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432B1 - 승강기용 접이식 카도어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용 접이식 카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432B1
KR101481432B1 KR20140002615A KR20140002615A KR101481432B1 KR 101481432 B1 KR101481432 B1 KR 101481432B1 KR 20140002615 A KR20140002615 A KR 20140002615A KR 20140002615 A KR20140002615 A KR 20140002615A KR 101481432 B1 KR101481432 B1 KR 101481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chain
door
car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2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귀동
Original Assignee
전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귀동 filed Critical 전귀동
Priority to KR20140002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6Shu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측에서 차량을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시켜 차량의 용이한 이동을 돕거나 차량의 보관을 용이하도록 하는 승강기용 접이식 카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 건 발명은 종래 화물용이나 자동차용 승강기에서 승강장에 설치되는 승강도어나 카 케이지에 설치되는 카 도어(Car Door)로 UP-Sliding 도어(수직개폐식) 도어를 사용하게 되는 수직개폐에 따른 개폐를 위한 공간확보가 필수 사항이고 특히 카 케이지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회전하는 전 부분에서 간섭을 피하기 위한 공간확보나 주어진 공간에서 설치가 불가한 공간적인 제약을 해결하고자 카 도어를 접이식으로 전면 판넬들을 소폭 판넬로 하여 일정 높이에 설치된 승하강용 스프라겟을 지나면서 접히게 되므로 케이지 전면에서는 수직으로 접힌 이후에는 수평으로 되는 이동 시키므로 UP-Sliding 도어(수직개폐식) 도어를 사용에 필요한 케이지 상부 공간이 필요없이 설치가 가능케 설치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승강기용 접이식 카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강기용 접이식 카도어장치{Fold type Car door for lif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측에서 차량을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시켜 차량의 용이한 이동을 돕거나 차량의 보관을 용이하도록 하는 승강기용 접이식 카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 건 발명은 종래 화물용이나 자동차용 승강기에서 승강장에 설치되는 승강도어나 카 케이지에 설치되는 카 도어장치(Car Door)로 UP-Sliding 도어(수직개폐식) 도어를 사용하게 되는 수직개폐에 따른 개폐를 위한 공간확보가 필수 사항이고 특히 카 케이지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회전하는 전 부분에서 간섭을 피하기 위한 공간확보나 주어진 공간에서 설치가 불가한 공간적인 제약을 해결하고자 카 도어를 접이식으로 전면 판넬들을 소폭 판넬로 하여 일정 높이에 설치된 승하강용 스프라겟을 지나면서 접히게 되므로 케이지 전면에서는 수직으로 접힌 이후에는 수평으로 되는 이동 시키므로 UP-Sliding 도어(수직개폐식) 도어를 사용에 필요한 케이지 상부 공간이 필요없이 설치가 가능케 설치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승강기용 접이식 카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승강기는 운전자와 함께 차량이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나 층만큼 이동하고 난 후,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정지한 상태에서 차량이 승강기의 외측으로 벗어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된다.
도시된 도 1 내지 도 4에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승강기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1과 2는 일반형 승강기를 도시한 것이고, 도 3과 4는 탑승한 차량과 케이지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 회전형 승강기를 도시하고 있다. 양자가 모두 도시된 것처럼, 건축물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직립되는 승강기프레임(10)을 설치한다. 승강기프레임(10)의 내측은 케이지공간(13)이 형성되어 케이지(11)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케이지(11)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체인과 기어의 조합으로 인하여,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차량(1)이 케이지(11)의 내측으로 드나들 수 있도록 승강도어(A)와 카도어장치(B)가 별도로 마련된다.
즉, 승강기프레임(10)의 내측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승강기프레임(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승강도어(A)가 있고, 승강기프레임(10) 내측 케이지(11)의 개방을 위한 별도의 카도어장치(B)가 있다. 사실 종래의 자동차용 승강기는 이렇게 승강기프레임(10)의 내측 케이지공간(13)으로 케이지(11)가 연동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케이지(11)에도 별도의 도어인 카도어장치(B)를 설치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구분된다. 몇년 전까지만 해도 케이지(11)에 별도의 도어를 설치하지 않은 승강기프레임이 주를 이루었지만, 요즘은 카 케이지(11)에도 별도의 카도어장치(B)를 반드시 설치한 것만을 법적으로 인정한다.
그런데 종래에 설치되는 상기 카도어장치(B)에는 많은 문제점이 들어난다. 차량을 위한 승강기의 승강도어(A)는 대체적으로 업슬라이딩도어가 사용된다. 2개나 혹은 3개로 이루어진 도어패널이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가, 차량이 진입하고자 할 때, 서로 겹치며 상승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방식이다.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차량이 승강도어(A)를 거쳐 내측의 카 케이지(11)로 진입하고자 하면, 상기 케이지의 카도어장치(B)도 개방되야 만 하는데, 이 케이지에도 도시된 것처럼 별도의 업슬라이딩 방식의 도어가 설치된다.
