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7783B1 - 폐인조잔디로 제작된 충격 흡수 패드가 적용된 인조잔디 시스템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폐인조잔디로 제작된 충격 흡수 패드가 적용된 인조잔디 시스템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7783B1
KR102437783B1 KR1020220025338A KR20220025338A KR102437783B1 KR 102437783 B1 KR102437783 B1 KR 102437783B1 KR 1020220025338 A KR1020220025338 A KR 1020220025338A KR 20220025338 A KR20220025338 A KR 20220025338A KR 102437783 B1 KR102437783 B1 KR 102437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turf
waste
waste artificial
shock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5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형
최치성
김경원
김종욱
김동영
강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드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드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드글로벌
Priority to KR1020220025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7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인조잔디로 제작된 충격 흡수 패드가 적용된 인조잔디 시스템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조잔디 설치 이후에 사용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파일의 마모 등으로 인하여 수명이 다한 폐인조잔디로 제조된 충격 흡수 패드에 신규 인조잔디가 식재되어 친환경적이며, 충격 흡수 성능을 만족하는 안정적인 구조의 인조잔디 시스템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폐인조잔디로 제작된 충격 흡수 패드가 적용된 인조잔디 시스템 및 제조 방법 {Artificial turf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with shock-absorbing pad made of waste artificial turf}
본 발명은 인조잔디 시스템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인조잔디로 제작된 충격 흡수 패드가 적용된 인조잔디 시스템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조잔디는 천연잔디를 대체하여 경기장이나 학교 운동장에 널리 이용함으로써 천연잔디 사용에서처럼 잔디를 키우거나 농약을 뿌리는 일이 없어서 인조잔디를 이용하는 사람이나 관리자에게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리하여 각종 실외 경기장이나 학교 운동장을 비롯하여 각종 조경용, 장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인조잔디의 품질도 매우 우수해졌으며, 천연잔디에 비하여 물 절약, 환경보호, 관리비용 절감 등의 이점이 있어서 인조잔디의 수요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인조잔디는 포설된 이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인조잔디의 파일이 마모되거나 갈라짐, 꼬임, 압축, 변색 등의 현상이 발생되면서 포설 후 약 7~8년이 지나면 인조잔디로서의 수명을 다하게 되며, 수명이 다한 인조잔디는 새로운 인조잔디의 설치를 위하여 철거된다.
인조잔디는 사용함에 따라 고무 분말과 같은 충전재가 소실되거나 파일이 손상되어 폐기되어야 한다. 수명이 다한 인조잔디는 사용 기간 동안 충전재가 잔디층에 강력하게 답압되기 때문에, 인조잔디에서 충전재를 분리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인조잔디를 구성하는 재료들이 재활용 가능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수명이 다한 인조잔디는 수거 후 전량 소각 폐기된다.
이로 인해, 재활용 가능한 자원이 낭비되고 있으며, 소각 처리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유해물질로 인해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유해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인조잔디의 교체 또는 폐기 시 소각으로 인해 재활용 가능한 자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소각으로 인해 발생되는 유해물질로 인한 환경파괴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이나 기술에 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4964호 ("충격흡수패드, 이를 포함하는 잔디 구조체 및 포장체", 2015.01.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조잔디 설치 이후에 사용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파일의 마모 등으로 인하여 수명이 다한 폐인조잔디로 제조된 충격 흡수 패드에 신규 인조잔디가 식재되어 친환경적이며, 충격 흡수 성능을 만족하는 안정적인 구조의 인조잔디 시스템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인조잔디 시스템은, 수명이 다하여 수거된 폐인조잔디로 형성되되, 상기 폐인조잔디의 매트에 식재된 폐인조잔디의 파일에 시트지가 열융착되어 형성된 충격 흡수 패드; 상기 충격 흡수 패드의 상면에 설치되는 인조잔디; 상기 인조잔디의 파일 사이에 규사가 소정 두께를 갖도록 도포되는 규사층; 및 상기 규사층의 상면에 충전재가 소정 두께를 갖도록 도포되는 충전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 흡수 패드는, 복수의 폐인조잔디 파일이 식재된 폐인조잔디의 매트 및 상기 폐인조잔디의 파일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폐인조잔디의 파일에 열융착되어 부착되는 시트지를 포함하며, 상기 폐인조잔디의 파일과 상기 시트지가 열융착됨에 따라 상기 폐인조잔디의 파일에 의해 상기 폐인조잔디의 매트와 상기 시트지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고, 상기 공극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 흡수 패드는, 상기 폐인조잔디의 매트와 시트지 사이에 형성된 공극에는 상기 폐인조잔디로부터 수거된 충전재, 천연 소재 충전재 및 SEBS공중합체로 형성된 충전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재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지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메쉬 망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지는, 열가소성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조잔디 시스템 제조 방법은, 수명이 다한 폐인조잔디가 수거 장비에 의해 수거되는 폐인조잔디 수거 단계; 수거된 상기 폐인조잔디의 파일 상부에 시트지를 열융착으로 부착하여 충격 흡수 패드를 제조하는 충격 흡수 패드 제조 단계; 상기 충격 흡수 패드 제조 단계에서 제조된 충격 흡수 패드의 상면에 복수의 인조잔디 파일이 식재된 인조잔디를 설치하는 인조잔디 설치 단계; 상기 인조잔디 설치 단계에서 설치된 인조잔디의 파일 사이에 규사를 도포하여 소정 높이의 규사층을 형성하는 규사층 형성 단계; 및 상기 규사층 형성 단계에서 형성된 규사층의 상부에 충전재를 도포하여 인조잔디의 파일 사이에 소정 높이의 충전재층을 형성하는 충전재층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 흡수 패드 제조 단계는, 상기 충격 흡수 패드에 식재된 상기 폐인조잔디의 파일을 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브러싱 장비로 정렬하는 브러싱 단계, 