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637B1 - 대용량 쿨러의 덮개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대용량 쿨러의 덮개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637B1
KR101477637B1 KR20130112047A KR20130112047A KR101477637B1 KR 101477637 B1 KR101477637 B1 KR 101477637B1 KR 20130112047 A KR20130112047 A KR 20130112047A KR 20130112047 A KR20130112047 A KR 20130112047A KR 101477637 B1 KR101477637 B1 KR 101477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ver
main body
bar
coo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2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식
Original Assignee
김남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식 filed Critical 김남식
Priority to KR20130112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6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F25D3/08Movable container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용량 쿨러(1)의 덮개(2) 설치구조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 대용량 쿨러(1)의 덮개(2) 설치구조는 본체(3)의 상부 양측에 본체(3) 전후방향의 전폭을 덮는 제1덮개(21)와 제2덮개(22)를 각각 개폐가 가능토록 개별적으로 설치하며, 상기 2개의 제1덮개(21)와 제2덮개(22) 사이의 하측에는 제1덮개(21)와 제2덮개(22)의 하부에 각각 설치된 패킹(24)이 상면 양측에 밀착되는 차단바(6)를 본체(3)의 상부에 안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간단한 구조만으로 쿨러(1)에 덮개(2)를 2개 설치하더라도 쿨러(1)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서 단열성을 보다 월등하게 배가시키면서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으며, 기존 소용량 쿨러(1)의 덮개(2)와 호환성이 높으면서 제작이 용이하며, 덮개(2)의 중량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므로 덮개(2)를 여닫기가 극히 용이하면서 한 쪽의 덮개(2)만 개방시키더라도 본체(3)의 개구 전폭이 개방되므로 대형 수납물의 수납이 용이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덮개(2)의 일부가 파손되었을 시 해당 덮개(2)만 교체 및 수리하면 되므로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용량 쿨러의 덮개 설치구조{The cover installation structure of large capacity cooler}
본 발명은 대용량 쿨러의 덮개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수용량이 큰 대용량 쿨러의 본체 상부에 별도로 개폐되는 2개의 덮개를 설치할 시 2개의 덮개 사이로 쿨러 내부의 냉기 유출을 차단하면서 사용상의 편의성 및 제작상의 용이성을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한 대용량 쿨러의 덮개 설치구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쿨러(cooler)는 일명 아이스박스(ice box)라고도 하는바, 내부에 얼음이나 드라이아이스 등을 투입한 후 음식 등을 수납하여 장시간 보관 및 운반하더라도 음식이 변하거나 상하지 않도록 하거나, 낚시에서 잡은 물고기를 수납하여 장시간 보관 및 운반하더라도 물고기가 신선도를 잃지 않고 지속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통상의 쿨러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997년 제6129호(1997년 2월 19일자 공개)나 공개특허 2007년 제105253호(2007년 10월 30일자 공개)에 게재된 바와 같이 단열구조를 갖는 본체와 본체 상부에 개폐되게 설치된 단열구조의 덮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의 하부에는 본체와 덮개 사이로 냉기의 유출과 외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패킹이 본체 또는 덮개에 일부 내입되게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통상의 