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267B1 - 계수기 - Google Patents
계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9267B1 KR102459267B1 KR1020150169468A KR20150169468A KR102459267B1 KR 102459267 B1 KR102459267 B1 KR 102459267B1 KR 1020150169468 A KR1020150169468 A KR 1020150169468A KR 20150169468 A KR20150169468 A KR 20150169468A KR 102459267 B1 KR102459267 B1 KR 1024592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path
- transfer
- bill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07D11/235—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monitoring or 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malfunctions
- G07D11/237—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monitoring or 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malfunctions for detecting transport malfunctions, e.g. jams or misfe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계수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계수기는: 포켓부와, 이송되는 지폐를 포켓부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절체부와, 지폐를 이송하는 제1이송부와, 지폐를 판별하는 제1판별부를 구비되는 고정유닛과, 지폐가 투입되는 투입부와, 지폐를 이송하는 제2이송부와, 제1판별부와 연동되어 지폐를 판별하는 제2판별부를 구비하며, 고정유닛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유닛 및 투입부로부터 투입된 지폐가 이송되는 투입경로부와, 투입경로부와 연결되는 연결경로부와 연결경로부와 연결되며, 이송되는 지폐를 포켓부로 안내하는 포켓이송경로부를 구비하는 이송경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계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픈구조의 개선으로 전면에서 이송경로 전체를 개방할 수 있어 모든 잼을 한 번에 제거할 수 있는 계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폐계수기 및 지폐정사기와 같은 계수기는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지폐를 자동으로 계수 및 정사하는데 사용되며, 지폐뿐만 아니라 수표와 같은 유가증권은 물론 각종 지엽류의 매체를 계수하고 분류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지폐계수기 및 지폐정사기는 투입되는 지폐를 계수 및 정사하기 위하여 그 내부에 지폐를 공급하는 공급롤러와, 공급된 지폐를 이송하는 이송롤러와, 공급롤러와 이송롤러에 의해 공급되는 지폐를 반출하기 위한 반출롤러와, 공급롤러, 이송롤러, 반출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및 이와 같은 롤러를 통해 이송된 지폐를 계수하는 스태커 및 리젝터로 구성된다.
이러한, 지폐계수기 및 지폐정사기는 지폐의 계수 및 정사시 낡거나 구겨진 지폐가 투입되거나,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져 투입되거나, 두 장 이상이 겹쳐져 투입되거나, 이물이 부착된 지폐가 투입되거나, 계수기 내의 이송경로상의 문제 등으로 인해 계수기 내부에서 지폐가 정상적으로 이송되지 못하는 지폐걸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부저 또는 액정에 표시하여 걸린 지폐를 제거할 수 있도록 작동하고 있다.
이렇게 지폐 잼이 발생한 경우에 종래의 계수기들은 사용자가 계수기 전면쪽에서 계수기의 일부분(상부 또는 중간부)를 개폐하고 계수기 후면쪽에서 나머지 다른 일부분의 이송로를 개폐하도록 하고 있어, 사용자가 지폐 잼 제거 작업을 수행하기가 매우 불편했다. 특히, 계수기의 후방쪽으로 오픈되는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설치공간면적도 후방쪽으로 여유있게 미리 마련해두거나 벽쪽에 붙여 놓았다가 지폐 잼이 발생할 때마다 장치를 앞쪽으로 옮겨서 후방 외측부를 뒤로 오픈해야 하는 등의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컸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21855호(2009.03.04, 발명의 명칭 : 지폐걸림 간편제거 구조를 구비한 지폐계수기) 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픈구조의 개선으로 전면에서 이송경로 전체를 개방할 수 있어 모든 잼을 한 번에 제거할 수 있는 계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 경로 어느 구간에서든지 지폐 잼이 발생하더라도 사용자가 계수기의 위치를 옮기지 않고 최소 점유 공간 면적에서도 보다 간결한 동작으로 이송 경로 전체를 개폐할 수 있게 하여 잼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계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판별부를 수직으로 배치하여 수직경로 구간에서 판별부의 먼지로부터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송로의 구조개선으로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계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계수기는: 포켓부와, 이송되는 지폐를 상기 포켓부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절체부와, 지폐를 이송하는 제1이송부와, 지폐를 판별하는 제1판별부를 구비되는 고정유닛과, 지폐가 투입되는 투입부와, 지폐를 이송하는 제2이송부와, 상기 제1판별부와 연동되어 지폐를 판별하는 제2판별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유닛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유닛 및 상기 투입부로부터 투입된 