상기 폐인조잔디의 파일 상부에 시트지를 위치시켜 폐인조잔디와 시트지를 히팅 롤러에 공급하는 폐인조잔디 및 시트지 공급 단계, 상기 히팅 롤러를 통과하며서 상기 폐인조잔디의 파일 상부가 시트지에 열융착되어 합지되는 합지 단계 및 상기 폐인조잔디의 파일 상부에 시트지가 열융착에 의해 합지된 충격 흡수 패드에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여 상기 시트지에 상기 폐인조잔디의 파일이 압착되도록 하는 압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폐인조잔디의 매트에 식재된 전체 폐인조잔디의 파일 중 30%~70%의 폐인조잔디의 파일이 시트지에 열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재층 형성 단계에서 충전되는 충전재는, 상기 폐인조잔디의 매트로부터 제거된 충전재, 천연 소재 충전재 및 SEBS공중합체로 형성된 충전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재가 도포되어 충전재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폐인조잔디의 매트 및 시트지 공급 단계는, 상기 폐인조잔디의 매트와 시트지 사이에 메쉬 망이 추가되거나, 상기 시트지의 상면에 메쉬 망이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 흡수 패드 제조 단계는, 상기 폐인조잔디의 매트와 시트지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에 상기 폐인조잔디로부터 수거된 충전재, 천연 소재 충전재 및 SEBS공중합체로 형성된 충전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재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폐인조잔디 수거 단계는, 상기 폐인조잔디에 충전되어 있는 충전재를 제거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인조잔디 시스템 및 제조 방법은 수명이 다한 폐인조잔디를 수거하여 제작된 충격 흡수 패드를 적용하여 자원 낭비를 방지하고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신규로 식재되는 인조잔디 파일과 충격 흡수 패드로 형성된 폐인조잔디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조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지면에 인조잔디를 설치하기 전 별도의 충격 흡수 패드가 설치되지 않아도 일정 강도로 신규 인조잔디를 지지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시스템의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시스템에 사용되는 충격 흡수 패드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시스템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시스템 제조 방법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시스템의 충격 흡수 패드 제조 방법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시스템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시스템에 사용되는 충격 흡수 패드의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시스템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시스템 제조 방법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시스템의 충격 흡수 패드 제조 방법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시스템의 충격 흡수 패드 확대 정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인조잔디 시스템의 충격 흡수 패드 확대 정단면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시스템의 정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조잔디 시스템은 아래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충격 흡수 패드(100), 규사층(200), 충전재층(300), 인조잔디층(400)으로 형성된다.
충격 흡수 패드(100)는 이용자가 인조잔디를 이용할 때 받는 충격을 흡수하여 이용자가 운동을 하거나 보행을 할 때 피로하지 않도록 하며, 본 발명의 충격 흡수 패드(100)는 수명이 다한 폐인조잔디를 이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라는 효과가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규사층(200)은 인조잔디를 형성하는 각각의 파일 사이에 규사가 포설되는 것으로, 규사는 규석을 잘게 부순 모래를 뜻한다. 규사는 비중이 높아 무겁고 마모가 안 되며, 복원력이 좋아 먼지 발생이 적기 때문에 인조잔디 시스템이 시공될 때 필수적으로 일정 두께 이상 포설되어야 하며, 브러싱 장비를 이용하여 규사가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한다.
규사층(200)의 상면에는 충전재가 도포되어 소정 두께의 충전재층(300)을 형성한다. 충전재층(300)은 인조잔디를 형성하는 파일의 직립도를 향상시키고, 탄성을 제공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가 있으며, 파일의 수명을 연장시켜 준다는 효과가 있다.
인조잔디층(400)은 소정 길이를 갖는 복수의 파일이 충격 흡수 패드(100)에 식재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천연잔디를 대체하기 위해 합성섬유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크게 네 개의 층으로 본 발명의 인조잔디 시스템이 형성되며, 충격 흡수 패드(100)는 폐인조잔디를 재활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폐기물이 배출되지 않아 친환경적인 인조잔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시스템에 사용되는 충격 흡수 패드의 정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격 흡수 패드(100)의 단면은 하부에는 폐인조잔디의 매트(110)가 위치하고, 상부에는 시트지(120)가 위치한다.
폐인조잔디의 매트(110)와 시트지(120)는 히팅 롤러를 통과하며 시트지(120)가 폐인조잔디의 매트(110)의 상부에 융착된다. 폐인조잔디의 매트(110)에 식재된 폐인조잔디 파일(111)은 히팅 롤러를 통과하며 가압되어 일측으로 휘게 되고, 폐인조잔디 파일(111)이 휨에 따라 폐인조잔디 파일(111) 사이에 공극(112)이 형성된다. 이용자가 인조잔디 상에서 달리거나 점프 등의 운동을 하더라도 공극(112)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기 때문에 충격 흡수 패드(100)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인조잔디 시스템을 지면에 포설하기 전, 별도의 충격 흡수 패드를 설치하여야 하고, 수명이 다한 폐인조잔디는 모두 폐기되었으나, 본 발명은 수명이 다한 폐인조잔디의 매트(110), 폐인조잔디 파일(111)와 시트지(120)만으로도 충격 흡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충격 흡수 패드(1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시스템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의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조잔디층(400)에 압력이 가해지면 충격 흡수 패드(100)의 폐인조잔디 파일(111) 사이에 형성된 공극(112)이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이 제거되면 폐인조잔디 파일(111)의 탄성에 의해 원래 모습으로 복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시스템 제조 방법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폐인조잔디 수거 단계(S100), 제1충격 흡수 패드 제조 단계(S110), 제1인조잔디 파일 식재 단계(S120), 제1규사층 형성 단계(S130) 및 제1충전재층 형성 단계(S140)를 포함한다.
