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718B1 - 홍삼부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홍삼부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718B1
KR101482718B1 KR1020140036461A KR20140036461A KR101482718B1 KR 101482718 B1 KR101482718 B1 KR 101482718B1 KR 1020140036461 A KR1020140036461 A KR 1020140036461A KR 20140036461 A KR20140036461 A KR 20140036461A KR 101482718 B1 KR101482718 B1 KR 101482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composition
extract
malt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미경
홍세철
유지현
설수연
박영식
박종대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Priority to KR1020140036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7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8Hordeum (bar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박 및 맥아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기능성 조성물 또는 애완동물용 사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홍삼박에 함유되어 있는 사포닌성분과 각종 생리활성성분 등의 유효성분을 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맥아를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면역력 증진효과 및 지방세포분화억제에 의한 항비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홍삼부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ion with anti-obesity activities containing red ginseng residues and its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면역력 증진효과 및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홍삼박과 맥아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홍삼박의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면역력 증진효과 및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조성물 또는 애완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반도가 원산지인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은 오가피나무과 (Araliaceae) Panax 속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뿌리를 식용 또는 약용으로 이용하고 있다.
인삼의 생리활성물질로 알려진 인삼 사포닌은 30여 종이며, 이중 다량으로 존재한다고 알려진 주요 사포닌은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Rd, Re, Rg1 등으로, 주요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은 인삼 사포닌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항당뇨활성 (Yokozawa et al., 1985), 항암작용 (Mochizuki et al., 1995), 항산화작용 (Jeong et al., 2002), 동맥경화 및 고혈압예방 (Jung and Cho, 1985; Yoon and Joo, 1993), 간기능 촉진 및 숙취제거효과 (Matsuda et al., 1991), 항 피로 및 항 스트레스 작용 (Saito et al., 1974), 항염활성(Matsuda et al., 1990) 등이 보고되었다.
홍삼식품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국내 홍삼 시장 규모는 2010년 이후 1조 원대를 형성하고 있고, 건강기능식품의 품목별 판매현황에서도 50%이상의 독보적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홍삼의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부산물로 얻어지는 홍삼박은 전국적으로 연간 약 8천여 톤이 생산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식품소재와 동물사료로 일부 활용되고 있지만 대부분은 산업폐기물로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홍삼박은 홍삼을 물 또는 알코올 등의 용매로 추출하고 남은 잔여물로서 홍삼을 수회 반복 추출하더라도 내부의 유효성분을 모두 추출할 수 없고, 또한 추출용매에 따라 물 또는 알코올에 용해되는 성분만 추출되고 용해되지 않은 사포닌, 폴리아세틸렌, 단백질 등의 유효성분이 대략 20 ~ 40% 정도 잔류하게 된다. 홍삼박은 이러한 면역활성을 갖는 다당체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 사료화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비육도의 문제점이 있어 사료 소재로서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국외 애완동물 관련 시장은 미국, 일본 유럽 등에서 총 600억 불(약 60조 원) 시장으로 연간 1.3%씩 계속 성장하고 있으며, 국내 애완(반려)동물 관련 산업은 90년대 후반에 이르러 급속하게 발전하여 현재는 애견시장 1조, 애견인 500만, 애견(반려동물 포함) 300만 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또한 고령인구증가는 반려동물의 시장규모 향상에 기여하고 있으며, 반려동물의 건강향상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브리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프리미엄 기능성 동물사료 개발이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63607호 "홍삼박 및 한약재박을 포함하는 동물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서는 홍삼박 건조분말 및 한약재박 건조분말을 장용제피로 코팅하여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가축을 사육하여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은 높고, 콜레스테롤 함량은 낮고, 조단백질 함량이 높은 양질의 육류 및 계란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얻기 위한 것으로 사육의 목적이 아닌 건강증진효과를 얻기 위한 애완동물용 사료로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KR 10-0863607 B1, 2008년 10월 08일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를 지속하던 중, 홍삼박에 다당체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기능성 조성물, 특히 애완동물의 사료 조성물로서 면역증진효과 및 지방세포분화억제 효과를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홍삼박 추출물 및 맥아 추출물을 일정비율로 함유함으로써 면역력 증진효과 및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조성물 