지폐가 이송되는 투입경로부와, 상기 투입경로부와 연결되는 연결경로부와, 상기 연결경로부와 연결되며, 이송되는 지폐를 상기 포켓부로 안내하는 포켓이송경로부를 구비하는 이송경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입경로부는 수직되게 배치되는 수직경로를 구비하며, 상기 제1판별부와 상기 제2판별부는 상기 수직경로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경로부는 상기 수직경로의 하측에 굴곡되게 형성되는 굴곡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경로와 상기 굴곡경로 중 적어도 하나에는 지폐에서 이탈되는 먼지가 제거되는 먼지제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먼지제거부에는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관통부를 통과한 먼지가 적재되는 적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이동유닛의 개폐 동작시 상기 포켓이송경로부 측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유닛에 접촉되어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이송부는 개폐 동작시 상기 고정유닛에 대해 상기 이동유닛의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완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유닛이 일점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회전안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켓이송경로부의 일단은 개폐 동작시 상기 회전안내부에 대한 상기 제2이송부의 회전 반경에 대응하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방 동작시 상기 투입부에 적재된 지폐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동유닛의 이동 경로를 제한하는 경로제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유닛을 상기 고정유닛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계수기는 전면에서의 일체형 오픈구조에 의해 이송경로 전체를 개방할 수 있어 모든 잼을 한 번에 제거할 수 있고,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관리 및 유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 경로 어느 구간에서든지 지폐 잼이 발생하더라도 사용자가 계수기의 위치를 옮기지 않고 최소 점유 공간 면적에서도 보다 간결한 동작으로 이송 경로 전체를 개폐할 수 있게 되어 잼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입경로부가 수직되게 배치되는 수직경로를 구비하고, 수직경로에 판별부가 배치됨으로써, 먼지로부터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경로의 하부에 먼지제거부가 구비되어 먼지를 용이하게 집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유닛의 개폐동작시 고정유닛에 대해 이동유닛의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완화부가 구비되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의 다른 각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의 이송경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의 이송경로 개방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의 지폐흐름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의 다른 각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의 이송경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의 이송경로 개방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의 지폐흐름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계수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의 다른 각도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의 이송경로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의 이송경로 개방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의 지폐흐름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100)는 고정유닛(110)과, 이동유닛(120) 및 이송경로부(130)를 포함한다.
우선, 계수기(100)는 지폐를 세는 기계장치로서, 지폐뿐만 아니라 수표, 어음, 상품권과 같은 유가증권 등도 셀 수 있으며, 판별부에 의해 위폐 및/또는 정사를 판별하여 분류할 수 있는 장치이다.
고정유닛(110)은 바닥면에 지지되고, 포켓부(112)와, 이송되는 지폐를 포켓부(112)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절체부(114)와, 지폐를 이송하는 제1이송부(116)와, 지폐를 판별하는 제1판별부(118)가 구비된다.
이동유닛(120)은 지폐가 투입되는 투입부(122)와, 지폐를 이송하는 제2이송부(124)와, 제1판별부(118)와 연동되어 지폐를 판별하는 제2판별부(126)를 구비하며, 고정유닛(1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1이송부(116)와 제2이송부(124)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롤러로 이루어져 지폐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킨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이송부(116)는 구동모터의 구동력과 벨트의 연결에 의해 회전되고, 제2이송부(124)는 제1이송부(116)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는 아이들롤러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100)의 이동유닛(120)은 이동되는 구조를 지니므로 이동유닛(120)의 하중을 줄일 수 있고, 하중에 의한 충격을 줄일 수 있는 구조이다.
