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419B1 - 특장차용 발포식 초단열 냉동냉장탑 - Google Patents

특장차용 발포식 초단열 냉동냉장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419B1
KR101365419B1 KR1020130114642A KR20130114642A KR101365419B1 KR 101365419 B1 KR101365419 B1 KR 101365419B1 KR 1020130114642 A KR1020130114642 A KR 1020130114642A KR 20130114642 A KR20130114642 A KR 20130114642A KR 101365419 B1 KR101365419 B1 KR 101365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ing
plate
panels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4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덕
Original Assignee
김수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덕 filed Critical 김수덕
Priority to KR1020130114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4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3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an assembly of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B62D33/048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for refrigerated good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2Arrangements for supporting insulation from the wall or body insulated, e.g. by means of spacers between pipe and heat-insulating materi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insulated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냉장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패널의 조립부분이나 연결부분의 틈으로 냉기가 누출 또는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단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특장차용 냉동냉장탑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면 및 바닥패널과 전면패널 그리고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이 박스형으로 결합된 함체와, 이 함체의 후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리어게이트로 이루어지고, 상면 및 바닥패널과 전면패널 및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은, 내판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외판 사이에 다수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내판과 외판을 결합하는 지지프레임 및 내판과 외판 사이의 공간에 충전된 우레탄폼으로 각각 이루어져, 상호 간에 접촉되는 부분이 서로 대응하는 암수 결합방식으로 밀착 결합된 특장차용 냉동냉장탑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특장차용 발포식 초단열 냉동냉장탑{Refrigeration container for special vehicle}
본 발명은 냉동냉장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패널의 조립부분이나 연결부분의 틈을 통한 냉기의 누출이나 외기의 유입을 기밀하게 차단하여 단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아울러 조립성은 물론 구조 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특장차용 냉동냉장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유나 유제품, 빙과류, 육류, 어패류, 야채 따위의 각종 식료품을 운반 및 임시 보관 시에는 위생성 향상과 변질 방지, 신선도 유지 등 품질저하를 막기 위해 냉동 및 냉장 기능을 갖는 이른바 냉동냉장탑이 장착된 특장차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냉동냉장탑은 차량의 차체에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설계 시 그 부피와 무게가 중요한 고려 대상이 되고, 내부공간을 감싸는 단열재 선택과 디자인에도 큰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다. 이를 테면, 단열재의 부피와 무게가 증가하면 차량의 총중량은 늘어나고 화물적재 공간은 줄어들어 적재 및 수송효율이 떨어지고 연비도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냉동냉장탑의 벽체는 적재된 화물의 이탈을 방지하고, 화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강도를 가져야 함은 물론 외부의 열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높은 단열성능을 요구하므로 대부분이 열을 차폐하기 위한 발포성 합성수지나 플레이트 형태의 단열재 양측면에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와 같이 외력에 강한 금속 플레이트를 접착제로 부착한 이른바 샌드위치 패널 구조를 적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금속 플레이트의 가격이 고가인 데다 열전도율이 커서 냉장에 적합하지 않다는 점 때문에 합성수지 플레이트로 대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합성수지 플레이트는 금속 플레이트보다 기계적 강도가 약하므로 이를 보강하기 위해서는 단열재와의 사이에 상당한 두께의 합판을 접착제로 부착해야만 함으로 인해 냉동냉장탑이 불필요하게 무겁고 결로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이슬이나 습기가 자칫 합판을 손상 및 열화시켜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패널의 안쪽 벽면부분에는 냉동냉장탑 내에 적재되는 각종 화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트랙(track)을 리벳팅이나 볼팅 등의 방법으로 장착하고 있는데 종래에는 이 트랙을 장착하기 위해서 패널의 내부에 충전되는 단열재에 홈을 파고 이 홈에 잔넬을 삽입한 후 패널의 안쪽 벽면부분에 트랙을 밀착시킨 상태로 리벳이나 볼트 등으로 조여서 조립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제작 및 조립작업이 까다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특장차용 냉동냉장탑은 통상 전면 및 좌우측면패널(4)과, 상면 및 바닥패널이 서로 단순 결합된 박스형 함체(1)와, 이 함체(1)의 후면의 개구부에 식료품 등의 물품을 꺼내거나 내부에 적재 시 개폐할 수 있도록 여닫이 방식으로 구비된 리어게이트(2)로 이루어진 구조적 특성상 함체(1)의 결합부분 틈새 및 함체(1)와 리어게이트(2)의 틈새로 내부의 냉기가 쉽게 누출되거나 외기가 유입될 수 있고, 이렇게 되면 냉동냉장탑의 내부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고, 그 손실된 냉기만큼 온도를 보상하기 위해 냉동장치(3)가 가동되기 때문에 필요 이상의 에너지손실이 발생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냉기의 손실을 막기 위한 단열 및 보냉 기능의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특장차용 냉동냉장탑의 바닥면은 서브프레임(5)의 상면에 다수 개의 크로스멤버(5a)를 일정 간격을 두고 격자형으로 배치 및 용접하고, 이 크로스멤버(5a) 위에 샌드위치 구조의 바닥패널(6)을 부착한 상태로 특장차의 차체에 서브프레임(5)을 