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901B1 - 지폐 분리집적장치 - Google Patents

지폐 분리집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901B1
KR101026901B1 KR1020090080156A KR20090080156A KR101026901B1 KR 101026901 B1 KR101026901 B1 KR 101026901B1 KR 1020090080156 A KR1020090080156 A KR 1020090080156A KR 20090080156 A KR20090080156 A KR 20090080156A KR 101026901 B1 KR101026901 B1 KR 101026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ixed
idle
banknot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2756A (ko
Inventor
신경주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0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901B1/ko
Publication of KR20110022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65Pi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3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ovable piling or advancing arms, frames, plates, or like members with which the articles are maintained in face contact
    • B65H29/40Members rota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article movement, e.g. star-wheels formed by S-shaped memb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7Alig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 B65H2404/1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shape
    • B65H2404/1114Paddl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 분리집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분리집적장치는, 지폐가 수납되는 지폐저장부와, 상기 지폐저장부에 수납된 지폐를 분리하거나 상기 지폐저장부로 이송되는 지폐를 집적하는 분리집적부를 포함하는 지폐 분리집적장치에 있어서, 외주면의 일부 구간에 시트지가 형성된 고정롤러와 상기 고정롤러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날개판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집적부의 회전축에 결합하여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시트롤러부; 외주면의 일부 구간에 시트지가 형성된 아이들롤러와 상기 아이들롤러의 일측에 설치되는 아이들날개판을 포함하여, 상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시트롤러부에 대해 상대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2시트롤러부; 상기 제1시트롤러부에 대한 상기 제2시트롤러부의 상대 회전으로 인한 위상차를 제거하는 위상회복수단;및 상기 제1,2시트롤러부가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지폐저장부에서 분리되거나 상기 지폐저장부로 집적되는 지폐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날개판과 상기 아이들날개판은, 지폐분리시에는 그 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개구가 형성된 부위를 통과하는 지폐를 가이드하고, 지폐집적시에는 상기 지폐저장부로 이송되는 지폐를 만곡시켜 강성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시트롤러의 외주면의 일부에만 시트지가 형성된 구조 를 채택하면서도, 회전하는 시트지에 위상차를 줌으로써 시트지가 시트롤러의 외주면 전체에 형성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분리집적장치, 시트롤러, 가이드부, 날개판, 위상차, 시트지.

Description

지폐 분리집적장치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stacking paper money}