먼저 포설된 폐인조잔디가 수거 장비에 의해 수거되는 제1폐인조잔디 수거 단계(S100)가 진행된다. 제1폐인조잔디 수거 단계(S100)에서 폐인조잔디 상에 포설된 규사와 충전재가 대부분 제거되며, 이때 제거된 규사와 충전재는 따로 구분하여 보관된다. 규사와 충전재가 제거된 폐인조잔디는 권취되어 운반 수단에 의해 운반되어 수거된다.
이후, 제1폐인조잔디 수거 단계(S100)에서 수거된 폐인조잔디를 이용하여 충격 흡수 패드(100)를 제조하는 제1충격 흡수 패드 제조 단계(S110)가 진행된다. 충격 흡수 패드(100)는 수거된 폐인조잔디의 파일(111)에 시트지(120)가 융착되어 제조된다. 충격 흡수 패드(100)가 제조되는 방법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시트지(120)는 PE, PP, PET 등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표면이 메쉬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충격 흡수 패드 제조 단계(S110)에 의해 폐인조잔디 파일(111)에 시트지(120)가 융착되어 충격 흡수 패드(100)가 형성되면 충격 흡수 패드(100)에 새로운 인조잔디의 파일이 식재되는 제1인조잔디 파일 식재 단계(S120)가 진행된다. 시트지(120)가 메시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새로운 인조잔디의 파일(410)이 용이하게 식재될 수 있으며, 인조잔디 파일 하단은 폐인조잔디의 매트(110)에 식재된 폐인조잔디 파일(111)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구조의 인조잔디 시스템을 제조할 수 있다.
제1인조잔디 파일 식재 단계(S120) 이후, 인조잔디의 파일(410) 사이에 규사가 소정 높이 도포되어 규사층(200)이 형성되는 제1규사층 형성 단계(S130)가 진행되고, 규사층(200)의 상면에 충전재가 소정 높이 도포되어 인조잔디의 파일(410) 사이에 충전재층(300)이 형성되는 제1충전재층 형성 단계(S140)가 진행된다. 이때, 규사와 충전재가 인조잔디의 파일(410) 사이에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브러싱 장비에 의해 브러싱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제1충전재층 형성 단계(S140) 이후 본 발명의 인조잔디 시스템이 완성되며, 완성된 인조잔디 시스템은 시공 장소로 운반되어 시공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시스템의 충격 흡수 패드 제조 방법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선처리 단계(S111), 제1브러싱 단계(S112), 제1결합부 제어 단계(S113), 제1압착부 제어 단계(S114), 제1폐인조잔디의 매트 및 시트지 공급 단계(S115), 제1합지 단계(S116) 및 제1압착 단계(S117)를 포함한다.
자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충격 흡수 패드(100)가 제조되는 장비에 대해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폐인조잔디가 권취되는 폐인조잔디 공급부와 시트지(120)가 권취되는 시트지 공급부 및 폐인조잔디와 시트지(120)를 공급받으며 시트지(120)가 폐인조잔디에 열융착되도록 하는 히팅 롤러를 포함하는 결합부가 있고, 결합부를 통과한 시트지(120)가 융착되어 합지된 폐인조잔디를 롤러가 회전하며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여 시트지(120)가 폐인조잔디에 압착되도록 하는 압착부를 포함한다.
제1폐인조잔디 수거 단계(S100) 이후, 제1선처리 단계(S111)가 진행된다. 제1선처리 단계(S111)는 폐인조잔디의 매트(110) 상에 잔존하는 규사나 충전재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대부분의 규사와 충전재는 제1폐인조잔디 수거 단계(S100)에서 제거되나, 혹여 잔존하는 규사나 충전재가 있을 경우, 별도의 흡입 장비나 브러싱 장비에 의해 규사와 충전재가 제거된다. 따라서, 제1선처리 단계(S111)는 작업 환경에 따라 진행될 수도 있고, 진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폐인조잔디 수거 단계(S100) 또는 제1선처리 단계(S111) 이후, 제1브러싱 단계(S112)가 진행된다. 브러싱 장비를 이용하여 폐인조잔디의 매트(110)에 식재된 폐인조잔디 파일(111)이 한 방향을 향하도록 정렬된다. 제1브러싱 단계(S112) 이후, 폐인조잔디 파일(111)의 길이, 상태, 배열 간격과 외부 온도, 습도 등을 고려하여 결합부와 압착부가 제어되는 제1결합부 제어 단계(S113)와 제1압착부 제어 단계(S114)가 진행된다.
제1결합부 제어 단계(S113)에서 폐인조잔디 공급부 및 시트지 공급부의 폐인조잔디와 시트지(120)를 공급하는 속도가 제어되며, 히팅 롤러의 온도와 히팅 롤러 사이 간격 및 히팅 롤러의 회전 속도가 제어된다. 제1압착부 제어 단계(S114) 또한 마찬가지로 롤러 형태의 압착부의 온도, 롤러 사이 간격 및 회전 속도가 조절된다. 본 발명의 히팅 롤러와 압착부는 롤러 사이 간격이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폐인조잔디 파일(111)의 길이나 형태에 따라 롤러 사이 간격이 다르게 조절되어 충격 흡수 성능을 만족하는 충격 흡수 패드(100)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결합부 제어 단계(S113)와 제1압착부 제어 단계(S114) 이후, 제1폐인조잔디 및 시트지 공급 단계(S115)가 진행된다. 폐인조잔디 공급부로부터 히팅 롤러로 폐인조잔디가 공급되고, 시트지 공급부로부터 히팅 롤러로 시트지(120)가 공급된다. 이때, 시트지(120)는 폐인조잔디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공급되어야 한다.