제1판별부(118)와 제2판별부(126)는 상호 대응되게 구비되어 투입되는 지폐에 대해 권종인식, 위폐판별, 기타 정사 판별을 할 수 있다. 제1판별부(118)와 제2판별부(126)는 권종인식, 위폐판별, 정사판별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자외선센서, 자성잉크감지 센서인 마그네틱 센서, 이미지획득센서(CIS) 등 지폐를 판별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이송경로부(130)는 투입부(122)로부터 투입된 지폐가 이송되는 투입경로부(132)와, 투입경로부(132)와 연결되는 연결경로부(134)와, 연결경로부(134)와 연결되며 이송되는 지폐를 포켓부(112)로 안내하는 포켓이송경로부(136)가 구비된다.
이송경로부(130)는 고정유닛(110)과 이동유닛(120) 사이에 형성되는 경로이며, 이러한 이송부에 제1,2이송부(116,124)가 구비되어 지폐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고, 제1,2이송부(116,124)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는 포켓부(112)로 적재될 수 있다.
포켓부(112)는 제1포켓(112a)와 제2포켓(112b)로 이루어지고, 지폐는 절체부(114)에 의해 분류되어 적재될 수 있다. 즉, 포켓이송경로부(136)는 각각의 제1포켓(112a), 제2포켓(112b)에 대응되도록 구비되고, 절체부(114)에 의해 지폐의 이송경로가 결정되어 제1포켓(112a) 또는 제2포켓(112b)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제1포켓(112a)에는 정상적인 지폐가 적재되고, 제2포켓(112b)에는 위폐 등의 정상적이지 않은 지폐가 적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포켓(112a)과 제2포켓(112b)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한 것이 아니며, 절체부(114)의 개수에 따라 다수의 포켓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포켓(112a)이 스풀휠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2포켓(112b)은 스풀휠이 없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실시 환경이나 목적에 따라 제1포켓(112a)과 제2포켓(112b) 모두를 스풀휠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거나 모두 스풀휠이 없는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포켓(112a)을 스풀휠이 없는 구조로, 제2포켓(112b)을 스풀휠이 있는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투입경로부(132)는 수직되게 배치되는 수직경로(132a)를 구비하며, 제1판별부(118)와 제2판별부(126)는 수직경로(132a)에 배치된다. 이는 지폐의 이동시 발생되는 먼지가 수직경로(132a)를 통해 자유낙하할 수 있어 제1,2판별부(118,126)가 먼지로부터 받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판별부(118)와 제2판별부(126)가 수직경로(132a)에 수직하게 배치되므로 포켓부(112)의 상하 높이를 사용자가 적재된 지폐를 회수하기 용이하도록 여유있게 설계할 수 있는 자유도가 있다.
연결경로부(134)는 수직경로(132a)의 하측에 굴곡되게 형성되는 굴곡경로(134a)를 포함한다. 연결경로부(134)는 수직경로(132a)에서 굴곡되게 형성되어 포켓이송경로부(136)로 연결되는 경로이다.