본 발명은 지폐 분리집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현금이나 수표 등을 출금하기 위해 그 내부의 지폐저장부에 적재된 지폐를 낱장씩 분리하여 공급하거나 입금된 지폐를 상기 지폐저장부에 집적하기 위한 지폐 분리집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에는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금융서비스 메뉴 및 거래상황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부와 함께 고객이 입출금거래를 위해 지폐류를 투입하거나 수취할 수 있는 지폐입출금장치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지폐입출금장치를 통해 고객이 현금 입출금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지폐류(이하, 지폐)"란 현금, 수표, 상품권 등과 같이 재산적 가치를 가지고 종이에 인쇄되어 유통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지폐입출금장치를 보여주는 측면개략도, 도 2는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분리집적장치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폐입출금장치에는 고객이 입출금을 위하여 지폐를 투입하거나 수취하기 위한 입출금부(10), 상기 입출금부(10)를 통해 입출금되는 지폐가 이송되는 반송로(20), 상기 반송로(20) 상에 설치되어 지폐의 이상 유무를 감별하는 감별부(30), 입금된 지폐가 일시적으로 적재되는 일시저장부(40), 고객으로부터 입금된 지폐가 적재되고 적재된 지폐가 출금됨으로써 환류기능을 수행하는 다수 개의 리사이클박스(50) 등이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분리집적장치의 하나인 일시저장부(4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여기서, "지폐 분리집적장치"는 상기 일시저장부(40) 이외에도 지폐입출금장치 내에 설치된 위치에 관계없이, 지폐가 수납되는 지폐저장부와, 지폐의 분리와 집적이 동일한 롤러부에서 이루어지는 분리집적부를 갖는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됨을 밝혀둔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시저장부(40)는 지폐저장부(45)와 분리집적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집적부(100)는 지폐(P)를 한 장씩 분리하기 위한 분리압을 제공하는 픽업롤러(110)와, 상기 픽업롤러(110)에 의해 분리된 지폐(P)를 반송로(20) 상으로 이송하거나 반송로(20)로부터 이송된 지폐(P)를 지폐저장부(45)로 집적하기 위한 피드롤러(120)와, 상기 피드롤러(120)와 접촉되어 그 사이로 지폐(P)를 이송하기 위한 가이드롤러(130)와, 상기 가이드롤러(130)와 동축이고 그 외주의 일부 구간에 시트지가 형성된 시트롤러(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시트롤러(140)는 지폐의 분리시에는 분리되는 지폐와 간섭되지 않도록 이송경로에서부터 퇴피되어 있어야 하며, 지폐의 집적시에는 이송경로로 진입되어 시트롤러(140)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다수의 시트지(S)에 의해 집적되는 지폐(P)의 상면을 가압함으로써 지폐(P)가 지폐저장부(45)에 가지런히 정렬될 수 있 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시트롤러(140)가 출금시에는 지폐와 접촉되지 않도록 지폐이송경로에서 퇴피되고, 입금시에만 지폐이송경로 상에 존재하도록 하기 위해 시트롤러(140)의 회전축 자체를 퇴피시키는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시트롤러(140)를 퇴피시키기 위한 별도의 기계적인 구성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생산원가가 상승하고 분리집적부(100) 근처의 이송경로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시트롤러(140)의 외주면의 일부에만 시트지(S)가 형성된 구성이 채택되고 있다. 이러한 시트롤러(140)를 사용하는 경우, 지폐(P)의 분리시에는 시트롤러(140)의 회전축(141)이 회전하지 않으면서 시트롤러(140)의 위상을 조절하여 시트지(S)가 지폐이송경로로부터 퇴피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고, 지폐의 집적시에만 시트롤러(140)의 회전축(141)이 회전함에 따라 시트지(S)가 함께 회전하는 구조로 된다.
그러나, 시트롤러(140)의 시트지(S)는 외주의 일부분에만 형성되어 있어, 지폐의 집적시에 시트롤러(140)가 회전할 때 시트지(S)가 형성된 부분과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교대로 반복되고, 시트지(S)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지폐(P)의 상면을 가압하여 지폐(P)를 지폐저장부(45) 내로 가이드하는 시트롤러(140)의 기능이 잘 발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시트롤러(140)의 전면에는 상기 피드롤러(120)와 가이드롤러(130) 사이로 이송되는 지폐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180)가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부(180)는 시트롤러(140)의 전면에 배치되므로, 지폐가 집적될 때 시트롤러(14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시트지(S)가 지폐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180)에서 시트지(S)와 간섭되는 부분에는 종방향으로 길게 개구가 형성된다.
