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024B1 - 지폐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지폐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024B1
KR101480024B1 KR1020130147946A KR20130147946A KR101480024B1 KR 101480024 B1 KR101480024 B1 KR 101480024B1 KR 1020130147946 A KR1020130147946 A KR 1020130147946A KR 20130147946 A KR20130147946 A KR 20130147946A KR 101480024 B1 KR101480024 B1 KR 101480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over
engagement
guide portion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우
Original Assignee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7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024B1/ko
Priority to CN201320878497.8U priority patent/CN203720913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7/00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 G06M7/02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wherein objects ahead of the sensing element are separated to produce a distinct gap between successive objects
    • G06M7/06Counting of flat articles, e.g. of sheets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02Housing

Abstract

지폐처리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지폐처리장치는: 대상체가 이송되는 이송경로의 일측에 구비되는 경로안내부 및 이송경로의 타측에 구비되어 대상체의 이송을 안내하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폐처리장치{APPARATUS OF PROCESSING CURRENCY BILLS}
본 발명은 지폐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체의 이송경로의 개방이 용이하고, 별도의 잠금장치 없이 기하학적인 힘의 균형에 의해 이송경로를 개폐할 수 있는 지폐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폐처리장치, 예를 들어 계수기는 여러 매의 지폐를 자동으로 계수하기 위한 장치로, 지폐 외에도 수표, 어음, 상품권과 같은 유가증권을 계수하는데도 사용된다. 이러한 계수기는 지폐를 이송하는 방식에 따라 롤러 마찰식과 진공 흡입식으로 구분된다.
롤러 마찰식의 계수기는 계수될 지폐가 위치되는 지폐투입구와 계수된 지폐가 배출되는 지폐배출구가 구비된 본체와, 지폐를 본체 내부의 반송로에 낱장씩 투입하는 픽업롤러와, 투입된 지폐의 시작검출을 실시하는 동기센서와, 반송로 상에 설치되어 투입된 지폐를 이송하는 다수의 이송롤러와 반송로 상에 설치되는 계수센서와 계수센서를 통해 계수과정을 거친 지폐가 적재되는 지폐적재부를 포함하다.
상기한 롤러 마찰식 계수기는 지폐의 이송부를 구성하는 상하 가이드가 구성되어 있으며, 대개의 경우 대상체가 U턴되어 구부러져서 이송되며 이송중 지폐가 걸리거나 이상이 발생하여 멈추는 경우에 개폐장치를 통해 잠금되어 있는 부분을 해소하여 가이드를 열어서 대상체를 꺼내게 된다.
한편, 국내 등록특허 제1156990호(등록일:2012.06.11)에는 "지폐식별 계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상체의 이송경로의 개방이 용이하여 이상발생 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별도의 잠금장치 없이 기하학적인 힘의 균형에 의해 이송경로를 개폐할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지폐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는: 대상체가 이송되는 이송경로의 일측에 구비되는 경로안내부 및 상기 이송경로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대상체의 이송을 안내하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안내부는 외부에서 상기 이송경로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안내부를 개폐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닫힘시 상기 이송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커버부의 개방시 외부에서 상기 이송경로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일점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1가이드부 및 상기 제1가이드부에 관절 힌지결합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커버부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커버부와 연동되는 결합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결합유지부재의 자체탄성을 향상시키는 굴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측에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가이드부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커버부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가이드부의 자중에 의해 상기 결합유지부재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가이드부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측에 형성되는 편평부와, 상기 가이드부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1볼록부를 갖는 제1결합부재 및 상측에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가이드부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볼록부, 및 상기 결합부와 상기 제2볼록부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갖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유지부재는 상기 제2가이드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편평부에 얹혀지는 제1결합유지부 및 상기 제1결합유지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2가이드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결합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유지부와 상기 제2결합유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는 곡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커버부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가이드부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1결합유지부가 상기 편평부를 가압하거나, 상기 제2결합유지부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가이드부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이송되는 상기 대상체의 방향을 전환시켜주는 방향전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와 상기 가이드부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른 힌지점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커버부가 닫힘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자중에 의해 상기 커버부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가 닫힘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커버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부에서 상기 이송경로로 접근이 용이하도록 상기 커버부와 다른 방향으로 회동되는 상부커버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는 커버부를 잡아당기는 단순한 작동에 의해 커버부와 가이드부가 연동되어 대상체의 이송경로가 개방되므로 이상발생 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부와 커버부가 다른 힌지로 각도 운동을 하며, 두 작용점의 기하학적인 구조를 이용하여 잠금되므로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없이 개폐부를 구성할 수 있어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부의 개방 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1,2볼록부에 제1,2결합유지부가 접하여 가이드되어 안정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측판이 제거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상부커버부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커버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커버부 닫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폐처리장치의 커버부의 열린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가이드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요부 작동도이다.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커버부의 열린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방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측판이 제거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상부커버부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커버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커버부 닫힘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폐처리장치의 커버부의 열린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100)는 경로안내부(110) 및 이동안내부(130)를 포함한다.