폐인조잔디와 시트지(120)가 히팅 롤러를 통과하며 시트지(120)가 히팅 롤러의 열에 의해 폐인조잔디의 파일(111)에 열융착되는 제1합지 단계(S116)가 진행되어 충격 흡수 패드(100)가 제조되며, 결합부를 통과한 충격 흡수 패드(100)는 압착부로 이송된다. 충격 흡수 패드(100)는 압착부를 통과하며 일정 압력으로 가압되어 시트지(120)가 폐인조잔디에 압착되는 제1압착 단계(S117) 이후, 본 발명의 인조잔디 시스템에 적용되는 충격 흡수 패드(100)가 완성된다.
<제 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시스템의 정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조잔디 시스템은 아래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충격 흡수 패드(500), 규사층(600), 충전재층(700), 인조잔디층(800)으로 형성된다.
충격 흡수 패드(500)는 이용자가 인조잔디를 이용할 때 받는 충격을 흡수하여 이용자가 운동을 하거나 보행을 할 때 피로하지 않도록 하며, 본 발명의 충격 흡수 패드(500)는 수명이 다한 폐인조잔디를 이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라는 효과가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규사층(600)은 인조잔디를 형성하는 각각의 파일 사이에 규사가 포설되는 것으로, 규사는 규석을 잘게 부순 모래를 뜻한다. 규사는 비중이 높아 무겁고 마모가 안 되며, 복원력이 좋아 먼지 발생이 적기 때문에 인조잔디 시스템이 시공될 때 필수적으로 일정 두께 이상 포설되어야 하며, 브러싱 장비를 이용하여 규사가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한다.
규사층(600)의 상면에는 충전재가 도포되어 소정 두께의 충전재층(700)을 형성한다. 충전재층(700)은 인조잔디를 형성하는 파일의 직립도를 향상시키고, 탄성을 제공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가 있으며, 파일의 수명을 연장시켜 준다는 효과가 있다.
인조잔디층(800)은 복수의 소정 길이를 갖는 파일이 충격 흡수 패드(500)에 식재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천연잔디를 대체하기 위해 합성섬유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크게 네 개의 층으로 본 발명의 인조잔디 시스템이 형성되며, 충격 흡수 패드(500)는 폐인조잔디를 재활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폐기물이 배출되지 않아 친환경적인 인조잔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시스템에 사용되는 충격 흡수 패드의 정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인조잔디의 매트(510)에 식재된 폐인조잔디 파일(511)이 심하게 마모되었거나 폐인조잔디 파일(511)의 상태가 아래로 휘어 바닥면에 거의 붙었을 경우 및 폐인조잔디 파일(511)의 길이가 너무 길 경우에는 공극(512)이 불규칙적으로 형성되거나 아예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충격 흡수 성능을 만족하는 충격 흡수 패드(500)로 제조하기에는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인조잔디 파일(511) 사이에 충전재가 도포되어 폐인조잔디 파일(511)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층(530)이 형성된다. 지지층(530)이 형성된 후, 브러싱 장비에 의해 폐인조잔디 파일(511)이 한 방향을 향하도록 정렬된 후, 폐인조잔디의 파일(511)에 시트지(520)가 부착되어 충격 흡수 패드(500)가 제조된다.
이때, 폐인조잔디의 매트(510)에 충전재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지지층(530)은 새로운 충전재가 아닌 폐인조잔디가 수거될 때 제거된 충전재를 다시 사용하기 때문에 재활용률을 더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시스템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의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조잔디층(800)에 압력이 가해지면 충격 흡수 패드(500)의 폐인조잔디 파일(511) 사이에 형성된 공극(512)이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이 제거되면 폐인조잔디 파일(511)의 탄성에 의해 원래 모습으로 복구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시스템 제조 방법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폐인조잔디 수거 단계(S200), 제2충격 흡수 패드 제조 단계(S210), 제2인조잔디 파일 식재 단계(S220), 제2규사층 형성 단계(S230) 및 제2충전재층 형성 단계(S240)를 포함한다.
먼저 포설된 폐인조잔디가 수거 장비에 의해 수거되는 제2폐인조잔디 수거 단계(S200)가 진행된다. 제2폐인조잔디 수거 단계(S200)에서 폐인조잔디에 포설된 규사와 충전재가 대부분 제거되며, 이때 제거된 규사와 충전재는 따로 구분하여 보관된다. 규사와 충전재가 제거된 폐인조잔디는 권취되어 운반 수단에 의해 운반되어 수거된다.