그러나, 지폐저장부(45)로부터 분리집적부(100)를 통해 지폐가 분리될 때는, 이러한 개구 내로 지폐가 들어가서 잼(jam)이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지폐의 분리시에는 상기 가이드부(180)에 형성된 개구를 폐쇄하여 분리되는 지폐의 잼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지폐의 원활한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시트롤러의 외주면의 일부에만 시트지가 형성된 구조를 채택하면서도, 회전하는 시트지에 위상차를 줌으로써 시트지가 시트롤러의 외주면 전체에 형성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지폐 분리집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지폐의 분리시에는 지폐 분리집적장치의 가이드부에 형성된 개구를 폐쇄하여 지폐 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지폐 분리집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분리집적장치는, 지폐가 수납되는 지폐저장부와, 상기 지폐저장부에 수납된 지폐를 분리하거나 상기 지폐저장부로 이송되는 지폐를 집적하는 분리집적부를 포함하는 지폐 분리집적장치에 있어서, 외주면의 일부 구간에 시트지가 형성된 고정롤러와 상기 고정롤러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날개판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집적부의 회전축에 결합하여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시트롤러부; 외주면의 일부 구간에 시트지가 형성된 아이들롤러와 상기 아이들롤러의 일측에 설치되는 아이들날개판을 포함하여, 상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시트롤러부에 대해 상대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2시트롤러부; 상기 제1시트롤러부에 대한 상기 제2시트롤러부의 상대 회전으로 인한 위상차를 제거하는 위상회복수단;및 상기 제1,2시트롤러부가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개 구가 형성되어 상기 지폐저장부에서 분리되거나 상기 지폐저장부로 집적되는 지폐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날개판과 상기 아이들날개판은, 지폐분리시에는 그 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개구가 형성된 부위를 통과하는 지폐를 가이드하고, 지폐집적시에는 상기 지폐저장부로 이송되는 지폐를 만곡시켜 강성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시트롤러부가 상기 제1시트롤러부에 대해 상대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롤러의 시트지와 상기 아이들롤러의 시트지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날개판은 일측에 상기 고정롤러가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아이들날개판은 일측에 상기 아이들롤러가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고정날개판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위상회복수단은, 상기 고정날개판과 상기 아이들날개판을 연결하여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고정날개판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아이들날개판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날개판과 상기 아이들날개판에는 상기 고정날개판에 대한 상기 아이들날개판의 상대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고정날개판과 상기 아이들날개판에 각각 형성된 돌기이며, 상기 돌기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따라 형성된 양단부가 서로 접촉하면서 상기 아이들날개판의 상대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롤러는 일측에 상기 고정날개판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아이들롤러는 일측에 상기 아이들날개판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고정롤러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위상회복수단은, 상기 고정롤러와 상기 아이들롤러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고정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아이들롤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롤러와 상기 아이들롤러에는 상기 고정롤러에 대한 상기 아이들롤러의 상대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고정롤러와 상기 아이들롤러에 각각 형성된 돌기이며, 상기 돌기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따라 형성된 양단부가 서로 접촉하면서 상기 아이들롤러의 상대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롤러의 시트지와 상기 아이들롤러의 시트지는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이들롤러가 수용되는 개구는, 상기 아이들롤러의 시트지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아이들롤러의 시트지가 상기 개구의 경계에 간섭되어 자유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시트롤러부와 상기 제2시트롤러부는, 분리 또는 이송되는 지폐의 양측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중간부위에서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본 발명의 지폐 분리집적장치에 따르면, 시트롤러의 외주면의 일부에만 시트지가 형성된 구조를 채택하면서도, 회전하는 시트지에 위상차를 줌으로써 시트지가 시트롤러의 외주면 전체에 형성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지폐의 분리시에는 시트롤러에 부착된 날개판이 가이드부에 형성된 개구를 폐쇄함으로써, 지폐 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분리집적장치의 내부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트롤러에 가이드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가이드부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시트롤러의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시트롤러의 회전축이 시계방향으로 90°만큼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폐 분리집적장치는 지폐가 수납되는 지폐저장 부(45)와, 지폐의 분리와 집적을 행하는 분리집적부(100)를 갖는다.
상기 분리집적부(100)는 지폐(P)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압을 제공하는 픽업롤러(110)와, 상기 픽업롤러(110)에 의해 분리된 지폐(P)를 반송로(20) 상으로 이송하거나 반송로(20)로부터 이송된 지폐(P)를 지폐저장부(45)로 집적하기 위한 피드롤러(120)와, 상기 피드롤러(120)와 접촉되어 그 사이로 지폐(P)를 이송하기 위한 가이드롤러(130)와, 상기 가이드롤러(130)와 동축이고 그 외주의 일부 구간에 시트지(S)가 형성된 시트롤러(140)를 포함한다.