먼저, 지폐처리장치(100)는 지폐계수장치나 지폐정사장치 등 지폐를 처리하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체는 지폐 외에도 수표, 어음, 상품권과 같은 유가증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경로안내부(110)는 대상체가 이송되는 이송경로(120)의 일측에 구비된다. 경로안내부(110)에는 대상체가 안착될 수 있는 투입구(112)가 구비되고, 대상체를 이송경로(120)로 공급하는 공급롤러(115)가 구비된다.
이송경로(120)에는 공급롤러(115)에 의해 공급되는 대상체를 이송경로(120)를 따라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이송롤러(122)가 구비되며, 위폐의 검출 및 개수를 카운팅하는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동안내부(130)는 이송경로(120)의 타측에 구비되어 대상체의 이송을 안내하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동안내부(130)는 외부에서 이송경로(120)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이동안내부(130)를 개폐하는 커버부(140), 및 커버부(140)의 닫힘시 이송경로(120)를 제공하고, 커버부(140)의 개방시 외부에서 이송경로(120)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가이드부(150)를 포함한다.
커버부(140)는 지폐처리장치(100)의 배면을 커버하는 직사각형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하단에 커버힌지부(142)가 구비되어 본체(105)에 힌지 연결되며,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배면에 파지홈(144)이 형성된다.
가이드부(150)는 일점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1가이드부(152) 및 제1가이드부(152)에 힌지결합되는 제2가이드부(15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가이드부(152)는 제1힌지부(153)에 의해 본체(105)에 힌지연결되고, 제2가이드부(154)는 제2힌지부(155)에 의해 제1가이드부(152)에 힌지 연결되어 제1가이드부(152)와 제2가이드부(154)는 상호 관절 형태로 꺾이도록 구성된다. 제2가이드부(154)는 이송되는 대상체의 방향을 전환시켜주는 방향전환부(157)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전환부(157)는 굴곡되게 형성되는 부분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C"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즉, 경로안내부(110)로 투입된 대상체는 이송경로(120)를 따라 후측하방으로 이송되고, 방향전환부(157)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제1가이드부(152)가 형성하는 이송경로(120)를 따라 전측하방으로 이송되어 배출된다.
제1가이드부(152)와 제2가이드부(152)에는 대상체를 원활히 이동시키는 아이들롤러(R)가 구비된다. 그리고, 가이드부에는 아이들롤러(R)가 이송롤러(122)에 밀착되어 연동되도록 가압스프링(S)이 구비된다.
제2가이드부(154)는 커버부(14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커버부(140)와 연동되는 결합유지부재(160)를 포함한다. 이때, 커버부(140)의 내측면에는 제1결합부재(170)와 제2결합부재(180)가 구비되어 결합유지부재(160)와 연동된다. 제1결합부재(170)는 상측에 형성되는 편평부(172)와 가이드부(150)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1볼록부(174)가 형성된다. 제2결합부재(180)는 상측에 형성되는 결합부(182)와, 가이드부(150)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볼록부(184) 및 결합부(182)와 제2볼록부(184)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185)가 형성된다. 결합유지부재(160)는 제2가이드부(154)에서 돌출되어 편평부(172)에 얹혀지는 제1결합유지부(162) 및 제1결합유지부(162)와 이격되며 제2가이드부(154)에서 돌출되어 결합부(182)에 결합되는 제2결합유지부(164)를 포함한다. 제1결합유지부(162)와 제2결합유지부(16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는 곡면 형상을 갖는다. 즉,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결합유지부(162,164)의 단부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제1결합유지부(162)의 단부는 편평부(172)에 얹혀지고, 제2결합유지부(164)의 단부는 결합부(182)에 결합된다. 이때, 결합부(182)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으로 형성된다. 홈은 제2결합유지부(164)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2가이드부(154)는 커버부(140)가 닫힌 상태에서 제2가이드부(154)의 자중과 아이드롤러(R)의 가압스프링(S)의 반력에 의해 제1결합유지부(162)가 편평부(172)를 가압하거나, 제2결합유지부(164)가 결합부(182)에 결합되도록 제1가이드부(152)에 힌지 결합된다. 즉,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40)가 닫힌 상태에서 제2가이드부(154)가 커버부(140) 측으로 회전되는 힘을 받도록 제1가이드부(152)와 제2가이드부(154)의 힌지결합위치가 형성되고, 제2가이드부(154)의 무게 중심이 제1가이드부(152)와 제2가이드부(154)의 힌지결합점인 제2힌지부(155)의 후측에 배치된다.