쿨러는 본체 내부의 수용량에 따라서 12ℓ, 18ℓ, 24ℓ, 30ℓ 등의 소용량 쿨러와 55ℓ, 70ℓ 등의 대용량 쿨러 및 12ℓ 이하의 초소용량 쿨러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상기 초소용량 쿨러나 소용량 쿨러는 상기 2개의 선행기술문헌에서와 같이 본체 상부에 개폐되는 덮개가 보통 1개만 설치되어 있으며, 대용량 쿨러의 경우 일본국 공개특허 2000년 제4752호(2000년 1월 11일자 공개)에 게재된 바와 같이 본체 상부에서 개폐되게 설치된 대형덮개에 소형덮개부를 더 형성하여 이중으로 개방되도록 하고 있었으나, 이러한 종래 대용량 쿨러의 덮개구조는 대형덮개에 형성된 소형덮개부로 냉기가 빠져서 단열효율이 극히 저하되었으며, 소형덮개부에서 단열성을 높이기 위해서 별도의 단열구조를 부가하게 되면 그 구조가 복잡해지면서 제조원가가 앙등하게 되며, 대형 물고기를 수납하기 위해서는 소형덮개부로 통과시킬 수 없으므로 일일이 대형덮개를 열었다 닫아야 함에 따라서 본체 내부에 머물러 있던 냉기가 대형덮개의 개방 시 모조리 빠져나가게 되어 보냉력(保冷力)이 현저히 저하됨과 아울러 별도의 단열구조를 부가시킨 소형덮개부가 형성되어 무거워진 대형덮개를 개폐시킬 때 많은 힘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대형덮개에 복잡한 단열구조를 갖는 소형덮개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청소가 어려우며, 대형덮개나 소형덮개부의 파손 시 전체 덮개를 통째로 교체해야 하므로 유지 및 보수에 드는 비용이 월등히 상승하게 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 쿨러의 덮개는 본체 상부에서 한 쪽으로만 개폐되어 갯바위 등의 협소한 장소에서 낚시를 하다가 물고기를 낚았을 시 덮개가 개방되는 쪽으로 쿨러의 방향을 틀어서 덮개의 개방 후 물고기를 수납하여서 불편을 초래하였으므로 이를 개선코자 덮개를 본체의 상부에 전후 어느 방향으로도 열리는 양측 개방형 덮개가 구비되며 덮개의 개폐장치가 항상 일정한 힘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개폐성능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덮개가 뜻하지 않게 열리지 않도록 구성된 쿨러를 본 발명자가 개발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65054호(2007년 10월 9일자 공고)에 게재된 바와 같이 특허로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가 있었던 것이다.
KR 10-1997-0006129 A 1997. 2. 19. KR 10-2007-0105253 A 2007. 10. 30. JP 10-2000-0004752 A 2000. 1. 11. KR 10-0765054 B1 2007. 10. 9.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대용량 쿨러에서 종래 1개의 대형덮개에 소형덮개부가 부가적으로 설치되던 것에서 탈피하여 본체의 상부 전폭이 덮이면서 개별적으로 개폐되는 2개의 덮개를 각각 별도로 설치하고, 2개의 덮개 사이로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토록 2개의 덮개가 접하는 부분의 하측으로 2개의 덮개 하부에 설치된 패킹이 밀착되는 차단바를 구비하여 단열성을 보다 배가시키면서 덮개 전체의 중량을 줄이도록 하고, 1개의 덮개만 개방시키더라도 대형 수납물의 수납이 가능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세척 등의 관리가 용이함과 더불어 덮개의 일부 파손 시 부분적으로 교체 및 수리할 수 있도록 한 대용량 쿨러의 덮개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대용량 쿨러의 덮개 설치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덮개 설치구조는 본체의 상부 양측에 본체 전폭을 덮는 제1덮개와 제2덮개를 각각 개폐가 가능토록 개별적으로 설치하며, 상기 2개의 제1덮개와 제2덮개 사이의 하측에는 제1덮개와 제2덮개의 하부에 각각 설치된 패킹이 상면 양측에 밀착되는 차단바를 구비하며, 상기 차단바는 양단이 본체의 상부에 안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바는 양단에 고무나 우레탄재질의 쿠션완충편이 각각 결합 구성되며, 상기 차단바의 양단은 본체의 내측 상부에 본체 상면보다 낮게 내향 돌출되어 제1덮개와 제2덮개의 하부 패킹이 밀착 안치되는 안치턱에서 마주보게 각각 형성된 결합홈에 상기 쿠션완충편이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차단바의 상부에는 제1덮개 또는 제2덮개 하부의 패킹이 차단바의 상면에 밀착 시 차단바와 제1덮개 또는 제2덮개 사이의 간격을 유지토록 간격유지구를 상향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제1덮개 내지 제2덮개 중 하나에 차단바를 