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175B1 - 전동차의 권취식 출입문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차의 권취식 출입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175B1
KR101483175B1 KR20130062343A KR20130062343A KR101483175B1 KR 101483175 B1 KR101483175 B1 KR 101483175B1 KR 20130062343 A KR20130062343 A KR 20130062343A KR 20130062343 A KR20130062343 A KR 20130062343A KR 101483175 B1 KR101483175 B1 KR 101483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door
variable
door panel
shaf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2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1063A (ko
Inventor
정의진
김길동
홍재성
강석원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130062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175B1/ko
Publication of KR20140141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1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03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 B61D19/005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sl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0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9/70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comprising an electric motor positioned outside the roll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9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to indicate that the value is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window)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05Y2400/302Electronic control of motors during electric motor bra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차의 권취식 출입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동차 출입구 양측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구동장치와,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에 일단부가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의 회전시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에 감거나 펼쳐지며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1 및 제2가변형 도어 판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차의 출입문을 두루마리식으로 감거나 펼쳐지는 가변형 도어 판넬을 적용하여 출입문을 개방시에 도어가 감기므로 도어 취부를 위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승객의 출입하는 출입구의 크기를 확장하거나 또는 전동차 1량당 도어 취부 개수를 늘릴 수 있어 혼잡도가 높은 출퇴근 시간대에도 대규모의 승객이 원활하게 승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열차의 운행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차의 권취식 출입문 장치{WINDING TYPE DOORWAY FOR ELECTRIC MOTOR CAR}
본 발명은 전동차의 권취식 출입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출입문을 가변형 도어 판넬을 적용하여 출입문을 개방시 유연하게 감고 도어를 닫을 때는 감긴 가변형 도어 판넬을 풀어서 도어 취부에 따른 공간 제약을 최소화하여 승객의 출입을 원활하게 하는 전동차의 권취식 출입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열차 운행지연을 유발하는 요소로 전동차 및 승강장 내의 혼잡도가 관심받고 있다. 이는 전동차의 좁은 출입문을 이용하기 때문에 승차자와 하차자가 서로 얽히면서 출입문 닫힘 작업을 취급하지 못해 정차시간의 지연을 유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열차 운행지연을 해소하기 위해 출입문의 크기를 넓히거나 그 개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으나 출입문 넓이 조정은 열림 시간이 증대되어 비효율적이므로 개수를 증대시키는 방안을 강구하게 되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전동차 출입문은 슬라이딩 도어와 플러그 도어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 설치된 대다수의 전동차 출입문은 슬라이딩 도어가 적용되어 있으며, 그 슬라이딩 도어의 일 예로 등록실용 제20-0430122호의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시스템이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 도어는 철도차량이 고속화됨에 따라 소음 및 외풍 차단이 어려워 소음차단이 필요한 경우에는 플러그 도어를 사용하는 추세이다. 플러그 도어는 최근 철도차량이 고급화됨에 따라 고속철도에 적용되던 도어를 전동차에 적용하면서 쓰이게 된 도어 시스템으로 전동차가 고속으로 운행되면서 소음문제가 큰 이슈로 부각되는 등 소음이 승차감을 측정하는 척도로서 큰 역할을 담당하게 됨에 따라 주목받고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슬라이딩 도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전동차 출입구(1)의 도어판넬(2)이 양 옆으로 열려 도어가 열리는 방식으로 열린 도어판넬(2)을 포켓(3)에 넣을 경우를 포켓 슬라이딩 도어, 외부에 노출시킬 경우를 아웃 슬라이딩 도어라고 한다. 플러그 도어는 고속버스 도어와 같이 도어를 열 때 바깥으로 일정부분 돌출된 후 양 옆으로 열리고, 닫을 때에는 양 옆으로 닫히다가 최종 닫힘 부분에서 안쪽으로 당겨주어 밀착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상의 종래 슬라이딩 도어와 플러그 도어는 도어 판넬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출입문을 열 때 열린 판넬을 취부할 공간이 따로 구비되어 있어야만 한다. 