어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위쪽에 설치하고 전동 모터(2)와 감속 장치(1)를 받침대(52)와 함께 프레임(51f)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상기 커플링 장치(4)의 체결 볼트(4a)(도 5 참조)를 해제하여 상기 회전축(3a)과 상기 감속 장치(1)의 출력축(1b)과의 연결을 해제하는 것이 된다.
또한, 상기 분리시, 적어도 도 4, 도 5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장치(4)를 덮는 커버(9)를 분리하는 것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버킷 휠 장치(A)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51f)으로부터 위쪽에 전동 모터(2)와 감속 장치(1)를 설치한 받침대(52)와 함께 분리한 이후에도 상기 회전축(3a)을 포함하는 상기 버킷 휠 본체(3)는 외팔보식으로 프레임(51f) 측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감속 장치(1)를 점검하는 경우,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쪽에 전동 모터(2)와 감속 장치(1)를 설치한 받침대(52)와 함께 훅(hook)(35)에 도시하지 않은 와이어를 걸고 크레인 등으로 매달아 올리고, 붐(51)의 프레임(51f)으로부터 받침대(52)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분리되는 중량은 종래 구성의 버킷 휠 장치에 비하여 약 1/2 정도 이하가 되고, 또한, 분리시 상기 커플링 장치(4)의 해제와, 상기 연결 핀(34)(도 6 참조) 또는 이음 볼트의 분리만으로 가능하다.
또한, 감속 장치(1) 자체의 중량도, 종래의 유성 기어 기구를 채용하고 있었던 감속 장치와 비교하면, 중량적으로 무거운 내부 기어(internal gear)가 존재하지 않는 구조로 인하여 대폭적으로 가벼워지기 때문에 상기 붐(51)의 경량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고, 따라서, 그 붐(51)과 버킷 휠 장치(A)의 중량 밸런스를 잡기 위하여, 붐(51)의 선회축(54)을 간격을 두고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카운터 웨이트(53)의 중량을 대폭적으로 가볍게 할 수가 있다. 요컨대, 이러한 카운터 웨이트(53)는 상기 버킷 휠 장치(A)에 비하여 선회축(54)까지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그 버킷 휠 장치(A)의 중량에 비하여 3배 정도 이상 필요해지기 때문에, 이러한 버킷 휠 장치(A)의 경량화에 의해 상기 카운터 웨이트(53)의 경량화는 크게 촉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버킷 휠 장치(A)를 구비한 리클레이머(50) 자신의 중량도 대폭적으로 경량화할 수 있고, 이 결과, 상기 리클레이머(50)가 자체로 구동되는 경우의 구동력도 작게 할 수가 있다.
또한, 가격적인 점에 있어서도, 감속 장치(1)를 표준품 또는 그 표준품에 준한 것을 채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격을 대폭적으로 낮출 수가 있다.
그런데,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붐(51)에는 선단이 상기 버킷 휠 장치(A)의 근방에 위치하고, 그 붐(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설치된 벨트 컨베이어(58)가 배치되고, 상기 버킷 휠 장치(A)로 긁어낸 벌크를 도시하지 않은 슈트(chute) 등을 이용하여 그 벨트 컨베이어(55)로부터 그 후방 방향에 배치되어 있는 다른 컨베이어(60) 등의 컨베이어 그룹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 리클레이머(50)에 연결되는 도시하지 않은 「트리퍼(tripper)」의 벨트 컨베이어 쪽으로 반송하고, 스톡 야드 등에 저장되어 있는 그 벌크를 소정의 장소에 불출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 휠 장치가 리클레이머나, 스태커·리클레이머의 불출 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다른 장치, 예를 들면 언로더 등의 불출 장치로서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동일한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하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예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킷 휠 장치는 리클레이머나 스태커·리클레이머나 언로더 등의 장치의 불출 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A: 버킷 휠 장치
1: 감속 장치
1a: 입력축
1b: 출력축
2: 전동 모터(원동기)
3: 버킷 휠 본체
3a: 회전축
3b: 암
3c: 버킷
4: 커플링 장치

Claims (10)