또는 애완동물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기능성 조성물 또는 애완동물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홍삼박 분말 및 맥아 분말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면역력 증진효과 및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조성물 또는 애완동물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홍삼박 추출물 및 맥아 추출물을 일정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면역력 증진효과 및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조성물 또는 애완동물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능성 조성물 또는 애완동물용 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홍삼박 추출물은 건조된 홍삼박을 조분쇄한 후 증류수를 첨가하여 45 내지 90℃의 진탕배양기(셰이킹 인큐베이터, shaking incubator)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감압농축하여 건조하는 단계로 홍삼박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홍삼박 추출물 및 맥아 추출물을 일정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면역력 증진효과 및 항비만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조성물 또는 애완동물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홍삼박을 건조하여 분말 형태로 제조하여 맥아 건조 분말을 일정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력 증진효과 및 항비만 효과를 갖는 기능성 조성물 또는 애완동물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홍삼박은 홍삼으로부터 추출물을 제조하고 난 부산물로서 식이섬유, 단백질, 지방 성분뿐만 아니라, 홍삼의 유효성분인 사포닌, 폴리아세틸렌, 각종 생리활성성분이 대략 20 ~ 40% 정도 잔류될 수 있다. 통상의 홍삼추출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홍삼박은 수분함량이 70 ~ 95중량% 정도를 지니게 된다.
본 발명은 홍삼박 추출물의 유효성분 함량을 높이기 위해서 홍삼박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하여 전체 수분함량이 5 내지 10% 정도가 되도록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건조된 홍삼박을 일정 크기로 조분쇄 또는 미세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기능성 조성물 또는 애완동물용 사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조분쇄 또는 미세 분쇄는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분쇄기를 사용하며, 애완동물용 사료 조성물 입자의 크기는 기존의 사료에 혼합하여 급여하기 용이하도록 알갱이가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 또는 밀가루처럼 고운 가루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때 기능성 조성물의 경우, 조분쇄 또는 미세 분쇄시 입자의 크기는 알갱이가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 또는 밀가루처럼 고운 가루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번거로운 제조공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건조된 홍삼박 자체를 분쇄하여 제조하는 경우에는 홍삼박의 사포닌 유효성분뿐만 아니라 홍삼박에 포함되어 있는 식이섬유, 단백질 등의 영양성분들을 함께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애완동물용 사료 조성물의 경우 기존의 일반 애완동물용 사료와 함께 혼합하여 급여할 수 있으므로 애완동물이 섭취하기 용이하여 적용범위가 넓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능성 조성물 또는 애완동물용 사료 조성물은 정제, 환제, 단제, 캡슐제, 과립제의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사료 조성물용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 또는 애완동물에 급여된 후 활성 성분을 유용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기능성 조성물 또는 애완동물용 사료 조성물은 정제, 환제, 단제, 캡슐제, 과립제, 산제, 연고제, 드링크제 또는 주사제의 형태로 약학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서 제형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형의 제조에 있어서, 활성 성분을 담체와 함께 혼합 또는 희석하거나, 용기 형태의 담체 내에 봉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담체가 희석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활성 성분에 대한 담체, 부형제 또는 매질(medium)로 작용하는 고형, 반고형 또는 액상의 물질일 수 있다. 따라서, 제형은 정제, 환제, 분제, 새세이, 엘릭시르, 현탁제, 유제, 용액제, 시럽제,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제, 멸균 주사제, 멸균 분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복강, 근육, 국소도포, 첩포 및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를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고, 이 중에서 국소 적용 및 경구투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활성 성분의 실제 투여량은 치료할 질환,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홍삼박 추출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홍삼박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홍삼박의 유효성분 추출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건조된 홍삼박을 일정크기로 조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분쇄기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하는 것으로서 종류에 구애받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조분쇄한 홍삼박에 중량대비 5 내지 10배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45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 정도의 진탕배양기(셰이킹 인큐베이터, shaking incubator)에서 120rpm으로 1 내지 2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동안 추출하여 홍삼박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된 홍삼박 추출물을 원심분리한 다음 상등액을 감압농축하여 건조할 수 있다. 이때 원심분리, 감압농축 및 건조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며 그 방법에 구애받지 않는다.