이는 전동차 1량당 도어 취부 개수를 한정시켜 일시에 승객이 승하차 하지 못해 승강장에서의 승하차 혼잡도를 해소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문헌 1: 등록실용 제20-043012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동차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출입문을 두루마리식으로 감거나 펼 수 있는 가변형 도어 판넬을 적용하여 출입문을 개방시 유연하게 감고 도어를 닫을 때는 감긴 가변형 도어 판넬을 풀어서 도어 취부에 따른 공간 제약을 최소화하여 승객의 출입을 원활하게 하는 전동차의 권취식 출입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가변형 도어판넬을 이용하여 도어를 열 때 유연하게 말아 주어 도어 취부를 위한 공간을 최소화하여 출입구를 확장하거나 또는 전동차 1량당 도어 취부 개수를 늘릴 수 있어 일시에 대규모 승객 승하차가 가능한 전동차의 권취식 출입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동차 출입구 양측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구동장치와,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에 일단부가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의 회전시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에 감거나 펼쳐지며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1 및 제2가변형 도어 판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권취식 출입문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2구동축에 고정되며 상기 제1가변형 도어 판넬의 타단부에 장력을 제공하는 제1태엽과, 상기 제1구동축에 고정되며 상기 제2가변형 도어 판넬의 타단부에 장력을 제공하는 제2태엽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구동장치는 전동차의 운전을 제어하는 차상제어기 또는 차량별로 설치되는 출입문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은 상하로 수직하게 출입구의 양측에 고정설치되는 제1 및 제2함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가변형 도어 판넬은 강화섬유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가변형 도어 판넬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상태감지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구동장치로 투입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센서를 구비하여 구동전류가 투입되면 구동상태로 판단하고 구동전류가 설정된 전류를 초과하면 완전개방상태로 인식하여 출입문제어기가 제1 및 제2구동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구동축에는 제1태엽이 구비되어 상기 제1가변형 도어 판넬의 타단부에 장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1구동축에는 제2태엽이 구비되어 상기 제2가변형 도어 판넬의 타단부에 장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가변형 도어 판넬의 타단부에는 제1로프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로프의 타단부는 제1태엽에 연결되고, 상기 제2가변형 도어 판넬의 타단부에는 제2로프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2로프의 타단부는 제2태엽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은 출입구의 개방시와는 반대로 역회전하게 되면서 제1 및 제2구동장치에서 회생에너지가 발생되어 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차의 출입문을 두루마리식으로 감거나 펼쳐지는 가변형 도어 판넬을 적용하여 출입문을 개방시에 도어가 감기므로 도어 취부를 위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승객이 출입하는 출입구의 크기를 확장하거나 또는 전동차 1량당 도어 취부 개수를 늘릴 수 있어 혼잡도가 높은 출퇴근 시간대에도 대규모의 승객이 원활하게 승차 및 하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열차의 운행지연 역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출입문이 닫히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회생에너지를 충전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고, 도어의 개방시 구동축에 말린 도어 판넬의 취부를 위한 함체가 일종의 차량 안전 구조체가 되어 차량의 안전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포켓 슬라이딩 도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권취식 출입문의 개폐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권취식 출입문의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권취식 출입문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권취식 출입문의 제어장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권취식 출입문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권취식 출입문 장치는 승객이 승차 또는 하차하는 전동차 차체의 출입구 양측에 설치되어 두루마리식으로 감거나 펼쳐지는 제1 및 제2가변형 도어 판넬(100,102)을 이용하여 출입구(1)를 개폐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전동차 출입구 양측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구동축(110,112)을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구동장치(120,122)와,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0,112)에 일단부가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0,112)의 회전시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0,112)에 두루마리식으로 감거나 펼쳐지며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1 및 제2가변형 도어 판넬(100,102)과, 상기 제2구동축(112)에 고정되며 상기 제1가변형 도어 판넬(100)의 타단부에 장력을 제공하는 제1태엽(130)과, 상기 제1구동축(110)에 고정되며 상기 제2가변형 도어 판넬(102)의 타단부에 장력을 제공하는 제2태엽(13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구동장치(120,122)는 전동차의 운전을 제어하는 차상제어기(20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전동차 출입구 양측에는 제1 및 제2구동축(110,112)이 각각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구동축(110,112)은 상하로 수직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제1구동축(110)은 제1구동장치(120)가 구동됨에 따라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구동축(112)은 제2구동장치(122)가 구동됨에 따라 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구동장치(120,122)는 상기 모터로 구성되며 차상제어기(200)의 직접적인 제어도 가능하지만, 복수의 차량별로 설치되는 출입문제어기(210)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구동장치(120,122)의 제어를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출입문제어기(210)는 상기 차상제어기(200)의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구동장치(120,122)의 구동을 직접 제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구동축(110,112)은 상하로 수직하게 출입구의 양측에 고정설치되는 제1 및 제2함체(140,142)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구동장치(120,122)는 상기 제1 및 제2함체(140,142)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0,112)을 회전시킨다.
