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964B1 - 충격흡수패드, 이를 포함하는 잔디 구조체 및 포장체 - Google Patents

충격흡수패드, 이를 포함하는 잔디 구조체 및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964B1
KR101484964B1 KR20130071291A KR20130071291A KR101484964B1 KR 101484964 B1 KR101484964 B1 KR 101484964B1 KR 20130071291 A KR20130071291 A KR 20130071291A KR 20130071291 A KR20130071291 A KR 20130071291A KR 101484964 B1 KR101484964 B1 KR 101484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absorbing pad
bubble layer
pa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1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7992A (ko
Inventor
오태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주
Priority to KR20130071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4964B1/ko
Publication of KR20140147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01C13/083Construction of grass-grown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포층과 상기 기포층에 식재된 파일을 포함하는 인조잔디부와, 상기 기포층의 위 또는 아래에 적층되며, 미리 설정된 간격마다 종횡으로 이격되어 타공 형성된 타공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타공 영역의 형성 과정에서 발생된 타공된 폐기물의 파쇄물과 상기 파일 및 고무칩이 혼합되어 접착제에 의해 상기 기포층에 접착되는 패드본체를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를 제공하여, 수명이 다한 인조잔디를 버리지 않고 재활용하여 경제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충격흡수패드, 이를 포함하는 잔디 구조체 및 포장체{Shock absorbing pad, Turf structure and Pavemen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충격흡수패드. 이를 포함하는 잔디 구조체 및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된 인조잔디를 활용하는 충격흡수패드. 이를 포함하는 잔디 구조체 및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인조잔디는 기포지에 파일을 터프팅 방식으로 형성하여 제조되며, 규사 또는 고무 분말이 채워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72617호(2012.07.04. 공개, 이하, 본 문헌이라 한다)에서는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시하고 있다. 본 문헌의 인조잔디 구조체는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는 기포지 위에 다수의 파일이 터프팅되어 형성되는 구성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이러한 인조잔디는 사용함에 따라 고무 분말과 같은 충전재가 소실되거나 파일이 손상되어 폐기되어야 한다. 이렇게 수명이 다한 인조잔디는 사용 기간 동안 충전재가 잔디층에 강력하게 답압되기 때문에, 인조잔디에서 충전재를 분리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인조잔디를 구성하는 재료들이 재활용 가능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수명이 다한 인조잔디는 수거 후 전량 소각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자원의 낭비와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폐기된 인조잔디를 활용하는 충격흡수패드. 이를 포함하는 잔디 구조체 및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발명은, 기포층과 상기 기포층에 식재된 파일을 포함하는 인조잔디부와, 상기 기포층의 위 또는 아래에 적층되며, 미리 설정된 간격마다 종횡으로 이격되어 타공 형성된 타공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타공 영역의 형성 과정에서 발생된 타공된 폐기물의 파쇄물과 상기 파일 및 고무칩이 혼합되어 접착제에 의해 상기 기포층에 접착되는 패드본체를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드본체의 테두리에는 벨크로 타입의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2 발명은, 기포층과 상기 기포층에 식재된 파일을 포함하는 인조잔디부와, 상기 기포층의 위 또는 아래에 적층되며, 미리 설정된 간격마다 종횡으로 이격되어 타공 형성된 타공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타공 영역의 형성 과정에서 발생된 타공된 폐기물의 파쇄물과 상기 파일 및 고무칩이 혼합되어 접착제에 의해 상기 기포층에 접착되는 패드본체를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와, 상기 타공 영역에 천연잔디가 위치하도록 잔디뗏장이 상기 패드본체의 아래에 적층되는 천연잔디부를 포함하는 잔디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드본체의 테두리에는 벨크로 타입의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3 발명은, 제1 인조잔디부와, 상기 제1 인조잔디부의 기포층의 위에 적층되며, 미리 설정된 간격마다 