여기서, 홍삼박 추출물을 원심분리에 의하여 사포닌 등 유효성분의 함량이 높은 상등액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등액을 감압농축함으로써 중량대비 홍삼의 유효성분 함량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맥아를 추출물의 형태로 제조하여 상기 홍삼박 추출물과 혼합함으로써 기능성 조성물 또는 애완동물용 사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맥아 추출물 제조는 통상의 열수 추출방법 등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며 그 방법에 구애받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일실시예로 맥아 추출물은 맥아를 그대로 또는 조분쇄하여 중량대비 5 내지 10배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45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정도의 진탕배양기(셰이킹 인큐베이터, shaking incubator)에서 120rpm으로 1 내지 2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동안 추출하여 맥아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로 상기 맥아 추출물을 감압농축하여 건조할 수 있다. 이때 감압농축 및 건조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며 그 방법에 구애받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 맥아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여 홍삼박 추출물 분말과 혼합함으로써 사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맥아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하여 건조된 맥아를 일정 크기로 조분쇄 또는 미세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제조한 다음 상기 건조된 홍삼박 분말과 혼합함으로써 기능성 조성물 또는 애완동물용 사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홍삼박 추출물 및 맥아 추출물을 건조하여 분말 형태로 제조하거나 또는 홍삼박 및 맥아를 건조하여 분말 형태로 제조하여 각각의 분말을 일정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기능성 조성물 또는 애완동물용 사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기능성 조성물 또는 애완동물용 사료 제조시 구성성분으로 용이하게 첨가할 수 있으며 기존의 일반적인 애완동물용 사료와 동시에 혼합하여 급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홍삼박의 유효성분이 함유되고 면역력 증진효과 및 항비만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맥아 추출물을 홍삼박 추출물 대비 10 내지 40% 중량 비율로, 바람직하게는 30%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홍삼박 추출물 및 맥아 추출물을 7:3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 맥아 분말을 건조 홍삼박 분말 대비 10 내지 40% 의 중량 비율로, 바람직하게는 30%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건조 홍삼박 분말 및 건조 맥아 분말을 7:3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홍삼박 및 맥아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홍삼 특유의 강한 향이 제거되어 거부감없이 섭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조성물 또는 애완동물용 사료 조성물은 사포닌성분과 각종 생리활성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홍삼박을 사용함으로써 홍삼박에 함유되어 있는 사포닌 등의 유효성분을 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맥아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면역력 증진효과 및 지방세포분화억제에 의한 항비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홍삼박 추출물에 맥아 추출물을 일정 비율로 혼합한 경우 각각의 항비만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홍삼박에 맥아를 혼합하였을 경우 홍삼박 단독보다 지방세포 분화 억제활성 크게 증가, 특히 맥아 30% 함유할 경우 지방세포 분화 억제활성이 가장 좋았으며, 홍삼박 단독으로 처리했을 경우보다 25% 지방세포 분화 억제활성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GS-M73)의 지방분화에 관여하는 전사인자 발현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GS-M73을 20, 100, 200 ug/ml의 농도로 처리했을 경우 c/EBP, c/EBP, 및 FAS 등의 전사인자의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GS-M73)의 지방세포 분화시 생성되는 Leptin의 생성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GS-M73 50, 100, 200 ug/ml의 농도 처리시 농도의존적으로 Leptin 생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GS-M73)의 NO 생성능을 나타낸 것이다. GS-M73 50, 100, 200 ug/ml의 농도 처리시 농도의존적으로 NO 생성능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GS-M73)의 TNF- 생성능을 나타낸 것이다. GS-M73 50, 100, 200 ug/ml의 농도 처리시 농도의존적으로 TNF- 생성능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GS-M73)의 IL-1 생성능을 나타낸 것이다. GS-M73 50, 100, 200 ug/ml의 농도 처리시 농도의존적으로 IL-1 생성능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GS-M73)의 IFN- 생성능을 나타낸 것이다. GS-M73 50, 100, 200 ug/ml의 농도 처리시 농도의존적으로 IFN- 생성능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GS-M73)의 IL-4 생성능을 나타낸 것이다. GS-M73 50, 100, 200 ug/ml의 농도 처리시 농도의존적으로 IL-4 생성능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험예 3]에 따라 5주간 GS-M73을 투여한 후 Total Cholesterol 감소 효과를 측정한 것이다. GS-M73 100 mg/kg 투여군(133.7 mg/dl)은 GS-M2 투여군(142.6 mg/dl)이나 고지방식이군 (144.0 mg/dl) 보다 Total Cholesterol의 수치가 현저하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험예 3]에 따라 5주간 GS-M73을 투여한 후 HDL- Cholesterol 증가 효과를 측정한 것이다. 