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517B1 -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517B1
KR101481517B1 KR20080017859A KR20080017859A KR101481517B1 KR 101481517 B1 KR101481517 B1 KR 101481517B1 KR 20080017859 A KR20080017859 A KR 20080017859A KR 20080017859 A KR20080017859 A KR 20080017859A KR 101481517 B1 KR101481517 B1 KR 101481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uxiliary
leg
bracke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17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2552A (ko
Inventor
박종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17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517B1/ko
Priority to CNA200810128955XA priority patent/CN101298734A/zh
Priority to US12/379,697 priority patent/US8113603B2/en
Priority to DE102009010740.1A priority patent/DE102009010740B4/de
Publication of KR20090092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1Arrangements for transporting, moving, or setting washing machines; Protective arrangements for use during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Treatment And Processing Of Natural Fur Or Leather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세탁대상물을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보다 체적이 작으며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보조본체; 및 상기 보조본체를 상기 본체에 결합시키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세탁장치에 의하면, 세탁기의 본체와 보조본체를 용이하게 착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세탁, 보조, 결합, 착탈

Description

세탁장치 {Laundry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와 보조본체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는 세탁대상물을 수용하여 세탁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세탁대상물을 투입하는 방식에 따라 탑로딩(top loading)방식,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또한, 최근에는 이러한 세탁장치의 본체 이외에 세탁대상물을 보관할 수 있는 보조본체를 구비한 세탁장치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이러한 보조본체를 구비한 세탁장치(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러한 세탁장치(1)에서 보조본체(20)는 주로 본체(1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 경우, 본체(10)와 보조본체(2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을 구비하게 된다.
도 2는 본체(10)와 보조본체(20)가 연결수단(30)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0)와 보조본체(20)는 별도의 결합부재(30)에 의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결합부재(30)는 본체(10)와 보조본체(20)의 측면에 구비되며, 본체(10)에는 접착제 등에 의해 연결되고, 보조본체(20)에 스크류(32) 등에 의해 고정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결합방식은 별도의 결합부재를 사용하게 되므로, 제작비 및 제작시간이 증가하게 되며, 접착제에 의해 연결하게 되므로 진동 등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경우에 결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결합방식은 접착력에 의해 결합하게 되므로, 일단 결합이 되면 결합부재(30)에 변형이 생기게 되며, 본체(10)와 보조본체(20)를 다시 분리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였다. 즉, 접착제에 의해 결합부재(30)가 접착되므로, 다시 결합부재를 분리하는 것이 매우 힘들고, 나아가 결합부재(30)를 분리한다고 하더라도 결합부재와 맞닿는 부위가 변형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또한, 결합부재를 분리한 다음 다시 결합시키는 것이 매우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체와 보조본체를 연결하는 경우에 별도의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와 보조본체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대상물을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보다 체적이 작으며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보조본체; 및 상기 보조본체를 상기 본체에 결합시키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보조본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본체의 레그가 수용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본체의 레그를 지지하며,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레그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그브라켓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레그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본체의 레그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레그브라켓의 체결부가 수용되어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체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본체와 보조본체를 결결합하는 경우에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제작시간 및 비용을 현저하게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와 보조본체를 반복적으로 결합 및 분리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작업이 가능하며, 나아가 본체와 보조본체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100)를 나타내며, 구체적으로 본체(110)와 보조본체(12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100)는 세탁대상물을 수용하는 본체(110), 본체(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보조본체(120)와, 본체(110)와 보조본체(120)를 결합시키며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결합부(130)를 포함한다.
