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357B1 - 열수축 접착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수축 접착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357B1
KR101483357B1 KR20130031927A KR20130031927A KR101483357B1 KR 101483357 B1 KR101483357 B1 KR 101483357B1 KR 20130031927 A KR20130031927 A KR 20130031927A KR 20130031927 A KR20130031927 A KR 20130031927A KR 101483357 B1 KR101483357 B1 KR 101483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heat
methacrylate
pigment
vi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1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7063A (ko
Inventor
이승석
손병삼
엄임용
Original Assignee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31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357B1/ko
Publication of KR20140117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heat-activatable, i.e. not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금속 캔 몸체에 인쇄 필름을 부착시키는 공정에서, 공정 효율이 우수하고 공정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인쇄문양의 변형이 없고 후속 공정에서 필름 부착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접착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튜브 형태로 가공되어 금속 캔 몸체 외부에서 열수축시켜 접착되는 방식으로 사용하기 위한 열수축 접착용 필름으로,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 일면에 형성된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에 형성되어 열수축 시 상기 캔 몸체 외부에 접착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열수축 접착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열수축 접착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THERMAL SHRINKABLE ADHESIVE FILM AND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열수축 접착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캔 몸체 외부에 접착되는 인쇄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캔은 식품을 장기간 보존하기 위해 사용하는 밀봉 가능한 금속 용기로서 주로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 주석도금강판 등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캔은 형태에 따라 2 피스 캔(2 piece can)과 3 피스 캔(3 piece can)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2 피스 캔은 몸체와 상부 뚜껑으로 구성되고, 3 피스 캔은 몸체와 상부 뚜껑 및 하부 뚜껑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2 피스 캔은 통상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금속판을 컵 모양으로 성형하고, 컵의 벽면을 인장하여 몸체를 성형한 후 세척한다. 이후, 몸체의 외면에 문양을 인쇄한 후 건조시키고, 계속하여 몸체의 내면을 도장한 후 건조시킨다. 마지막으로, 몸체에 네크플랜지를 성형한 후 포장하면 모든 공정이 완료된다.
이 경우, 몸체의 외면 인쇄 공정으로는 캔에 직접 인쇄하는 방법과, 인쇄 필름을 별도 제작하여 부착하는 방법이 있다.
구체적으로, 캔에 직접 인쇄하는 방식은 몸체 성형과 네크플랜지 성형 중간 과정에서 턴테이블을 통해 이송되는 캔 몸체에 직접 인쇄를 실시하는 것으로 현재 6~8도 인쇄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직접 인쇄 방식은 고품질, 다양한 색상 구현이 곤란하고, 인쇄 도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추가 설비비가 과도하게 소요될 뿐 아니라, 고속 인쇄시 품질이 저하되어 전체적으로 캔 성형의 공정 시간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인쇄 필름을 부착하는 방식은 라미네이트 방식과 열압착 방식으로 구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라미네이트 방식은 소정의 인쇄 패턴이 반복되어 있는 시트상 인쇄 필름을 캔 가공 전 금속 시트지에 라미네이트하고, 해당 금속 시트지를 가공될 캔 규격에 따라 절단하여 개별 금속 시트판을 형성한 후 절단된 개별 금속 시트판을 롤가공 및 용접을 통해 캔 표면에 인쇄문양을 구현하는 것으로, 이는 3 피스 캔에는 적용될 수 있으나 2 피스 캔에는 적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열압착 방식은 캔 가공 과정 중간 또는 후공정으로 일반 인쇄 필름을 맨드릴을 이용하여 캔 몸체에 물리적으로 열압착시키는 방식으로, 필름과 금속 몸체의 소재 차이로 인해 필름의 밀착도가 만족스럽지 못하기 때문에 필름상에 인쇄된 문양의 이미지가 깨끗하게 전달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에,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283434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16691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248683호 등에서는 2 피스 캔 몸체에 인쇄된 필름을 부착시키는 방법으로, 인쇄 완료된 수지 필름에 형성된 접착제층의 열접착 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해 