수직경로(132a)와 굴곡경로(134a) 중 적어도 하나에는 지폐로부터 이탈되는 이물 및 먼지가 제거되는 먼지제거부(14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경로(132a)와 굴곡경로(134a)의 사이에 먼지제거부(140)가 구비된다. 먼지제거부(140)에는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부(142)가 형성되고, 고정유닛(110)은 관통부(142)를 통과한 먼지가 적재되는 적재부(144)를 더 포함한다. 즉, 관통부(142)는 수직경로(132a)와 굴곡경로(134a) 사이의 곡면 부위에 형성되고, 관통부(142)의 하부에 적재부(144)가 구비되어 수직경로(132a)에서 자유낙하하는 먼지를 집진할 수 있다. 적재부(144)는 상부가 개구된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먼지를 집진하고, 고정유닛(110)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형상의 적재부(144)는 고정유닛(110)으로부터 슬라이드 가능하게 탈부착된다. 이때, 적재부(144)의 하면에는 레일부(145)가 형성되고, 고정유닛(110)에는 레일부(145)와 접촉되는 접촉부재(146)가 구비되어 적재부(144)는 탈부착시 직선으로 안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100)는 이동유닛(120)이 일점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회전안내부(150)를 더 포함한다. 회전안내부(150)는 고정유닛(110)의 후방측 상단부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고 고정유닛(110)으로부터 이동유닛(120)이 회전되도록 상호 힌지 연결하는 힌지축으로 이루어진다.
제2이송부(124)의 일부는 이동유닛(120)의 개폐 동작시 포켓이송경로부(136) 측에 배치되는 고정유닛(110)에 접촉되어 슬라이딩 된다. 포켓이송경로부(136)의 일단은 이동유닛(120)의 개폐 동작시 회전안내부(150)에 대한 제2이송부(124)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2이송부(124)가 고정유닛(110)에 접촉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안내부(150)에 의해 회동되는 이동유닛(120)과 고정유닛(110)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굴곡경로(134a)로부터 포켓이송경로부(136)를 상기와 같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이송 경로가 완만하게 되어 고속으로 이송되는 지폐가 절체부(144)로 부드럽게 진입하게 된다. 또한, 수직으로 배치한 판별부(118,126)에 구비되는 센서들을 줄이거나 하여 크기를 작게 하거나 기타 다른 실시 환경의 경우엔 포켓이송경로부(136)를 원호 형상이 아닌 직선에 가까운 형상이나 또 다른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제2이송부(124)는 개폐 동작시 고정유닛(110)에 대해 이동유닛(120)의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완화부(160)를 구비한다. 충격완화부(160)는 제2이송부(124)를 고정유닛(110) 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충격완화부(160)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이송부(124)에 구비되는 롤러를 탄성지지하는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제2이송부(124)의 개폐 동작시 제2이송부(124)가 고정유닛(110)에 슬라이딩됨은 물론,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100)에는 이동유닛(120)의 개방 동작시 투입부(122)에 적재된 지폐가 쏟아지거나 무게중심이 바뀌어 계수기 전체가 뒤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동유닛(120)의 이동 경로를 제한하는 경로제한부(170)가 더 구비된다. 경로제한부(170)는 회전안내부(150)를 중심으로 한 이동유닛(120)의 회동각도를 제한함으로써, 이송경로에 걸린 지폐를 제거하기 위해 고정유닛(110)과 이동유닛(120)의 벌어진 틈으로 손이 들어갈 정도의 각도(약 55도) 개방되게 함은 물론, 이동유닛(120)의 투입부(122)에 적재된 지폐더미의 무게중심이 뒤로 넘어가지 않도록 하여 이송경로부(130)의 개방시 투입부(122)에 적재된 지폐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로제한부(17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경로제한부(170)의 일단은 고정유닛(110)에 지지되고, 타단은 이동유닛(120)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100)는 이동유닛(120)을 고정유닛(110)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180)를 더 구비한다. 고정부(180)는 이동유닛(120)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레버부재(182) 및 레버부재(182)와 연결되도록 고정유닛(11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85) 및 레버부재(182)를 최초위치로 복원하는 복원부재(187)를 포함한다. 레버부재(182)의 선단에는 걸림돌기(185)에 결속되는 걸림부(183)가 형성되고, 걸림부(183)에는 경사부(184)가 형성되어 걸림돌기(185)와 접촉시 걸림돌기(185)와 걸림부(183)의 결속을 안내한다.