이후, 제2폐인조잔디 수거 단계(S200)에서 수거된 폐인조잔디를 이용하여 충격 흡수 패드(500)를 제조하는 제2충격 흡수 패드 제조 단계(S210)가 진행된다. 충격 흡수 패드(500)는 수거된 폐인조잔디의 파일(511) 상면에 시트지(520)가 융착되어 제조된다. 충격 흡수 패드(500)가 제조되는 방법은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시트지(520)는 PE, PP, PET 등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표면이 메쉬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실시예에 따른 폐인조잔디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폐인조잔디 파일(511)이 심하게 마모되었거나, 폐인조잔디 파일(511)이 브러싱 장비를 이용하여 정렬해도 바닥면을 향해 휘거나 폐인조잔디 파일(511)의 길이가 긴 경우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형태로 폐인조잔디 파일(511)이 일 방향을 향해 정렬되도록 해야 한다. 이는 도 10의 충격 흡수 패드 제조 방법 순서도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2충격 흡수 패드 제조 단계(S210)에 의해 폐인조잔디 파일(511)에 시트지(520)가 융착되어 충격 흡수 패드(500)가 형성되면 충격 흡수 패드(500)에 새 인조잔디 파일이 식재되는 제2인조잔디 파일 식재 단계(S220)가 진행된다. 시트지(520)가 메시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새로운 인조잔디 파일(810)이 용이하게 식재될 수 있으며, 인조잔디 파일(810)의 하단은 폐인조잔디의 매트(510)에 식재된 폐인조잔디 파일(511)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구조의 인조잔디 시스템을 제조할 수 있다.
제2인조잔디 파일 식재 단계(S220) 이후, 새로운 인조잔디 파일(810) 사이에 규사가 소정 높이 도포되어 규사층(600)이 형성되는 제2규사층 형성 단계(S230)가 진행되고, 규사층(600)의 상면에 형성되며, 새로운 인조잔디 파일(810) 사이에 충전재가 소정 높이 도포되어 충전재층(700)이 형성되는 제2충전재층 형성 단계(S240)가 진행된다. 이때, 규사와 충전재가 인조잔디 파일(810) 사이에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브러싱 장비에 의해 브러싱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제2충전재층 형성 단계(S240) 이후 본 발명의 인조잔디 시스템이 완성되며, 완성된 인조잔디 시스템은 시공 장소로 운반되어 시공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시스템의 충격 흡수 패드 제조 방법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선처리 단계(S211), 지지층 형성 단계(S212), 제2브러싱 단계(S213), 제2결합부 제어 단계(S214), 제2압착부 제어 단계(S215), 제2폐인조잔디 및 시트지 공급 단계(S216), 제2합지 단계(S217) 및 제2압착 단계(S218)를 포함한다.
자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충격 흡수 패드(500)가 제조되는 장비에 대해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폐인조잔디(510)가 권취되는 폐인조잔디 공급부와 시트지(520)가 권취되는 시트지 공급부 및 폐인조잔디와 시트지(520)를 공급받으며 시트지(520)가 폐인조잔디의 파일(511)에 열융착되도록 하는 히팅 롤러를 포함하는 결합부가 있고, 결합부를 통과한 시트지(520)가 융착되어 합지된 폐인조잔디를 롤러가 회전하며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여 시트지(520)가 폐인조잔디에 압착되도록 하는 압착부를 포함한다.
제2폐인조잔디 수거 단계(S200) 이후, 제2선처리 단계(S211)가 진행된다. 제2선처리 단계(S211)는 폐인조잔디의 매트(510)에 잔존하는 규사나 충전재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대부분의 규사와 충전재는 제2폐인조잔디 수거 단계(S200)에서 제거되나, 혹여 잔존하는 규사나 충전재가 있을 경우, 별도의 흡입 장비나 브러싱 장비에 의해 규사와 충전재가 제거된다. 따라서, 제2선처리 단계(S211)는 작업 환경에 따라 진행될 수도 있고, 진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2폐인조잔디 수거 단계(S200) 또는 제2선처리 단계(S211) 이후, 지지층 형성 단계(S212)가 진행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폐인조잔디의 매트(510)는 심하게 마모되었거나 폐인조잔디 파일(511)의 상태가 아래로 휘어 브러싱 장비에 의해 정렬되어도 한 방향을 향하지 않고 바닥면을 향하여 처치는 형태 또는 폐인조잔디 파일(511)의 길이가 너무 긴 형태로, 폐인조잔디 파일(511)이 소정 각도를 유지하며 일 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폐인조잔디 파일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층(530)이 형성되는 지지층 형성 단계(S212)가 진행되어야 한다.
지지층 형성 단계(S212)는 폐인조잔디의 매트(510)에 식재된 폐인조잔디 파일(511) 사이에 충전재를 도포하는 것으로, 폐인조잔디의 매트(510)에 식재된 폐인조잔디 파일(511) 사이에 충전재가 소정 높이 도포되어 폐인조잔디 파일(511)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층 형성 단계(S212) 이후, 브러싱 장비에 의해 폐인조잔디의 매트(510)에 식재된 폐인조잔디 파일(511)이 한 방향을 향하도록 정렬되는 제2브러싱 단계(S213)가 진행된다.
브러싱 장비를 이용하여 폐인조잔디의 매트(510)에 식재된 폐인조잔디 파일(511)이 한 방향을 향하도록 정렬된다. 제2브러싱 단계(S213) 이후, 폐인조잔디 파일(511)의 길이, 상태, 배열 간격과 외부 온도, 습도 등을 고려하여 결합부와 압착부가 제어되는 제2결합부 제어 단계(S214)와 제2압착부 제어 단계(S215)가 진행된다.
제2결합부 제어 단계(S214)에서 폐인조잔디 공급부 및 시트지 공급부의 폐인조잔디와 시트지(520)를 공급하는 속도가 제어되며, 히팅 롤러의 온도와 히팅 롤러 사이 간격 및 히팅 롤러의 회전 속도가 제어된다. 제2압착부 제어 단계(S215) 또한 마찬가지로 롤러 형태의 압착부의 온도, 롤러 사이 간격 및 회전 속도가 조절된다. 본 발명의 히팅 롤러와 압착부는 롤러 사이 간격이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폐인조잔디 파일(511)의 길이나 형태에 따라 롤러 사이 간격이 다르게 조절되어 충격 흡수 성능을 만족하는 충격 흡수 패드(500)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결합부 제어 단계(S214)와 제2압착부 제어 단계(S215) 이후, 제2폐인조잔디 및 시트지 공급 단계(S216)가 진행된다. 폐인조잔디 공급부로부터 히팅 롤러로 폐인조잔디가 공급되고, 시트지 공급부로부터 히팅 롤러로 시트지(520)가 공급된다. 이때, 시트지(520)는 폐인조잔디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공급되어야 한다.