두고, 필름 접착 장치의 맨드릴에 관착된 캔의 몸체 외면측에 인쇄 완료된 수지 필름을 접착제층 측이 캔 몸체 외면에 접촉하도록 접착 롤로 압박하여 부착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들에 개시된 방식에서는 250℃ 이상의 고온 환경을 요구하고, 접착 롤 등 별도의 압착 수단이 더 필요하여, 필름 부착 공정의 효율 및 공정 비용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플라스틱 소재 용기의 외면에 수축 필름을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방법으로, 용기에 수축 필름을 튜브 형태로 덧씌워 열수축시켜 부착시키는 방식이 알려져 있으나, 금속 캔에 대해 이와 같이 부착할 경우 소재 차이로 인해 캔 몸체와 필름 사이의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아 인쇄 이미지의 전달이 조악하고, 유통 과정에서 수분 등이 캔 몸체와 필름 사이로 침투되어 필름이 이탈되거나 필름상의 인쇄문양이 변형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내용물의 충진 중 레토르트 살균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해당 수축 필름이 추가적으로 수축되어 필름이 말려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수축 필름에 대해 요구되는 가공공차를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금속 캔 몸체에 인쇄 필름을 부착시키는 공정에서, 공정 효율이 우수하고 공정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인쇄문양의 변형이 없고 후속 공정에서 필름 부착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접착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튜브 형태로 가공되어 금속 캔 몸체 외부에서 열수축시켜 접착되는 방식으로 사용하기 위한 열수축 접착용 필름으로,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 일면에 형성된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에 형성되어 열수축 시 상기 캔 몸체 외부에 접착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열수축 접착용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 접착용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인쇄층은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 접착용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점착층은 비닐계 수지, 안료 및 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코팅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 접착용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비닐계 수지 5~50중량%, 상기 안료 2~30중량% 및 상기 용제 40~9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 접착용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비닐계 수지는 비닐계 단량체만으로 이루어진 단독 중합체, 2종 이상의 비닐계 단랑체가 조합된 공중합체 및 50중량% 이상의 비닐계 단량체와 50중량% 미만의 비닐계 단량체 이외의 중합성 모노머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 접착용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비닐계 단량체는 스티렌, 비닐톨루엔, α-메틸스티렌, α-메틸-p-메틸스티렌, 에틸스티렌, 이소부틸스티렌, t-부틸스티렌, 브로모스티렌, 클로로스티렌, 인덴, 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로니트릴,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계 화합물, 비닐아세테이트 및 프로피온산비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 접착용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안료는 백색안료 또는 투명안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 접착용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용제는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실클로헥사논, 3-메톡시프로피온산에틸, 3-에톡시프로피온산메틸 및 3-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 접착용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일면이 인쇄된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의 인쇄면에 비닐계 수지, 안료 및 용제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을 코팅하고, 70~80℃에서 5초~10분간 건조시켜 상기 열수축 접착용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캔 몸체에 인쇄 필름 부착 공정에서 점착층이 형성된 기재 필름을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저온 환경에서 열수축시켜 견고하게 접착시킴으로써, 종래 열압착 방식에 비해 공정 효율이 우수하고 기존 열수축 장비를 그대로 활용하여 공정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후속 공정에 따른 필름 이탈 내지 말림 현상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는 열수축 접착용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조성의 점착 조성물을 이용하여 인쇄된 기재 필름에 점착층을 형성시키는 최적 조건을 제시하여, 열수축 접착용 필름을 최적 효율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2피스 캔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수축 