  1. 버킷 휠 본체의 회전축에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암의 각 선단에 벌크를 긁어내는 버킷이 배치되고, 그 회전축이 감속 장치를 통하여 원동기에 의해 구동되고, 리클레이머, 스태커·리클레이머 또는 언로더 등의 장치의 불출 장치로서 사용되는 버킷 휠 장치이며,
    상기 회전축의 반대 감속 장치 측의 일단이, 프레임 측에 회전 자유롭게 외팔보식으로 지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의 타단이 커플링 장치를 통하여 감속 장치의 출력축과 연결되고, 상기 감속 장치의 입력축에 상기 원동기의 출력축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은 원통형이며, 상기 회전축의 상기 감속 장치 측의 공동 부분에 상기 감속 장치의 출력축이 끼워 붙여지고,
    상기 커플링 장치는 상기 끼워 붙여지는 부분의 외주에 배치된 슈링크 디스크 형태이며,
    상기 회전축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지지축으로서 상기 회전축의 반대 감속 장치 측의 공동 내에 배치된 지지축에 의해, 상기 지지축과 상기 회전축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배치된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외팔보식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 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장치의 입력축이 상기 감속 장치의 출력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 휠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장치의 입력축이 붐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감속 장치 내부에 소망하는 감속비를 얻기 위한 복수단의 스퍼 기어로 이루어지는 감속 기어열이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감속 기어열의 붐의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부위에 회전축 방향을 변경하는 베벨 기어 유닛을 배치하여 상기 감속 장치의 출력축이 상기 붐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 휠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장치와 원동기가 1개의 받침대 상에 배치되고, 상기 감속 장치 또는 상기 원동기의 점검시 상기 받침대와 함께 상기 감속 장치와 상기 원동기가 프레임으로부터 떼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 휠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장치와 원동기가 1개의 받침대 상에 배치되고, 상기 감속 장치 또는 상기 원동기의 점검시 상기 받침대와 함께 상기 감속 장치와 상기 원동기가 프레임으로부터 떼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 휠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37007974A 2010-09-29 2011-09-29 버킷 휠 장치 KR101485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19449A JP5763902B2 (ja) 2010-09-29 2010-09-29 バケットホイール装置
JPJP-P-2010-219449 2010-09-29
PCT/JP2011/005497 WO2012042885A1 (ja) 2010-09-29 2011-09-29 バケットホイー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779A KR20130069779A (ko) 2013-06-26
KR101485276B1 true KR101485276B1 (ko) 2015-01-21

Family

ID=45892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7974A KR101485276B1 (ko) 2010-09-29 2011-09-29 버킷 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763902B2 (ko)
KR (1) KR101485276B1 (ko)
CN (1) CN103097613B (ko)
AU (1) AU2011310234B2 (ko)
WO (1) WO20120428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07105B (zh) * 2012-08-27 2014-10-15 泰富重工制造有限公司 一种斗轮堆取料机斗轮机构的密封装置
WO2017144095A1 (en) * 2016-02-25 2017-08-31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Bucket wheel machine system with lifting arrangement
CN114229523B (zh) * 2021-12-24 2023-08-29 焦作科瑞森重装股份有限公司 一种机械化生产用矿山原料开采剥离工艺及配套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5637A (en) * 1980-03-22 1981-10-23 Hitachi Zosen Corp Bucket wheel
JP2000087990A (ja) * 1998-08-25 2000-03-28 Minster Mach Co:The 駆動軸カプラ
JP2006254752A (ja) * 2005-03-16 2006-09-28 Sasaki Corporation 肥料散布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32427Y (zh) * 1995-08-30 1996-08-07 马魁山 悬臂式斗轮堆取料机的斗轮驱动机构
DE102008060664A1 (de) * 2008-12-08 2010-06-10 ThyssenKrupp Fördertechnik GmbH Schutzeinrichtung für einen Schaufelradbagg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5637A (en) * 1980-03-22 1981-10-23 Hitachi Zosen Corp Bucket wheel
JP2000087990A (ja) * 1998-08-25 2000-03-28 Minster Mach Co:The 駆動軸カプラ
JP2006254752A (ja) * 2005-03-16 2006-09-28 Sasaki Corporation 肥料散布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1310234B2 (en) 2014-10-23
AU2011310234A1 (en) 2013-03-21
CN103097613A (zh) 2013-05-08
WO2012042885A1 (ja) 2012-04-05
JP5763902B2 (ja) 2015-08-12
JP2012072623A (ja) 2012-04-12
CN103097613B (zh) 2015-10-21
KR20130069779A (ko)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276B1 (ko) 버킷 휠 장치
CN101977690B (zh) 滚磨机
US20120138426A1 (en) Reclaimer machine
CN201458619U (zh) 一种慢速辅助提升机
CN108654505A (zh) 一种无尘饲料生产混合装置
CN205675827U (zh) 一种移动式链斗卸船机
CN111573303A (zh) 一种应用在圆形料场的堆取料机
CN213257084U (zh) 一种多机多流连铸机钢包回转台
CN202030445U (zh) 一种双颚瓣散货抓斗主销轴润滑结构
CN207346441U (zh) 一种筒仓内清仓破拱机构
CN205011075U (zh) 翻车机
CN217457566U (zh) 一种钢制管道流水线运输用转向车
CN101412475A (zh) 抓吊式散料平整装置
CN109665333A (zh) 一种小颗粒输送用提升机
CN109179273A (zh) 一种提升装置
CN101579794A (zh) 一种变位装置
CN216686106U (zh) 圆盘给料机
CN218663400U (zh) 一种组合式稳料清堵机
CN211811783U (zh) 一种环链刮板机
CN219030790U (zh) 一种斗轮堆取料机
CN211310585U (zh) 一种起重机车轮组旋转调节装置
CN107185656A (zh) 一种稀土矿超细砸碎机及其砸碎方法
CN201180058Y (zh) 一种机械四索散货抓斗闭合索的平衡机构
CN201052934Y (zh) 轨道式刮板清仓机
CN111702157A (zh) 一种多机多流连铸机钢包回转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