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093Y1 - 계수기 커버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계수기 커버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093Y1
KR200459093Y1 KR2020100003458U KR20100003458U KR200459093Y1 KR 200459093 Y1 KR200459093 Y1 KR 200459093Y1 KR 2020100003458 U KR2020100003458 U KR 2020100003458U KR 20100003458 U KR20100003458 U KR 20100003458U KR 200459093 Y1 KR200459093 Y1 KR 2004590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cover
cover
frame
counter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4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601U (ko
Inventor
이경건
Original Assignee
㈜ 씨디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 씨디피코리아 filed Critical ㈜ 씨디피코리아
Priority to KR20201000034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093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6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6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0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0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7/00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 G06M7/02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wherein objects ahead of the sensing element are separated to produce a distinct gap between successive objects
    • G06M7/06Counting of flat articles, e.g. of sheets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02Hous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점검, 수리 및 중송, 지폐 걸림 등의 오작동 시 계수기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계수기 커버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폐투입구, 지폐배출구, 상기 지폐투입구와 상기 지폐배출구를 연결하는 반송로 및 상기 반송로 상에 설치되어 지폐를 이송하는 이송롤러가 마련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 및 좌우측면에 결합되는 전면 및 측면커버와,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후면커버와,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후면커버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후면커버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후면커버와,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는 링크 플레이트와,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제1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조인트와, 양단이 상기 제1후면커버의 측면과 상기 조인트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1링크와, 양단이 상기 제2후면커버와 상기 조인트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2링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계수기 커버 개폐장치{SWITCHING DEVICE OF BILL COUNTER COVER}
본 고안은 계수기 커버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점검, 수리 및 중송, 지폐 걸림 등의 오작동 시 계수기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계수기 커버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수기는 여러 매의 지폐를 자동으로 계수하기 위한 장치로, 지폐 외에도 수표, 어음 및 상품권과 같은 유가증권을 계수하는데도 사용된다. 이러한 계수기는 지폐를 이송하는 방식에 따라 롤러 마찰식과 진공 흡입식으로 구분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종래의 롤러 마찰식 계수기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종래의 롤러 마찰식 계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종래의 롤러 마찰식 계수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롤러 마찰식 계수기는, 계수될 지폐가 위치되는 지폐투입구(12)와 계수된 지폐가 배출되는 지폐배출구(14)가 구비된 본체(10)와, 지폐를 본체(10) 내부의 반송로(16)에 낱장씩 투입하는 픽업롤러(20)와, 투입된 지폐의 시작검출을 실시하는 동기센서(30)와, 반송로(16) 상에 설치되어 투입된 지폐를 이송하는 다수의 이송롤러(42,44,46)와, 반송로(16) 상에 설치되는 계수센서(50)와, 계수센서(50)를 통해 계수과정을 거친 지폐가 적재되는 지폐적재부(6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계수기는, 픽업롤러(20)가 회전하며 지폐투입구(12)에 적재된 지폐를 본체(10) 내부로 한 장씩 투입한다. 투입된 지폐는 맞물려 회전하는 한 쌍의 제1이송롤러(42,44)에 의해 반송로(16)를 따라 이송된다. 이때, 이송된 지폐가 동기센서(30)에 도달하면 시작검출이 실시된다. 또한, 지폐가 제1이송롤러(42,44)와 제2이송롤러(46) 사이에 설치된 영상획득센서(70)에 도달하면 지폐의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권종 및 위폐 여부를 검출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권종 및 위폐 확인이 완료된 지폐는 제2이송롤러(46)에 의해 지폐배출구(14) 측으로 이송되고, 지폐배출구(14) 측에 설치된 계수센서(50)에서 계수된 후 스태커휠(80)에 의해 배출되어 지폐적재부(60)에 적재된다.