2개 혹은 3개의 도어패널이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있다가 도어의 개방을 위해서 서로 겹치면서 상승하여 케이지의 전방을 개방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카도어장치(B)는 카 케이지(11)의 전방에 설치되야 하기에 부가되는 수직공간과 수평공간이 있다. 즉, 서로 접히는 만큼의 수평공간도 차량의 수용공간을 넘어서 필요로 하고, 서로 접히여 상승한 상태에서 차량의 입출입을 허용하여야 하기에 접힌 도어패널의 높이만큼 여유있는 수직공간도 필요하다.
특히 도시된 도 1 내지 도 4에서처럼, 차량이 승강도어(A)로 진입하여 카 케이지(11)의 내측으로 들어오기 위해서는 승강도어(A)가 개방되고, 승강장의 발판(12)을 지나 카 케이지(11)로 진입되야 한다. 카 케이지(11)의 카도어장치(B)도 상승시켜 카 케이지(11)의 전방이 개방된 상태에서 진입되야 한다. 이때 상기 카도어장치(B)가 종래의 도면에서와 같이 업슬라이딩 방식으로 설치되야 한다면, 카 케이지(11) 상부로 돌출되는 삼방틀(K)이 반드시 필요하다. 접어진 도어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인 삼방틀(K)이 카 케이지(11) 상부로 형성되야 하는데, 이 삼방틀(K)로 인하여 카케이지(11)의 제작시 제약이 따른다.
즉, 수직공간이 더 많이 필요로하는 경우가 있고, 카 케이지(11)가 승하강시 각각의 층에 형성되는 승장장 발판(12)과 삼방틀(K)이 서로 간섭되는 문제가 발생될 소지가 있다.
결국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이 건 발명은 개발되었다. 또한 이 건 발명은 종래 삼방틀(K)을 갖춘 상태로 이미 설치되어 사용되는 카 케이지(11)에도 이 건의 카도어장치(B)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9540호(2011.01.12,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7651호(2009.11.12, 등록)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측에서 차량을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시켜 차량의 용이한 이동을 돕거나 차량의 보관을 용이하도록 하는 승강기용 접이식 카도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이 건 발명은 종래 자동차용 승강기에서 그 외곽 승강기 프레임의 도어와 내측 카 도어를 UP-sliding 도어로 사용하면서 발생된 많은 공간적인 제약을 해결하고자 카 도어를 접이 방식으로 개선하여, 구동모터의 회전을 통해서 접이식 도어를 닫아 안전하게 차량이 케이지의 내측에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구동모터의 역회전을 통해서 케이지의 접이식 도어가 케이지의 천장에 안전하게 개방되고, 안착될 수 있도록 하여 설치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승강기용 접이식 카도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접이식 카도어장치는, 건축물의 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승강기프레임의 필요한 층에 전방으로 개방된 상태로 설치되는 승강도어와; 승강기프레임의 내측 케이지공간을 타고 기어와 체인의 연동으로 인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철제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카케이지에 결합되어, 상기 카케이지의 일측으로 승강도어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카도어장치에 있어서, 카케이지(30)의 천장에 고정되는 구동부(40)의 구동모터(41)의 힘을 통해서 카케이지(30)의 전방에 설치되는 접이식 도어(51)를 내리고, 카케이지(30)의 천장에 접이식 도어(51)를 펼쳐서 안전하게 차량(1)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승강기용 접이식 카도어장치에 따른, 접이식 도어(51)는, 체인(48)의 회동력을 통해서, 카케이지(30)의 좌우측방에 배열된 가이드레일(50)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폭을 가진 직사각형 형상의 소폭판넬(53)이 다 수개 연결되 접이식 도어(51)를 설치하고; 상기 소폭판넬(53)의 좌우 양단에는 "
Figure 112014083562890-pat00001
"자 형상의 가이드레일(50)을 타고 용이하게 연동할 수 있도록 별도의 가이드롤(55)을 체결하고, 각각의 소폭판넬(53)은 그 좌우 양단부분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며 결합공(56)이 관통되게 형성된 체인브라켓(57)에, 일부 로울러체인(69)에 대체된 연결핀(60)을 끼워 결합시키되; 상기 연결핀(60)은 로울러체인(69)과 동일한 형상의 롤링부(67)를 갖고, 롤링부(67)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브라켓연결부(58)와 브라켓연결부(58)의 타측방에 형성되는 핀홀(61)을 가진 대응브라켓연결부(62)를 형성하여; 상기 핀홀(61)에 고정핀(63)을 끼워, 결합함으로 연결핀(60)이 일부의 로울러체인(69)을 대체하여, 체인(48)의 역할을 물론 소폭판넬(53)과의 결합을 달성하고, 가이드레일(50)에서 수직부(72)와 수평부(73)를 연결하는 절곡부는, 그 폭을 넓힌 라운드부(50')를 형성하여 소폭판넬(53)이 부드럽게 절곡되면서, 수직부(72)와 수평부(73)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 구동부(40)는, 카케이지(30)의 상단에 고정되는 모터(41)와 그 감속기(42)를 형성하되, 상기 감속기(42)의 축단에 고정되는 제1스프로켓(43)에 걸린 구동체인(44)을 모터(41)의 측방에 설치된 구동축(46)에 걸린 제2스프로켓(45)과 연결하여 모터(41)의 회전이 구동축(46)을 회전시키도록 하고; 카케이지(30)의 상단이 되는 상기 구동축(46)의 양단에는 베어링과 구동스프라켓(47)을 설치하여 좌우 쌍의 체인(48)이 걸리도록 