상기 시트롤러(140)는 외주면의 일부에 시트지(S)가 형성되어, 지폐 분리시에는 상기 시트지가 지폐이송경로로부터 퇴피되어 유지되고, 지폐 집적시에는 회전축(14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시트지가 집적되는 지폐(P)의 상면을 가압하여 지폐가 잼 없이 지폐 분리집적장치 내에 집적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시트롤러(140)의 퇴피는 시트지가 지폐이송경로 상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회전축(141)의 위상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지폐 분리집적장치는 시트롤러(140)의 전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이송되는 지폐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180)에는 상기 시트롤러(140)와 시트지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개구(182)가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시트롤러(140)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시트롤러(140)는 외주면의 일부 구간에 시트지(142a) 가 형성된 고정롤러(142)와 상기 고정롤러(142)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날개판(150)을 포함하여 회전축(141)에 결합하여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141)에 설치되는 제1시트롤러부와, 외주면의 일부 구간에 시트지(144a)가 형성된 아이들롤러(144)와 상기 아이들롤러(144)의 일측에 설치되는 아이들날개판(160)을 포함하여 상기 회전축(141)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시트롤러부에 대해 상대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141)에 설치되는 제2시트롤러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날개판(150)과 아이들날개판(160)은 부채꼴 형상의 판형 부재로서, 지폐 분리시에는 지폐이송경로로부터 퇴피되어 그 단부(151, 161)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180)의 개구(182)를 폐쇄하고, 지폐 집적시에는 상기 시트지(142a,144a)와 함께 회전된다.
상기 고정날개판(150)과 아이들날개판(160)의 단부(151, 161)는 지폐 분리시에는 회전축(141)의 위상을 조절하여 지폐이송경로로부터 퇴피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180)의 개구(182)를 폐쇄할 수 있도록 개구의 윤곽과 유사한 라인을 갖도록 형성된다. 지폐저장부(45)로부터 분리집적부(100)를 통해 지폐가 분리될 때는, 가이드부(180)의 개구(182) 사이의 공간으로 지폐가 들어가서 잼이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이 있고, 상기 고정날개판(150)과 아이들날개판(160)의 단부(151, 161)는 지폐 분리시 이러한 개구(182)를 폐쇄하여 지폐 잼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날개판(150)은 시트롤러(140)의 회전축(141)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아이들날개판(160)은 상기 고정날개판(150)과 나란히 배치되고 회전축(141)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고정날개판(150)에는 외주면의 일부에 시트지(142a)가 형성된 고정롤러(142)가 부착된다. 상기 고정롤러(142)는 상기 고정날개판(150)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아이들날개판(160)에는 외주면의 일부에 시트지(144a)가 형성된 아이들롤러(144)가 부착된다. 상기 아이들롤러(144)는 상기 아이들날개판(160)과 함께 회전한다.
초기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141)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고정날개판(150)이 함께 회전하면, 회전축(141)에 고정되지 않은 아이들날개판(160)도 어느 정도 같이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날개판(150)에 부착된 고정롤러(142)는 고정날개판(150)과 함께 회전하고, 아이들날개판(160)에 부착된 아이들롤러(144)는 아이들날개판(160)과 함께 회전한다.
아이들롤러(144)가 회전할 때, 아이들롤러(144)에 형성된 시트지(144a)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가이드부(180)에 형성된 개구들 중 아이들롤러(144)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는 아이들롤러(144)의 시트지(144a)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어(도 3 참조), 시트지(144a)의 단부는 회전하다가 상기 개구의 경계에 간섭되어 자유회전이 제한된다. 즉, 시트지(144a)의 단부가 가이드부(180) 벽에 걸려 고정되므로, 회전축(141)과 연결되지 않은 아이들롤러(144)는 가이드부(180) 벽에 의한 저항을 받아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고정날개판(150)은 회전축(141)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데 반해, 아이들롤러(144) 및 아이들날개판(160)은 회전되지 않으므로, 고정날개판(150)과 아이들날개판(160) 사이의 상대 회전으로 인한 위상차 는 점점 증가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시트롤러부와 제2시트롤러부 사이의 상대 회전으로 인한 위상차를 제거하는 위상회복수단(190)이 제공된다.