한편, 계수기의 본체(10)는, 지폐배출구(14)가 구비된 프레임(10a)과, 프레임(10a)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폐투입구(12)가 구비된 전면커버(10b)와, 프레임(10a)의 후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면커버(10c)와, 프레임(10a)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측면커버(10d)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계수기는 본체(10) 내부에 설치된 부속품(이송롤러(42,44,46) 및 각종 센서(30,70))의 점검 및 수리시 프레임(10a)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된 전면커버(10b)와 후면커버(10c)를 모두 개방해야만 한다. 즉, 전면커버(10b)와 후면커버(10c)를 모두 개방해야만 본체(10)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계수기의 점검 및 수리가 용이하지 못하며, 특히 중송, 지폐 걸림 등과 같이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오작동에도 전면커버(10b)와 후면커버(10c)를 모두 개방해야만 하므로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점검, 수리 및 중송, 지폐 걸림 등의 오작동 시 계수기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계수기 커버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계수기 커버 개폐장치는, 지폐투입구, 지폐배출구, 상기 지폐투입구와 상기 지폐배출구를 연결하는 반송로 및 상기 반송로 상에 설치되어 지폐를 이송하는 이송롤러가 마련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 및 좌우측면에 결합되는 전면 및 측면커버와,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후면커버와,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후면커버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후면커버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후면커버와,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는 링크 플레이트와,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제1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조인트와, 양단이 상기 제1후면커버의 측면과 상기 조인트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1링크와, 양단이 상기 제2후면커버와 상기 조인트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2링크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1후면커버 개방시 조인트의 이동 및 제1 및 제2링크의 회전에 의해 제2후면커버가 연동하여 개방되므로 제1 및 제2후면커버의 개폐가 용이하다. 따라서 점검, 수리 및 중송, 지폐 걸림 등의 오작동 시 계수기의 내부를 쉽게 관찰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후면커버 개방시 내부에 설치된 각종 센서 및 이송롤러 등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점검, 수리 및 오작동을 해결하기 위한 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의 전면과 후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의 측면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의 후면커버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의 후면커버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의 후면커버 개폐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종래의 롤러 마찰식 계수기의 사시도.
도 11은 종래의 롤러 마찰식 계수기의 단면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의 전면과 후면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는,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의 전면, 측면 및 후면에 각각 결합되는 커버(120,130,140,150)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커버(120~150) 중 전면 및 측면커버(120,130)는 프레임(110)에 고정 결합되고, 후면커버(140,150)는 계수기의 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우선, 프레임(110)은 얇은 두께를 가진 금속판을 절곡 또는 접합한 U자 형상이다. 프레임(110)의 상면과 전면에는 지폐투입구(111)와 지폐배출구(11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지폐투입구(111)와 지폐배출구(112)를 연결하는 반송로(113)가 형성된다. 반송로(113) 상에는 지폐투입구(111)를 통해 투입된 지폐를 지폐배출구(112) 측으로 이송하는 복수의 이송롤러(114)와, 지폐의 권종 및 위폐여부에 따라 분류하는 절체기(115) 및 계수된 지폐를 외부로 배출하는 스태커휠(116)이 설치된다.
전면커버(120)는 프레임(110)의 전면에 결합되고, 프레임(110)의 전면과 상면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로 제작된다. 이 전면커버(120)의 상면, 즉 프레임(110)의 지폐투입구(111)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지폐안착부(121)가 형성되고, 지폐배출구(112)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지폐적재부(122)가 형성되며, 지폐안착부(121)에는 지폐를 낱장으로 공급하기 위한 픽업롤러(123)가 설치된다. 또한, 전면커버(120)의 전면에는 계수기의 조작을 위한 입력부(124)와 계수기의 작동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125)가 설치된다.
측면커버(130)는 프레임(110)의 좌우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 측면커버(130)는 프레임(110)의 측면 및 전면커버(120)의 측면을 덮을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로 제작된다.