피스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 설치하여 차단바가 고정된 덮개의 개방 시 차단바가 덮개에 고정된 상태로 개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 대용량 쿨러의 덮개 설치구조는 본체 상부에서 개폐되는 덮개를 본체 전폭을 각각 덮을 수 있는 제1덮개와 제2덮개를 별도로 개폐 가능토록 설치하고, 제1덮개와 제2덮개 사이의 하부에 본체의 안치턱에 끼움 결합되면서 제1덮개와 제2덮개의 하부 패킹이 상면에 밀착되는 차단바를 구비하여 개별적으로 개폐되는 2개의 덮개 사이를 차단바로 밀폐시키는 간단한 구조만으로 쿨러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서 단열성을 보다 월등하게 배가시키므로 1개의 대형덮개에 소형덮개부가 설치된 종래 대용량 쿨러에 비하여 보냉력이 매우 우수하면서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용량 쿨러에 1개씩 설치되던 덮개를 2개 설치할 수 있으므로 기존 소용량 쿨러의 덮개와 호환성이 높으며, 기존 사용되던 금형을 사용하여 제작이 가능하므로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소형덮개부가 단열구조를 갖도록 1개의 대형덮개에 설치되던 종래 덮개의 설치구조에 비하여 1개의 덮개 내지 전체 덮개의 중량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므로 덮개를 여닫기가 극히 용이하면서 한 쪽 1개의 덮개만 개방시키더라도 본체의 개구 전폭이 개방되므로 대형 수납물의 수납이 극히 용이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덮개의 일부가 파손되었을 시 해당 덮개만 교체 및 수리하면 되므로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쿨러의 사용 후 세척 등의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1덮개와 제2덮개 사이 하부에 차단바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덮개 또는 제2덮개에서 차단바를 분리시킨 상태의 분리 사시도
본 발명은 내부에 얼음이나 드라이아이스 등을 내입한 후 음식이나 낚시로 낚은 물고기 등의 수납물을 수납하여 음식이 변질 및 상하지 않도록 하거나 물고기의 신선도를 오래 유지시키도록 한 쿨러(1)에 있어서 그 수용량이 큰 대용량 쿨러(1)의 덮개(2)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도면의 간단한 설명에 기재되어 이후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질의 내측케이스와 외측케이스의 사이에 단열재가 내입된 단열구조의 본체(3)와, 상기 본체(3)의 상부에 개폐 가능토록 설치된 덮개(2)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3)의 단열재는 폴리우레탄폼(poly urethane foam)을 압축 가공하여 6겹이 중첩되도록 하여 내측케이스와 외측케이스의 사이에 내입 구성된 것이며, 상기 덮개(2) 역시 내부에 단열재가 내입된 단열구조를 가지며, 본체(3)의 하부 일측에는 본체(3)의 내측으로 내입된 얼음 등이 녹을 시 발생된 해빙수(解氷水)나 청소 시 사용된 소제수(掃除水) 및 각종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구(4)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4)에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단열기능을 가지면서 패킹이 장착되어 밀폐기능을 갖는 마개(5)가 나사 결합되며, 본체(3)의 상부 양측에는 상하로 출몰되는 손잡이가 설치된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3) 상부에서 개폐되는 덮개(2)는 일반적으로 본체(3)의 후방으로 힌지에 의해서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전방이 개폐되도록 하거나, 본 발명자의 선 출원되어 등록공고된 특허에서와 같이 본체(3)의 전후 어느 방향으로도 열리는 양측 개방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바, 이와 같이 본체(3)에 설치되는 덮개(2)의 개폐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 중 어느 것이라도 적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공지된 본 발명자의 특허를 적용하였으므로 개폐구조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공지된 기술로 이루어진 쿨러(1)에서 그 수용량이 큰 대용량 쿨러(1)를 구성함에 있어 본 발명만의 덮개(2) 설치구조가 부가된 것으로 이를 살펴보면, 본체(3) 상부 양측에 본체(3)의 전후방향의 전폭을 덮는 제1덮개(21)와 제2덮개(22)를 각각 전방으로 개폐되거나 전후 