상기 위상회복수단(190)은 일실시예로서 상기 아이들날개판(160)과 상기 회전축(141)을 연결하거나, 상기 아이들날개판(160)과 상기 고정날개판(150)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위상회복수단(190)은 상기 회전축(141) 또는 상기 고정날개판(15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아이들날개판(160)에 회전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예를 들어, 스프링)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아이들날개판(160)과 상기 회전축(141) 사이[또는 상기 아이들날개판(160)과 상기 고정날개판(150) 사이]에 위상회복수단(190)이 제공되므로, 고정날개판(150)이 회전하는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위상회복수단(190)의 탄성력은 아이들날개판(160)이 고정날개판(150)과 동일한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대회전으로 인한 위상차를 제거하는 쪽으로 작용한다.
고정날개판(150)이 회전하는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위상회복수단(190)의 탄성력은 증가되고, 이러한 탄성력은 아이들날개판(16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이때, 아이들날개판(160)에 부착된 아이들롤러(144)도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아이들롤러(144)에 형성된 시트지(144a)의 단부는 개구(182) 상부의 가이드부(180) 벽에 의한 저항을 극복하고 가이드부(180)의 개구(182) 밖으로 회전하게 된다. 아이들날개판(160)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위상회복수단(190)의 탄성력은 다시 처음 상태로 돌아온다.
이와 같이, 위상회복수단(190)에 의해 상기 고정날개판(150)과 아이들날개판(160) 사이의 상대 회전으로 인한 위상차는 일정한 시간차를 두고 제거된다. 그에 따라, 고정롤러(140)의 시트지(142a)와 아이들롤러(144)의 시트지(144a)도 시간차를 두고 회전하게 된다. 상기 시트지(142a)와 시트지(144a)는 각각 고정롤러(142)와 아이들롤러(144)의 외주면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시간차 회전에 의해서 시트지(142a)와 시트지(144a)는 시트롤러(140)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배치되어 회전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날개판(150) 및 상기 아이들날개판(160)에는 상기 고정날개판(150)에 대한 상기 아이들날개판(160)의 상대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고정날개판(150)에 형성된 고정돌기(155)와, 상기 아이들날개판(160)에 형성된 아이들돌기(165)로 구현된다. 상기 고정돌기(155)와 아이들돌기(165)가 회전축(141)의 외주에 몇 °범위에 걸쳐 형성되는지에 따라 상기 고정날개판(150)에 대한 상기 아이들날개판(160)의 상대 회전 범위가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돌기(155)와 아이들돌기(165)가 회전축(141)의 외주에 약 60~90°범위에 걸쳐 형성된다.
도 7은 고정돌기(155)가 회전하면서 아이들돌기(165)와 접촉하여 고정날개판(150)에 대한 상기 아이들날개판(160)의 상대회전 범위가 제한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회전축(141)이 회전하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는 위상회복수단(19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돌기(155)의 일측에 형성된 멈춤접촉면(155a)과 아이들돌기(165)의 일측에 형성된 멈춤접촉면(165a)이 접촉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초기 상태에서 회전축(14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게 되면, 회전축(141)에 고정된 고정날개판(15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지만, 아이들날개판(160)은 이와 연결된 아이들롤러(144)의 시트지(144a)가 개구(182)의 경계에 간섭되어 자유회전이 제한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회전하지 않고 멈춰있게 된다.
이렇게 고정날개판(150)의 회전이 진행되고 아이들날개판(160)의 회전이 제한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고정롤러(142)의 시트지(142a)는 가이드부(180) 상으로 돌출되어 지폐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지폐의 집적을 가이드하게 되고, 아이들롤러(144)의 시트지(144a)는 지폐이송경로로부터 퇴피된 상태에 있게 된다.
회전축(14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고정날개판(150)에 형성된 고정돌기(155)도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아이들날개판(160)은 회전되지 않고, 따라서 아이들돌기(165)도 회전되지 않는다.
회전축(141)이 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하게 되면, 고정돌기(155)의 타측에 형성된 멈춤접촉면(155b)은 아이들돌기(165)의 타측에 형성된 멈춤접촉면(165b)에 접촉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회전축(141)이 더욱 회전하게 되면 고정돌기(155)의 멈춤접촉면(155b)이 아이들돌기(165)의 멈춤접촉면(165b)을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가압력은 아이들롤러(144)의 시트지(144a)가 개구(182)의 경계에 걸 려 간섭된 힘보다 크게 작용하므로 아이들롤러(144)의 시트지(144a)는 개구(182)의 경계를 빠져나오게 되어 아이들날개판(160)은 회전하게 된다.