이러한 고정부(180)는 이동유닛(120)과 고정유닛(1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레버부재(182)는 상호 연동축(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연동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180)는 투입경로부(132) 하부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상술하였으나, 고정부(180)를 연결경로부(134) 또는 포켓이송경로부(136)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구성으로도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80)의 결속 동작인 잠금동작과 잠금해제동작을 본 실시예에서는 측면쪽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예컨대, 긴 레버 형상의 연결부재(미도시)로 고정부(180)와 전면쪽으로 연결한 잠금해제부(미도시)를 제2포켓부(112b)의 하부의 소정 위치로 배치하여 전면쪽으로 잠금해제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지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100)의 계수작동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지폐를 투입부(122)에 안착시킨 후 계수기(100)를 작동시키면, 구동모터가 작동되고, 제1이송부(116)와 제2이송부(124)에 의해 투입부(122)의 지폐가 이송경로부(130)를 통해 포켓부(112)로 이동된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고정유닛(110)과 이동유닛(120) 사이에는 이송경로부(130)가 형성되고, 이러한 이송경로부(130)에 제1이송부(116)와 제2이송부(124)가 구비되어 지폐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지폐는 수직경로(132a)로 이루어지는 투입경로부(132)와 굴곡경로(134a)로 이루어지는 연결경로부(134) 및 포켓이송경로부(136)를 거쳐 각 포켓부(112)로 적재될 수 있다.
수직경로(132a)로 이루어지는 투입경로부(132)에는 각각 대응되는 제1판별부(118)와 제2판별부(126)가 구비되어 이송 중인 지폐를 위폐 또는 불량지폐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정상인 지폐는 이송경로부(130)를 따라 제1포켓(112a)으로 전달되어 적재되고, 제1,2판별부(118,126)에 의해 위폐 또는 불량인 지폐가 검출되면, 셀렉터(115)의 작동에 의해 절체부(114)가 이송경로를 전환하여 위폐 또는 불량인 지폐를 제2포켓(112b)으로 안내하여 적재할 수 있다.
이때, 지폐의 이송에 의해 발생되는 먼지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경로(132a)와 굴곡경로(134a) 사이에 형성되는 관통부(142)를 통해 적재부(144)에 적재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판별부(118)와 제2판별부(126)는 수직경로(132a)에 구비됨으로써, 먼지가 수직경로(132a)에서 자유낙하하게 되므로 먼지로부터 받는 영향을 줄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직경로(132a)에 의해 먼지가 자유낙하하므로 관통홀을 통한 적재부(144)의 집진이 용이하다. 적재부(144)는 고정유닛(110)으로부터 슬라이드 탈착 가능하여 적재부(144)에 적재된 먼지 제거가 용이하다.
이후, 지폐 걸림시 이송경로부(130)의 개방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송경로부(130)에 지폐의 걸림이 발생되면, 고정유닛(110)으로부터 이동유닛(120)을 회동시켜 걸린 지폐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레버부재(182)를 파지하여 잡아당기면 레버부재(182)의 단부가 회동되어 걸림부(183)와 걸림돌기(185)의 결속이 해제되고, 이동유닛(120)은 회전안내부(150)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이동유닛(120)은 고정유닛(110)으로부터 회동되어 이송경로부(130)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80)의 해제에 의해 회전안내부(150)에 구비되는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경로제한부(170)의 반발력에 의해 이동유닛(120)과 고정유닛(110) 사이에 손이 들어갈 정도로 이동유닛(120)이 회동되고, 이동유닛(120)의 무게중심이 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투입부(122)에 적재된 지폐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이송경로부(130)에 걸린 지폐를 제거할 수 있다. 한 번의 작동으로 이동유닛(120)이 회동되고, 이송경로부(130)의 전체가 개방될 수 있다.