양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제1덮개(21)와 제2덮개(22)가 개별적으로 개폐가 가능토록 설치되며, 이때 상기 본체(3)의 내측 상부에는 본체(3)의 상면보다 낮으면서 내향 돌출되게 형성된 안치턱(31)이 안쪽 둘레에 돌아가면서 형성되며, 상기 제1덮개(21)와 제2덮개(22)의 하부에는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제1덮개(21)와 제2덮개(22)의 하부면을 돌아가면서 하향 돌출된 한 쌍의 고정돌기(23) 사이로 내입 고정되어 고정돌기(23)보다 더 하부로 돌출된 패킹(24)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덮개(21)와 제2덮개(22)를 닫을 시 제1덮개(21)와 제2덮개(22)의 하부에 돌출되게 각각 설치된 패킹(24)이 본체(3)의 안치턱(31)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체(3) 상부에서 양측으로 분할된 2개의 독립적인 제1덮개(21)와 제2덮개(22) 사이의 하측에는 도 2의 단면도 및 보다 자세히는 도 3의 확대 단면도에서와 같이 제1덮개(21)와 제2덮개(22)의 사이의 근소한 간격으로 본체(3) 내부의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 본체(3)의 안치턱(31)에서 전후로 마주보며 하향 함몰된 한 쌍의 결합홈(32)이 형성되어 한 쌍의 결합홈(32)에 양단이 끼움 결합되는 차단바(6)가 구비되며, 상기 차단바(6)의 상면 양측에는 제1덮개(21)와 제2덮개(22)를 닫을 시 제1덮개(21)와 제2덮개(22) 사이에서 하부 돌출된 패킹(24)이 밀착되므로 제1덮개(21)와 제2덮개(22) 하부에서 각각 돌아가면서 하향 돌출된 패킹(24)이 본체(3) 안쪽 둘레에 돌아가면서 내향되게 형성된 안치턱(31)과 차단바(6)의 상면 양측으로 전체가 밀착되어 쿨러(1)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체(3)의 안치턱(31)에 형성된 결합홈(32)과 차단바(6)의 양단 사이로 냉기가 유출되어 차단바(6) 상부로 올라와서 제1덮개(21)와 제2덮개(22)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 결합홈(32)에 결합되는 차단바(6)의 전후방향 양단에 각각 고무나 우레탄재질의 쿠션완충편(7)이 결합 구성되며,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바(6)의 전후방향 양단에 각각 돌출되어 둘레로 걸림홈(62)을 갖는 안치돌기(61)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쿠션완충편(7)은 내측에 안치돌기(61)의 걸림홈(62)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돌기(71)를 형성하여 안치돌기(61)에 쿠션완충편(7)이 결합될 시 쿠션완충편(7)의 걸림돌기(71)가 안치돌기(61)의 걸림홈(62)에 걸려서 쿠션완충편(7)이 차단바(6)의 걸림돌기(71)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차단바(6)의 상부에는 제1덮개(21)와 제2덮개(22)의 하부 패킹(24)이 차단바(6)의 상면에 밀착 시 차단바(6)와 제1덮개(21) 또는 제2덮개(22) 사이에 소정 간격을 유지토록 간격유지구(63)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차단바(6)는 제1덮개(21)와 제2덮개(22) 중 어느 하나의 덮개(2)에 피스 등의 고정수단(8)으로 차단바(6)의 하부에서 제1덮개(21) 또는 제2덮개(22)에 고정 설치되어 차단바(6)가 고정된 일측의 제1덮개(21) 또는 제2덮개(22)의 개방 시 차단바(6)가 고정된 상태로 개방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차단바(6)의 하면에 고정수단(8)으로 수분이나 냉기가 스며들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시트지(81)가 부착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더불어서 상기 차단바(6)를 제1덮개(21) 또는 제2덮개(22)에 고정 시 제1덮개(21)와 제2덮개(22) 사이로 차단바(6)가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차단바(6)의 간격유지구(63) 상단에 일자형태의 위치결정홈(64)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바(6)가 고정되는 제1덮개(21) 또는 제2덮개(22)에는 차단바(6)의 간격유지구(63) 상단에 형성된 위치결정홈(64)과 대응되는 위치로 위치결정홈(64)에 결합되게 위치결정돌기(25)가 돌출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대용량 쿨러(1)의 덮개(2) 설치구조는 본체(3)의 상부 양측으로 2개의 제1덮개(21)와 제2덮개(22)를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되게 구성하되, 제1덮개(21)와 