폐인조잔디와 시트지(520)가 히팅 롤러를 통과하며 시트지(520)가 히팅 롤러의 열에 의해 폐인조잔디의 매트(510)에 열융착되는 제2합지 단계(S217)가 진행되어 충격 흡수 패드(500)가 제조되며, 결합부를 통과한 충격 흡수 패드(500)는 압착부로 이송된다. 충격 흡수 패드(500)는 압착부를 통과하며 일정 압력으로 가압되어 시트지(520)가 폐인조잔디의 매트(510)에 고정되는 제2압착 단계(S218) 이후, 본 발명의 인조잔디 시스템에 적용되는 충격 흡수 패드(500)가 완성된다.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인조잔디 시스템의 충전재층(300, 700) 및 지지층(530)을 형성하는 충전재는 폐인조잔디를 수거할 때 폐인조잔디로부터 제거된 충전재가 재사용되거나 코르크, 코코넛 껍질, SEBS공중합체 등으로 제작된 충전재가 사용되어 보다 폐인조잔디의 매트를 충격 흡수 패드로 재활용하는 것 외에도 친환경적인 인조잔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충격 흡수 패드(100, 500)의 두께는 폐인조잔디 파일(111, 511)의 길이, 상태 등에 따라 변경되어 공극이 적절히 형성되도록 해 충격 흡수 성능을 만족해야 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폐인조잔디의 매트(110, 510)에 식재된 각 폐인조잔디 파일(111, 511)은 상태가 서로 다르다. 다시 말해, 바닥면을 향하여 상대적으로 많이 휜 파일도 있고, 바닥면을 향하여 상대적으로 적게 휜 파일도 있다.
파일이 일 방향을 향하도록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브러싱 단계(S112) 및 제2브러싱 단계(S213)가 진행되기는 하지만 전체 파일이 동일한 높이로 정렬되지는 않기 때문에 폐인조잔디의 매트(110, 510)에 식재된 일부 폐인조잔디 파일(111, 511)만 시트지(120, 520)와 결합된다.
이는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면적의 폐인조잔디의 매트(110, 510)에 식재된 모든 폐인조잔디 파일(111, 511)을 100이라고 가정하였을 때, 약 30~70 범위의 폐인조잔디 파일(111, 511)이 시트지(120, 520)와 결합된다. 30 이하로 결합될 경우에는 폐인조잔디와 시트지(120, 520) 간의 결합력이 낮아짐에 따라 내구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충격 흡수 패드(100, 500)는 최소 10(
Figure 112022021766099-pat00001
) 이상의 하중에 대해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되어 폐인조잔디와 시트지(120, 5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전체가 100이라고 가정한 폐인조잔디 파일(111, 511) 중 최소 30의 폐인조잔디 파일(111, 511)이 시트지(120, 520)와 결합되어야 한다.
반면, 70 이상으로 결합될 경우에는 많은 폐인조잔디 파일(111, 511)과 시트지(120, 520)가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충격 흡수 패드(100, 500)의 두께가 얇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충격 흡수 패드(100, 500)에 공극이 적게 형성되기 때문에 충격 흡수 성능을 만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폐인조잔디의 매트(110, 510)에 식재된 전체 폐인조잔디 파일(111, 511) 중 30~70 범위 내의 폐인조잔디 파일(111, 511)이 시트지(120, 520)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인조잔디 파일(111, 511)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10mm~40mm 사이로 형성되며,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인조잔디 파일(111, 511)의 일측 측면에 시트지(120, 520)가 부착된다. 폐인조잔디 파일(111, 511) 측면의 면적을 100%이라고 하였을 때, 30~70%의 면적에 시트지(120, 520)가 부착되어 충격 흡수 패드(100, 500)가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범위 또한 마찬가지로 30% 이하로 결합될 경우에는 폐인조잔디 파일(111, 511)과 시트지(120, 520) 간의 결합력이 낮아짐에 따라 내구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충격 흡수 패드(100, 500)는 최소 5(
Figure 112022021766099-pat00002
) 이상의 하중에 대해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되어 폐인조잔디의 매트(110, 510)와 시트지(120, 5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폐인조잔디 파일(111, 511)의 일측 측면 면적 100% 중 최소 30%의 폐인조잔디 파일(111, 511)이 시트지(120, 520)와 결합되어야 한다.
반면, 70% 이상으로 결합될 경우에는 많은 폐인조잔디 파일(111, 511)이 거의 누워야 하기 때문에 충격 흡수 패드(100, 500)의 두께가 얇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충격 흡수 패드(100, 500)에 공극이 적게 형성되기 때문에 충격 흡수 성능을 만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폐인조잔디의 매트(110, 510)에 식재된 폐인조잔디 파일(111, 511)의 측면 면적 중 30~70% 범위 내의 면적이 시트지(120, 520)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인조잔디와 인조잔디의 연결시 박리강도 시험방법으로 연결 부위의 박리강도를 시험하며 시험체는 파일(13)의 측면 면적 100%이라 하였을 때 20%, 25%, 30%, 35%, 40%의 면적으로 시트지(20)에 부착된 최소 폭100mm, 길이 150mm 부분을 절단하여 시험체를 각각 5개씩 준비하고. 준비된 각각의 시험체를 파일(13)과 시트지(20)가 접착된 부분을 각각 장비에 연결하여 100mm/min 속도로 5(
Figure 112022021766099-pat00003
)의 하중을 가하였을 때 파일(13)과 시트지(20)가 접착된 부분간의 탈락 발생 여부를 측정하였다.
