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493B1 -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 - Google Patents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493B1
KR101985493B1 KR1020170089904A KR20170089904A KR101985493B1 KR 101985493 B1 KR101985493 B1 KR 101985493B1 KR 1020170089904 A KR1020170089904 A KR 1020170089904A KR 20170089904 A KR20170089904 A KR 20170089904A KR 101985493 B1 KR101985493 B1 KR 101985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weight
stack
hinge
extens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8039A (ko
Inventor
장철원
안병만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9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493B1/ko
Publication of KR20190008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6Auxiliary devices for retaining articles in the pi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폐 집적 장치의 스택 공간으로 반입되는 지폐류의 이동을 안내하는 스택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스택 공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가이드부; 상기 메인 가이드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1개 이상의 연장 가이드부; 및 상기 연장 가이드부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장 가이드부의 무게를 증가시켜 상기 지폐류를 눌러주는 1개 이상의 무게 추를 포함하는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MULTI-LINK TYPE STACK GUIDE}
본 발명은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에는 현금이나 수표 등의 매체(이하, "지폐류"라 통칭함)를 저장하기 위한 리사이클 박스나 리젝트 박스 등의 지폐 집적 장치가 구비된다.
지폐 집적 장치에는 지폐류가 저장되는 스택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고, 스택 공간의 상부 일측에는 투입구가 마련된다. 투입구에는 반송로를 따라 반송되어 온 지폐류를 스택 공간 측으로 반입하기 위한 집적부가 구비된다.
집적부는 피드 롤러와, 이에 접촉되어 그 사이로 지폐류를 이송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와, 가이드 롤러와 동일한 축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탄성 시트가 부착된 스택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택 공간의 하부에는 스택 공간으로 투입된 지폐를 지지하며 승강되는 푸쉬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스택 공간의 상부에는 집적부를 통과하여 입금되는 지폐류를 푸쉬 플레이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스택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스택 가이드는 입금되는 지폐류의 이송 경로를 안내하도록 하향 회동되며, 지폐류의 입금 동작 수행시 스택 롤러와 함께 지폐류의 투입 적재를 보조하고, 지폐류의 출금 동작 수행시, 상측으로 상향 회동됨으로써 푸쉬 플레이트에 적재된 지폐류가 출금 롤러의 저단에 접촉하여 지폐류 분리 및 출금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스택 가이드는 그 길이가 한번 정해지면 가변되지 못하고 단순히 회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기 설정된 크기와 두께를 벗어나는 지폐류가 입금되는 경우 지폐류를 스택 공간으로 적절하게 안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스택 가이드는 동그랗게 말려 있는 상태로 보관되던 지폐류(이하, "컬(curl) 지폐류"라 한다)가 투입되는 경우 컬 지폐류를 적절한 힘으로 눌러 펴주지 못하기 때문에 스택 공간에서 컬 지폐류가 자체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다시 둥글게 말리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82745호(2016. 07. 11. 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양한 크기와 두께를 갖는 지폐류에 대응하여 지폐류가 스택 공간에 안정적으로 안내되도록 하면서 컬 지폐류가 반입되는 경우에도 컬 지폐류를 적절한 힘으로 눌러 컬 지폐류가 스택 공간에서 원래 상태로 말리지 않고 펴진 상태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폐 집적 장치의 스택 공간으로 반입되는 지폐류의 이동을 안내하는 스택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스택 공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가이드부; 상기 메인 가이드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장 가이드부; 및 상기 연장 가이드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장 가이드부의 무게를 증가시켜 상기 지폐류를 눌러주는 1개 이상의 무게 추를 포함하는,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가이드부는, 상기 지폐 집적 장치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일단에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는 제1 힌지부; 및 상기 연장 가이드부가 연결되도록 타단에 제공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연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일단에 돌기 또는 힌지공이 형성되는 제2 힌지부; 및 타단에 제공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 가이드부는 1개 이상 제공되며, 상기 연장 가이드부가 2개 이상 제공되는 경우 상기 연장 가이드부는 어느 하나의 상기 제2 힌지부와 다른 하나의 상기 제2 연결부가 서로 체결됨에 따라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에는 상기 제2 힌지부가 끼워지도록 힌지공 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끝단 하부에는 상기 제2 힌지부의 하부면을 받쳐주는 지지편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 가이드부에는 상기 무게 추가 안착되는 추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게 추는, 웨이트부; 상기 웨이트부의 