제2덮개(22)가 개별적으로 개폐되도록 하기 위해서 제1덮개(21)와 제2덮개(22) 사이로 근소한 간격을 가지게 되므로 이러한 제1덮개(21)와 제2덮개(22) 사이로 쿨러(1) 내부의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코자, 상기 제1덮개(21)와 제2덮개(22) 사이의 하측으로 제1덮개(21)와 제2덮개(22) 하부의 패킹(24)이 밀착 안치되도록 본체(3)의 안치턱(31)에 전후로 마주보며 형성된 결합홈(32)에 전후방향의 양단이 끼움 결합되는 차단바(6)를 구비하여 상기 제1덮개(21)와 제2덮개(22)를 닫을 시 제1덮개(21)와 제2덮개(22) 하부의 패킹(24)이 본체(3)의 안치턱(31)과 차단바(6)의 상면 양측에 각각 밀착되도록 하여 단열성을 높이므로 쿨러(1)의 보냉력을 현저히 배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대용량 쿨러(1)의 본체(3) 상부에 본체(3) 전후방향 전폭을 덮는 제1덮개(21)와 제2덮개(22)를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되므로 부피가 큰 음식물 내지 덩치가 큰 물고기 등의 대형 수납물을 쿨러(1)로 수납코자 할 시 종래 일본 특허와 같은 구조에서는 대형덮개에 설치된 소형덮개부로 투입이 불가능하므로 중량이 무거운 대형덮개 전체를 개방시켜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양측의 제1덮개(21) 또는 제2덮개(22) 모두 본체(3)의 전폭을 가지므로 2개 중 어느 1개의 덮개(2)만 개방시키면 되므로 대형 수납물을 보다 손쉽게 수납시킬 수 있으며, 양측의 제1덮개(21)와 제2덮개(22)를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덮개(2)가 2개지만 금형은 1벌만 제작하면 제1덮개(21)와 제2덮기를 동시에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제1덮개(21) 또는 제2덮개(22)를 1개의 덮개(2)가 사용되는 소용량의 쿨러(1)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반대로 소용량의 쿨러(1)에 사용되던 덮개(2)를 본 발명의 대용량 쿨러(1)의 제1덮개(21) 내지 제2덮개(22)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호환성이 매우 좋으면서 덮개(2)의 제작비용 즉, 제조원가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주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그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쿨러 2:덮개
21:제1덮개 22:제2덮개
23:고정돌기 24:패킹
25:위치결정돌기 3:본체
31:안치턱 32:결합홈
4:배출구 5:마개
6:차단바 61:안치돌기
62:걸림홈 63:간격유지구
64:위치결정홈 7:쿠션완충편
71:걸림돌기 8:고정수단
81:커버시트지

Claims (5)

  1. 단열구조를 갖는 본체(3)의 상부 양측에 본체(3) 전후방향의 전폭을 덮도록 본체(3)에서 개별적으로 개폐되게 설치되며, 하부에 각각 돌아가면서 하향 돌출된 패킹(24)이 구비된 제1덮개(21) 및 제2덮개(22)와,
    본체(3)의 내측 상부 둘레에 본체(3)의 상면보다 낮게 돌아가면서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덮개(21)와 제2덮개(22)의 패킹(24) 일부가 밀착되게 구성된 안치턱(31)과,
    제1덮개(21)와 제2덮개(22) 사이의 하측에 본체(3)에 탈착 가능토록 안치되어 상면 양측에 본체(3)의 안치턱(31)에 밀착되는 제1덮개(21)와 제2덮개(22)의 패킹(24) 나머지 부분이 밀착되게 구성된 차단바(6)와,
    본체(3)의 안치턱(31)에 전후로 마주보며 하향 함몰되게 형성된 한 쌍의 결합홈(32)과,
    한 쌍의 결합홈(32)에 차단바(6)가 밀착 안치되도록 차단바(6)의 전후방향 양단에 결합 구성된 고무 또는 우레탄재질의 쿠션완충편(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쿨러의 덮개 설치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단바(6)의 전후방향 양단에 돌출 형성되어 둘레로 걸림홈(62)이 형성된 안치돌기(61)와,
    쿠션완충편(7)의 내측에 안치돌기(61)로 쿠션완충편(7)을 결합 시 이탈을 방지토록 걸림홈(62)에 걸림 결합되게 형성된 걸림돌기(7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쿨러의 덮개 설치구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차단바(6)의 상부에는 제1덮개(21) 또는 제2덮개(22)의 패킹(24)이 차단바(6)의 상면에 밀착 시 차단바(6)와 제1덮개(21) 사이 또는 차단바(6)와 제2덮개(22) 사이의 간격을 유지토록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간격유지구(63)와,