하며; 상기 늘어선 체인(48)이 카케이지(30)의 전방 상단에 형성된 승하강용스프라켓(52)을 돌아 일측단이 카도어장치(B)를 형성하는 다수의 소폭판넬(53)과 결합되도록 하고; 체인(48)의 타측단은 상기 구동스프로켓(47)을 돌아 카케이지(30)의 전방측 상단에 별도로 고정되는 카운터 웨이터용 스프로켓(49)의 외주면을 돌아, 카케이지(30)의 상단에 형성된 무게추(76)에 연결하여; 체인(48)이 감기면 타측단의 체인(48)은 무게추(76)를 하향시키며 일측단을 당겨 다수의 소폭판넬(53)로 이루어진 접이식 도어(51)를 카케이지(30)의 천장으로 들어올리고, 체인(48)이 풀리면 무게추(76)가 들어올려지고 체인(48)이 풀리며, 천장에 보관된 다수의 소폭판넬(53)로 이루어진 접이식 도어(51)가 카케이지(30)의 전방에 직립하여 카케이지(30)를 폐쇄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 카케이지의 제작시 차량의 높이 이외에 별도의 삼방틀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기에, 카케이지가 승하강하면서 주위와 마찰을 일으킬 우려도 적으며, 삼방틀을 위한 추가적인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기존 삼방틀을 비치한 카케이지의 상면에 이 건 발명의 카도어장치를 설치해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카케이지의 상부에 접이식 도어를 펼치는 방식으로 수용하기에 별도의 수직 공간확보가 불필요하면서도, 안전하게 차량을 보호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형 자동차 승강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일반형 자동차 승강기가 작동되어 차량이 승차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 회전형 자동차 승강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종래 회전형 자동차 승강기가 작동되어 차량이 승차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카도어장치가 설치된 자동차용 승강기를 다양한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카도어장치가 작동된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카도어장치의 구동부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카도어장치가 작동하여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카도어장치의 접이식 도어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카도어장치의 접이식 도어가 가이드레일의 라운드부를 지나가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구동부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체인과 소폭판넬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소폭판넬과 체인이 결합하는 요부의 형태를 확대한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의 소폭판넬과 체인브라켓의 결합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건 발명의 경우, 건축물의 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승강기프레임(100)의 필요한 층에 전방으로 개방된 상태로 설치되는 승강도어(A)와, 승강기프레임(100)의 내측 케이지공간(32)을 타고 기어와 체인의 연동으로 인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철제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카케이지(30)에 결합되어, 상기 카케이지(30)의 일측으로 승강도어(A)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카도어장치(B)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된 도 5 내지 도 13을 통해서 상세한 살펴본다.
본 발명은 도시된 것처럼, 카케이지(30)의 천장에 고정되는 구동부(40)의 구동모터(41)의 힘을 통해서 카케이지(30)의 전방에 설치되는 카도어장치(B)에 접이식 도어(51)를 내리고, 카케이지(30)의 천장에 접이식 도어(51)를 펼쳐서 안락하게 차량(1)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이 건 발명은 도시된 도 5 내지 도 7에서처럼, 카케이지(30)의 내측으로 차량이 유입할 때, 차량(1)의 입출입을 허용하는 카도어장치(B)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 건 발명은 이 카도어장치(B)를 접이의 형태로 설치하여 보다 간단하게 작동시키면서도, 저렴한 가격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 카도어장치(B)의 경우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것처럼 업슬라이딩방식의 도어가 주로 사용되기에 구조적으로 복잡하였다. 그러나 이 건 발명은 단순하게 카케이지(30)의 전방에 접이식 도어를 내리고, 또 접이식 도어를 올리는 형태로 카케이지(30)를 폐쇄시키고자 한다. 접이식 도어를 올릴 때에는 접이식 도어를 통해서 만들어져야만 하는 공간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 카케이지(30)의 천장에 펼쳐서 보관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럼 구동모터(41)를 가진 구동부(40)의 작동만으로 용이하게 작동되는 이 건 발명을 도시된 도 5와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도면에서 (b)와 같이 차량(1)이 자동차용 승강기의 진입을 위해서 승강기프레임(100)으로 접근한다. 승강도어(A)의 전방으로 진입하면, 승강도어(A)가 개방되고, 승강기프레임(100)의 내측 카케이지(30)의 카도어장치(B)가 개방된다.