도 7의 (b)는 도 7의 (a)에 도시된 상태에서 회전축(141)이 약 240°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렇게 아이들날개판(160)의 회전이 시작되면, 상기 위상회복수단(160)의 탄성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아이들날개판(160)은 고정날개판(150)과의 상대 회전으로 인한 위상차를 상쇄하는 방향으로 신속하게 회전하게 되어 다시 도 7의 (a)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아이들롤러(144)의 시트지(144a)는 가이드부(180) 상으로 돌출되어 지폐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지폐의 집적을 가이드하게 된다.
회전축(141)이 회전함에 따라 이러한 과정은 반복되어, 고정롤러(142)에 형성된 시트지(142a)와 아이들롤러(144)에 형성된 시트지(144a)는 일정한 시간차를 두고 계속 회전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지폐 분리집적장치에 의해 지폐가 집적될 때의 시트롤러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고정날개판(150)에 대해 아이들날개판(160)이 상대 회전을 하여 위상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고정롤러(142)의 시트지(142a)와 아이들롤러(144)의 시트지(144a)는 각각 고정롤러(142)와 아이들롤러(144)의 일부 구간에만 형성된 구조를 사용하지만 지폐의 집적시에 이러한 위상차를 이용하여 회전축(141)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방사상으로 배치되게 되므로, 외주면 전체에 걸쳐 시트지가 방사상으 로 형성된 시트롤러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아이들날개판(160)과 고정날개판(150) 사이[또는 아이들날개판(160)과 회전축(141) 사이]에 위상회복수단(190)을 고정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날개판(150)을 회전축(141)에 끼우기 위한 링형상부(152)에는 L자형으로 절곡된 홈(153)이 형성되고, 위상회복수단(190)의 일측 단부(190a)는 상기 홈(153)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아이들날개판(160)을 회전축(141)에 끼우기 위한 링형상부(162)에는 L자형으로 절곡된 홈(163)이 형성되고, 위상회복수단(190)의 타측 단부(190b)는 상기 홈(163)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링형상부(152, 162)의 위에는 각각 고정롤러(142)와 아이들롤러(144)가 끼워지므로, 상기 위상회복수단(190)은 견고하게 고정되어 고정롤러(142)의 회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탄성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홈(153, 163)은 L자형으로 절곡되어 있어, 위상회복수단(190)의 단부(190a, 190b)가 홈(153, 163)을 이탈하지 않도록 돕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절곡부는 2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시저장부(40)에서 지폐(P)의 양단부가 위로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지폐저장부(45)에 집적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지폐가 일시저장부(40)에 집적될 때, 지폐는 피드롤러(120) 및 가이드롤러(130)와 접촉되어 그 사이를 통과하여 지폐저장부(45) 내에 적재된다(도 2 참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시트롤러부와 상기 제2시트롤러부는 분리 또는 이송되는 지폐의 양측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회전축(141)의 중간부위에서 양측에 배치되어 있고, 고정날개판(150)과 아이들날개판(160)은 시간차를 두고 회전하므로, 회전축(141)의 양측에는 항상 고정날개판(150) 또는 아이들날개판(160)이 가이드부(180)의 개구(182)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유지된다. 지폐는 가이드부(180)를 따라 안내되어 지폐 분리집적장치 내로 들어오므로, 지폐의 양단부는 고정날개판(150)과 아이들날개판(160)에 의해 만곡되어 양단부가 위로 들어올려진 상태로 집적된다.
또한, 상기 고정롤러(142)의 시트지(142a)와 아이들롤러(144)의 시트지(144a)는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므로 집적되는 지폐를 만곡시켜 강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P)의 양단부가 위로 들어올려진 상태로 집적될 때, 지폐는 가장 양호한 상태로 지폐 분리집적장치(40) 내에 집적될 수 있다.