즉, 상기 제1 및 제2함체(140,142)는 두루마리식으로 말린 제1 및 제2가변형 도어 판넬(100,102)의 취부를 위한 것으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종의 차량 안전 구조체가 되어 차량의 안전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구동축(110)에는 제1가변형 도어 판넬(100)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2구동축(112)에는 제2가변형 도어 판넬(102)의 일단부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구동장치(120,122)가 작동되면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0,112)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0,112)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제1 및 제2가변형 도어 판넬(100,102)이 두루마리식으로 감기면서 상기 출입구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가변형 도어 판넬(100,102)의 재질은 유연한 강화섬유 소재로 외풍 및 소음을 차단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가변형 도어 판넬(100,102)은 금속재의 스트립을 연결하여 두루마리식으로 감기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0,112)이 회전하며 제1 및 제2가변형 도어 판넬(100,102)이 두루마리식으로 감겨 출입구가 개방시에는 제1 및 제2구동장치(120,122)가 개방중 및 완전개방상태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도어상태감지수단(22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도어상태감지수단(220)은 리미트스위치로 구성하여 제1 및 제2가변형 도어 판넬(100,102)이 완전히 개방되는 경우 제1 및 제2가변형 도어 판넬(100,102)의 타단부가 리미트스위치를 접촉하는 경우 완전개방상태로 인지하여 출입문제어기(210)가 제1 및 제2구동장치(120,122)의 구동을 정지시킴도 가능하지만, 제1 및 제2구동장치(120,122)로 투입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센서로 구성하여 구동전류가 투입되면 구동상태로 판단하고 구동전류가 설정된 전류를 초과하면 완전개방상태로 인식하여 출입문제어기(210)가 제1 및 제2구동장치(120,122)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구성을 채택한다.
한편, 제1 및 제2가변형 도어 판넬(100,102)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가변형 도어 판넬(100,102)이 뒤틀리면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구동축(112)에는 제1태엽(130)이 구비되어 상기 제1가변형 도어 판넬(100)의 타단부에 장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1구동축(110)에는 제2태엽(132)이 구비되어 상기 제2가변형 도어 판넬(102)의 타단부에 장력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가변형 도어 판넬(100)의 타단부에는 제1로프(150)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로프(150)의 타단부는 제1태엽(130)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2가변형 도어 판넬(102)의 타단부에는 제2로프(152)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2로프(152)의 타단부는 제2태엽(132)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로프(150,152)와 제1 및 제2태엽(130,132)은 전동차 출입구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지만, 필요에 따라 한곳에만 설치하거나 다수를 설치함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 및 제2가변형 도어 판넬(100,102)이 개방시에는 상기 제1 및 제2태엽(130,132)이 풀리면서 제1 및 제2가변형 도어 판넬(100,102)이 뒤틀리지 않고 팽팽한 상태로 풀리게 된다.