종횡으로 이격되어 타공 형성된 타공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타공 영역의 형성 과정에서 발생된 타공된 폐기물의 파쇄물과 상기 제1 인조잔디부의 파일 및 고무칩이 혼합되어 접착제에 의해 상기 기포층에 접착되는 패드본체를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와, 상기 패드본체 위에 적층되는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 위에 적층되는 제2 인조잔디부를 포함하는 잔디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드본체의 테두리에는 벨크로 타입의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4 발명은, 기포층과 상기 기포층에 식재된 파일을 포함하는 인조잔디부와, 상기 기포층 위에 적층되며, 미리 설정된 간격마다 종횡으로 이격되어 타공 형성된 타공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타공 영역의 형성 과정에서 발생된 타공된 폐기물의 파쇄물과 상기 파일 및 고무칩이 혼합되어 접착제에 의해 상기 기포층에 접착되는 패드본체를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와, 상기 패드본체 위에 적층되며 상기 타공 영역에 충진되는 탄성포장체를 포함하는 포장체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드본체의 테두리에는 벨크로 타입의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패드. 이를 포함하는 잔디 구조체 및 포장체에 따르면, 폐기된 인조잔디부의 타공 영역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파쇄물과 충진재 등을 혼합하여 폐기된 인조잔디부의 기포층에 접착시켜 형성되는 패드본체를 구비함으로써, 수명이 다한 인조잔디를 버리지 않고 재활용하여 경제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패드에 따르면, 파일 및 충진재가 포함된 인조잔디를 활용하여 충격 흡수력을 높이고 인장강도 및 영구압출률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잔디구조체에 따르면, 타공 영역에 천연잔디가 위치하도록 천연잔디부를 구비함으로써, 천연잔디의 내구성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충격흡수패드의 제1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충격흡수패드의 제2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고리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충격흡수패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잔디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고리에 의해 연결되는 잔디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잔디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체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고리에 의해 연결되는 포장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충격흡수패드의 제1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충격흡수패드의 제2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100)는 폐기된 인조잔디부(110)의 위 또는 아래에 패드본체(120)를 형성시키는 특징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100)의 제1 변형례를 설명한다. 충격흡수패드(100)의 제1 변형례는 폐기된 인조잔디부(110)의 위에 패드본체(120)가 형성되는 타입이다.
인조잔디부(110)는 기포층(111)에 파일(112)이 식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기포층(111)은 인조잔디부(110)의 형태를 형성하고 파일(112)을 견고히 안착시켜 고정하는 역활을 한다. 기포층(111)은 폴리에스터를 포함하는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파일(112)은 천연잔디와 유사한 특성을 부여하고 쿠션감을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기포층(111)에 원사가 터프팅되어 형성된다.
패드본체(120)는 인조잔디부(110)의 기포층(111) 위에 적층되어 형성된다. 또한, 패드본체(120)는 타공 영역(121)을 형성한다. 타공 영역(121)은 미리 설정된 간격마다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타공 영역(121)은 패드본체(120)의 전체에 걸쳐 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타공 영역(121)의 형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은 파쇄되어 타공 영역(121)을 제외한 패드본체(120)를 구성하는 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폐기물이라 함은 폐기된 인조잔디부(110)의 기포층(111), 파일(112) 및 충진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패드본체(120)는, 이러한 폐기물의 파쇄물과 타공 영역(121) 이외에 남겨진 파일(112)과 고무칩 등이 혼합되어 그 혼합물이 접착제로 기포층(111) 위에 접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타공 영역(121)의 형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과 고무칩 등은 통상적으로 모두 합성 수지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혼합이 용이하다.