측정횟수 20% 25% 30% 35% 40%
1회 탈락 탈락 부착 부착 부착
2회 탈락 부착 부착 부착 부착
3회 탈락 탈락 부착 부착 부착
4회 탈락 탈락 부착 부착 부착
5회 탈락 부착 부착 부착 부착
이처럼 상기 실시예에서 25%의 경우 탈락이 3회, 부착이 2회이고, 30% 이상에서는 탈락이 없음이 확인이 되어, 파일(13)의 측면 면적 중 30% 이상의 면적이 시트지(20)에 부착되면 내구성이 확보될 수 있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의 충격 흡수 패드 제조 시스템은 별도의 촬영부나 스캔부가 더 구비되어 폐인조잔디가 촬영부로 촬영되거나 스캔부로부터 스캔된 정보를 기반으로 충격 흡수 패드(100, 500)의 적절한 두께 값이 도출되고, 도출된 두께 값을 기반으로 히팅 롤러 사이 거리와 압착부의 롤러 사이 거리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인조잔디 시스템의 충격 흡수 패드 확대 정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지(120, 520)의 상면에 메쉬 망(130, 540)이 결합될 수 있다. 폐인조잔디 파일(112, 512)과 결합되는 시트지(120, 520)는 매우 얇기 때문에 시트지(120, 520)의 상면에 메쉬 망(130, 540)이 결합되어 충격 흡수 패드(100, 50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 망(130, 540)이 시트지(120, 520)의 하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 500 충격 흡수 패드
200, 600 규사층
300, 700 충전재층
400, 800 인조잔디층
410, 810 인조잔디 파일
110, 510 폐인조잔디의 매트
111, 511 폐인조잔디 파일
112, 512 공극
120, 520 시트지
130, 540 메쉬 망
530 지지층

Claims (12)

  1. 수명이 다하여 수거된 폐인조잔디로 형성되되, 상기 폐인조잔디의 매트에 식재된 폐인조잔디의 파일에 시트지가 열융착되어 형성된 충격 흡수 패드;
    상기 충격 흡수 패드의 상면에 설치되는 인조잔디;
    상기 인조잔디의 파일 사이에 규사가 소정 두께를 갖도록 도포되는 규사층; 및
    상기 규사층의 상면에 충전재가 소정 두께를 갖도록 도포되는 충전재층;을 포함하며,
    상기 충격 흡수 패드는,
    복수의 폐인조잔디 파일이 식재되며, 상기 폐인조잔디 파일이 브러싱 장비에 의해 한 방향을 향하도록 정렬된 매트 및
    상기 폐인조잔디의 파일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폐인조잔디의 파일에 열융착되어 상기 매트와 합지되는 시트지를 포함하며,
    상기 폐인조잔디의 파일과 상기 시트지가 히팅 롤러를 통과하면서 상기 폐인조잔디의 파일 상부에 상기 시트지가 열융착됨에 따라 상기 폐인조잔디의 파일에 의해 상기 폐인조잔디의 매트와 상기 시트지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고,
    상기 폐인조잔디의 매트와 상기 시트지 사이에 형성된 공극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 패드는,
    상기 폐인조잔디의 매트와 시트지 사이에 형성된 공극에는 상기 폐인조잔디로부터 수거된 충전재, 천연 소재 충전재 및 SEBS공중합체로 형성된 충전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재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지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메쉬 망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지는,
    열가소성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시스템.
  6. 수명이 다한 폐인조잔디가 수거 장비에 의해 수거되는 폐인조잔디 수거 단계;
    수거된 상기 폐인조잔디의 파일 상부에 시트지를 열융착으로 부착하여 충격 흡수 패드를 제조하는 충격 흡수 패드 제조 단계;
    상기 충격 흡수 패드 제조 단계에서 제조된 충격 흡수 패드의 상면에 복수의 인조잔디 파일이 식재된 인조잔디를 설치하는 인조잔디 설치 단계;
    상기 인조잔디 설치 단계에서 설치된 인조잔디의 파일 사이에 규사를 도포하여 소정 높이의 규사층을 형성하는 규사층 형성 단계; 및
    상기 규사층 형성 단계에서 형성된 규사층의 상부에 충전재를 도포하여 인조잔디의 파일 사이에 소정 높이의 충전재층을 형성하는 충전재층 형성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 흡수 패드 제조 단계는,
    상기 충격 흡수 패드에 식재된 상기 폐인조잔디의 파일을 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브러싱 장비로 정렬하는 브러싱 단계,
    상기 폐인조잔디의 파일 상부에 시트지를 위치시켜 폐인조잔디와 시트지를 히팅 롤러에 공급하는 폐인조잔디 및 시트지 공급 단계,
    상기 히팅 롤러를 통과하면서 상기 폐인조잔디의 파일 상부가 시트지에 열융착되어 합지되는 합지 단계 및
    상기 폐인조잔디의 파일 상부에 시트지가 열융착에 의해 합지된 충격 흡수 패드에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여 상기 시트지에 상기 폐인조잔디의 파일이 압착되도록 하는 압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시스템 제조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폐인조잔디의 매트에 식재된 전체 폐인조잔디의 파일 중 30%~70%의 폐인조잔디의 파일이 시트지에 열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시스템 제조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층 형성 단계에서 충전되는 충전재는,
    상기 폐인조잔디의 매트로부터 제거된 충전재, 천연 소재 충전재 및 SEBS공중합체로 형성된 충전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재가 도포되어 충전재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시스템 제조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폐인조잔디의 매트 및 시트지 공급 단계는,
    상기 폐인조잔디의 매트와 시트지 사이에 메쉬 망이 추가되거나,
    상기 시트지의 상면에 메쉬 망이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시스템 제조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 패드 제조 단계는,
    상기 폐인조잔디의 매트와 시트지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에 상기 폐인조잔디로부터 수거된 충전재, 천연 소재 충전재 및 SEBS공중합체로 형성된 충전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재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시스템 제조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폐인조잔디 수거 단계는,
    상기 폐인조잔디에 충전되어 있는 충전재를 제거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시스템 제조 방법.