일측면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 나사부; 및 상기 웨이트부의 타측면에 함몰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암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암 나사부의 나사산은 상기 수 나사부의 나사산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이트부의 외주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크기와 두께를 갖는 지폐류에 대응하여 다양한 규격의 지폐류가 스택 공간에 안정적으로 안내되도록 함과 동시에 컬 지폐류가 반입되는 경우에도 컬 지폐류를 적절한 힘으로 눌러 컬 지폐류가 스택 공간에서 원래 상태로 말리지 않고 펴진 상태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가 설치된 지폐 집적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가 설치된 지폐 집적 장치의 작용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지폐류(P)는 리사이클 박스나 리젝트 박스 등과 같은 지폐 집적 장치(10)에 입금될 수 있는 바, 이러한 지폐 집적 장치(10)의 내부에는 지폐류(P)를 저장하기 위한 스택 공간(S)이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지폐 집적 장치(10)의 일측에 마련된 투입구에는 반송로를 따라 반송된 지폐류(P)를 스택 공간(S)으로 반입하기 위한 집적부(20)가 제공될 수 있다. 집적부(20)에는 지폐류(P)를 스택 공간(S)으로 반입시키기 위하여 외주면에 복수 개의 탄성 시트(21)가 부착된 스택 롤러(2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스택 공간(S)의 하부에는 스택 공간(S) 내부로 투입된 지폐류(P)가 쌓이게 되는데, 지폐 집적 장치(10)의 종류에 따라 스택 공간(S)의 하부면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는 타입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다르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된 지폐류(P)를 지지하며 승강되는 푸쉬 플레이트(30)가 구비된 타입이 제공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는 스택 공간(S)의 하부면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타입뿐만 아니라 푸쉬 플레이트(30)가 구비되어 스택 공간(S)의 하부면이 승강되는 타입 등 다양한 종류의 지폐 집적 장치(10)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한편, 스택 공간(S)의 상부에는 집적부(20)에 의하여 스택 공간(S)으로 반입된 지폐류(P)가 스택 공간(S)의 하부 또는 푸쉬 플레이트(30) 위로 쌓이도록 지폐류(P)의 이동을 안내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1)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1)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1)는 메인 가이드부(100)와, 1개 이상의 연장 가이드부(200) 및 1개 이상의 무게 추(3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가이드부(100)는 스택 공간(S)의 상부에 설치되며, 스택 공간(S)의 상부에서 하향 또는 상향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구성이다.
메인 가이드부(100)는 스택 공간(S)의 상부에 위치한 지폐 집적 장치(10)의 본체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무부하 상태에서는 자중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적부(20)에서 먼 곳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가이드부(100)는 제1 힌지부(110)와 제1 연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힌지부(110)는 메인 가이드부(100)의 일단에 제공되는 요소로서, 제1 힌지부(110)가 스택 공간(S)의 상부에 위치한 지폐 집적 장치(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메인 가이드부(100) 전체가 스택 공간(S)의 상부에서 하향 또는 상향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제1 힌지부(110)는 양측면으로 각각 수평하게 돌출되는 제1 돌기(111)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돌기(111)가 지폐 집적 장치(10)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공(미도시)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제1 돌기(111)는 서로 이격되어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편(112)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힌지부(110)에는 돌기(111)가 아닌 홈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지폐 집적 장치(10)의 일측에는 힌지공 대신에 홈과 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힌지부(110)가 지폐 집적 장치(10)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공(미도시)에 끼워질 때 탄성편(112)이 탄성 변형되면서 제1 돌기(111)가 지폐 집적 장치(10)의 힌지공(미도시)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120)는 메인 가이드부(100)의 타단에 제공되는 구성으로서, 제1 연결부(120)에는 연장 가이드부(200)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장 가이드부(200)는 1개 이상 제공될 수 있는바, 지폐류(P)의 크기를 고려하여 메인 가이드부(100)에 연장 가이드부(200)가 1개 또는 2개 이상 적절하게 연결되어 메인 가이드부(10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연장 가이드부(200)는 메인 가이드부(100)의 타단에 형성된 제1 연결부(1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메인 가이드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 가이드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힌지부(210)와 제2 연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힌지부(210)는 메인 가이드부(100)의 제1 연결부(1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제2 돌기(211)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힌지부(210)는 제2 돌기(211) 대신에 힌지공(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힌지부(210)의 구성 및 구조는 앞에서 설명한 제1 힌지부(11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 