접착용 필름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수축 접착용 필름이 금속 캔에 부착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수축 접착용 필름 제조과정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열수축 필름이 튜브 형태로 가공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열수축 후 필름의 부착 상태 관찰 결과를 나타낸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레토르트 살균 후 필름의 부착 상태 관찰 결과를 나타낸 사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도시된 세부구성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기존 플라스틱 용기에 수축 필름을 튜브 형태로 덧씌워 열수축시켜 부착시키는 방식에 착안하고, 상기 방식으로 종래 열압착 방식에 사용되던 접착제층을 구비한 인쇄 필름을 이용하여 금속 캔에 대해 적용하고자 하였으나, 여전히 접착 상태 불량에 따른 신뢰성 문제가 발생하여, 기존 접착제층을 대신하는 특정 조성의 점착층을 형성시켜 열수축시킬 경우 견고한 접착력을 발휘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수축 접착용 필름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수축 접착용 필름이 금속 캔에 부착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튜브 형태로 가공되어 금속 캔 몸체(B) 외부에서 열수축시켜 접착되는 방식으로 사용하기 위한 열수축 접착용 필름(100)으로,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110);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110) 일면에 형성된 인쇄층(120); 및 상기 인쇄층(120)에 형성되어 열수축 시 상기 캔 몸체(B) 외부에 접착되는 점착층(130);을 포함하는 열수축 접착용 필름(100)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적용될 수 있는 상기 금속 캔은 주로 2 피스 캔을 예정하고 있으나, 3 피스 캔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금속 캔은 알루미늄 합금판이나 니켈 도금 강판, 주석 도금 강판, 극박석 도금 강판, 전해 크롬 산처리 강판, 아연 도금 강판 등 제관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금속판을 이용하여 제조된 캔이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110)은 일면에 형성되는 인쇄층(120)이 유지되도록 하여 인쇄문양 외관의 선명성, 미려함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바람직하게는 투명 필름 또는 반투명 필름으로, 열수축 공정에서 가해지는 열처리에 견딜 수 있도록 내열성을 갖는 배향 결정화된 이축연신 필름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호모폴리머나, 프탈레이트,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공중합체나 상기 호모폴리머들의 블렌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110)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수㎛ 내지 수백㎛, 구체적으로는 5~500㎛, 바람직하게는 10~50㎛ 범위에서 사용하는 규격에 따라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필름(110) 두께가 5㎛ 미만일 경우에는 강성 내지 기계적 강도가 미흡할 수 있고, 500㎛를 초과할 경우에는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고 비용 대비 효율 면에서 불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110) 제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 알려진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15~25℃로 유지된 회전 냉각드럼 상으로 용융압출하여 미연신 필름(시트)을 제작하고, 100~130℃에서 2~5배 종연신을 실시하고, 130~150℃에서 2~5배 횡연신을 실시한 후, 200~260℃에서 열고정시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쇄층(120)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110)의 일면에 형성되어 각종 문양이 인쇄된 층으로 그 인쇄 수단 및 인쇄 방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우레탄계 수지를 바인더로 하는 잉크가 사용될 수 있고, 인쇄 방법으로는 그라비아 인쇄, 플렉소 인쇄, 오프셋 인쇄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다색을 사용하여 풍부한 색조 및 미려한 문양의 인쇄를 위해 그라비아 인쇄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점착층(130)은 상기 인쇄층(120)에 형성되어 열수축 시 필름이 캔 몸체(C) 외부에 견고히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본질적으로 열수축 시 캔 몸체(C)로의 점착성을 부여하는 조성물로 코팅되어 이루어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비닐계 수지, 안료 및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닐계 수지는 상기 점착층(130) 조성물이 일정 융점에서 열변형하여 금속 소재 면에 접착성이 부여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5~50중량%, 바람직하게는 10~4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3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0~25중량% 함유될 수 있다. 