이때, 출입구의 상하부는 커버(미도시됨)를 두어 제1 및 제2가변형 도어 판넬(100,102)이의 가이드웨이 역할을 함과 동시에 뒤틀림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며, 출입문 열림이 완결된 이후 태엽 장치를 록킹하여 출입문의 닫힘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가변형 도어 판넬(100,102)을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구동장치(120,122)에 투입되는 전기에너지를 차단하면 제1 및 제2태엽(130,132)의 장력에 의해 제1가변형 도어 판넬(100)은 제1태엽(130)에 의해 당겨지고, 제2가변형 도어 판넬(102)은 제2태엽(132)에 의해 당겨지게 되어 출입구를 폐쇄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및 제2구동축(110,112)은 출입구의 개방시와는 반대로 역회전하게 되면서 제1 및 제2구동장치(120,122)에서 회생에너지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회생에너지는 별도의 에너지 저장장치(230)인 축전지에 저장되어 각종 용도로 사용한다.
물론, 상기 출입구가 닫히는 과정에서도 상기 도어상태감지수단(220)인 전류감지센서는 제1 및 제2구동장치(120,122)에서 발생되는 회생전류를 센싱하여 구동중인 상태와 완전히 닫힌 상태를 판단한다. 즉, 회생전류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도어의 닫힘이 진행중으로 판단하고, 회생전류가 없는 경우에는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로 판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권취식 출입문 장치의 개폐 작동 과정을 도 2 내지 도 5를 참고로 설명한다.
먼저, 출입문의 열림 동작을 살펴보면, 출입문인 제1가변형 도어 판넬(100)은 제1구동장치(120)의 작동에 의해 제1구동축(110)에 감기게 되고, 제2가변형 도어 판넬(102)은 제2구동장치(122)의 작동에 의해 제2구동축(112)에 감기게 된다.
즉, 예를 들어 제1가변형 도어 판넬(100)이 열릴 경우 제1구동장치(120)가 시계방향으로 동작하면서 제1가변형 도어 판넬(100)이 제1구동축(110)에 감기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하측에 설치되는 제1로프(150)가 풀리면서 열리게 된다. 이때, 제1로프(150)의 단부에는 제1태엽(130)이 연결되어 제1가변형 도어 판넬(100)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제2가변형 도어 판넬(102)이 열릴 경우에도 제2구동장치(122)가 시계방향으로 동작하면서 제2가변형 도어 판넬(102)을 감게 되고, 동시에 상하측에 설치되는 제2로프(152)가 풀리면서 열리게 된다.
한편, 출입문의 열림 동작을 살펴보면, 출입문인 제1가변형 도어 판넬(100)이 닫힐 경우 제1로프(150)의 끝단에 연결된 제1태엽(130)의 장력(텐션)에 의해 닫히게 되고, 그에 따라 제1구동장치(1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생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이때, 생성되는 회생에너지는 별도의 에너지 저장장치(230)에 저장되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한다.
그리고, 제2가변형 도어 판넬(102)이 닫힐 경우 제2로프(152)의 끝단에 연결된 제2태엽(132)의 장력에 의해 닫히게 된다.
이때, 제2구동장치(12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생에너지를 발생시키며, 생성되는 회생에너지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230)에 저장되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한다.
이와 같이 출입문이 구동중인 상태와 완전히 닫힌 상태의 구분은 회생전류를 센싱하여서 판단하고, 출입문이 완전히 닫힌 경우에는 제1 및 제2태엽(130,132)이 포함되는 태엽장치를 록킹하여 출입문이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1: 전동차 출입구 100: 제1가변형 도어 판넬
102: 제2가변형 도어 판넬 110: 제1구동축
112: 제2구동축 120: 제1구동장치
122: 제2구동장치 130: 제1태엽
132: 제2태엽 140: 제1함체
142: 제2함체 150: 제1로프
152: 제2로프 200: 차상제어기
210: 출입문제어기 220: 도어상태감지수단
230: 에너지 저장장치

Claims (10)

  1. 전동차 출입구 양측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구동장치와,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에 일단부가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의 회전시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에 감거나 펼쳐지며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1 및 제2가변형 도어 판넬로 구성되되,
    상기 제2구동축에 고정되며 상기 제1가변형 도어 판넬의 타단부에 장력을 제공하는 제1태엽과, 상기 제1구동축에 고정되며 상기 제2가변형 도어 판넬의 타단부에 장력을 제공하는 제2태엽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권취식 출입문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구동장치는 전동차의 운전을 제어하는 차상제어기 또는 차량별로 설치되는 출입문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권취식 출입문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은 상하로 수직하게 출입구의 양측에 고정설치되는 제1 및 제2함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권취식 출입문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가변형 도어 판넬은 강화섬유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권취식 출입문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가변형 도어 판넬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상태감지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권취식 출입문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구동장치로 투입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센서를 구비하여 구동전류가 투입되면 구동상태로 판단하고 구동전류가 설정된 전류를 초과하면 완전개방상태로 인식하여 출입문제어기가 제1 및 제2구동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권취식 출입문 장치.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변형 도어 판넬의 타단부에는 제1로프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로프의 타단부는 제1태엽에 연결되고, 상기 제2가변형 도어 판넬의 타단부에는 제2로프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2로프의 타단부는 제2태엽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권취식 출입문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은 출입구의 개방시와는 반대로 역회전하게 되면서 제1 및 제2구동장치에서 회생에너지가 발생되어 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의 권취식 출입문 장치.