결합부(130)는 본체(110)와 보조본체(120)를 결합시키며, 본체(110)와 보조 본체(1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는, 결합부(130)에 의해 본체(110)와 보조본체(120)를 견고하게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며, 나아가 결합부(13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본체(110)와 보조본체(120)를 반복적으로 결합하고 분리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 결합부(130)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 결합부(130)는 보조본체(도 3 참조, 120)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브라켓(140) 및 본체(도 3 참조, 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본체(110)의 레그(leg)(112)를 지지하며 고정브라켓(140)과 본체(110)를 결합시키는 레그브라켓(160)을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는 본체(110)와 보조본체(120)를 결합시키는 결합부로서 본체(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본체(110)의 레그(112)를 지지하는 레그브라켓을 활용함으로써 제작시간 및 비용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레그브라켓(160)은 본체(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본체(110)의 레그(112)를 지지하며, 보조본체(120) 상부의 고정브라켓(14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체(110)의 레그(112)는 일반적으로 본체(110) 하부의 모서리에 인접하여 위치하게 되므로, 레그브라켓(160)도 본체(110) 하부의 모서리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는 레그브라켓(160)이 보조본체(120)의 상부에 구비된 고정브라켓(140)에 연결됨으로써, 본체(110)와 보조본체(120)가 착탈 가 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본체(110)와 보조본체(12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 단순히 레그브라켓(160)과 고정브라켓(140)을 분리하는 작업에 의해 용이하게 본체(110)와 보조본체(120)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5는 도 4의 레그브라켓(160)만을 도시한 사시도로써, 레그브라켓(160)을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레그브라켓(160)은 본체(110)의 레그(112)를 지지하는 지지부(162) 및 지지부(162)에서 연장 형성되는 체결부(166)를 구비한다.
지지부(162)는 레그브라켓(160)의 몸체를 형성하며, 본체(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본체(110)의 레그(112)를 지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62)는 본체(110) 하부의 모서리에 인접하여 위치하게 되므로, 대략적으로 L 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162)의 중앙부에는 레그(112)가 지지되는 홀(163)이 형성된다. 레그(112)가 홀(163)을 관통하여 위치함으로써, 홀(163)에 의해 레그(112)가 지지된다. 따라서, 홀(163)은 레그(112)의 지름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부(162)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164)이 형성되며, 스크류가 체결홀(164)을 통해 본체(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레그브라켓(160)을 본체(110)에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레그브라켓(160)을 설치하는 경우, 레그(112)를 홀(163)을 관통시켜 설치하고, 스크류에 의해 레그브라켓(160)을 본체(110)의 하부에 고정하게 된다.
지지부(162)의 일측에는 고정브라켓(140)에 연결되는 체결부(166)가 형성된 다. 체결부(166)는 지지부(162)에서 고정브라켓(140)을 향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체결부(166)는 별도의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지만, 지지부(16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체결부(166)는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62)가 본체(110)에 결합되는 경우에 지지부(110)가 외부를 향해 노출되는 부위를 따라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체결부(166)가 지지부(162)의 노출부위에 형성됨으로써, 체결부(166)를 고정브라켓(140)의 후술하는 연결부(1446)에 체결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외부에서 용이하게 작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고정브라켓(140)은 보조본체(도 3 참조, 120)의 상부에 위치하며, 보조본체(12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브라켓(140)은 전술한 레그브라켓(160)과 연결되므로, 보조본체(120) 상부의 모서리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브라켓(140)이 별도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보조본체(120)의 상부에 스크류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브라켓(140)은 본체(110)의 레그(112)가 안착되는 안착부(142) 및 전술한 레그브라켓(160)의 체결부(166)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안착부(142)는 본체(110)의 레그(112)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112)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오목부(14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체(110)와 보조본체(120)를 결합하는 경우에 본체(110)의 레그(112)는 고정브라켓(140)의 안착부(142)에 형성 된 오목부(143)에 안착된다. 또한, 안착부(142)의 오목부(143)는 레그(112)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본체(110)와 보조본체(120)가 결합되는 경우에 본체(110)의 레그(112)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한편, 연결부(146)는 전술한 레그브라켓(160)의 체결부(166)를 수용하여 체결부(166)와 결합됨으로써, 레그브라켓(160)과 보조본체(120)를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부(146)는 체결부(166)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예를 들어 연결부(146)는 체결부(166)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오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146)가 체결부(166)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므로, 체결부(166)가 연결부(146)에 연결되는 경우에 체결부(166)가 연결부(146)에 삽입되어 레그브라켓(160)의 움직임이 방지된다. 체결부(166)와 연결부(146)가 연결되는 구성은 다양하게 실현이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류 등에 의해 체결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146)와 체결부(166)는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본체(110)와 보조본체(120)를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는 본체(110)와 보조본체(120)를 결합하는 경우에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본체(110)의 레그(112)를 지지하는 레그브라켓(160)을 이용하여 본체(110)와 보조본체(120)를 결합하게 됨으로써,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본체(110)와 보조본체(120)를 분리 및 결합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체와 보조본체를 구비한 종래 세탁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본체와 보조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보조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결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도 5는 도 4에서 레그브라켓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Claims (6)