커버부(140)와 가이드부(150)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른 힌지점을 기준으로 회동된다. 이는 커버부(140)의 하단에 구비되는 커버힌지부(142)보다 제1,2힌지부(153,155)가 전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커버부(140)가 닫힘 상태에서 가이드부(150)의 자중과 아이들롤러(R)의 가압스프링(S)의 반력에 의해 커버부(140)를 고정시킨다.
또한, 커버부(140)가 닫힘 상태에서 가이드부(150)가 커버부(140)를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이는 가이드부(150)의 자중에 의해 제1,2결합유지부(162,164)가 커버부(140)를 고정함은 물론, 제1,2결합유지부(162,164)가 돌출 형성되어 자체 탄성과 가압스프링(S)의 반력에 의해 커버부(140)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고정하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5)에는 외부에서 이송경로(120)로 접근이 용이하도록 상부커버부(107)가 더 구비된다. 상부커버부(107)는 본체(105)에 힌지 연결되며, 회동 가능하며 외력에 의해 개폐된다. 이때, 상부커버부(107)는 선단이 본체(105)에 힌지 연결되어 상부로 회동됨으로써, 커버부(140)의 반대방향으로 개방되어 이송경로(120)를 개방하며, 상부커버부(107)에 의해 개방된 이송경로(120)는 커버부(140)에 의해 개방된 이송경로(120)와 연이어짐으로 넓은 범위를 개방할 수 있어 이송경로(120)의 접근이 용이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지폐처리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실시예는 가이드부(150)가 예각으로 굴절된 구조에 관한 것이고, 제2실시예는 가이드부(250)가 둔각으로 굴곡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가이드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요부 작동도이고,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커버부의 열린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100)의 가이드부(250)는 일점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1가이드부(252) 및 제1가이드부(252)에 관절 힌지결합되는 제2가이드부(254)를 포함한다. 제1가이드부(252)는 제1힌지부(253)에 의해 본체(105)에 힌지 연결되고, 제2가이드부(254)는 제2힌지부(255)에 의해 제1가이드부(252)에 힌지 연결되어 제1가이드부(252)와 제2가이드부(254)는 상호 관절 형태로 꺽이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2가이드부(254)는 직선부(254a)가 형성되고, 직선부(254a)의 일정거리에서 각도가 꺽이어 대상체를 이송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제1,2가이부(252,254)에는 대상체를 원활히 이동시키는 아이들롤러(R)가 구비된다. 그리고, 아이들롤러(R)가 이송롤러(122)에 밀착되도록 제2가이드부(254)의 직선부(254a)에는 가압스프링(S)이 구비된다.
제2가이드부(254)는 커버부(14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커버부(140)와 연동되는 결합유지부재(260)를 포함한다. 이때, 커버부(140)의 내측면에는 결합부재(270)가 구비되어 결합유지부재(260)와 연동된다. 결합부재(270)는 상측에 형성되는 결합부(272)와 가이드부(250) 측으로 볼곡하게 형성되는 볼록부(274)가 형성된다.
결합유지부재(260)는 제2가이드부(254)에서 돌출되어 결합부(272)에 결속된다. 이때, 결합유지부재(260)의 자체 탄성력이 향상되도록 제2가이드부(254)에는 굴절부(254b)가 더 구비된다. 즉,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유지부재(260)의 단부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결합부재(270)의 오목한 홈으로 형성되는 결합부(272)에 결속된다.