KR20130062343A 2013-05-31 2013-05-31 전동차의 권취식 출입문 장치 KR101483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2343A KR101483175B1 (ko) 2013-05-31 2013-05-31 전동차의 권취식 출입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2343A KR101483175B1 (ko) 2013-05-31 2013-05-31 전동차의 권취식 출입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063A KR20140141063A (ko) 2014-12-10
KR101483175B1 true KR101483175B1 (ko) 2015-01-16

Family

ID=5245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2343A KR101483175B1 (ko) 2013-05-31 2013-05-31 전동차의 권취식 출입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1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6902A (en) * 1975-06-13 1978-06-27 Louis Junod Door with flexible wound sections
JP3779378B2 (ja) 1996-05-09 2006-05-24 ナブテスコ株式会社 鉄道車両用側扉制御装置
JP2012180726A (ja) 2011-02-28 2012-09-20 Fuji Hensokuki Co Ltd シャッター開閉機の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6902A (en) * 1975-06-13 1978-06-27 Louis Junod Door with flexible wound sections
JP3779378B2 (ja) 1996-05-09 2006-05-24 ナブテスコ株式会社 鉄道車両用側扉制御装置
JP2012180726A (ja) 2011-02-28 2012-09-20 Fuji Hensokuki Co Ltd シャッター開閉機の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063A (ko)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44916T3 (es) Sistema de puertas de vehículo con módulo de accionamiento eléctrico
KR101427712B1 (ko) 승객 안전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대중 교통 시스템용 정거장의 승강 시설물
KR100903971B1 (ko)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
JP2014511302A (ja) 電動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JP2010007456A (ja) 自動ドア装置の戸挟み回避装置
CN115092193A (zh) 一种顶盖开闭装置及铁路货车
EP2458123A1 (en) Opening system with combined movement
KR101483175B1 (ko) 전동차의 권취식 출입문 장치
CN201770386U (zh) 一种用于楼道电梯的封闭装置
CN207311428U (zh) 一种用于站台门系统的套叠式安全防护装置
JP4699254B2 (ja) 車両の戸挟み検知装置
CN107351846B (zh) 一种适用于站台门系统的闸机式安全防护装置
KR101531701B1 (ko)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
WO2006137140A1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CN107380172A (zh) 一种用于站台门系统的伸缩式安全防护装置
JP5843495B2 (ja) ホームドア装置
KR101044446B1 (ko)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
CN202296762U (zh) 电梯轿门与厅门间缝隙的遮蔽装置
CN207078145U (zh) 一种适用于站台门系统的小开度平开式安全防护装置
CN206888888U (zh) 月台门装置
KR101121753B1 (ko) 전기식 도어 잠금장치 및 그를 포함한 전기식 도어
CN206749797U (zh) 一种适用于站台门系统的闸机式安全防护装置
JP2593605Y2 (ja) プラットホームにおけるガードフェンス
CN114174143A (zh) 站台屏蔽
KR20130033015A (ko)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