이때 승강도어(A)의 업슬라이딩 방식의 도어이고, 카도어장치(B)는 접이방식의 도어이다. 2개 또는 3개의 소폭판넬(53)이 수직하게 배열된 승강도어(A)는 차량(1)의 유입을 허용하기 위해서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하면서 도어를 개방하게 된다. 이후 상기 카케이지(30)의 도어도 개방을 하는데, 이 건 발명에서는 전술한 것처럼 접이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구동부(40)의 구동모터(41)가 작동을 하면, 접이식 도어(51)가 상승하여 카케이지(30)의 전방을 개방한다.
그럼 이러한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작동과 그 세부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건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접이식 도어(51)는, 체인(48)의 회동력을 통해서, 카케이지(30)의 좌우측방에 배열된 가이드레일(50)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폭을 가진 직사각형 형상의 소폭판넬(53)이 다 수개 연결되 접이식 도어(51)를 설치하고, 상기 소폭판넬(53)의 좌우 양단에는 "
Figure 112014002141748-pat00002
"자 형상의 가이드레일(50)을 타고 용이하게 연동할 수 있도록 별도의 가이드롤(55)을 체결한다.
즉, 이 건 발명의 카도어장치(B)는 접이식 도어(51)를 쳐서, 카케이지(30)를 폐쇄할 수 있도록 했다. 도시된 도 9에서처럼 이 건 발명은 그 폭이 작은 분절된 소폭판넬(53)을 다수 개 연결하여 접이식 도어(51)를 제작한다.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다수 개의 소폭판넬(53)이 서로 일정한 각도 연동할 수 있는 형태로 결합되어 하나의 접이식 도어(51)를 형성하는 데, 이 접이식 도어(51)는 카케이지(30)의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50)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접이식 도어(51)는 전술된 것처럼 다수의 소폭판넬(53)이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소폭판넬(53)의 측방에는 도시된 가이드롤(55)이 체결된다. 즉, 좁은 폭이지만 수평방향으로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각각의 직사각형 형상의 소폭판넬(53)은 그 좁은 폭 측방으로 원형의 가이드롤(55)이 체결되어 있다.
이 원형의 가이드롤(55)은 카케이지(30)의 측방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50)에 끼워져 구동부(40)의 작동에 따라 접이식 도어(51)가 이동을 할 때,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 건 발명의 가이드레일(50)은 도시된 것처럼, "
Figure 112014002141748-pat00003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카케이지(30)의 천장에 비치된 구동부(40)가 작동을 하면, 체인(48)이 당겨지고, 접이식 도어(51)가 가이드레일(50)을 타고 이동하여 천장으로 올라가는 것이다. 각각의 소폭판넬(53)이 가이드레일(50)을 타고 순간적으로 이동하기에 차량(1)의 진입이 용이하다.
특히 이 건의 상기 소폭판넬(53)의 이동 방식은 체인(48)이 각각의 소폭판넬(53)에 결합되어 있고, 이 체인(48)이 이동하기에 소폭판넬(53)이 가이드레일(50)을 타고 이동하는 방식이다. 즉, 이 건 발명의 상기 접이식 도어(51)는, 각각의 소폭판넬(53)은 그 좌우 양단부분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며 결합공(56)이 관통되게 형성된 체인브라켓(57)에, 일부 로울러체인(69)에 대체된 연결핀(60)을 끼워 결합시키되; 상기 연결핀(60)은 로울러체인(69)과 동일한 형상의 롤링부(67)를 갖고, 롤링부(67)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브라켓연결부(58)와 브라켓연결부(58)의 타측방에 형성되는 핀홀(61)을 가진 대응브라켓연결부(62)를 형성하여; 상기 핀홀(61)에 고정핀(63)을 끼워, 결합함으로 연결핀(60)이 일부의 로울러체인(69)을 대체하여, 체인(48)의 역할을 물론 소폭판넬(53)과의 결합을 달성한다.