커버부(1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제2가이드부(254)가 기립된 형태이고, 자중과 아이들롤러(R)의 가압스프링(S)의 반력에 의해 결합유지부재(260)가 결속부(272)에 결속되어 커버부(140)의 닫힘 상태를 유지한다.
이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커버부(140)의 닫힌 상태에서 제2가이드부(254)가 커버부(140)측으로 회전되는 힘을 받도록 제1가이드부(252)와 제2가이드부(254)의 힌지 결합위치가 형성되고, 제2가이드부(254)의 무게 중심이 제1가이드부(252)와 제2가이드부(254)의 힌지결합점인 제2힌지부(255)의 후측에 배치됨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커버부(140)와 가이드부(250)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른 힌지점을 기준으로 회동되는데, 커버부(140)의 하단에 구비되는 커버힌지부(142)보다 제1,2힌지부(253,255)가 전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커버부(140)가 닫힘 상태에서 가이드부(250)의 자중과 아이들롤러(R)의 가압스프링(S)의 반력에 의해 커버부(140)를 고정시킨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100)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투입구(112)에 안착되는 대상체는 공급롤러(115)에 의해 이송경로(120)로 이송되고, 이송경로(12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이송롤러(122)에 의해 대상체는 이송경로(120)를 따라 이송된다. 이때, 각각의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체는 이송경로(12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센서에 의해 위폐여부 검사 및 카운팅이 가능하다.
이러한 대상체의 이송 중 이송경로(120)에서 대상체가 걸리거나 이상이 발생하게 되면, 후측에 구비되는 커버부(140)를 개방하여 이송경로(120)를 노출시킴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체(105)의 내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부(150)는 이송경로(120)를 형성하고, 커버부(140)의 개방동작에 연동되어 이송경로(120)를 노출시키게 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도 8과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40)의 배면에 형성되는 파지홈(144)을 파지하여 후측으로 잡아당기면, 커버부(140)는 커버힌지부(142)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제2가이드부(154)에 돌출 형성되는 제1결합유지부(162)는 커버부(140) 내측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재(170)의 편평부(172)로부터 이탈되고, 제2결합유지부(164)는 커버부(140) 내측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재(180)의 결합부(182)로부터 이탈된다.
이후, 커버부(140)의 회동과 연동되어 제1결합유지부(162)는 제1볼록부(174)를 따라 개방이 안내되고, 제2결합유지부(164)는 제2볼록부(184)를 따라 개방이 안내된다. 그리고, 제2가이드부(154)는 제1가이드부(152)의 선단에서 제2힌지부(155)에 의해 관절 형태로 꺽이게 구성되므로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40)의 회동에 의해 제1가이드부(152)보다 더 회동되어 이송경로(120)를 더 큰 범위로 개방할 수 있다.
이처럼, 커버부(140)의 개방에 연동되어 제1,2가이드부(152,154)가 개방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관절 형태로 구성되는 제1,2가이드부(152,154)에 의해 이송경로(120)가 더 큰 범위로 개방되므로 이송경로(120)에 걸린 대상체의 유출이 용이하다.
대상체의 걸림이나 이상 발생을 해결한 후에는 커버부(140)를 닫는 동작에 의해 커버부(140)는 잠금될 수 있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커버부(140)를 본체(105)측으로 회동시키면, 제2가이드부(154)에 형성된 제1결합유지부(162)와 제2결합유지부(164)가 각각 제1볼록부(174)와 제2볼록부(184)에 접하여 제1가이드부(152)와 제2가이드부(154)를 회동시키고, 제1결합유지부(162)의 단부는 편평부(172)에 얹혀지고, 제2결합유지부(164)의 단부는 결합부(182)에 결속됨으로써, 커버부(140)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킨다.