KR1020220025338A 2022-02-25 2022-02-25 폐인조잔디로 제작된 충격 흡수 패드가 적용된 인조잔디 시스템 및 제조 방법 KR102437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338A KR102437783B1 (ko) 2022-02-25 2022-02-25 폐인조잔디로 제작된 충격 흡수 패드가 적용된 인조잔디 시스템 및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338A KR102437783B1 (ko) 2022-02-25 2022-02-25 폐인조잔디로 제작된 충격 흡수 패드가 적용된 인조잔디 시스템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7783B1 true KR102437783B1 (ko) 2022-08-29

Family

ID=83113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338A KR102437783B1 (ko) 2022-02-25 2022-02-25 폐인조잔디로 제작된 충격 흡수 패드가 적용된 인조잔디 시스템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77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785B1 (ko) * 2022-11-02 2023-09-20 주식회사 폴리그라스코리아 충격흡수패드층이 일체로 구성되어 자기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인조잔디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 인조잔디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6102A (ja) * 2011-10-31 2013-05-20 Sekisui Jushi Co Ltd 人工芝生の敷設構造及び人工芝生のリニューアル方法
KR20140147992A (ko) * 2013-06-21 2014-12-31 주식회사 세주 충격흡수패드, 이를 포함하는 잔디 구조체 및 포장체
KR20200030996A (ko) * 2018-09-13 2020-03-23 현대케미칼 주식회사 인조잔디구장용 언더매트 제조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언더매트
KR102306157B1 (ko) * 2021-06-25 2021-09-28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골프연습용 매트, 그 골프연습용 매트에 적용되는 충격 흡수판 생산시스템 및 그 생산시스템을 이용한 충격흡수판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6102A (ja) * 2011-10-31 2013-05-20 Sekisui Jushi Co Ltd 人工芝生の敷設構造及び人工芝生のリニューアル方法
KR20140147992A (ko) * 2013-06-21 2014-12-31 주식회사 세주 충격흡수패드, 이를 포함하는 잔디 구조체 및 포장체
KR101484964B1 (ko) 2013-06-21 2015-01-21 주식회사 세주 충격흡수패드, 이를 포함하는 잔디 구조체 및 포장체
KR20200030996A (ko) * 2018-09-13 2020-03-23 현대케미칼 주식회사 인조잔디구장용 언더매트 제조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언더매트
KR102306157B1 (ko) * 2021-06-25 2021-09-28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골프연습용 매트, 그 골프연습용 매트에 적용되는 충격 흡수판 생산시스템 및 그 생산시스템을 이용한 충격흡수판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785B1 (ko) * 2022-11-02 2023-09-20 주식회사 폴리그라스코리아 충격흡수패드층이 일체로 구성되어 자기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인조잔디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 인조잔디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318B1 (ko) 인조잔디 구조체
KR102437783B1 (ko) 폐인조잔디로 제작된 충격 흡수 패드가 적용된 인조잔디 시스템 및 제조 방법
CN100551690C (zh) 弹性地板衬垫及其制作方法
US7279212B2 (en) Playing surface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of a playing surface
JP4925813B2 (ja) 人工芝床材及び敷設方法
EP1464756A2 (en)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construction of playing surfaces
US11131068B2 (en) Shock pad for synthetic turf and methods for making same
CA1303084C (en) Sporting surfaces
JP4502400B2 (ja) 人工芝充填用粒状物および同人工芝充填用粒状物を充填してなる人工芝構造体
AU7251494A (en) Mechanical transfer ceramic panel
CA2705460A1 (en) Method for recycling floor coverings
JP2012021315A (ja) 複合防水シート、床版防水構造、及び床版防水構造の施工方法
KR102437785B1 (ko) 폐인조잔디를 이용한 충격 흡수 패드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NO178669B (no) Fremgangsmåte til armering av en partikkelholdig struktur, særlig en belagt flate
CN213507881U (zh) 一种路面网裂贴
CN106498848B (zh) 一种常温灌注式桥梁无缝式伸缩缝及其施工方法
KR102065889B1 (ko) 인조잔디용 또는 놀이터용 충격흡수패드
EP3814573A1 (en) Artificial turf field apparatus and methods
CN104594604A (zh) 镶嵌粘接复合型弹性橡胶地砖及其铺设、更换的方法
US20170319943A1 (en) Artificial turf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KR101973489B1 (ko) 열차단성을 구비하는 인조잔디 구조체와 그 제조방법
KR20140063960A (ko) 인조잔디용 충진재
JP5745373B2 (ja) 弾性舗装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607194B1 (ko) 직포와 부직포를 결합한 도로 임시포장용 매트
SK12442000A3 (sk) Spôsob a zariadenie na prípravu vlákna tvoriaceho rastový prostriedok, prostriedok na rast rastlín a jeho použit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