이렇게 패드본체(120)가 폐기된 인조잔디부(110)의 타공된 폐기물과 아울러 타공되지 않은 폐기된 인조잔디부(110)의 구성을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폐기된 인조잔디부(110)가 갖는 압축 회복성, 내마모성 및 쿠션감 등의 특성을 충격흡수패드(100)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100)의 제2 변형례를 설명한다. 충격흡수패드(100)의 제2 변형례는 폐기된 인조잔디부(110)의 아래에 패드본체(120)가 형성되는 타입이다. 패드본체(120)의 구성은 충격흡수패드(100)의 제1 변형례와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고리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충격흡수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패드본체(120)의 테두리에는 벨크로 타입의 고리(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충격흡수패드(100A, 100B)를 고리(130)를 통해 상호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때문에, 복수 개의 충격흡수패드(100A, 100B...)를 연결하여 시공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도 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잔디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잔디 구조체(10)는, 도 3에서 도시한 충격흡수패드(100) 아래에 천연잔디부(200)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천연잔디부(200)는 천연잔디(210)가 잔디뗏장(220)에 식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잔디뗏장(220)은 충격흡수패드(100) 아래에 형성되며. 천연잔디(210)가 충격흡수패드(100)의 타공 영역(121)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천연잔디(210)는 충격흡수패드(100)의 타공 영역(121)을 지나 충격흡수패드(100) 위로 돌출된다. 이때. 충격흡수패드(100)의 타공 영역(121)에는 모래가 포설될 수 있다. 타공 영역(121)에 위치한 천연잔디(210) 사이에는 인조 잔디(112)가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잔디 구조체(10)는 천연잔디(210)의 내구성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한편, 타공 영역(121)에는 천연잔디(210) 이외에 다양한 식생환경을 구현할 수도 있다.
도 6은 고리에 의해 연결되는 잔디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2개의 잔디 구조체(10A,10B)는 고리(300)를 통해 상호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잔디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잔디 구조체(20)는 도 2에서 도시한 충격흡수패드(100) 위에 부직포(400)가 적층되고, 부직포(400) 위에 인조잔디부(500)가 적층 형성될 수 있다. 인조잔디부(500)는 부직포(400) 위에 설치된 기포층(510) 위에 파일(520)이 식재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체(3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체(30)는, 도 2에서 도시한 충격흡수패드(100) 위에 부직포(900)가 적층되고, 부직포(900) 위에 탄성포장체(600)가 적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패드(100)의 타공 영역(121)에 탄성포장체(800)가 충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고리에 의해 연결되는 포장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2개의 포장체(30A,30B)는 고리(700)를 통해 상호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충격흡수패드
110,500 : 인조잔디부
111,510 : 기포층
112,520 : 파일
120 : 패드본체
121 : 타공 영역
130,300,700 : 고리
200 : 천연잔디부
210 : 천연 잔디
400,900 : 부직포
600,800: 탄성포장체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기포층과 상기 기포층에 식재된 파일을 포함하는 인조잔디부와, 상기 기포층 위에 적층되는 것으로서 미리 설정된 간격마다 종횡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타공 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타공 영역의 형성 과정에서 발생된 타공 폐기물의 파쇄물과 기포층에 식재되지 않은 다른 파일 및 고무칩이 혼합되어 접착제에 의해 기포층 위에 적층 접착되는 패드본체를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
    상기 충격흡수패드 위에 적층되는 부직포; 및
    상기 패드본체 위에 적층되도록 부직포 위에 적층되고 상기 타공 영역에 충진되는 탄성포장체;
    를 포함하는 포장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본체의 테두리에는 벨크로 타입의 고리가 형성되는 포장체.