결합부(182)와 제2볼록부(184) 사이에는 경사부(185)가 구비되어 결합부(182)와 제2결합유지부(164) 단부의 결합이 용이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커버부(140)가 닫힘 상태에서는 제1힌지부(153)와 제2힌지부(155)가 커버힌지부(142)의 전측에 마련되어 제2가이드부(154)의 무게 중심이 제1가이드부(152)와 제2가이드부(154)의 힌지결합점 후측에 구비됨으로 가이드부(150)의 자중과, 아이들롤러(R)의 가압스프링(S) 반력에 의해 커버부(140)의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제2가이드부(154)의 제1결합유지부(162)와 제2결합유지부(164)가 자체탄성에 의해 커버부(140)를 하방으로 가압하므로써, 커버부(140)의 잠금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5)에는 외부에서 이송경로(120)로 접근이 용이하도록 상부커버부(107)가 더 구비되고, 상부커버부(107)에 의해 개방된 이송경로(120)는 커버부(140)에 의해 개방된 이송경로(120)와 연이어짐으로 넓은 범위를 개방할 수 있어 이송경로(120)의 접근이 용이하다. 즉, 본체(105)의 상면과 후면이 개방됨으로써, 이송경로(120)의 넓은 범위가 개방될 수 있다.
한편, 제2실시예에 의하면, 도 13과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40)를 개방하게 되면, 커버부(140)는 커버힌지부(142)를 중심으로 회동되고, 제2가이드부(254)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유지부재(260)는 커버부(140) 내측에 구비되는 결속부재(270)의 결합부(272)로부터 이탈된다. 이후, 커버부(140)의 회동과 연동되어 결합유지부재(260)는 볼록부(274)를 따라 개방이 안내된다.
제2가이드부(254)는 제1가이드부(252)의 선단에서 제2힌지부(255)에 의해 관절 형태로 꺽이게 구성되므로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40)의 회동에 의해 제1가이드부(252)보다 더 회동되어 이송경로를 더 큰 범위로 개방할 수 있다.
이후, 커버부(140)의 닫힘 및 록킹을 살펴보면,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커버부(140)를 본체(105)측으로 회동시키면, 제2가이드부(254)에 형성된 결합유지부재(260)가 볼록부(274)에 접하여 제1가이드부(252)와 제2가이드부(254)를 회동시키고, 결합유지부재(260)의 단부는 결합부(272)에 결속됨으로써, 커버부(140)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제2가이드부(254)에는 결합유지부재(260)의 자체탄성을 향상시키는 굴절부(254b)가 형성되어 결합유지부재(260)와 결합부(272)의 결속을 강화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커버부(140)가 닫힘 상태에서는 제1힌지부(253)와 제2힌지부(255)가 커버힌지부(142)의 전측에 마련되어 제2가이드부(254)의 무게 중심이 제1가이드부(252)와 제2가이드부(254)의 힌지결합점 후측에 구비됨으로 가이드부(250)의 자중과, 아이들롤러(R)의 가압스프링(S) 반력에 의해 커버부(140)의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에 의하면, 커버부를 잡아당기는 단순한 작동에 의해 커버부와 가이드부가 연동되어 대상체의 이송경로가 개방되므로 이상발생 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가이드부와 커버부가 다른 힌지로 각도 운동을 하며, 두 작용점의 기하학적인 구조를 이용하여 잠금되므로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없이 개폐부를 구성할 수 있어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지폐처리장치 105 : 본체
107 : 상부커버부 110 : 경로안내부
112 : 투입구 115 : 공급롤러
120 : 이송경로 122 : 이송롤러
130 : 이동안내부 140 : 커버부
142 : 커버힌지부 144 : 파지홈
150,250 : 가이드부 152,252 : 제1가이드부
153,253 : 제1힌지부 154,254 : 제2가이드부
155,255 : 제2힌지부 157 : 방향전환부
160,260 : 결합유지부재 162 : 제1결합유지부
164 : 제2결합유지부 170 : 제1결합부재
172 : 편평부 174 : 제1볼록부
180 : 제2결합부재 182 : 결합부
184 : 제2볼록부 185 : 경사부
254a : 직선부 254b : 굴절부
270 : 결합부재 272 : 결합부
274 : 볼록부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대상체가 이송되는 이송경로의 일측에 구비되는 경로안내부; 및
    상기 이송경로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대상체의 이송을 안내하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안내부는 외부에서 상기 이송경로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안내부를 개폐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닫힘시 상기 이송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커버부의 개방시 외부에서 상기 이송경로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일점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1가이드부; 및
    상기 제1가이드부에 관절 힌지결합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커버부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커버부와 연동되는 결합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결합유지부재의 자체탄성을 향상시키는 굴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측에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가이드부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커버부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가이드부의 자중에 의해 상기 결합유지부재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가이드부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측에 형성되는 편평부와, 상기 가이드부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1볼록부를 갖는 제1결합부재; 및
    상측에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가이드부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볼록부, 및 상기 결합부와 상기 제2볼록부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갖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지부재는,
    상기 제2가이드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편평부에 얹혀지는 제1결합유지부; 및