후면커버(140,150)는 프레임(110)의 후면에서 상하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후면커버(140,150)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후면커버(140,150)에는 반송로(113)의 상에 설치된 이송롤러(114)와 접촉하여 지폐를 이송하는 복수의 제1 및 제2보조롤러(141,151)가 설치된다. 또한, 제1후면커버(140)에 설치된 제1보조롤러(141) 사이에는 지폐의 권종 및 위폐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42)와 지폐를 계수하는 센서(143)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폐의 권종 및 위폐여부를 감지하고 지폐를 계수하기 위한 센서(142,143)가 별도로 설치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지폐의 권종 및 위폐여부와 계수를 함께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센서(142,143)의 설치위치도 제1보조롤러(141) 사이가 아닌 제2보조롤러(151) 사이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 및 제2후면커버(140,150)는 점검, 수리 및 중송, 지폐 걸림 등의 오작동 시 계수기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제1 및 제2후면커버(140,150)의 개폐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의 측면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의 후면커버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의 후면커버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후면커버(140,150)는 제1 및 제2회전축(144,154)을 통해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제1 및 제2회전축(144,154)이 프레임(110)의 상단과 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및 제2후면커버(140,150)의 선단이 제1 및 제2회전축(144,154)에 각각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결합된 제1 및 제2후면커버(140,150)는 제1 및 제2회전축(144,154)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하며 계수기의 후면을 개폐한다.
제1후면커버(140)는 반송로(113)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그 일측에는 제1힌지축(145)이 구비되고, 제1힌지축(145)에는 제1링크(160)의 일단이 힌지 결합된다. 제1힌지축(145)에 결합되는 제1링크(160)는 제1후면커버(140)의 개폐시 후술할 조인트(190)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제1후면커버(140)의 하부에 위치된 제2후면커버(150)는 반송로(113)의 하부를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 일측에는 제1후면커버(140)와 동일하게 제2힌지축(155)이 구비되며, 제2힌지축(155)에는 제2링크(170)의 일단이 힌지 결합된다. 이때, 제2힌지축(155)에 결합되는 제2링크(170)는 제1후면커버(140)의 개폐시 이동하는 조인트(19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후면커버(150)를 개폐하기 위한 수단이다.
한편, 제1후면커버(140)와 제2후면커버(150)가 결합되는 프레임(110)의 측면에는 링크 플레이트(180)가 설치된다. 링크 플레이트(180)에는 프레임(110)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제1안내홈(182)이 형성되고, 제1안내홈(182)에는 제1링크(160)와 제2링크(170)의 타단이 힌지 결합되는 조인트(19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술한 제1 및 제2링크(160,170)와 조인트(190)는 제1후면커버(140)의 개폐시 제2후면커버(150)를 연동시키는 수단이다. 즉, 제1후면커버(140)를 개방하면 제1힌지축(145)에 결합된 제1링크(160)가 조인트(190)를 프레임(110)의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조인트(190)에 힌지 결합된 제1링크(160)와 제2링크(170)가 서로 이격되며 제2후면커버(150)를 개방한다. 반면, 제1후면커버(140)를 닫으면 제1힌지축(145)에 결합된 제1링크(160)가 조인트(190)를 프레임(110)의 전방으로 이동시켜 제1링크(160)와 제2링크(170)를 서로 접근시키고, 이에 제2후면커버(150)도 함께 닫힌다.
이와 같은 개폐구조를 갖는 계수기의 프레임(110) 측면에는 제1후면커버(140)의 개폐시 제1힌지축(145)의 이동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제2안내홈(도 8의 117)과, 제2후면커버(150)의 개폐시 제2힌지축(155)의 이동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제3안내홈(도 8의 118)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 및 제3안내홈(117,118)은 제1후면커버(140)와 제2후면커버(15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제1회전축(144)과 제2회전축(154)을 원점으로 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링크 플레이트(180)에는 조인트(190)를 프레임(110)의 후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184)이 설치된다. 스프링(184)은 제2링크(170)가 제1링크(160)로부터 용이하게 이격되도록 하는 보조수단이다. 즉, 조인트(190)를 프레임(110)의 후방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제1후면커버(140) 개방시 제2링크(170)가 제1링크(160)로부터 용이하게 이격된다.