양성대조군(Xenical ; 10 mg/kg) 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홍삼박에 맥아를 혼합한 GS-M73 300 mg/kg을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쥐에 5주간 투여하였을 경우 같은 농도의 홍삼박 단독 투여보다 혈청 중성지방치가 35%이상 감소하여 정상쥐와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험예 3]에 따라 5주간 GS-M73을 투여한 후 Triglyceride 감소 효과를 측정한 것이다. GS-M2보다 GS-M73-100는 약 2배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험예 3]에 따라 5주간 GS-M73을 투여한 후 Glucose 감소 효과를 측정한 것이다. 양성대조군(Xenical ; 10 mg/kg) 과 GS-M73-500는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험예 3]에 따라 5주간 GS-M73를 투여한 후 체지방 유지 호르몬 Leptin의 감소 효과를 측정한 것이다. GS-M2 (615 ng/ml)보다 GS-M73-500 (586.0 ng/ml)은 약 5% 이상 감소효과를 나타내었고, 고지방식이군 844 ng/ml보다 약 31% 감소효과를 보였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험예 4]에서 GS-M73 식이 급여에 따른 AST, ALT 수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GS-M73 투여 16주 후 AST 및 ALT 수치 상승을 억제하여 정상식이군에 근접함을 알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험예 4]에서 GS-M73 식이 급여에 따른 지방조직 무게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GS-M73 투여 16주 후 지방조직의 무게가 정상식이군보다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험예 4]에서 GS-M73 식이 급여에 따른 liver steatosis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GS-M73 투여 16주 후 liver steatosis가 정상식이군과 비슷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홍삼박 추출물 제조
건조된 홍삼박을 조분쇄하여 20g에 증류수 100ml을 첨가한 후 50℃ shaking incubator(진탕배양기)에서 1시간 동안 추출(120rpm)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감압농축 건조하여 6.2g의 홍삼박 추출물을 얻었다.
[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박 추출물을 맥아 추출물과 각각 7:3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애완동물용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하, 'GS-M73'으로 표시하고, 세포실험에 사용하였다.
[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제조
건조하여 조분쇄한 홍삼박 분말과 건조하여 조분쇄한 맥아 분말을 각각 7:3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애완동물용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하, 'GS-M73'으로 표시하고, 동물실험에 사용하였다.
[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면역증진 활성 평가
(1) 세포배양
마우스의 대식세포주인 Raw 264.7 cell은 한국세포주은행(KCLB)에서 분양받았으며, 세포배양을 위해 10% FBS와 1% penicillin-streptomycin을 포함하는 DMEM 배지를 사용하였다. 세포는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2) 세포 생존율 측정
세포에 대한 독성 측정은 MTT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Raw 264.7 세포 2×104cells/mL를 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시료를 농도별 (25, 50, 100, 200 μg/mL)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EZ-Cytox(Daeil, Korea)을 이용하여 Well당 10μl 용액을 첨가하여 37℃, 5% CO2 조건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Molecular devices, USA)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대조군에 대한 세포생존율을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3) Nitric Oxide ( NO ) 생성량 측정
NO의 농도는 배양액 내의 nitrite 농도를 NO assay kit (Intron, Kore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Raw 264.7 cell은 DMEM배지를 이용하여 2×104cells/mL로 조절한 후 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37℃, 5%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PBS로 수세한 후 양성대조군으로 1μg/mL의 LPS와 시료를 25, 50, 100, 200μg/mL를 첨가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Nitric oxide detection kit (Intron, Korea)를 사용하여 Sulfanilamide in the reaction buffer 50μL를 넣고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Naphthylethylenediamine in the stabilizer buffer를 50μL을 넣고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 (Molecular devices, USA)에서 흡광도 540nm를 측정하여 sodium nitrite의 검량선으로부터 NO 대사물인 nitrite의 생성 정도를 산출하였다.