  1. 세탁대상물을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보다 체적이 작으며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보조본체; 및
    상기 보조본체를 상기 본체에 결합시키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보조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본체의 레그가 수용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본체의 레그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그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레그브라켓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브라켓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레그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본체의 레그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레그브라켓의 체결부가 수용되어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체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KR20080017859A 2008-02-27 2008-02-27 세탁장치 KR101481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17859A KR101481517B1 (ko) 2008-02-27 2008-02-27 세탁장치
CNA200810128955XA CN101298734A (zh) 2008-02-27 2008-06-20 洗衣装置
US12/379,697 US8113603B2 (en) 2008-02-27 2009-02-26 Laundry machine
DE102009010740.1A DE102009010740B4 (de) 2008-02-27 2009-02-26 Textil/Leder-Behandlungsmas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17859A KR101481517B1 (ko) 2008-02-27 2008-02-27 세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552A KR20090092552A (ko) 2009-09-01
KR101481517B1 true KR101481517B1 (ko) 2015-01-13

Family

ID=40078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17859A KR101481517B1 (ko) 2008-02-27 2008-02-27 세탁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13603B2 (ko)
KR (1) KR101481517B1 (ko)
CN (1) CN101298734A (ko)
DE (1) DE102009010740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170537U (zh) * 2011-05-27 2012-03-21 卡特彼勒路面机械公司 机械的操作空间框架的固定连接装置以及机械
KR101980271B1 (ko) * 2014-07-08 2019-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받침대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장치
KR102347850B1 (ko) * 2016-12-23 2022-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DE102017113030A1 (de) 2017-03-13 2018-09-13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Verfahren zum Einbau eines Kühl- und/oder Gefriergerätes in einen Möbelumbau
CN109112803B (zh) * 2017-06-23 2022-01-18 青岛胶州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干衣机连接结构及具有该结构的干衣机
USD879011S1 (en) * 2018-11-19 2020-03-24 Velo Sock, Sia Bicycle cover
EP3872248A1 (en) * 2020-02-26 2021-09-01 LG Electronics Inc. Stack-type laundry treating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6059A (ko) * 2003-03-31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받침대
KR20080002453A (ko) * 2006-06-30 2008-01-0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받침대용 브래킷을 구비하는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38631A1 (de) * 1998-08-26 2000-03-02 Benjamin Blumenschein Sockelgestell für Haushaltsgeräte
KR100776601B1 (ko) * 2002-12-17 2007-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받침대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20040085516A (ko) * 2003-03-31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받침대
US20040245899A1 (en) * 2003-06-05 2004-12-09 Cho Han Ki Washing machine pedestal
US20040263032A1 (en) * 2003-06-28 2004-12-30 Cho Han Ki Stand for home appliance
KR101010689B1 (ko) 2004-02-06 2011-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받침대
ES2342471T3 (es) * 2004-06-14 201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oporte para maquina lavadora de ropa y aparato secador de ropa.
KR101072030B1 (ko) 2006-08-22 2011-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음 설정장치 및 방법
KR100925735B1 (ko) * 2007-09-03 200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포터, 이를 구비한 키높이 수납장 및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6059A (ko) * 2003-03-31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받침대
KR20080002453A (ko) * 2006-06-30 2008-01-0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받침대용 브래킷을 구비하는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12673A1 (en) 2009-08-27
CN101298734A (zh) 2008-11-05
US8113603B2 (en) 2012-02-14
DE102009010740B4 (de) 2018-07-26
KR20090092552A (ko) 2009-09-01
DE102009010740A1 (de)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517B1 (ko) 세탁장치
JP5941071B2 (ja) プラスチッククリップ
JP2009151112A (ja)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の組立方法
KR101675341B1 (ko) 다용도 테이블
CN101298736B (zh) 洗衣装置
KR101543004B1 (ko) 차량용 배터리 마운팅 유닛
US8784226B2 (en) Infant swing apparatus
WO2008075829A1 (en) Pedestal and product comprising the same
JP4860158B2 (ja) 椅子の背杆カバー装置
CN111202445B (zh) 一种柔性连接的食品加工机
RU2007149311A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усиления жесткости кузов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WO2013133403A1 (ja) シートの取付構造
JPH11310150A (ja) サブフレームの取付構造
KR101471390B1 (ko) 캐리어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
EP3349711A1 (en) Clip design
JP6329913B2 (ja) 防振装置用ブラケットおよび防振装置
KR101600941B1 (ko) 차량용 쿨링모듈
KR20110011869A (ko) 다리 설치용 연결구를 구비하는 책상
KR101816755B1 (ko) 보스부와 마운팅부의 결합구조
KR200346081Y1 (ko) 디스플레이장치
CN216414074U (zh) 一种振动电机的固定装置
CN217272431U (zh) 一种支撑型便捷管件
CN220130253U (zh) 一种具有缓冲功能的车载支架及具有该支架的车载设备
CN214128204U (zh) 一种暖奶器
KR200171996Y1 (ko) 식기세척기의 고정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