상기 비닐계 수지 함량이 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열 수축 시 캔 몸체(C)에 충분한 접착성이 부여되지 않을 수 있고, 특히, 열수축 공정으로 필름(100) 부착 후 레토르트 살균 공정 시 열에 의해 추가적으로 수축되어 필름(100)이 말려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5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조성물 점도가 상승하여 기재 필름(110)으로의 불균일한 코팅으로 인해 외관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비닐계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비닐계 단량체만으로 이루어진 단독 중합체, 2종 이상의 비닐계 단랑체가 조합된 공중합체, 50중량% 이상의 비닐계 단량체와 50중량% 미만의 비닐계 단량체 이외의 중합성 모노머와의 공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기 비닐계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스티렌, 비닐톨루엔, α-메틸스티렌, α-메틸-p-메틸스티렌, 에틸스티렌, 이소부틸스티렌, t-부틸스티렌, 브로모스티렌, 클로로스티렌, 인덴, 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로니트릴,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계 화합물, 비닐아세테이트, 프로피온산비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상기 점착층(130) 형성으로 인해 필름 인쇄문양의 선명성, 색조 및 미려성 저하 방지를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2~30중량%, 바람직하게는 4~2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8~2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15중량%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안료 함량이 2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캔 몸체(C)에 접착 시 금속 소재의 분광반사로 인해 인쇄문양에 푸른 색조가 나타날 수 있고, 3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함량 대비 효과가 미비할 수 있고, 조성물의 점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안료로는 백색의 무기안료 또는 유기안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연백, 운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안료로 투명안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용제는 상기 안료가 상기 비닐계 수지상에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40~90중량%, 바람직하게는 50~8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5~7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60~70중량%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용제 함량이 4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안료 분산성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고, 9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열 수축 시 캔 몸체(C)에 충분한 접착성이 부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제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실클로헥사논, 3-메톡시프로피온산에틸, 3-에톡시프로피온산메틸, 3-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층(130)을 형성하는 조성물은 그 밖에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각의 용도에 따라 또 다른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경화 촉매, 형광염료, 가소제, 자외선흡수제, 안료분산제, 소포제, 대전방지제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범위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되어 추가로 첨가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0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130)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110) 일면에 형성된 인쇄층(120)상에 1~10㎛, 바람직하게는 3~5㎛ 두께로 도포되도록 할 수 있고, 건조 후 100~1000㎚, 바람직하게는 300~500㎚ 두께로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건조 후 두께가 100㎚ 미만일 경우에는 접착성이 저하될 수 있고, 1000㎚를 초과할 경우에는 필름 권취 시 블로킹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130)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롤 코트법, 리버스 롤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키스 코트법, 다이 코터법, 롤 브러시법, 스프레이 코트법, 에어나이프 코트법, 와이어 바 코트법, 파이프 닥터법, 함침 코트법, 커튼 코트법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의 점착층(130) 형성은 필름(110) 제막 후, 예를 들어, 종연신 실시 후 인라인으로 코팅을 실시하거나, 이축연신 필름 제작 후 오프라인 코팅을 실시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수축 접착용 필름 제조과정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열수축 접착용 필름(100) 제조방법은 일면이 인쇄된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110)의 인쇄층(120)상에 점착 조성물을 코팅하고 건조기(400)를 통과시키는 연속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면이 인쇄된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110)이 취출 롤러(200)에 권취되어 있고, 취출 롤러(200)로부터 취출된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110)이 제1 점착 롤러(310) 및 제2 점착 롤러(320) 사이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제1 점착 롤러(310)에는 기재 필름(110) 면이 접촉되고, 상기 제2 점착 롤러(320)에는 인쇄층(120)면이 접촉되며, 용기(330)에 담겨져 있는 점착 조성물(A)이 제2 점착 롤러(320)면에 도포된 후 제1 점착 롤러(310)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인쇄층(120)면에 도포된다. 