이 건 발명의 접이식 도어(51)의 중요한 점은 모두 분절된 소폭판넬(53)이 다수 개 연결되어 접이식 도어(51)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접이식 도어(51)는 도 9와 도 10에서처럼, 가이드레일(50)을 타고 이동하는데, 이 이동을 위한 동력의 전달은 이 건 발명에서 체인(48)을 통해서 달성한다. 도 9 내지 도 13을 통해서 살펴보면, 체인(48)은 다수의 회동가능한 로울러체인(69)이 결합하여 스크로켓의 외주면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이 건 발명은 체인(48)을 모터의 회전력을 통해서 잡아당기거나 밀어주는 힘으로 체인(48)에 일체로 결합된 소폭판넬(53)을 같은 거리만큼 당겨서 카케이지(30)의 전방을 폐쇄하거나 개방한다. 체인(48)에 다수의 소폭판넬(53)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체결시켜야 하는데, 이 건 발명의 경우 일반적인 체인(48)의 로울러체인(69)을 형상변경하여 별도의 연결핀(60)을 결합시킨다. 체인(48)의 로울러체인(69) 중 일부를 빼내고, 이 로울러체인(69)의 위치에 유사한 형상을 가진 별도의 연결핀(60)을 끼워 실질적으로 소폭판넬(53)과 체인(48)을 일체로 결합시킨다. 소폭판넬(53)의 간격을 특별하게 고려할 필요없이 체인의 로울러체인(69) 간격을 조절함으로 접이식 도어(51)를 완성하는 것이다.
도 12와 도 13을 통해서 보다 상세하게 이 결합형태를 살펴본다.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상기 체인(48)의 로울러체인(69)에서 2개의 로울러체인(69)을 두고, 2개의 로울러체인(69)을 연결핀(60)으로 교체하는 형태로 변형시킨다. 이는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기에 실질적으로 사용하는 실시예는 다를 수 있다.
상기 연결핀(60)은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스프로켓과 연계를 위한 롤링부(67)를 가진다. 이 롤링부(67)의 형태는 상기 로울러체인(69)과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연결핀(60)은 일측단으로는 돌출된 브라켓연결부(58)가 있고, 타측방으로는 돌출된 대응브라켓연결부(62)가 있다.
체인브라켓(57)은 소폭판넬(53)과 결합된 상태이거나 소폭판넬(53)과 일체형일 수도 있다. 특이한 점은 이 체인브라켓(57)은 소폭판넬(53)의 좌우 양단 부분에서 쌍으로 돌출되고, 결합공(56)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56)에 상기 체인(48)의 연결핀(60)이 끼워져 결합된다. 도시된 도 12에 결합의 방식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데, 연결핀(60)의 롤링부(67)는 체인(48)과 결합하여 로울러체인(69)의 역할을 하면서도, 브라켓연결부(58)와 대응브라켓연결부(62)는 소폭판넬(53)과 결합하여 사실상 체인(48)과 소폭판넬(53)이 일체된 형태를 가지도록 한다.
연결핀(60)의 대응브라켓연결부(62)의 끝단에는 핀홀(61)이 형성되어 있는데, 소폭판넬(53)에서 돌출된 체인브라켓(57)의 결합공(56)에 대응브라켓연결부(62)를 끼우고 대응브라켓연결부(62)의 끝단에 형성된 핀홀(61)에 고정핀(63)을 끼워 서로 빠지지 않는 체결을 달성한다.
이 건 발명에서 도시된 도 9와 10에는 체인(48)과 접이식 도어(51) 및 가이드레일(50)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이 건 발명은 가이드레일(50)에서 수직부(72)와 수평부(73)를 연결하는 절곡부는, 그 폭을 넓힌 라운드부(50')를 형성하여 소폭판넬(53)이 부드럽게 절곡되면서, 수직부(72)와 수평부(73)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접이식 도어(51)는 다수의 소폭판넬(53)이 결합하여 접이식 도어(51)가 되고, 접이식 도어(51)를 형성할 수 있도록 다수의 소폭판넬(53)을 결합시키는 구성으로는 체인(48)을 활용한다. 체인(48)은 이 건 발명의 후술될 구동부(40)에서 당겨주게 되는데, 이 견인력을 통해서 소폭판넬(53)이 당겨진다. 접이식 도어(51)는 체인(48)의 끝단에 수평방향으로 다수 개로 결합된 소폭판넬(53)의 뭉치를 칭하는데, 이 건 발명은 체인(48)과 소폭판넬(53)이 일체로 결합된 형태이다. 소폭판넬(53)의 합인 접이식 도어(51)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데, 도시된 도 9에서 수직부(72)와 라운드부(50')를 합한 정도의 길이이다. 그 이상은 소폭판넬(53)이 체결되지 않은 긴 체인(48)만이 형성된다. 따라서 체인(48)이 당겨지면, 상기 체인(48)은 그 끝단의 소폭판넬(53)을 당겨서 카케이지(30)를 개방하게 된다.
