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9765A - 냉장고의 냉기 누설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냉기 누설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9765A
KR20060109765A KR1020050032084A KR20050032084A KR20060109765A KR 20060109765 A KR20060109765 A KR 20060109765A KR 1020050032084 A KR1020050032084 A KR 1020050032084A KR 20050032084 A KR20050032084 A KR 20050032084A KR 20060109765 A KR20060109765 A KR 20060109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efrigerator
cold air
opening
clos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2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9765A/ko
Publication of KR20060109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7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1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anually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03Details of the outlet element
    • B05C17/00516Shape or geometry of the outlet orifice or the outlet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냉기누설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개폐도어의 체결면에는 상기 개폐도어의 가장자리를 따라 요입된 수용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채널에 삽입되어 걸리는 밀폐가스켓을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밀폐가스켓의 저면밀착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수용채널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결착외주면에 요입된 요입채널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개폐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개폐도어와 본체가 결합하는 부분을 통한 냉기의 저장실 외부로의 누출을 최소화하는 냉장고의 냉기누설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냉기 누설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OHIBITING THE COLD-AIR OF A REFRIGERATOR FROM BEING LEAKED}
도 1은 개폐도어가 김치냉장고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김치냉장고의 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개폐도어에 형성되는 냉기누설 방지 장치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따른 냉기누설 방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와 도 3의 밀폐가스켓이 본체에서 이격된 경우에 냉기누설 방지 장치를 통과하는 냉기의 이동 경로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본체 12: 내벽
13: 저장실 15: 결착외주면
17: 힌지부 21: 개폐도어
22: 체결면 23: 수용채널
31: 밀폐가스켓 33: 측면밀착부
35: 걸림부 37: 저면밀착부
41: 요입채널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개폐도어와 본체가 결합하는 부분을 통한 냉기의 저장실 외부로의 누출을 최소화하는 냉장고의 냉기누설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전통적으로 반찬 등의 식료품을 보관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요즘에 이르러서는 이러한 일반적인 냉장고를 더욱 특화시킨 다양한 용도의 냉장고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 예로는 김치냉장고, 화장품냉장고, 주류냉장고 등을 들 수 있다.
도 1은 위에 말한 다양한 냉장고들 중에서 개폐도어가 김치냉장고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김치냉장고의 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김치냉장고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김치는 일반 냉장고에 보관되어 왔으나, 이는 일부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즉, 일반 냉장고에 있어서, 잦은 냉장고 도어의 개폐에 의해 내부 온도의 변화가 심하게 발생되며, 외부공기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진다.
이러한 조건들은 발효식품인 김치의 보관에는 부적절하며 이에 따라 김치의 보존기간이 단축되며 적당한 숙성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김치냉장고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김치냉장고는 개폐도어의 개폐 방식에 따라 크게 뚜껑식(도어가 김치냉장고의 상면부에 설치되며 회동하여 개폐됨), 서랍식(도어가 김치냉장고의 전면부에 에 배치되며 슬라이딩되어 인출됨), 복합식(상부는 뚜껑식으로 하부는 서랍식으로 구성됨) 등으로 구분될 수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김치냉장고는 일정한 볼륨을 가져서 김치 등을 담은 용기(미도시)가 수납되며 내벽(112)에 의해 한정되는 저장실(113)이 요입되어 형성된 본체(111)와, 본체(111)에 힌지부(117)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되는 개폐도어(121), 그리고 본체(111) 내부에 설치되어서 저장실(113)의 온도를 설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온도 조절장치(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저장실(113)은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각 저장실(113)을 밀폐하는 개폐도어(121)도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된다. 본 도면은 양자가 2개인 김치냉장고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종래의 개폐도어에 형성되는 냉기누설 방지 장치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개폐도어(121)의 체결면(122)의 가장지리부와 본체(111)의 결착외주면(115)은 개폐도어(121)가 닫혀진 상태에서 서로 접촉하는 부분이다. 개폐도어(121) 내에서 냉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미도시)가 충진되어 있지만, 위와 같은 접촉 부분을 통한 냉기 유출의 방지 역시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개폐도어(121)의 체결면(122)에는 전체적으로 삼각형 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는 밀폐가스켓(131)이 연속적으로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밀폐가스켓 (131)은 개폐도어(121)의 체결면(122)에서 밀폐가스켓(13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요입된 수용채널(123)에 일단이 결합된 상태로 배열된다.