KR20130071291A 2013-06-21 2013-06-21 충격흡수패드, 이를 포함하는 잔디 구조체 및 포장체 KR101484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291A KR101484964B1 (ko) 2013-06-21 2013-06-21 충격흡수패드, 이를 포함하는 잔디 구조체 및 포장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291A KR101484964B1 (ko) 2013-06-21 2013-06-21 충격흡수패드, 이를 포함하는 잔디 구조체 및 포장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992A KR20140147992A (ko) 2014-12-31
KR101484964B1 true KR101484964B1 (ko) 2015-01-21

Family

ID=5259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1291A KR101484964B1 (ko) 2013-06-21 2013-06-21 충격흡수패드, 이를 포함하는 잔디 구조체 및 포장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49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783B1 (ko) 2022-02-25 2022-08-29 주식회사 필드글로벌 폐인조잔디로 제작된 충격 흡수 패드가 적용된 인조잔디 시스템 및 제조 방법
KR102437785B1 (ko) 2022-02-25 2022-08-29 주식회사 필드글로벌 폐인조잔디를 이용한 충격 흡수 패드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148B1 (ko) * 2014-12-30 2019-01-1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KR101989538B1 (ko) * 2017-05-23 2019-06-14 주식회사 한울 잔디 모듈
KR101995797B1 (ko) * 2017-11-21 2019-07-0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KR102000917B1 (ko) * 2018-01-11 2019-07-1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KR101886168B1 (ko) * 2018-03-07 2018-08-09 나눔스포텍 주식회사 재생 인조잔디매트를 활용한 천연잔디와 인조잔디복합체 제조방법
EP3775381A4 (en) 2018-04-02 2022-02-16 Shaw Industries Group, Inc. SHOCK ABSORBING LAYER FOR ARTIFICIAL TURF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KR101912447B1 (ko) * 2018-07-13 2018-10-26 주식회사 앙투카에스엘 3중 구조로 된 인조잔디 시스템
KR101977180B1 (ko) * 2018-12-31 2019-05-10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인조잔디매트 제조과정에서 기포지 재활용을 위한 회수방법
KR102655659B1 (ko) * 2022-12-29 2024-04-08 코니필드(주) 재활용 보강층을 포함하는 충격흡수패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0967A (ja) * 2000-06-30 2002-01-15 Duskin Co Ltd マット
JP2010222961A (ja) * 2009-02-26 2010-10-07 Sekisui Jushi Co Ltd 人工芝連結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0967A (ja) * 2000-06-30 2002-01-15 Duskin Co Ltd マット
JP2010222961A (ja) * 2009-02-26 2010-10-07 Sekisui Jushi Co Ltd 人工芝連結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783B1 (ko) 2022-02-25 2022-08-29 주식회사 필드글로벌 폐인조잔디로 제작된 충격 흡수 패드가 적용된 인조잔디 시스템 및 제조 방법
KR102437785B1 (ko) 2022-02-25 2022-08-29 주식회사 필드글로벌 폐인조잔디를 이용한 충격 흡수 패드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992A (ko) 201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4964B1 (ko) 충격흡수패드, 이를 포함하는 잔디 구조체 및 포장체
KR101962318B1 (ko) 인조잔디 구조체
KR101163051B1 (ko) 복수의 탄성칩이 연결된 인조잔디용 충진재 및 이를 이용한 인조잔디 구조체
CN100551690C (zh) 弹性地板衬垫及其制作方法
ES2296864T3 (es) Procedimiento para la retirada de cubiertas de hierba sintetica y correspondiente uso y productos.
KR100834039B1 (ko)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
KR101912447B1 (ko) 3중 구조로 된 인조잔디 시스템
KR101764691B1 (ko)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KR102060861B1 (ko) 아스팔트 시공용 보강재
EP2627832B1 (en) Method for forming ground-covering layer and the ground-covering layer
CN105862671A (zh) 一种基于生态有机海绵的工法
KR101841424B1 (ko)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JP2010222961A (ja) 人工芝連結体
KR100946156B1 (ko) 간이 골프용 인조그린 설치방법
KR101391276B1 (ko) 도로변의 방초구조 및 방초방법
KR102065768B1 (ko) 배수기능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인조잔디 구조체
JP2011084930A (ja) 人工芝生敷設構造
KR101483744B1 (ko) 친환경 지반침하 억제형 투수구조체의 시공방법
JP6085713B1 (ja) 法面形成用ブロックおよび法面構造
JPH074504U (ja) 人工芝
KR200444169Y1 (ko) 인조잔디 시공구조
ES2743454T3 (es) Estructura de mechones insertados para paisaje y deportes
JP3902596B2 (ja) 斜面安定用ブロックマット
KR102580785B1 (ko) 충격흡수패드층이 일체로 구성되어 자기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인조잔디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 인조잔디매트
CN210031686U (zh) 一种土石笼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