다시 카케이지(30)를 닫고자 하면, 상기 체인(48)을 놓아 접이식 도어(51)를 닫아주게 된다. 이 건 발명의 경우 이렇듯 접이식 도어(51)가 수직부(72)에 위치할 때에는 카케이지(30)를 폐쇄하고, 접이식 도어(51)가 수평부(73)에 위치할 때에는 카케이지(30)를 개방하게 된다. 즉, 수직부(72)와 수평부(73)를 이동하며 개방과 폐쇄를 반복한다. 상기 수직부(72)와 수평부(73)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 건 발명의 가이드레일(50)은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수평부(73)와 수직부(72)를 연결하는 부분에 별도의 라운드부(50')를 가진다. 부드럽게 만곡하도록 하여 소폭판넬(51)이 타고 돌기 유리하도록 한다. 특히 소폭판넬(53)의 끝단에 형성되는 가이드롤(55)이 이 라운드부(50')를 타고 돌기에 매끄러운 동작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이 건 발명의 주요한 요부인 소폭판넬(53)의 이동을 위한 구동부(40)를 설명한다. 이 건 발명에서 도시된 도 7 내지 9에 도시된 구동부(40)는, 카케이지(30)의 상단에 고정되는 모터(41)와 그 감속기(42)를 형성하되, 상기 감속기(42)의 축단에 고정되는 제1스프로켓(43)에 걸린 구동체인(44)을 모터(41)의 측방에 설치된 구동축(46)에 걸린 제2스프로켓(45)과 연결하여 모터(41)의 회전이 구동축(46)을 회전시키도록 한다. 또한 카케이지(30)의 상단이 되는 상기 구동축(46)의 양단에는 베어링과 구동스프라켓(47)을 설치하여 좌우 쌍의 체인(48)이 걸리도록 하고, 상기 늘어선 체인(48)이 카케이지(30)의 전방 상단에 형성된 승하강용스프라켓(52)을 돌아 일측단이 카도어장치(B)를 형성하는 다수의 소폭판넬(53)과 결합되도록 하며, 체인(48)의 타측단은 상기 구동스프로켓(47)을 돌아 카케이지(30)의 전방측 상단에 별도로 고정되는 카운터 웨이터용 스프로켓(49)의 외주면을 돌아, 카케이지(30)의 상단에 형성된 무게추(76)에 연결한다. 또한 상기 체인(48)이 감기면 타측단의 체인(48)은 무게추(76)를 하향시키며 일측단을 당겨 다수의 소폭판넬(53)로 이루어진 접이식 도어(51)를 카케이지(30)의 천장으로 들어올리고, 체인(48)이 풀리면 무게추(76)가 들어올려지고 체인(48)이 풀리며, 천장에 보관된 다수의 소폭판넬(53)로 이루어진 접이식 도어(51)가 카케이지(30)의 전방에 직립하여 카케이지(30)를 폐쇄시킨다.
즉, 이 건 발명은 아주 간단한 방식으로 접이식 도어(51)를 작동시킨다. 모든 구동부(40)의 구성요소들은 카케이지(30)의 천장에 배열하여 설치공간을 최소화하는데, 도시된 도 7의 도면에서처럼 카케이지(30)의 천장 중심부분에 설치된 모터가 회전하는 것으로 이 건 발명은 작동이 시작된다.
먼저 접이식 도어(51)를 개방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구동모터(41)가 회전을 하면, 감속기(42)를 통해서 감속된 회전력이 발생되고, 감속기 샤프트단에 결합된 제1스프로켓(43)이 회전을 한다. 이 제1스프로켓(43)은 구동체인(44)이 걸려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2스프로켓(45)과 연결된다. 제1스프로켓(43)의 회전은 체인(48)을 통해서 제2스프로켓(45)을 회전시킨다. 제2스크로켓(45)은 구동축(46)에 체결된 상태이기에 구동축(46)도 동일한 회전을 한다. 구동축(46)은 카케이지(30) 천장에서 작은폭 일측단에서 타측단까지 늘어선 상태이다. 그리고 이 구동축(46)의 양단에는 도시된 것처럼 베어링과 구동스프로켓(47)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스프로켓(47)에는 도시된 체인(48)이 걸려 체인(48)의 끝단에 다수의 소폭판넬(53)로 이루어진 접이식 도어(51)가 형성된다.
결국 구동스프로켓(47)이 회전하여 체인(48)을 당기게 되면 체인(48)의 끝단에 결합된 접이식 도어(51)는 당겨져 카케이지(30)의 천장을 덮고, 카케이지(30)를 개방하게 된다.
도시된 도 7에서 도면부호 52는 승하강용스프로켓(52)을 도시하고 있는데, 접이식 도어(51)를 치고 내릴때 보다 부드럽게 라운드부(50')를 타고 돌수 있도록 라운드부(50') 형성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도면부호 49는 카운터 웨이터용 스프로켓을 칭하는데 체인(48)의 타측단을 당기거나 밀때 용이하게 사용된다.