여기서, 밀폐가스켓(131)은 화살표 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는 걸림부(135)와 걸림부(135)의 하부에서 좌우로 돌출하여 형성된 측면밀착부(133)를 가지는 구성이다. 또한 걸림부(135)는 걸림턱(125)에 걸리게 되어서, 밀폐가스켓(131)은 개폐도어(121)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위와 같은 밀폐가스켓(131)을 가지는 개폐도어(121)를 닫으면, 개폐도어(121)의 중량에 의하여 밀폐가스켓(131)의 저면밀착부(137)가 본체(111)의 결착외주면(135)에 밀착하게 된다.
그러나, 결착외주면(135)이 이루는 평면에 밀폐가스켓(131)이 단순히 개폐도어(121)의 중량에 의해서만 눌려지는 형태로서 제대로 밀착되지 않고 약간의 이격이 발생하는 경우에 그러한 이격된 부분을 통하여 냉기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개폐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개폐도어와 본체가 결합하는 부분을 통한 냉기의 저장실 외부로의 누출을 최소화하는 냉장고의 냉기누설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기 누설 방지 장치는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개폐도어의 체결면에는 상기 개폐도어의 가장자리를 따라 요입된 수용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채널에 삽입되어 걸리는 밀폐가스켓을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밀폐가스켓의 저면밀착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수용채널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결착외주면에 요입된 요입채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채널과 상기 요입채널은 상기 개폐도어의 체결면과 상기 본체의 결착외주면에서 연속적으로 요입되어 순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밀폐가스켓은 상기 수용채널 전체에 걸쳐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요입채널은 상기 밀폐가스켓의 측면밀착부가 변형을 일으키며 억지로 끼워지게 하는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기 누설 방지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따른 냉기누설 방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김치냉장고는 일정한 볼륨을 가져서 김치 등을 담은 용기(미도시)가 수납되며 내벽(12)에 의해 한정되는 저장실(13)이 요입되어 형성된 본체(11)와, 이러한 본체(11)의 결착외주면(15)에 형성된 힌지부(17)를 통하여 회동하면서 개폐되는 개폐도어(21), 그리고 본체(11) 내부에 설치되어서 저장실(13)의 온도를 설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온도 조절장치(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저장실(13)은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각 저장실(13)을 밀폐하는 개폐도어(21)도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된다. 본 도면 은 양자가 2개인 김치냉장고를 도시하고 있다.
개폐도어(21)의 저면부, 즉 체결면(22)의 가장지리부와 본체(11)의 결착외주면(15)은 개폐도어(21)가 닫혀진 상태에서 서로 접촉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접촉 부분에서의 냉기 누출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개폐도어가(21)가 닫혀진 상태에서 개폐도어(21)에 일단이 삽입된 밀폐가스켓(31)의 타단이 본체(11)의 결착외주면(15)에 요입되어 형성된 요입채널(41)에 삽입되게 하는 구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구성은 도 3의 확대된 부분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밀폐가스켓(31)은 개폐도어(21)의 체결면(22)에 요입되어 형성된 수용채널(23)에 삽입되어 걸림턱(25)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부(35)와, 걸림부(35)의 아래에 배치되며 본체(11)의 요입채널(41)에 밀착 결합되기 위하여 양쪽으로 돌출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측면밀착부(33)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이러한 요입채널(41)의 저면에는 밀폐가스켓(31)의 저면밀착부(37)가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안착된다.
확실한 밀폐 효과를 위하여, 수용채널(23)과 요입채널(41)은 개폐도어(21)의 체결면(22)과 본체(11)의 결착외주면(15)에서 연속적으로 요입된 형태, 즉 순환형으로 형성된다. 그에 따라 밀폐가스켓(31)도 역시 요입채널(41) 전체에 걸쳐서 배치되어 모든 방향에서의 냉기 누출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폐가스켓(31)은 개폐도어가(21)가 열린 상태에서는 변형되지 않은 원래의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밀폐가스켓(31)이 개폐도어(21)가 닫히는 경우에 변형을 일으키며 요 입채널(41)에 삽입되어 냉기 유출을 최소화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요입채널(41)의 폭(W)은 밀폐가스켓(31)의 한 쌍의 측면밀착부(33)가 벌려진 길이보다 작은 크기를 가져서, 개폐도어(21)와 본체(11)의 결합 시에 한 쌍의 측면밀착부(33)는 변형을 일으키며 억지로 요입채널(41)에 끼워 넣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2와 도 3의 냉기누설 방지 장치에 있어서, 밀폐가스켓의 저면밀착부가 본체의 결착 외주면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경우에 냉기의 이동 경로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도면에 표시된 화살표는 저장실(113 또는 13, 화살표의 시작 부분 측) 내의 냉기가 밀폐가스켓(131 또는 31)을 거쳐서 외부로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낸다.