연결부(220)는 연장 가이드부(200)가 지폐류(P)의 크기를 고려하여 2개 이상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 또 다른 연장 가이드부(200)가 연결되어 추가 연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연장 가이드부(200)의 타단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120) 및 제2 연결부(220)에는 연장 가이드부(200)의 제2 힌지부(2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제2 힌지부(210)의 제2 돌기(211)에 대응하는 형상의 힌지공(121,2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힌지부(210)에 힌지공(미도시)이 형성되는 경우 제1 연결부(120) 및 제2 연결부(220)에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2 힌지부(210)의 제2 돌기(211)는 제1 연결부(120)의 힌지공(121) 또는 제2 연결부(220)의 힌지공(221)에 탄성 결합되어 연장 가이드부(200)가 메인 가이드부(100) 또는 또 다른 연장 가이드부(200)로부터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연결부(120) 및 제2 연결부(220)의 끝단 하부에는 제2 힌지부(210)의 하부면을 받쳐주는 지지편(122,222)이 제공될 수 있다. 지지편(122,222)은 제2 힌지부(210)의 하부면을 일부 또는 전부 받쳐줌으로써 메인 가이드부(100)가 이루는 면에 대하여 연장 가이드부(200)가 하향 회동되거나 연장 가이드부가 이루는 면에 대하여 또 다른 연장 가이드부(200)가 하향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택 공간(S)에 지폐류(P)가 쌓이는 것을 방해하지 않고 하부에 적층된 지폐류(P)를 잘 눌러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연장 가이드부(200) 및 또 다른 연장 가이드부(200)는 지지편(122,222) 때문에 하향 회동되지 않으면서 제2 힌지부(210)에 의해 상향 회동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 추(300)는 연장 가이드부(200)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요소로서 필요에 따라 1개 이상 제공될 수 있다.
무게 추(300)는 연장 가이드부(200)의 무게를 증가시켜 줌으로써 연장 가이드부(200)가 컬 지폐류(P)를 누를 때 복원력을 갖는 컬 지폐류(P)에 의해 연장 가이드부(200)가 들어 올려지지 않고 컬 지폐류(P)를 충분히 적정한 힘으로 눌러주어 컬 지폐류(P)가 동그랗게 말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무게 추(300)가 연장 가이드부(200)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연장 가이드부(200)에는 추 안착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추 안착부(230)는 연장 가이드부(200)의 상부면에 무게 추(300)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홈 형태로 이루어져 무게 추(300)가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게 추(300)는 웨이트부(310)와, 숫 나사부(320) 및 암 나사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웨이트부(310)는 기 설정된 중량을 갖는 요소로서 웨이트부(310)의 중량은 지폐류(P)의 크기와 두께, 그리고 연장 가이드부(200)의 중량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웨이트부(310)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웨이트부(310)의 외주면에는 요철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311)는 사용자가 웨이트부(310)를 잡고 연장 가이드부(200)에 결합시키거나 분리할 때 미끄러지지 않고 쉽게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숫 나사부(320)는 웨이트부(310)의 일측면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숫 나사부(320)는 나사산을 통하여 연장 가이드부(200)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으며, 연장 가이드부(200)에 추 안착부(230)가 형성되는 경우 추 안착부(230)에 결합된다.
추 안착부(230)에는 숫 나사부(320)가 삽입되기 위한 나사공(231)이 형성되며, 나사공(23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암 나사부(330)는 웨이트부(310)의 타측면에 함몰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암 나사부(330)는 무게 추(300)가 2개 이상 사용되는 경우 다른 무게 추(300)의 숫 나사부(320)가 결합되어 전체적인 무게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국가별로 규격이 서로 다른 지폐류(P)에 대응하여 해당 지폐류(P)에 맞도록 연장 가이드부(200) 및 무게 추(300)의 수를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설정하여 사용함으로써 다권종 지폐류(P)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택 공간(S)에 지폐류(P)가 반입되면 연장 가이드부(200)가 지폐류(P)의 끝단부를 무게 추(300)의 중량으로 눌러 가압함으로써 지폐류(P)에 소정의 힘을 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반입된 지폐류(P)가 동그랗게 말리려고 하는 복원력을 갖는 컬 지폐류(P)라고 하더라도 컬 지폐류(P)는 연장 가이드부(200)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말리지 못하고 펴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스택 공간(S)의 하부부터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연장 가이드부(200) 및 무게 추(300)의 개수는 지폐류(P)의 크기나 두께, 복원력 등을 두루 고려하여 증감할 수 있는바, 도 4 및 도 5에는 연장 가이드부(200)가 2개 사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지폐류(P)가 작은 경우 1개가 사용될 수도 있고 지폐류(P)가 크다면 3개 이상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지폐류(P)의 두께나 복원력에 따라 무게 추(300)의 개수도 얼마든지 적절하게 증감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류(P)의 반입량이 증가하게 되면 스택 공간(S)에 적층되는 지폐류(P)의 높이가 높아지면서 연장 가이드부(200)는 제2 힌지부(210)를 중심으로 상향 회동되면서 여전히 지폐류(P)를 눌러 지폐류(P)가 동그랗게 말리는 것을 방지해 준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 :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
10 : 지폐 집적 장치 20 : 집적부
30 : 푸시 플레이트 P : 지폐류