    상기 제1결합유지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2가이드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결합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유지부와 상기 제2결합유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는 곡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커버부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가이드부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1결합유지부가 상기 편평부를 가압하거나, 상기 제2결합유지부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가이드부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14. 제 8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이송되는 상기 대상체의 방향을 전환시켜주는 방향전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15. 제 4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와 상기 가이드부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른 힌지점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16. 제 4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커버부가 닫힘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자중에 의해 상기 커버부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17. 제 4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가 닫힘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커버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18. 제 4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상기 이송경로로 접근이 용이하도록 상기 커버부와 다른 방향으로 회동되는 상부커버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KR1020130147946A 2013-11-29 2013-11-29 지폐처리장치 KR101480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946A KR101480024B1 (ko) 2013-11-29 2013-11-29 지폐처리장치
CN201320878497.8U CN203720913U (zh) 2013-11-29 2013-12-27 纸币处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946A KR101480024B1 (ko) 2013-11-29 2013-11-29 지폐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024B1 true KR101480024B1 (ko) 2015-01-13

Family

ID=51160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946A KR101480024B1 (ko) 2013-11-29 2013-11-29 지폐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80024B1 (ko)
CN (1) CN20372091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410A (ko) * 2015-04-01 2016-10-1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계수모듈의 지폐집적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52566A1 (fr) * 1998-04-22 1999-10-27 Schlumberger Industries S.A. Opercule de plombage pour l'occultation d'un objet
JP2001344635A (ja) * 2000-06-02 2001-12-14 Birukon Kk 紙葉類識別計数機およびその識別計数方法
US20030038062A1 (en) * 1999-12-02 2003-02-27 Frank Werner Device for sorting bills
KR200459093Y1 (ko) * 2010-04-02 2012-03-19 ㈜ 씨디피코리아 계수기 커버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52566A1 (fr) * 1998-04-22 1999-10-27 Schlumberger Industries S.A. Opercule de plombage pour l'occultation d'un objet
US20030038062A1 (en) * 1999-12-02 2003-02-27 Frank Werner Device for sorting bills
JP2001344635A (ja) * 2000-06-02 2001-12-14 Birukon Kk 紙葉類識別計数機およびその識別計数方法
KR200459093Y1 (ko) * 2010-04-02 2012-03-19 ㈜ 씨디피코리아 계수기 커버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410A (ko) * 2015-04-01 2016-10-1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계수모듈의 지폐집적장치
KR102322633B1 (ko) 2015-04-01 2021-11-05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지폐계수모듈의 지폐집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3720913U (zh) 201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8888B2 (ja) 紙葉類収納庫および紙葉類取扱装置
JP2011008412A5 (ko)
KR940701570A (ko) 지폐 판독기
US8123121B2 (en) Apparatus for accepting and dispensing banknotes
KR101480024B1 (ko) 지폐처리장치
KR20090065438A (ko) 지엽류 분리 집적 장치
KR200459093Y1 (ko) 계수기 커버 개폐장치
WO2014155644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6547344B2 (ja) 媒体収納庫、及び、媒体取扱装置
KR101865141B1 (ko) 지폐 처리 장치
WO2016031176A1 (ja) 紙葉類処理装置
KR200472152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로 구조
US8100249B2 (en) Apparatus for accepting and dispensing bank notes
KR20170044944A (ko) 에스크로우 장치
KR102037404B1 (ko) 지폐계수기의 덮개 개폐구조
KR101985493B1 (ko)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
WO2016136027A1 (ja) 開閉装置、媒体搬送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KR20070119342A (ko) 잼 제거구조가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
KR101457222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JP3705915B2 (ja) 紙幣処理機における紙幣収納繰出し装置
JPH0747410Y2 (ja) 紙葉収納装置
KR101850836B1 (ko) 드럼식 지폐카세트의 지폐 입출부 가이드 구조 및 그 구조가 적용된 드럼식 지폐카세트
KR20170113996A (ko) 지폐처리장치
CN107430796B (zh) 纸币处理装置
KR102459267B1 (ko) 계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