또한, 조인트(19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제1안내홈(182)이 프레임(110)의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안내홈(182)을 경사지게 형성할 경우 제1후면커버(140) 개방시 조인트(190)의 이동이 원활하여 제2링크(170)가 제1링크(160)로부터 용이하게 이격된다.
다른 한편, 제1후면커버(140)에는 제1후면커버(140)를 들어올리기 쉽도록 핸들(146)이 형성된다. 또한, 제1후면커버(140)의 후단에는 후크(147)가 설치되고, 제2후면커버(150)의 후단에 후크홈(157)이 형성된다. 이 후크(147)와 후크홈(157)은 제1 및 제2후면커버(140,150)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따라서 제1 및 제2후면커버(140,150)가 닫혀 후크(147)와 후크홈(157)이 결합된 상태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의 후면커버 개폐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의 후면커버 개폐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및 제2후면커버(140,150)가 닫힌 상태에서 핸들(146)을 당기면, 후크(도 6의 147)가 후크홈(도 6의 157)으로부터 분리되고, 제1후면커버(140)가 제1회전축(144)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제1후면커버(140)가 회전하면 제1힌지축(145)에 결합된 제1링크(160)가 조인트(190)를 프레임(110)의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조인트(190)의 이동에 의해 제1링크(160)와 제2링크(170)가 서로 이격되며 제2후면커버(150)가 제2회전축(154)을 중심으로 개방된다(도 9 참조).
반면,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및 제2후면커버(140,150)가 열린 상태에서 제1후면커버(140)를 눌러 닫으면, 제1후면커버(140)가 제1회전축(144)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조인트(190)를 프레임(110)의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조인트(190)의 이동에 의해 제1링크(160)와 제2링크(170)가 서로 근접하여 제2후면커버(150)가 닫힌다.
이때, 조인트(190)는 스프링(184)에 의해 프레임(110)의 후방으로 탄성 지지되므로, 조인트(190)의 이동이 원활하여 제1 및 제2후면커버(140,150)가 용이하게 개방된다. 특히, 제1안내홈(182)이 프레임(110)의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 및 제2후면커버(140,150)의 개방이 더욱 용이하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계수기는 제1후면커버(140) 개방시 조인트(190)의 이동 및 제1 및 제2링크(160,170)의 회전에 의해 제2후면커버(150)가 연동하여 개방되므로 제1 및 제2후면커버(140,150)의 개폐가 용이하다. 따라서 점검, 수리 및 중송, 지폐 걸림 등의 오작동 시 계수기의 내부를 쉽게 관찰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후면커버(140,150) 개방시 내부에 설치된 각종 센서(도 3의 142,143) 및 이송롤러(도 4의 114) 등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점검, 수리 및 오작동을 해결하기 위한 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프레임 120: 전면커버
130: 측면커버 140: 제1후면커버
150: 제2후면커버 160: 제1링크
170: 제2링크 180: 링크 플레이트
190: 조인트

Claims (9)

  1. 삭제
  2. 지폐투입구, 지폐배출구, 상기 지폐투입구와 상기 지폐배출구를 연결하는 반송로 및 상기 반송로 상에 설치되어 지폐를 이송하는 이송롤러가 마련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면 및 좌우측면에 결합되는 전면 및 측면커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후면커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후면커버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후면커버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후면커버;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제1안내홈이 형성되는 링크 플레이트;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제1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조인트;
    양단이 상기 제1후면커버의 측면과 상기 조인트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1링크;
    양단이 상기 제2후면커버와 상기 조인트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조인트를 상기 프레임의 후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후면커버 개방시 상기 조인트의 이동 및 상기 제1 및 제2링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후면커버가 연동하여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기 커버 개폐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홈이 상기 프레임의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기 커버 개폐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가 힌지 결합되는 상기 제1후면커버의 제1힌지축의 이동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제2안내홈과, 상기 제2링크가 힌지 결합되는 상기 제2후면커버의 제2힌지축의 이동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제3안내홈이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기 커버 개폐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안내홈이 원호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기 커버 개폐장치.