100 : 메인 가이드부 110 : 제1 힌지부
120 : 제1 연결부 121, 221 : 힌지공
122, 222 : 지지편 200 : 연장 가이드부
210 : 제2 힌지부 220 : 제2 연결부
230 : 추 안착부 300 : 무게 추
310 : 웨이트부 320 : 수 나사부
330 : 암 나사부

Claims (8)

  1. 지폐 집적 장치의 스택 공간으로 반입되는 지폐류의 이동을 안내하는 스택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스택 공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가이드부;
    상기 메인 가이드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장 가이드부; 및
    상기 연장 가이드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장 가이드부의 무게를 증가시켜 상기 지폐류를 눌러주는 1개 이상의 무게 추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가이드부는,
    상기 지폐 집적 장치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일단에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는 제1 힌지부; 및
    상기 연장 가이드부가 연결되도록 타단에 제공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연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일단에 돌기 또는 힌지공이 형성되는 제2 힌지부; 및
    타단에 제공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 가이드부는 복수 개가 제공되며, 복수의 상기 연장 가이드부는 어느 하나의 연장 가이드부에 구비된 상기 제2 힌지부와 다른 하나의 연장 가이드부에 구비된 상기 제2 연결부가 서로 체결됨에 따라 직렬로 연결되는,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에는 상기 제2 힌지부가 끼워지도록 힌지공 또는 돌기가 형성된,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끝단 하부에는 상기 제2 힌지부의 하부면을 받쳐주는 지지편이 제공되는,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가이드부에는 상기 무게 추가 안착되는 추 안착부가 형성되는,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추는,
    웨이트부;
    상기 웨이트부의 일측면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 나사부; 및
    상기 웨이트부의 타측면에 함몰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암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암 나사부의 나사산은 상기 수 나사부의 나사산과 결합되는,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부의 외주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된,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
KR1020170089904A 2017-07-14 2017-07-14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 KR101985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904A KR101985493B1 (ko) 2017-07-14 2017-07-14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904A KR101985493B1 (ko) 2017-07-14 2017-07-14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039A KR20190008039A (ko) 2019-01-23
KR101985493B1 true KR101985493B1 (ko) 2019-06-03

Family

ID=65324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904A KR101985493B1 (ko) 2017-07-14 2017-07-14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493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3154B1 (ko) * 1998-04-21 2002-09-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KR19980025162U (ko) * 1998-04-29 1998-07-25 박동근 검도용 손목근력 단련구
KR101671523B1 (ko) * 2010-06-03 2016-11-1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카세트의 매체집적장치
KR101602698B1 (ko) * 2014-06-11 2016-03-11 이상윤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2265004B1 (ko) 2014-12-29 2021-06-15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지폐 집적 장치 및 지폐 집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039A (ko) 2019-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073875A (ja) 現金自動取引装置
KR101671523B1 (ko) 카세트의 매체집적장치
KR102417037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
KR101985493B1 (ko)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
US20180273312A1 (en) Sheet storage device and sheet handling apparatus
KR101396190B1 (ko) 스택가이드
KR100754041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설치구조
US9085417B2 (en) Media transferring apparatus and finance device
JP2012027545A (ja) 紙葉類取引装置
US9446925B2 (en) Medium process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KR102303715B1 (ko) 갭롤러를 구비한 다권종 지폐카세트
KR101026901B1 (ko) 지폐 분리집적장치
KR101629015B1 (ko) 리젝트박스의 지폐 스택구조
JPS5969343A (ja) 紙葉物収納装置
KR101750932B1 (ko) 지폐류 저장장치
JP6363290B2 (ja) 紙葉類格納装置および紙葉類取扱装置
KR20180111212A (ko) 다권종 지폐카세트의 푸쉬플레이트 승강구조
JP3772041B2 (ja) 紙幣収容装置
JP5042697B2 (ja) 紙葉類処理装置
KR20190008003A (ko) 지폐류 집적 유닛
KR102425142B1 (ko) 지폐처리장치
KR20110031017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스토퍼의 결합구조
KR20100080217A (ko) 지폐입출금기의 일시저장장치
KR101407379B1 (ko) 매체 공급 장치
KR20080000756A (ko) 픽업롤러 푸쉬압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