즉, 이 건 발명은 체인(48)과 접이식 도어(51)가 결합된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구동력을 통해서 체인(48)의 일측단이 당겨지면 체인(48)의 타측단은 도시된 도 9 (b)에서처럼 무게추(76)를 통해서 하향하여 길이 보상을 한다. 역방향의 이동도 동일하다. 즉, 체인(48)이 풀리며 접이식 도어(51)가 쳐지는 도 9 (a)는, 타측단이 체인(48)이 당겨져 체인(48)의 끝단에 체결된 무게추(76)가 상승하여 올라오게 된다.
다음으로 접이식 도어(51)를 폐쇄시키는 방식을 설명한다. 구동모터(41)가 회전을 하면, 감속기(42)를 통해서 감속된 회전력이 발생되고, 감속기(42) 샤프트단에 결합된 제1스프로켓(43)이 전술된 전자와는 달리 역회전을 한다. 이 제1스프로켓(43)은 구동체인(44)이 걸려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2스프로켓(45)과 연결된다. 제1스프로켓(43)의 역회전은 체인(48)을 통해서 제2스프로켓(45)을 역회전시킨다. 제2스크로켓(45)은 구동축(46)에 체결된 상태이기에 구동축(46)도 동일한 회전을 한다. 구동축(46)은 차케이지(30) 천장에서 작은폭 일측단에서 타측단까지 늘어선 상태이다. 그리고 이 구동축(46)의 양단에는 도시된 것처럼 베어링과 구동스프로켓(47)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스프로켓(47)에는 도시된 체인(48)이 걸려있기에 체인(48)의 끝단에 형성된 접이식 도어(51)가 카케이지(30)의 전방을 닫아, 카케이지(30)를 폐쇄시키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시된 도 14의 도면을 설명한다. 이 도면은 체인브라켓(57)을 별도로 구비한 소폭판넬(53)을 도시한 것으로, 소폭판넬(53)의 좌우 양단부분에 도시된 체인브라켓(57)을 결합시킨다. 용접이나 별도의 체결수단을 통해서 결합하는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쌍으로 결합한다. 이 체인브라켓(57)은 체인(48)에 결합될 연결핀(60)의 좌우 양단인 브라켓연결부(58)와 대응브라켓연결부(62)가 끼워질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도시된 가이드롤(55)은 소폭판넬(53)의 좌우 양단에 체결되어 가이드레일(50)을 타고 소폭판넬(53)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30; 카케이지 40; 구동부
41; 구동모터 42; 감속기
43; 제1스프로켓 44; 구동체인
45; 제2스프로켓 46; 구동축
47; 구동스프로켓 48; 체인
51; 접이식 도어 53; 소폭판넬
55; 가이드롤 60; 연결핀
61; 핀홀 62; 대응브라켓연결부
63; 고정핀 72; 수직부
73; 수평부

Claims (5)

  1. 건축물의 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승강기프레임의 필요한 층에 전방으로 개방된 상태로 설치되는 승강도어와; 승강기프레임의 내측 케이지공간을 타고 기어와 체인의 연동으로 인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철제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카케이지에 결합되어, 상기 카케이지의 일측으로 승강도어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카도어장치에 있어서,
    카케이지(30)의 천장에 고정되는 구동부(40)의 구동모터(41)의 힘을 통해서 카케이지(30)의 전방에 설치되는 접이식 도어(51)를 내리고, 카케이지(30)의 천장에 접이식 도어(51)를 펼쳐서 안전하게 차량(1)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접이식 도어(51)는,
    체인(48)의 회동력을 통해서, 카케이지(30)의 좌우측방에 배열된 가이드레일(50)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폭을 가진 직사각형 형상의 소폭판넬(53)이 다 수개 연결되어 접이식 도어(51)를 형성하고;
    상기 소폭판넬(53)의 좌우 양단에는 "
    Figure 112014083562890-pat00004
    "자 형상의 가이드레일(50)을 타고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별도의 가이드롤(55)을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접이식 카도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소폭판넬(53)은 그 좌우 양단부분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결합공(56)이 관통되게 형성된 체인브라켓(57)에, 일부 로울러체인(69)에 대체된 연결핀(60)을 끼워 결합시키되;
    상기 연결핀(60)은 로울러체인(69)과 동일한 형상의 롤링부(67)를 갖고, 롤링부(67)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브라켓연결부(58)와 브라켓연결부(58)의 타측방에 형성되는 핀홀(61)을 가진 대응브라켓연결부(62)를 형성하여;
    상기 핀홀(61)에 고정핀(63)을 끼워, 결합함으로 연결핀(60)이 일부의 로울러체인(69)을 대체하여, 체인(48)의 역할을 물론 소폭판넬(53)과의 결합을 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접이식 카도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50)에서 수직부(72)와 수평부(73)를 연결하는 절곡부는, 그 폭을 넓힌 라운드부(50')를 형성하여 소폭판넬(53)이 부드럽게 절곡되면서, 수직부(72)와 수평부(73)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접이식 카도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0)는,