(4) Tumor necrosis factor -α( TNF -α) 생성량 측정
세포 배양액 내의 TNF-α 생성량은 ELISA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Raw 264.7 cell은 DMEM배지를 이용하여 2×104cells/mL로 6 well plate에 분주하고, 37℃, 5% CO2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세포에 양성대조군으로 1μg/mL의 LPS 및 0, 25, 50, 100, 200μg/mL의 시료를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배지를 취하여 TNF-α(BD, USA)를 ELISA reader(Molecular devices, USA)를 이용하여 450nm에서 측정하였다.
(5) 세포 내 염증관련 단백질 발현 양상 측정
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염증과 관계된 iNOS, COX-2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였다. 대식세포주(Raw264.7)를 이용하여 2×104cells/mL로 6 well plate에 배양한 뒤 시료를 처리한 다음 24시간 후에 PBS로 세척한 후 원심분리 하여 세포를 수집하고, RIPA buffer를 사용하여 cell lysate를 제조하였다. 세포 lysate에 함유된 단백질의 양은 Bradford 법으로 측정하였다. 단백질 20μg을 10% polyacrylamide를 함유한 SDS-PAGE로 분리하고 PVDF membrane으로 electroblot 120 V에서 1시간을 실시하였다. 이어 PVDF membrane을 5% skim milk에서 1시간 방치한 뒤 primary antibody에서 4℃에서 overnight하여 주었다. 다시 tris-buffered saline and tween 20 (TBST)으로 세 번 세척한 뒤 secondary antibody를 상온에서 1시간 반응 시킨 뒤 TBST로 세 번 세척하고 ECL kit (Amersham-Pharmacia, USA)와 반응시켜 Chemidoc (Bio-rad, USA) 이용하여 밴드 현상을 측정하였다.
(6) 비장세포 증식 측정
면역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생쥐의 비장세포를 이용하였다. 먼저 생쥐의 비장을 분리한 다음, mesh를 통하여 분쇄하고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여 비장세포를 회수하였다. 이후 RBC lysis buffer로 잔여 적혈구를 제거한 뒤 RPMI 1640 배지를 이용하여 2회 세척하였다. 분리한 비장세포는 5×106cell/mL으로 희석한 다음 96 well plate에 넣고 여기에 T 세포의 활성화 유도물질인 lipopolysaccharide (LPS) 및 B 세포 활성화 유도물질인 concanavalin A(Con A)를 넣고 시료를 농도별로 희석한 것을 넣고 48시간 5%, CO2 incubator에 배양한 후, 각 well당 10μL의 CCK-8 kit (Dojindo Laboratories, Japan) 용액을 첨가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4시간 배양하고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활성을 비교하였다.
[ 실험예 2]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항비만 활성 평가
(1) α- Glucosidase 저해 활성 측정
1 unit/mL의 효모 기원의 α-glucosidase(Sigma, USA) 20μL에 각 시료를 20μL을 첨가하여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1mM ρ-nitrophenyl α-D-glucoprytanoside(ρNPG, in potassuin phophate buffer, pH 6.9)를 40μL 첨가하였다.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1M Na2CO3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405nm에서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acarbose를 사용하였다.
(2) 3 T3 - L1 배양 및 분화 유도
실험에 사용한 3T3-L1adipocyte는 한국세포주은행(KCLB)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배양 및 분화배지는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high glucose에 10% calf serum, antibiotics를 첨가하여 5% CO2, 습도 37℃ incubator에서 계대 배양하였다. 분화 배양배지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high glucose에 10% fetal bovine serum (FBS), antibiotics를 첨가하여 5% CO2, 습도 37℃ incubator에서 3∼4일 후 세포가 융합하게 되면 trypsin/EDTA를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하여 원심분리기 1000rpm. 5분에서 세포를 모은 후 세포밀도가 2×106cell인 suspension용액을 만들어 1mL씩 plating하여 배양하였다. 4일 후 융합된 세포를 분화배지 DMEM 배양액에 0.5mM IBMX, 5μg/mL의Insulin, 0.25mM dexamethasome이 첨가된 배지를 처리하여 분화를 유도하였다. 2일 후 feeding medium DMEM 배양액에 5μg/mL의 insulin만 포함된 배지로 배지를 갈아준 후 2일에 한 번씩 feeding medium으로 갈아 주며 세포를 분화시켰다.