만일, 지폐의 양단부가 수평이거나 아래로 말려진 형태로 집적될 때는, 지폐의 단부가 접혀진 상태로 집적될 가능성이 커져 잼 발생의 원인이 된다. 지폐 잼이 발생된다는 것은 관리자가 와서 지폐 잼의 원인을 제거하기 전까지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사용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지폐의 양 단부가 회전하는 고정날개판(150)과 아이들날개판(160)에 의해 위로 들어올려진 상태로 집적되므로, 가장 이상적인 상태로 지폐 분리집적장치(40) 내에 집적될 수 있어 지폐 잼이 생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고정날개판(150)과 아이들날개판(160)이 나란히 배치되고, 위상회복수단(190)은 고정날개판(150)과 아이들날개판(16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날개판(150)과 아이들날개판(160) 사이의 상대 회전으로 인한 위상차를 제거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고정롤러(142)와 아이들롤러(144)가 나란히 배치되고, 위상회복수단(190)은 고정롤러(142)과 아이들롤러(14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롤러(142)와 아이들롤러(144) 사이의 상대 회전으로 인한 위상차를 제거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고정롤러(142)에 고정돌기(155)가 형성되고, 아이들롤러(144)에는 아이들돌기(165)가 형성되어 고정롤러(142)와 아이들롤러(144) 사이의 상대회전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지폐입출금장치를 보여주는 측면개략도,
도 2는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분리집적장치의 내부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트롤러에 가이드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가이드부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시트롤러의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시트롤러의 회전축이 시계방향으로 90°만큼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고정돌기가 회전하면서 아이들돌기와 접촉하여 고정날개판에 대한 상기 아이들날개판의 상대회전 범위가 제한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지폐 분리집적장치에 의해 지폐가 집적될 때의 시트롤러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시저장부에서 지폐의 양단부가 위로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지폐저장부에 적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일시저장부 100 : 분리집적부
110:픽업롤러 120:피드롤러
130 : 가이드롤러 140 : 시트롤러
141 : 회전축 142: 고정롤러
142a,144a : 시트지 144 : 아이들롤러
150 : 고정날개판 152,162 : 링형상부
155 : 고정돌기 160 : 아이들날개판
165 : 아이들돌기 190 : 위상회복수단

Claims (13)

  1. 지폐가 수납되는 지폐저장부와, 상기 지폐저장부에 수납된 지폐를 분리하거나 상기 지폐저장부로 이송되는 지폐를 집적하는 분리집적부를 포함하는 지폐 분리집적장치에 있어서,
    외주면의 일부 구간에 시트지가 형성된 고정롤러와 상기 고정롤러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날개판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집적부의 회전축에 결합하여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시트롤러부;
    외주면의 일부 구간에 시트지가 형성된 아이들롤러와 상기 아이들롤러의 일측에 설치되는 아이들날개판을 포함하여, 상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시트롤러부에 대해 상대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2시트롤러부;
    상기 제1시트롤러부에 대한 상기 제2시트롤러부의 상대 회전으로 인한 위상차를 제거하는 위상회복수단;및
    상기 제1,2시트롤러부가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지폐저장부에서 분리되거나 상기 지폐저장부로 집적되는 지폐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날개판과 상기 아이들날개판은, 지폐분리시에는 그 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개구가 형성된 부위를 통과하는 지폐를 가이드하고, 지폐집적시에는 상기 지폐저장부로 이송되는 지폐를 만곡시켜 강성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분리집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트롤러부가 상기 제1시트롤러부에 대해 상대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롤러의 시트지와 상기 아이들롤러의 시트지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분리집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날개판은 일측에 상기 고정롤러가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아이들날개판은 일측에 상기 아이들롤러가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고정날개판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분리집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회복수단은,
    상기 고정날개판과 상기 아이들날개판을 연결하여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고정날개판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아이들날개판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분리집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날개판과 상기 아이들날개판에는 상기 고정날개판에 대한 상기 아이들날개판의 상대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분리집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고정날개판과 상기 아이들날개판에 각각 형성된 돌기이며, 상기 돌기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따라 형성된 양단부가 서로 접촉하면서 상기 아이들날개판의 상대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분리집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롤러는 일측에 상기 고정날개판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아이들롤러는 일측에 상기 아이들날개판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 전함에 따라 상기 고정롤러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분리집적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회복수단은,
    상기 고정롤러와 상기 아이들롤러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고정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아이들롤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분리집적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롤러와 상기 아이들롤러에는 상기 고정롤러에 대한 상기 아이들롤러의 상대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분리집적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고정롤러와 상기 아이들롤러에 각각 형성된 돌기이며, 상기 돌기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따라 형성된 양단부가 서로 접촉하면서 상 기 아이들롤러의 상대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분리집적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롤러의 시트지와 상기 아이들롤러의 시트지는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분리집적장치.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롤러가 수용되는 개구는,
    상기 아이들롤러의 시트지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아이들롤러의 시트지가 상기 개구의 경계에 간섭되어 자유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분리집적장치.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롤러부와 상기 제2시트롤러부는,
    분리 또는 이송되는 지폐의 양측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중간부위에서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분리집적장치.