이송경로부(130)에 걸린 지폐가 제거되면, 이동유닛(120)을 회동시켜 고정유닛(110)에 고정한다. 즉, 사용자가 이동유닛(120)을 파지하여 하방으로 눌러주게 되면, 이동유닛(120)이 회전되게 되고, 걸림부(183)에 형성되는 경사부(184)가 걸림돌기(185)에 접촉되므로써, 걸림돌기(185)와 걸림부(183)의 결속이 안내된다. 이때, 제2이송부(124)는 포켓이송경로부(136) 측에 배치되는 제2이송부(124)에 접촉되어 슬라이딩되므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포켓이송경로부(136)는 회전안내부(150)에 대한 제2이송부(124)의 회전 반경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딩에 의한 충격완화가 가능하다. 더욱이 포켓 제2이송부(124)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충격완화부(160)에 의해 고정유닛(110)의 접촉시 충격이 완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유닛(110)에 구비되는 절체부(144) 등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어 정합이 틀어지는 등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속으로 이송되는 지폐를 적시에 포켓부(112a, 112b)로 안내해주도록 절환 동작을 수행하는 절체부(144)는 종래에도 이동유닛(120)에 구비되었으나 충격이나 이동에 민감한 특성을 가지므로 고정유닛(110)에 구비되어 이동유닛(120)의 개폐동작에 영향을 안받게 됨으로써, 절체부(144)의 이상으로 인한 잼 발생도 감소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에 의하면, 전면에서의 일체형 오픈구조에 의해 한 번에 이송경로 전체를 개방할 수 있어 모든 잼을 제거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키며, 투입경로부가 수직되게 배치되는 수직경로를 구비하고, 수직경로에 판별부가 배치됨으로써, 먼지로부터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계수기 110 : 고정유닛
112 : 포켓부 112a : 제1포켓
112b : 제2포켓 114 : 절체부
115: 셀렉터 116 : 제1이송부
118 : 제1판별부 120 : 이동유닛
122 : 투입부 124 : 제2이송부
126 : 제2판별부 130 : 이송경로부
132 : 투입경로부 132a : 수직경로
134 : 연결경로부 134a : 굴곡경로
136 : 포켓이송경로부 140 : 먼지제거부
142 : 관통부 144 : 적재부
145 : 레일부 146 : 접촉부재
150 : 회전안내부 160 : 충격완화부
170 : 경로제한부 180 : 고정부
182 : 레버부재 183 : 걸림부
184 : 경사부 185 : 걸림돌기
187 : 복원부재
112 : 포켓부 112a : 제1포켓
112b : 제2포켓 114 : 절체부
115: 셀렉터 116 : 제1이송부
118 : 제1판별부 120 : 이동유닛
122 : 투입부 124 : 제2이송부
126 : 제2판별부 130 : 이송경로부
132 : 투입경로부 132a : 수직경로
134 : 연결경로부 134a : 굴곡경로
136 : 포켓이송경로부 140 : 먼지제거부
142 : 관통부 144 : 적재부
145 : 레일부 146 : 접촉부재
150 : 회전안내부 160 : 충격완화부
170 : 경로제한부 180 : 고정부
182 : 레버부재 183 : 걸림부
184 : 경사부 185 : 걸림돌기
187 : 복원부재
Claims (10)
- 포켓부와, 이송되는 지폐를 상기 포켓부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절체부와, 지폐를 이송하는 제1이송부와, 지폐를 판별하는 제1판별부를 구비되는 고정유닛;
지폐가 투입되는 투입부와, 지폐를 이송하는 제2이송부와, 상기 제1판별부와 연동되어 지폐를 판별하는 제2판별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유닛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유닛;
상기 투입부로부터 투입된 지폐가 이송되는 투입경로부와, 상기 투입경로부와 연결되는 연결경로부와, 상기 연결경로부와 연결되며, 이송되는 지폐를 상기 포켓부로 안내하는 포켓이송경로부를 구비하는 이송경로부; 및
상기 제1판별부와 상기 제2판별부의 상류측 근방의 상기 고정유닛의 후방측 상단부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유닛이 일점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회전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경로부는 상기 제1판별부와 상기 제2판별부가 배치되는 수직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경로부는 상기 수직경로의 하측에 굴곡되게 형성되는 굴곡경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이동유닛의 개폐 동작시 상기 포켓이송경로부 측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유닛에 접촉되어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기.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부는 개폐 동작시 상기 고정유닛에 대해 상기 이동유닛의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완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기.