(3) Oil red O 염색법
분화가 유도된 3T3-L1 adipocyte를 phosphate buffered saline(PBS)으로 2회 세척 후, 3% 완충용액으로 15분간 고정하고 PBS로 3회 세척 후 Oil red O로 20분 동안 염색하였다. 증류수로 세척한 다음 남아있는 물기를 건조시킨 뒤 광학현미경으로 염색된 지방구를 확인하였다. 확인 후 프로플렌 글리콜(propyleneglycol)로 다시 Oil red O 염료를 추출하였다. 이후 500nm에서 각각 흡광도를 측정하여 분화된 각 세포에 함유된 지방의 양을 측정하고,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측정된 지방의 양에 대한 상대적인 비율을 산출하여 각 세포의 분화 정도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박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의 lipid droplet 형성에 미치는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Oil Red O를 이용하여 염색하였다.
(4) 실험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GS-M73)은 지방세포분화에 관여하는 전사인자 C/EBP family, FAS, Leptin, PPAR-γ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4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GS-M73)은 면역증강 지표인 NO, TNF-α, IL-1β, IL-4, IFN-γ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면역력 증진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당의 흡수를 억제(α-glucosidase 억제)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실험예 3]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동물실험
(1) 실험동물
실험동물은 오리엔트바이오(성남, 한국)에서 C57BL/6 mice male 4주령을 분양받았으며 실험시작 전 1주일 동안 일반 고형사료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면서 실험실 환경 (23 ± 2℃, 습도 55 ± 5%)으로 유지하고 12시간씩 명암을 자동 조절하여 순화기간을 거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2) 실험군의 식이와 검액의 투여방법
실험 시작부터 정상군은 일반 식이를 급여하고, 고지방 식이를 4주간 급여하여 비만을 유도하고 정상식이군을 제외한 모든 군은 비만 유도를 위하여 총 칼로리의 60 %가 지방인 고지방식이를 공급하여 8주간 비만을 유도하였으며 정상군과 비만유도군의 몸무게 차이가 20%이상 차이가 있는 개체에서 Z열 방식으로 그룹을 배정하였다. 정상 식이군은 총 칼로리의 10%가 지방인 일반식이를 공급하였다.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군은 정상식이군(Normal group ; NC), 고지방식이군 (Control group ; DC), GS-LE2-100 실험군(100 mg/kg+고지방식이), GS-LE2-300 실험군 (300 mg/kg+고지방식이)로 GS-LE2-500 실험군(500 mg/kg+고지방식이), GS-M73-100 실험군 (100 mg/kg+고지방식이), GS-M73-300 실험군(300 mg/kg+고지방식이), GS-M73-500 실험군 (500 mg/kg+고지방식이), GS-M2-100 실험군 (100 mg/kg+고지방식이), GS-M2-300 실험군(300 mg/kg+고지방식이), GS-M2-500 실험군 (500 mg/kg+고지방식이)으로 구분하였으며 양성대조군 (Positive control group ; PC)으로는 고지방식이 + Xenical 10 mg/kg 5주간 경구투여 하여 군당 7마리씩 실험에 사용하였다. 본 실험은 (재)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의 동물실험 윤리규정을 준수하여 수행하였다 (G-5).
Figure 112014029904744-pat00001
(3) 체중 및 식이량 측정
실험기간 중 동물의 상태 관찰을 위하여 주 1회 전자저울(MVP-300, CASKOREA, Osaka, Japan)로 체중을 측정하였다. 식이는 매일 동일한 시간에 공급하였고 전날 남은 사료의 양과 그날 공급한 사료의 양을 매일 측정하여 그 차이로 섭취한 식이량을 계산하였다.
5주간 GS-M73을 투여한 후 체중변화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GS-M2, GS-M73 5주간 투여시 고지방식이에 의한 체중증가 효과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14029904744-pat00002
(4) 장기 및 지방 무게 측정
지방은 일률적으로 마우스 기준 왼쪽부위를 분리하였으며 부고환주위지방, 신장주위지방을 적출하여 측정하였고, 간, 신장, 비장은 채혈 후 즉시 적출하여 생리식염수로 씻은 다음 여과지로 물기를 제거하고 무게를 측정하였다.