    카케이지(30)의 상단에 고정되는 모터(41)와 그 감속기(42)를 형성하되, 상기 감속기(42)의 축단에 고정되는 제1스프로켓(43)에 걸린 구동체인(44)을 모터(41)의 측방에 설치된 구동축(46)에 걸린 제2스프로켓(45)과 연결하여 모터(41)의 회전이 구동축(46)을 회전시키도록 하고;
    카케이지(30)의 상단이 되는 상기 구동축(46)의 양단에는 베어링과 구동스프라켓(47)을 설치하여 좌우 쌍의 체인(48)이 걸리도록 하며;
    상기 늘어선 체인(48)이 카케이지(30)의 전방 상단에 형성된 승하강용스프라켓(52)을 돌아 일측단이 카도어장치(B)를 형성하는 다수의 소폭판넬(53)과 결합되도록 하고;
    체인(48)의 타측단은 상기 구동스프로켓(47)을 돌아 카케이지(30)의 전방측 상단에 별도로 고정되는 카운터 웨이터용 스프로켓(49)의 외주면을 돌아, 카케이지(30)의 상단에 형성된 무게추(76)에 연결하여;
    체인(48)이 감기면 타측단의 체인(48)은 무게추(76)를 하향시키며 일측단을 당겨 다수의 소폭판넬(53)로 이루어진 접이식 도어(51)를 카케이지(30)의 천장으로 들어올리고, 체인(48)이 풀리면 무게추(76)가 들어올려지고 체인(48)이 풀리며, 천장에 보관된 다수의 소폭판넬(53)로 이루어진 접이식 도어(51)가 카케이지(30)의 전방에 직립하여 카케이지(30)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접이식 카도어장치.
KR20140002615A 2014-01-08 2014-01-08 승강기용 접이식 카도어장치 KR101481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2615A KR101481432B1 (ko) 2014-01-08 2014-01-08 승강기용 접이식 카도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2615A KR101481432B1 (ko) 2014-01-08 2014-01-08 승강기용 접이식 카도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432B1 true KR101481432B1 (ko) 2015-01-13

Family

ID=5258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2615A KR101481432B1 (ko) 2014-01-08 2014-01-08 승강기용 접이식 카도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4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6837A (ja) * 1991-12-10 1993-06-22 Tobishima Corp 立体駐車場
JPH0921279A (ja) * 1995-07-06 1997-01-21 Bunka Shutter Co Ltd パネルシャッター用ローラチェーン
JP2002004615A (ja) * 2000-06-21 2002-01-09 Suzuki Shoji:Kk 伸縮性車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6837A (ja) * 1991-12-10 1993-06-22 Tobishima Corp 立体駐車場
JPH0921279A (ja) * 1995-07-06 1997-01-21 Bunka Shutter Co Ltd パネルシャッター用ローラチェーン
JP2002004615A (ja) * 2000-06-21 2002-01-09 Suzuki Shoji:Kk 伸縮性車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41982B2 (ja) ホームドア装置
JP6524403B2 (ja) 分割扉構造
JP6435187B2 (ja) ホーム柵
KR0128483B1 (ko) 입체 주차장
KR101766914B1 (ko)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상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KR101062489B1 (ko) 자전거 리프트 장치
JP2007002607A (ja) ヒンジ装置、及び該ヒンジ装置を備えた折り畳み式の自動昇降ゲート
JP4570482B2 (ja) 自動車用エレベーター装置
JP6342238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場設備の乗降デッキ装置、こ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式駐車場設備
JP2017066809A (ja) 車両飛び込み防止装置とその運転方法
KR101481432B1 (ko) 승강기용 접이식 카도어장치
KR200449234Y1 (ko) 난간형 스크린도어
JP6143897B1 (ja) エレベータ
JP6161383B2 (ja) 機械式駐車設備
JP4837488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の乗降用ステージ
KR20160003957U (ko) 흔들림 방지 구조를 갖는 디펜스 도어 개폐장치
JP6435186B2 (ja) ホーム柵
JP4618628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794202B1 (ko)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JP4497403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の可動デッキ装置
JP6469439B2 (ja) ホーム柵
KR101533557B1 (ko) 상/하개폐식 엘리베이터의 승강장도어개폐장치
JPH0678375U (ja) 工事用昇降装置に関連する扉装置
JP3206676U (ja) 2連式引戸装置
JP4980442B2 (ja) エレベータの釣合おも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