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648B1 - 차량용 헤드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648B1
KR101483648B1 KR20090040175A KR20090040175A KR101483648B1 KR 101483648 B1 KR101483648 B1 KR 101483648B1 KR 20090040175 A KR20090040175 A KR 20090040175A KR 20090040175 A KR20090040175 A KR 20090040175A KR 101483648 B1 KR101483648 B1 KR 101483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sliding groove
vehicle
connecting member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40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1153A (ko
Inventor
김윤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90040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648B1/ko
Publication of KR20100121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2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headlamps
    • B60Q2200/30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headlamps, e.g.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s for adjusting the lamps
    • B60Q2200/32Ball-joint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품수가 절감되고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는 차량용 헤드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 상기 리플렉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리플렉터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리플렉터를 회전시키는 슬라이딩홈부가 형성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를 제공한다.
차량, 자동차, 헤드램프, 리플렉터, 프레임

Description

차량용 헤드램프 {HEAD LAMP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품수가 절감되고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는 차량용 헤드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헤드램프의 광원으로는 할로겐램프나 가스방전식 램프를 주로 사용하여 왔다.
할로겐램프의 경우 색온도가 3200K 정도로 약간 붉은 색 계열을 띠고, 수명도 최고 1000시간 이내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필드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비교할 때 가스방전식 램프의 경우 색온도가 약 4300K정도로 백색에 가깝고, 수명이 오래가기 때문에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고급차량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백색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의 경우 색온도가 약 5500K로 태양광에 가까워 사람의 눈에 피로를 가장 적게 해주므로 최근 차량의 헤드램프 광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LED의 경우 사이즈를 최소화함으로서 램프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인 수명으로 인해 경제성도 갖추고 있다.
최근에는 적응형 전방 조명 시스템(AFLS; 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이 채용되면서 램프 내부에 구동장치가 설치되므로 차량의 진행 방향에 따라 빛이 조사되는 방향이 가변되어 야간 운행 시에 운전자의 시야를 명확하게 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는 적응형 전방 조명 시스템(AFLS)을 이루기 위해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구동부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리플렉터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전달부가 구비되기 때문에 부품수를 절감하기 어렵고,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부품수를 절감하고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헤드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 상기 리플렉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리플렉터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리플렉터를 회전시키는 슬라이딩홈부가 형성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리플렉터에는 상기 슬라이딩홈부에 삽입되는 구동축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의 단부에는 구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동부는 직선 운동되며 출몰되는 암을 구비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암의 단부에는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곡면부가 결합되는 안착부; 및 상기 구면부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곡선형상의 슬라이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안착부는, 상기 안착부가 일부분 절개되어 이루어지는 탄성부; 및 상기 곡면부를 가압하는 탄성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슬라이딩홈부는 각각 다른 방향으로 절곡되는 곡선이 연속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는 구동부의 동력을 리플렉터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연결부재가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베어링 부재 없이 구동부의 동력을 리플렉터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어 부품수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는 곡선형의 슬라이딩홈부가 형성된 연결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슬라이딩홈부의 형상을 가변시켜 구동부의 장착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고, 슬라이딩홈부의 형상을 가변시켜 회전되는 리플렉터의 회전각도 및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야간 주행 시에 운전자의 시야를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연결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는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광원(미도시)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30)와, 리플렉터(3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50)와, 리플렉터(30)와 구동부(50) 사이에 구비되고, 리플렉터(30)를 회전시키는 슬라이딩홈 부(78)가 형성되는 연결부재(70)를 포함한다.
리플렉터(30)는 상단에 제1결합부(32)가 형성되고, 하단에 제2결합부(34)가 형성되므로 프레임(10)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결합부(34)와 소정 거리 떨어진 하부에 구동축(36)이 형성되어 슬라이딩홈부(78)에 삽입된다.
따라서 구동부(50)에 의해 구동축(36)이 이동되면 리플렉터(30)는 제1결합부(32) 및 제2결합부(34)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차량의 진행 방향에 따라 헤드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방향이 가변되는 적응형 전방 조명 시스템(AFLS)을 이루게 된다.
구동축(36)의 단부에는 구면부(38)가 형성되므로 슬라이딩홈부(78) 내벽과 접촉되는 면적이 축소되므로 슬라이딩홈부(78)에 삽입되는 구동축(36)이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게 된다.
구동부(50)는 직선 운동되며 출몰되는 암(52)을 구비하는 모터를 포함하므로 모터의 구동에 의해 암(52)이 출몰되면 연결부재(70)를 암(52)이 출몰되는 방향으로 직선 운동되게 하여 슬라이딩홈부(78)에 삽입된 구동축(36)이 슬라이딩홈부(78)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리플렉터(30)가 회전되게 한다.
또한, 암(52)의 단부에는 곡면부(54)가 형성되므로 후술될 연결부재(70)의 안착부(72) 내부로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70)는 곡면부(54)가 결합되는 안착부(72)와, 구면부(38)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곡선형상의 슬라이딩홈부(78)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부(50)의 암(52)을 안착부(72)에 결합하고, 리플렉터(30)의 구동 축(36)을 슬라이딩홈부(78)에 삽입함으로써, 구동부(50)와 리플렉터(30)의 연결을 이룰 수 있으므로 베어링과 같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안착부(72)는 안착부(72)가 일부분 절개되어 이루어지는 탄성부(74)와, 곡면부(54)를 가압하는 탄성돌기(76)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부(50)의 암(52)을 안착부(72)에 삽입하면 암(52)의 곡면부(54)가 안착부(72)를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어 탄성부(74)가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고, 탄성돌기(76)가 외측 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암(52)이 안착부(72) 내부에 삽입된다.
암(52)의 삽입이 완료되면 탄성부(74) 및 탄성돌기(76)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곡면부(54)에 밀착되어 암(52)과 연결부재(7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슬라이딩홈부(78)는 각각 다른 방향으로 절곡되는 곡선이 연속되게 배치되어 'S'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구동부(50)가 연결부재(70)를 당기면 구동축(36)이 연결부재(70)의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리플렉터(30)를 회전시키고, 구동부(50)가 연결부재(70)를 밀면 구동축(36)이 연결부재(70)의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리플렉터(30)를 회전시키게 된다.
슬라이딩홈부(78)의 형상에 따라 구동부(50)가 설치되는 위치가 가변될 수 있으므로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되고, 슬라이딩홈부(78)의 형상과 구동부(50)의 위치를 가변시켜 회전하는 리플렉터(30)의 회전각도 및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설계자가 원하는 적응형 전방 조명 시스템(AFLS)을 용이하 게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라이딩홈부(78)의 형상은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슬라이딩홈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야간 주행 시에 운전자가 핸들을 조작하여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왼쪽으로 전환시키면 암(52)이 모터 측으로 삽입되도록 구동부(50)가 작동되어 연결부재(70)를 당기게 되므로 구동축(36)의 구면부(38)가 슬라이딩홈부(78)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구동부(50)와 먼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리플렉터(30)는 제1연결부(32) 및 제2연결부(34)를 중심으로 좌측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왼쪽으로 진행하는 차량의 운전자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차량의 진행 방향이 오른쪽으로 전환되면 암(52)이 모터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동부(50)가 작동되어 연결부재(70)를 밀게 되므로 구동축(36)의 구면부(38)가 슬라이딩홈부(78)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구동부(50)와 가까운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리플렉터(30)는 제1연결부(32) 및 제2연결부(34)를 중심으로 우측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차량의 운전자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부품수를 절감하고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헤드램 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차량용 헤드램프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차량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헤드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연결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30 : 리플렉터
50 : 구동부 70 : 연결부재