KR1020090080156A 2009-08-28 2009-08-28 지폐 분리집적장치 KR101026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156A KR101026901B1 (ko) 2009-08-28 2009-08-28 지폐 분리집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156A KR101026901B1 (ko) 2009-08-28 2009-08-28 지폐 분리집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756A KR20110022756A (ko) 2011-03-08
KR101026901B1 true KR101026901B1 (ko) 2011-04-04

Family

ID=43930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156A KR101026901B1 (ko) 2009-08-28 2009-08-28 지폐 분리집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9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019B1 (ko) * 2011-05-18 2013-07-2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스택롤러 및 이를 이용한 매체 분리집적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1868150B1 (ko) * 2011-12-22 2018-06-18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매체 조출 집적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6734A (ja) 2001-04-23 2002-10-31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746102B1 (ko) 2006-06-30 2007-08-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시트롤러
KR100884049B1 (ko) 2006-05-30 2009-02-19 로렐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지폐처리장치
KR20100054706A (ko) * 2008-11-14 2010-05-25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익근차 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6734A (ja) 2001-04-23 2002-10-31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884049B1 (ko) 2006-05-30 2009-02-19 로렐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지폐처리장치
KR100746102B1 (ko) 2006-06-30 2007-08-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시트롤러
KR20100054706A (ko) * 2008-11-14 2010-05-25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익근차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756A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582B1 (ko) 지엽류 순차 배출 기구
KR101276901B1 (ko) 입금 지폐 취급 기구
KR100996885B1 (ko) 지폐 인출기구
KR101599131B1 (ko) 경로전환장치,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 기기
US6666448B2 (en) Apparatus handling paper sheets and the like
KR101085380B1 (ko) 지엽류 처리 장치
KR101026901B1 (ko) 지폐 분리집적장치
JP2009046298A (ja) 紙葉類集積装置
KR20140017870A (ko) 지폐 집적 장치
KR20100080090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시트롤러
JP4925662B2 (ja) 媒体処理機及び紙幣入出金機
KR102303715B1 (ko) 갭롤러를 구비한 다권종 지폐카세트
KR101508338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KR101288019B1 (ko) 스택롤러 및 이를 이용한 매체 분리집적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1610955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스토퍼의 결합구조
JP5852052B2 (ja) 出金装置
JP2001240294A (ja) 紙葉類集積装置および紙葉類収納庫および紙葉類取扱装置
KR101529677B1 (ko) 금융기기, 매체처리장치 및 매체분리장치
KR101761478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KR101457222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KR102037404B1 (ko) 지폐계수기의 덮개 개폐구조
KR102425142B1 (ko) 지폐처리장치
KR101600164B1 (ko) 금융기기, 매체처리장치 및 매체분리집적장치
KR20100080217A (ko) 지폐입출금기의 일시저장장치
KR101559250B1 (ko) 매체의 스큐보정장치 및 금융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