- 제 1항, 제 5항,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이송경로부의 일단은 개폐 동작시 상기 회전안내부에 대한 상기 제2이송부의 회전 반경에 대응하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기.
- 삭제
- 제 1항, 제 5항,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방 동작시 상기 투입부에 적재된 지폐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동유닛의 이동 경로를 제한하는 경로제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9468A KR102459267B1 (ko) | 2015-11-30 | 2015-11-30 | 계수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9468A KR102459267B1 (ko) | 2015-11-30 | 2015-11-30 | 계수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4158A KR20170064158A (ko) | 2017-06-09 |
KR102459267B1 true KR102459267B1 (ko) | 2022-10-31 |
Family
ID=59219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9468A KR102459267B1 (ko) | 2015-11-30 | 2015-11-30 | 계수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9267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3160B1 (ko) * | 2012-12-20 | 2014-05-08 | 주식회사 메카트로 | 반출부 개방이 가능한 지폐계수기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4563B1 (ko) * | 2010-07-27 | 2012-07-11 | 기산전자 주식회사 | 지폐 잼 제거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지폐처리장치 |
KR101511043B1 (ko) * | 2013-02-28 | 2015-04-10 | 기산전자 주식회사 | 위조지폐의 감지, 신고, 통합관리가 가능한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101619151B1 (ko) * | 2013-07-26 | 2016-05-11 | 기산전자 주식회사 | 수표의 위변조 감별 시스템 및 그 방법 |
-
2015
- 2015-11-30 KR KR1020150169468A patent/KR10245926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3160B1 (ko) * | 2012-12-20 | 2014-05-08 | 주식회사 메카트로 | 반출부 개방이 가능한 지폐계수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4158A (ko) | 2017-06-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36650B2 (en) | Sheet accepting apparatus and recycler | |
EP2110792B1 (en) | Sheets processing machine | |
JP5482283B2 (ja) | 紙幣収納庫およびそれを備えた紙幣入出金機 | |
US20140190787A1 (en) | Bill storage box and bill handling device | |
WO2013172083A1 (ja) |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 |
WO2015141162A1 (ja) | 紙葉類処理装置 | |
WO2014155644A1 (ja) |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 |
JP6532662B2 (ja) | 紙葉類繰出機構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 |
KR102459267B1 (ko) | 계수기 | |
JP5462637B2 (ja) | 紙葉類取扱装置 | |
JP2007026014A (ja) | 紙葉類搬送機構 | |
JP5898041B2 (ja) | 搬送ユニット付き紙葉類取扱装置 | |
JP6417927B2 (ja) | 媒体処理装置 | |
WO2013172084A1 (ja) |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 |
KR20170113996A (ko) | 지폐처리장치 | |
KR20120078054A (ko) | 집적 공간 조절 가이드를 구비한 지폐취급장치와 지폐취급방법 | |
KR102480253B1 (ko) | 계수기 | |
KR20110104655A (ko) | 지폐입출금장치 | |
JP5176515B2 (ja) | 硬貨処理装置および自動取引装置 | |
JP6597383B2 (ja) | 紙葉類処理装置 | |
JP4835194B2 (ja) | 紙幣取扱装置 | |
JP6099441B2 (ja) | 紙葉類集積装置および紙葉類集積方法 | |
KR102075331B1 (ko) | 멀티포켓형 지폐처리장치 | |
JP4830147B2 (ja) | 紙幣入出金装置及び紙幣入出金装置の紙幣搬送方法 | |
JP6669884B2 (ja) | 紙葉類取扱装置及び紙葉類取扱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