Claims (6)

  1.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
    상기 리플렉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리플렉터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리플렉터를 회전시키는 슬라이딩홈부가 형성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리플렉터에는 상기 슬라이딩홈부에 삽입되는 구동축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의 단부에는 구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직선 운동되며 출몰되는 암을 구비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암의 단부에는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곡면부가 결합되는 안착부; 및
    상기 구면부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곡선형상의 슬라이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안착부가 일부분 절개되어 이루어지는 탄성부; 및
    상기 곡면부를 가압하는 탄성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홈부는 각각 다른 방향으로 절곡되는 곡선이 연속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KR20090040175A 2009-05-08 2009-05-08 차량용 헤드램프 KR101483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40175A KR101483648B1 (ko) 2009-05-08 2009-05-08 차량용 헤드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40175A KR101483648B1 (ko) 2009-05-08 2009-05-08 차량용 헤드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153A KR20100121153A (ko) 2010-11-17
KR101483648B1 true KR101483648B1 (ko) 2015-01-16

Family

ID=43406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40175A KR101483648B1 (ko) 2009-05-08 2009-05-08 차량용 헤드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6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347B1 (ko) * 2012-04-02 2014-05-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헤드램프 장치
KR102007248B1 (ko) * 2013-04-08 2019-08-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
KR101696688B1 (ko) * 2013-12-27 2017-01-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
CN116601430A (zh) * 2021-02-26 2023-08-15 华域视觉科技(上海)有限公司 调光机构、车灯模组、车灯及车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547B1 (ko) 1999-12-17 2002-10-19 주식회사 미래 차량의 회전 전조등 작동장치
JP2005285509A (ja) * 2004-03-29 2005-10-13 Stanley Electric Co Ltd 灯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547B1 (ko) 1999-12-17 2002-10-19 주식회사 미래 차량의 회전 전조등 작동장치
JP2005285509A (ja) * 2004-03-29 2005-10-13 Stanley Electric Co Ltd 灯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153A (ko)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521456U (zh) 车辆照明总成
CN101251234B (zh) 发光二极管自适应前照明系统
CN205706384U (zh) 一种电机式光型变换驱动装置
CN205417342U (zh) 一种车灯远近光切换装置
US8118460B2 (en) Motorcycle headlamp
US7478933B2 (en) Vehicle lamp
KR101483648B1 (ko) 차량용 헤드램프
JP6991429B2 (ja) 鞍乗型車両のヘッドランプ装置
US20130141930A1 (en) Vehicular headlamp
JP2017202712A (ja) 乗物用のヘッドランプ装置
JP5658016B2 (ja) 車両用灯具
KR101704131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KR101621077B1 (ko) 차량용 램프
JP2007137236A (ja) トラクタの照明装置
KR101354099B1 (ko) 광원모듈
JP6079598B2 (ja) 車両用前照灯
CN207880732U (zh) 一种led远近光用切换器以及远近光一体式车灯
KR101396868B1 (ko) 차량의 적응형 전방 조명장치
KR101365951B1 (ko) 차량용 헤드램프
TW200827201A (en) Light
CN102798086B (zh) 一种旋转式调光机构
JP6918899B2 (ja) 車輌用灯具ユニット
CN206141419U (zh) 一种电机式光型变换装置
TWM348709U (en) Car lamp with adjustable illumination angle
JP5817336B2 (ja) 車両用前照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