도 4(a)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냉기 누출 방지 장치에서는, 밀폐가스켓(131)의 저면밀착부(137)가 본체(111)의 결착외주면(115)에서 상승하여 이격됨에 따라 저장실(113) 내의 냉기가 직선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누출된다.
이에 반하여, 도 4(b)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냉기 누출 방지 장치에 따르면, 저장실(13) 내의 냉기는 4번에 걸쳐서 절곡된 경로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 비하여 요입채널(41)의 높이(H)의 두배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이동 경로가 길어지게 된다. 이렇게 냉기가 누출되기 위한 경로가 길어짐에 따라 냉기의 누출은 더욱 감소되는 것이다.
나아가, 밀폐가스켓(31)의 저면밀착부(37)가 본체(11)의 결착외주면(15)에서 일정 간격으로 상승되어 이격된다고 하여도 밀폐가스켓(31)의 측면밀착부(33)가 요입부(41)의 측면 상에서 타이트하게 결합됨에 따라 냉기의 누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냉장고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도어와 본체간의 냉기 누설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여서, 이상에서는 비록 김치냉장고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김치냉장고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기누설 방지 장치는개폐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개폐도어와 본체가 결합하는 부분을 통한 냉기의 저장실 외부로의 누출을 최소화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개폐도어의 체결면에는 상기 개폐도어의 가장자리를 따라 요입된 수용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채널에 삽입되어 걸리는 밀폐가스켓을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밀폐가스켓의 저면밀착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수용채널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결착외주면에 요입된 요입채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냉기 누설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채널과 상기 요입채널은 상기 개폐도어의 체결면과 상기 본체의 결착외주면에서 연속적으로 요입되어 순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밀폐가스켓은 상기 수용채널 전체에 걸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냉기 누설 방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채널은 상기 밀폐가스켓의 측면밀착부가 변형을 일으키며 억지로 끼워지게 하는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냉기 누설 방지 장치.
KR1020050032084A 2005-04-18 2005-04-18 냉장고의 냉기 누설 방지 장치 KR200601097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084A KR20060109765A (ko) 2005-04-18 2005-04-18 냉장고의 냉기 누설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084A KR20060109765A (ko) 2005-04-18 2005-04-18 냉장고의 냉기 누설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765A true KR20060109765A (ko) 2006-10-23

Family

ID=37615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084A KR20060109765A (ko) 2005-04-18 2005-04-18 냉장고의 냉기 누설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97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637B1 (ko) * 2013-09-17 2015-01-02 김남식 대용량 쿨러의 덮개 설치구조
CN104567220A (zh) * 2014-12-30 2015-04-29 合肥晶弘电器有限公司 一种箱体门封配合结构及冰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637B1 (ko) * 2013-09-17 2015-01-02 김남식 대용량 쿨러의 덮개 설치구조
CN104567220A (zh) * 2014-12-30 2015-04-29 合肥晶弘电器有限公司 一种箱体门封配合结构及冰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404B1 (ko) 냉장고용 수납용기
KR20060109765A (ko) 냉장고의 냉기 누설 방지 장치
US11460238B2 (en) Refrigerator
KR20060126002A (ko) 실링누름판이 구비된 김치용기
KR101304814B1 (ko) 냉장고 도어의 전후방 단차 방지구조
KR20080050149A (ko) 김치냉장고 도어의 지지구조
KR20090066679A (ko) 김치냉장고의 도어 밀폐구조
KR20120136138A (ko) 냉장고용 도어의 개스킷
KR100751392B1 (ko) 김치 냉장고의 저장용기
KR200168214Y1 (ko) 냉장고의 가스켓
KR200390003Y1 (ko) 소형 도어가 구비된 김치 냉장고
KR101592564B1 (ko) 냉장고
KR100261815B1 (ko) 냉장고의 냉장실 구조
KR200240962Y1 (ko) 물품수납용기
KR100685998B1 (ko) 냉장고의 도어 어셈블리와 이를 이용한 냉장고
KR19990049553A (ko) 쪽문을 갖는 냉장고 도어
KR200302413Y1 (ko) 반찬저장기능을 갖는 김치냉장고
KR100386457B1 (ko) 김치냉장고의 냉기차단장치
KR200187030Y1 (ko) 냉장고의 도어닫힘 제한장치
KR200310295Y1 (ko) 김치저장고용 도어의 닫힘 구조
KR200269978Y1 (ko) 이중 개스킷 구조를 갖는 김치저장고
KR100756703B1 (ko) 냉장고
KR20090075001A (ko) 스크린 도어가 구비된 김치 냉장고
KR200220779Y1 (ko) 김치저장고용 밀폐용기
KR20090040948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