이후, 점착층(130)이 형성된 필름(100)은 건조기(400)로 이송되어 건조된 후 회수 롤러(500)에 권취되어 최종 열수축 접착용 필름(100)이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점착 조성물(A)을 구성하는 성분 및 함량을 고려할 때, 상기 건조기(400)는 70~80℃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건조기 통과시간은 5초~10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건조기 통과시간은 5초~2분으로 설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0초~1분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 온도가 70℃ 미만이거나 통과시간이 10초 미만일 경우에는 필름(100) 권취 시 블로킹이 발생할 수 있고, 건조 온도가 80℃를 초과하거나 통과시간이 10분을 초과할 경우에는 점착 조성물(A)의 과도한 경화로 인해 열수축 공정 시 캔 몸체(B)으로의 접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110)에 형성된 인쇄층(120)의 반대면에는 외부로부터의 필름 보호, 레토르트 살균 처리 시 필름 변성 등을 방지하기 위한 투명한 피막으로 코팅되는 보호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공지의 방법에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열경화성 수지 도료에 실리콘 또는 왁스 등의 활성제가 첨가된 조성물을 코팅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열경화성 도료로는 예컨대, 에폭시아민 수지, 에폭시멜라민 수지, 폴리에스테르아민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여 이축연신된 기재 필름 일면에 그라비아 인쇄된 필름과 스티렌 단량체로 중합된 비닐계 수지 25중량%, 이산화티탄 10중량% 및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65중량%로 구성된 점착 조성물을 이용하여 도 4에 따른 방법으로 열수축 접착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실시예에서 비닐계 수지 대신 에폭시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도 1에서 캔 몸체 외부에 인쇄 공정을 수행하지 않은 네크플랜지가 형성된 2 피스 캔을 준비하고,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필름을 상기 2 피스 캔에 대한 튜브 가공 가능 규격으로 제단(slitting)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단된 필름(100)의 점착층(130) 모서리부에 핫멜트제(H)를 도포하여 필름 표면에 오버래핑(overlapping)시켜 튜브 형태의 필름(100)으로 가공하였다. 이후, 준비된 2 피스 캔 몸통 외부에 라벨러(labeller)를 이용하여 가공된 필름(100)을 덧씌우고, 110~130℃ 온도 조건의 열풍건조터널에 투입 및 열풍에 의한 열수축을 수행한 후 필름 부착 상태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또한, 열수축을 통한 필름 부착 이후 120℃ 온도에서 30분간 레토르트 살균을 수행한 후 부착된 필름의 변형상태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열수축 접착용 필름(100)의 경우(a) 점착층(130) 조성으로 인해 캔 몸통(B)에 대한 부착 상태가 매우 견고한 반면,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필름의 경우(b) 접착층을 형성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험예에 따른 열수축 조건에서 캔 몸통(B)에 대한 부착 상태가 현저히 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레토르트 살균 공정 이후에도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열수축 접착용 필름(100)의 경우(a) 캔 몸통(B)에 대한 필름의 접착 상태에 변화가 없는 반면,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필름의 경우(b) 추가적인 열수축이 발생하여 필름이 캔 몸통(B) 상단으로 말려지는 현상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열수축 접착용 필름 110: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
120: 인쇄층 130: 점착층
200: 취출 롤러 310: 제1 점착 롤러
320: 제2 점착 롤러 330: 용기
400: 건조기 500: 회수 롤러
B: 캔 몸체 A: 점착 조성물
H: 핫멜트제

Claims (10)

  1. 2 피스 금속 캔 몸체 외부에 튜브 형태의 열수축 필름을 덧씌우고 110~130℃ 온도 조건의 열풍에 의한 열수축을 수행하여 상기 열수축 필름을 상기 캔 몸체 외부에 접착시키는 방법이고,