(5) 혈액생화학적 지표분석
혈액지표분석을 위한 혈액채취는 12시간 절식 후 실시하였다. Ethyl Ether로 마취시킨 후 복대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한 후 상온에서 약 1시간 정치시켰다. 그 후 혈액을 고속 냉장원심분리기(Smart R17, Hanil, Korea)로 3,000rpm 2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ALT, AST, Glucose, Total cholesterol, 중성지방(Triglyceride) 및 HDL-cholesterol은 아산제약의 측정용 시약을 구입하여 분석하였다. 혈중 leptin 농도는 ELISA kit( R&D System, Minneapolis,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6) 통계처리
모든 실험결과는 통계 프로그램(SPSS ver.18.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평균 ± 표준오차(Mean ± S.E.)로 계산하였다. 각 실험군 간의 통계적 유의성 검정에 따른 통계분석은 ANOV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est)를 실시한 후 유의성이 있는 경우, p<0.05 미만일 때 Tukey's multiple range test 로 사후 검정하였다.
(7) 실험결과
도 9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물실험 시 체중 감소효과 및 총 콜레스테롤 수치는 양성대조군(Xenical)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고, Triglyceride는 GS-M2보다 GS-M73-100가 약 2배 감소효과를 나타내었고, 체지방 유지 호르몬(Leptin)은 GS-M2보다 GS-M73-100가 약 5%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 실험예 4]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비글견 항비만 실험
(1) 공시축
비글견(RD, regulaer Diet, 4 두), 비글견 (HFD, high-fat diet, 5두), 비글견 (HFD+GS, 5 두)
(2) 처리 그룹
3처리 (대조구, 비만 유도구, 비만 유도구의 GS 첨가구)로, 비글견(RD, regulaer Diet, 4 두), 비글견 (HFD, high-fat diet, 5두), 비글견 (HFD+GS, 5두)으로 하였다.
(3) 처리 시간 및 내용
16주간의 실험기간 동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하, 'GS-M73'이라 표시한다)을 60% 고지방 식이 사료에 1% 첨가하여 매일 하루 2차례 개체당 300g 씩 급여하였다.
(4) 수행방법 및 조사내용
본 실험은 경상대학교 수의과대학의 반려견사에서 실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실험 사료로 하여 1일 2회 (600g), 16 주간 급여하는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3주 간격으로 전혈 3~5 ml를 채취하여 생화학 분석용으로 사용하였다. 혈중 중성지방 및 총콜레스테롤 측정은 매 혈액 채취시마다 수행하였다. 개체 체중은 실험기간 동안 2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사료 식이량은 그룹별로 조사하였다. 혈중 AST, ALT, 지방조직 무게 검사는 실험 기간 종료에 따른 안락사 및 방혈 후에 검사하고, 간 조직학 검사는 H-E 염색에 의하여 지방간 fatty liver 검사를 실시하였다.
(5) 체중변화 측정
비글견에 16주간 GS-M73을 투여한 후 체중변화를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GS-M73 투여 6주 (9.58 kg)부터 고지방식이(HFD) 10.45 kg 보다 현저하게 떨어져 8주부터 정상식이군보다 체중감소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4029904744-pat00003
(6)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측정
16주간 GS-M73을 투여한 후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GS-M73 투여 3주 후(206 mg/dl)부터 총콜레스테롤 수치가 고지방식이군(237 mg/dl)보다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4029904744-pat00004
(7) 혈중 중성지방 수치 측정
16주간 GS-M73을 투여한 후 혈중 중성지방 수치를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식이투여군(HFD)은 투여전 37.3 mg/dl보다 점점 수치가 높아져 16주후 62.3 mg/dl로 67%가량 증가했으나 GS-M73 투여시 25%가량 증가되어 중성지방증가율을 고지방식이보다 약 40%가량 감소시켰다.
Figure 112014029904744-pat00005
(8) 실험결과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GS-M73) 투여 16주 후 AST 및 ALT 수치 상승을 억제하여 정상식이군에 근접하였으며,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GS-M73 투여 16주 후 지방조직의 무게가 정상식이군보다 감소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GS-M73 투여 16주 후 liver steatosis가 정상식이군과 비슷한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0)

  1. 홍삼박 추출물 및 맥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력 증진효과 및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박 추출물은 건조된 홍삼박을 조분쇄한 후 증류수를 첨가하여 45 내지 60℃의 진탕배양기(셰이킹 인큐베이터, shaking incubator)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감압농축하여 건조하는 단계로 제조하고 상기 홍삼박 추출물에 맥아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면역력 증진효과 및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박 추출물 60 내지 90% 및 맥아 추출물 10 내지 40%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면역력 증진효과 및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조성물.