    간격유지구(63)와 접하는 제1덮개(21) 또는 제2덮개(22)에 차단바(6)가 고정되도록 차단바(6)의 하부에서 제1덮개(21) 또는 제2덮개(22)로 결합 설치된 고정수단(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쿨러의 덮개 설치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차단바(6)의 간격유지구(63) 상단에 형성된 일자형태의 위치결정홈(64)과,
    차단바(6)가 고정수단(8)으로 고정되는 제1덮개(21) 또는 제2덮개(22)에 간격유지구(63)의 위치결정홈(64)과 결합되게 돌출 형성된 위치결정돌기(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쿨러의 덮개 설치구조.
KR20130112047A 2013-09-17 2013-09-17 대용량 쿨러의 덮개 설치구조 KR101477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2047A KR101477637B1 (ko) 2013-09-17 2013-09-17 대용량 쿨러의 덮개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2047A KR101477637B1 (ko) 2013-09-17 2013-09-17 대용량 쿨러의 덮개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7637B1 true KR101477637B1 (ko) 2015-01-02

Family

ID=52587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2047A KR101477637B1 (ko) 2013-09-17 2013-09-17 대용량 쿨러의 덮개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76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89434A (zh) * 2016-12-30 2017-08-25 广州拓讯安防科技有限公司 一种冷藏物流箱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9765A (ko) * 2005-04-18 2006-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냉기 누설 방지 장치
JP4070948B2 (ja) * 2000-09-20 2008-04-02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0948B2 (ja) * 2000-09-20 2008-04-02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KR20060109765A (ko) * 2005-04-18 2006-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냉기 누설 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89434A (zh) * 2016-12-30 2017-08-25 广州拓讯安防科技有限公司 一种冷藏物流箱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5177B1 (ko) 냉장고 및 그 내부 도어의 제조 방법
KR100728382B1 (ko) 냉장고용 도어가스켓
KR102028014B1 (ko) 냉장고 및 그 내부 도어의 제조 방법
KR101365419B1 (ko) 특장차용 발포식 초단열 냉동냉장탑
US11255592B2 (en) Air duct assembly and air cooling refrigerator having same
EP3029400B1 (en) Refrigerator
KR101477637B1 (ko) 대용량 쿨러의 덮개 설치구조
KR100951287B1 (ko)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78663B1 (ko) 냉기누설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
RU2011107202A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с каналом для компенсации давления
JP6371151B2 (ja) 冷却貯蔵庫の扉装置
JP4553145B2 (ja) クーラーボックス
CN105783365B (zh) 冰箱
JP2012131546A (ja) 保冷容器、及び保冷容器用の中蓋
WO2013058257A1 (ja) 冷却貯蔵庫の扉装置
KR20070098377A (ko) 보온보냉 도시락
KR20060126002A (ko) 실링누름판이 구비된 김치용기
JP2009066296A (ja) ショーケースの扉構造
KR20140008559A (ko) 냉장고의 분리형 도어케이스
JP7026652B2 (ja) 冷蔵庫
KR101850858B1 (ko) 보온 보냉용 박스
KR20080050149A (ko) 김치냉장고 도어의 지지구조
KR100894477B1 (ko) 냉장고의 도어
JP6635714B2 (ja) 冷却庫
KR20080096897A (ko) 저장고의 출입구 및 도어 겸용 프레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