    상기 열수축 필름으로,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 일면에 형성된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에 형성되어 열수축 시 상기 캔 몸체 외부에 접착되는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비닐계 수지 15~30중량%, 안료 8~20중량% 및 용제 55~75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코팅되어 형성된 필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계 수지는 비닐계 단량체만으로 이루어진 단독 중합체, 2종 이상의 비닐계 단랑체가 조합된 공중합체 및 50중량% 이상의 비닐계 단량체와 50중량% 미만의 비닐계 단량체 이외의 중합성 모노머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계 단량체는 스티렌, 비닐톨루엔, α-메틸스티렌, α-메틸-p-메틸스티렌, 에틸스티렌, 이소부틸스티렌, t-부틸스티렌, 브로모스티렌, 클로로스티렌, 인덴, 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로니트릴,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계 화합물, 비닐아세테이트 및 프로피온산비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백색안료 또는 투명안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실클로헥사논, 3-메톡시프로피온산에틸, 3-에톡시프로피온산메틸 및 3-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삭제
KR20130031927A 2013-03-26 2013-03-26 열수축 접착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483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1927A KR101483357B1 (ko) 2013-03-26 2013-03-26 열수축 접착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1927A KR101483357B1 (ko) 2013-03-26 2013-03-26 열수축 접착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063A KR20140117063A (ko) 2014-10-07
KR101483357B1 true KR101483357B1 (ko) 2015-01-15

Family

ID=51990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1927A KR101483357B1 (ko) 2013-03-26 2013-03-26 열수축 접착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3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959B1 (ko) 2008-11-26 2009-06-26 주식회사 백스코 열수축성 클리어 라벨
KR20100009565A (ko) * 2007-04-05 2010-01-27 애브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감압 수축 라벨
KR20100047384A (ko) * 2008-10-29 2010-05-10 (주)엘지하우시스 엠보 이형 라이너층을 적용한 점착 시트
KR20100099149A (ko) * 2007-11-21 2010-09-10 미츠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인코포레이티드 잠재적 수축 특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565A (ko) * 2007-04-05 2010-01-27 애브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감압 수축 라벨
KR20100099149A (ko) * 2007-11-21 2010-09-10 미츠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인코포레이티드 잠재적 수축 특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00047384A (ko) * 2008-10-29 2010-05-10 (주)엘지하우시스 엠보 이형 라이너층을 적용한 점착 시트
KR100904959B1 (ko) 2008-11-26 2009-06-26 주식회사 백스코 열수축성 클리어 라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063A (ko) 201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0878A (en) Heat sealable shrink laminate
JP4803514B2 (ja) 転写フィルム
JP2007326224A (ja) 転写フィルム及び転写フィルムで加飾された合成樹脂製成形品
JPWO2005009868A1 (ja) 開封保持性に優れた容器密封用蓋体
US20150013273A1 (en) Expanded Content Heat Shrinkable Label
ITMI971582A1 (it) Procedimento e apparato per stampare e decorare tramite inchiostri sublimabili
JPH10329170A (ja) アクリルインサート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インサート成形用多層フィルム
JP2017200764A (ja) 鏡面ラベ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249002A (ja) シュリンクラベル用原反およびシュリンクラベル付き容器
US20040185235A1 (en) Shrinkable battery label
KR101483357B1 (ko) 열수축 접착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EP2741900B1 (en) In-mould labelling
JP4656649B2 (ja) 保護フィルム
JP2009280238A (ja) 紙容器
JP5055673B2 (ja) 熱収縮性粘着フィルム
JP2015114654A (ja) ラベル及びラベル付き物品
EP2678158B1 (en) Unidirectional oriented polyethylene-based heat shrinkable polymeric label
JP5482100B2 (ja) 金属缶用印刷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H10254364A (ja) 感熱接着性ラベル及びそのラベルの装着方法並びにそのラベルを装着した乾電池
JPH0713489A (ja) ラベル
JPH04279315A (ja) ラベル付き容器の製造方法
JP2002293094A (ja) 転写シートと積層体の製造方法
JP2887600B2 (ja) 乾電池用外装ラベル
JP5898102B2 (ja) 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7088128B2 (ja) チューブ容器用シール材およびチューブ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