  4. 홍삼박 건조분말 및 맥아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면역력 증진효과 및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박 건조분말 60 내지 90% 및 상기 맥아 건조분말 10 내지 40%의 중량 비율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면역력 증진효과 및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조성물.
  6. 홍삼박 추출물 및 맥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력 증진효과 및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박 추출물은 건조된 홍삼박을 조분쇄한 후 증류수를 첨가하여 45 내지 60℃의 진탕배양기(셰이킹 인큐베이터, shaking incubator)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감압농축하여 건조하는 단계로 제조하고 상기 홍삼박 추출물에 맥아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면역력 증진효과 및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8. 제 6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박 추출물 60 내지 90% 및 맥아 추출물 10 내지 40%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면역력 증진효과 및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9. 홍삼박 건조분말 및 맥아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면역력 증진효과 및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박 건조분말 60 내지 90% 및 상기 맥아 건조분말 10 내지 40%의 중량 비율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면역력 증진효과 및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0140036461A 2014-03-28 2014-03-28 홍삼부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82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461A KR101482718B1 (ko) 2014-03-28 2014-03-28 홍삼부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461A KR101482718B1 (ko) 2014-03-28 2014-03-28 홍삼부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2718B1 true KR101482718B1 (ko) 2015-01-14

Family

ID=52589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461A KR101482718B1 (ko) 2014-03-28 2014-03-28 홍삼부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7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0207A (ko) * 2003-07-18 2005-01-27 주식회사 싸이클로젠 항비만 치료제
KR20050013370A (ko) * 2003-07-28 2005-02-04 김영찬 한약재를 이용한 비만 치료 조성물
JP2006327970A (ja) * 2005-05-25 2006-12-07 Daicho Kikaku:Kk 消化器剤、抗ストレス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0207A (ko) * 2003-07-18 2005-01-27 주식회사 싸이클로젠 항비만 치료제
KR20050013370A (ko) * 2003-07-28 2005-02-04 김영찬 한약재를 이용한 비만 치료 조성물
JP2006327970A (ja) * 2005-05-25 2006-12-07 Daicho Kikaku:Kk 消化器剤、抗ストレス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고장호, 맥아발효 홍삼의 면역증진효과, 원광대학교 학위논문, 20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71478C (en) Pleuropterus multiflorus extract and dipsacus asperoides extract for stimulating the secret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and promoting bone structure growth,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101837173B1 (ko) 인삼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04123B1 (ko) 활성아민 함유 봉독의 분리 방법 및 그의 식품 조성물
EP3025721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sthma comprising pistacia weinmannifolia j. poiss. ex franch extract or fraction thereof
KR102438938B1 (ko) 바이탈멜론 (kctc14699bp) 및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210056771A (ko) 새싹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KR101534142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이용한 대사성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92889B1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82718B1 (ko) 홍삼부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80193401A1 (en)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complex
KR20200028628A (ko) 더덕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민성 면역개선 및 항천식 효능 기능성 분말 및 액상 음료 제조 방법
KR101851639B1 (ko) 모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312675B1 (ko) 개똥쑥 추출물, 후박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비만 및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37101A (ko) 인삼잎 조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애완동물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JP2014185088A (ja) 経口組成物、脂肪細胞分化抑制剤および飲食品
KR20120138333A (ko) 수검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알파-아사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1291679A (zh) 包含猕猴桃属植物的组合物及其使用方法
KR20210051637A (ko) 식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40295011A1 (en) Composition Containing Triticum Aestivum Lamarck Leaf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KR20140131101A (ko) 홍삼박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애완동물용 사료 조성물
KR20150011576A (ko) 가시오가피 뿌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면역증진용 약학적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427253B1 (ko) 미더덕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 식품
KR102001557B1 (ko)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90197A (ko) 메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2556621B1 (ko) 울금 및 정향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