  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후면커버의 후단에 후크가 설치되고, 상기 제2후면커버의 후단에 후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기 커버 개폐장치.
  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후면커버에 핸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기 커버 개폐장치.
  8.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후면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반송로 상에 설치된 이송롤러와 접촉하여 지폐를 이송하는 제1보조롤러를 더 포함하는 계수기 커버 개폐장치.
  9.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후면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반송로 상에 설치된 이송롤러와 접촉하여 지폐를 이송하는 제2보조롤러를 더 포함하는 계수기 커버 개폐장치.
KR2020100003458U 2010-04-02 2010-04-02 계수기 커버 개폐장치 KR2004590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458U KR200459093Y1 (ko) 2010-04-02 2010-04-02 계수기 커버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458U KR200459093Y1 (ko) 2010-04-02 2010-04-02 계수기 커버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601U KR20110009601U (ko) 2011-10-10
KR200459093Y1 true KR200459093Y1 (ko) 2012-03-19

Family

ID=45596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458U KR200459093Y1 (ko) 2010-04-02 2010-04-02 계수기 커버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0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024B1 (ko) * 2013-11-29 2015-01-13 기산전자 주식회사 지폐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96056B (zh) * 2011-11-21 2014-06-04 姜瑞珏 重复式点钞机及其使用方法
KR101419046B1 (ko) * 2013-04-23 2014-07-11 기산전자 주식회사 지폐처리장치
KR102037404B1 (ko) * 2018-04-19 2019-10-28 (주)넥스빌 지폐계수기의 덮개 개폐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909B1 (ko) * 1991-11-22 1997-02-18 로오렐뱅크머신 가부시끼가이샤 종이계수기
JP2002104459A (ja) * 2000-09-29 2002-04-10 Kojima Press Co Ltd 筐体のリッド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909B1 (ko) * 1991-11-22 1997-02-18 로오렐뱅크머신 가부시끼가이샤 종이계수기
JP2002104459A (ja) * 2000-09-29 2002-04-10 Kojima Press Co Ltd 筐体のリッド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024B1 (ko) * 2013-11-29 2015-01-13 기산전자 주식회사 지폐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601U (ko) 201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04188B (ko)
KR101591826B1 (ko) 지폐류 입출금장치 및 지폐류 입출금방법
KR100808835B1 (ko) 다권종 지폐의 입금을 제어하기 위한 입금장치 및 입금방법
WO2017032256A1 (zh) 接钞机构及使用该接钞机构的钞票处理机
KR200459093Y1 (ko) 계수기 커버 개폐장치
JP2012174130A (ja) 紙葉類収納装置
KR20140077439A (ko) 지폐류 입출금장치
KR101665854B1 (ko) 지폐 계수기의 지폐집적장치
KR20140084535A (ko) 지폐류 입출금장치
KR20140017870A (ko) 지폐 집적 장치
JP2013175172A (ja) 紙葉還流庫
JP6547344B2 (ja) 媒体収納庫、及び、媒体取扱装置
JP2014044543A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紙葉類収納庫
US8235381B2 (en) Device for processing paper sheets or the like
KR101775779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KR20090012510U (ko) 벨트형 지폐 계수기
KR100610998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입금기의 입금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480024B1 (ko) 지폐처리장치
KR102037404B1 (ko) 지폐계수기의 덮개 개폐구조
KR102030513B1 (ko) 지폐류 입출금장치
KR20140081144A (ko) 지폐류 캐리지
KR101881024B1 (ko) 수표 입금 장치 및 그의 수표 입금 방법
JP3286546B2 (ja) 紙幣処理機
KR20070119342A (ko) 잼 제거구조가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
KR20120078054A (ko) 집적 공간 조절 가이드를 구비한 지폐취급장치와 지폐취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