고정한 다음 바닥패널(6)의 위에 합판(7)을 깔고 스테인리스 등의 바닥판(8)을 부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제작 과정이 상당히 복잡하고 조립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차량에 설치된 상태에서 서브프레임(5)과 크로스멤버(5a)가 그대로 노출됨으로 인해 추가적인 도장작업이 필요한 데다 부식 등이 쉽게 일어나 사용수명을 단축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특장차용 냉동냉장탑의 리어게이트(2)는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4)의 단부에 힌지(4a)로 연결 결합되며,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4)과 마주하는 측면에는 냉기의 누출을 차단하기 위한 2개의 개스킷(9)이 돌출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냉동냉장탑의 내부를 극저온 상태로 유지시킬 경우 리어게이트(2)와의 틈으로 냉기가 손실되는 것을 충분히 막기 어려운 데다 리어게이트(2)를 달기 위해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4) 상에 장착된 금속 틀(9a)이 함체(1)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구조적 특성상 틀(9a)을 통해 외부의 열기가 그대로 내부로 유입되면서 단열효과가 떨어지는 한계가 있고, 단순히 개스킷(9)의 개수를 늘릴 경우에는 리어게이트(2)의 개폐동작이 몹시 힘들고 불편한 문제점이 수반되기 마련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8340호(2004.11.20)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9414호(2002.01.09)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1544호(2000.05.1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7295호(2001.09.2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1484호(2002.06.2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62948호(2007.10.0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46341호(1999.07.0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5058호(2012.02.2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2049호(2013.04.01)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감안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단열효율이 매우 높고 내구 강도는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면서도 무게는 줄일 수 있으며, 합판의 열화로 인한 수명감소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특장차용 냉동냉장탑을 개발하고자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 예의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서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은 냉기의 누출 및 외기의 유입을 기밀하게 차단하여 단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특장차용 냉동냉장탑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은 조립성과 구조 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특장차용 냉동냉장탑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박스형 함체를 구성하는 상면 및 바닥패널과 전면패널 그리고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이, 각각 내판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외판 사이에 내판과 외판을 결합하는 지지프레임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구비되고, 내판과 외판 사이의 공간에 우레탄폼을 조밀하게 충전한 형태로 이루어져, 그 상호 간에 접촉되는 부분이 서로 대응하는 암수 결합방식으로 밀착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냉동냉장탑을 제시한다.
이로써 각 패널 간의 조립부분이나 연결부분의 틈을 통한 냉기의 누출이나 외기의 유입을 기밀하게 차단하여 단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지지프레임은 내판 및 외판과 대향하는 양단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내판과 외판에는 끼움홈과 대응하여 결합되는 끼움돌기가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바닥패널은, 좌우에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과, 이 사이드프레임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된 하부프레임과, 이 하부프레임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이격프레임에 의해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된 상부프레임과, 이 상부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된 바닥판과, 전면패널의 하면이 안착 결합된 프런트프레임과, 상면에 리어게이트의 밑이 닿는 문턱이 형성된 리어프레임과, 하부프레임과 프런트프레임 및 리어프레임의 하면을 커버하도록 부착된 받침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다수 개의 밀착돌기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개스킷이 리어게이트의 상면 및 바닥패널과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과 대향면에 부착되고, 밀착돌기가 접촉되는 상면 및 바닥패널과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에 단열재 문턱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바닥판은 다수 개로 분할 형성하되, 그 각각의 상면에 요철부가 형성되고 양측에 서로 대응하는 형상의 연결홈과 연결돌기가 형성되고, 하면에 상부프레임과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지지대가 형성되어 서로 연결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기술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상면 및 바닥패널과 전면패널 그리고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의 상호 연결 및 결합부분이 다단의 홈과 돌기 구조에 의해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로 함체를 이루고, 함체와 리어게이트 사이의 틈은 개스킷 및 단열재 문턱 구조에 의해 기밀하게 밀폐되므로 그 연결 및 결합부분의 틈새 및 문턱을 통해 냉기가 누출되거나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단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냉각장치 가동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면서 냉기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작 및 조립과정에서 종래와 달리 합판이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조립이 간편함은 물론 전체적인 무게가 줄고, 구조 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어 합판의 열화 등으로 인해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장차의 차체에 설치하는 작업이 편리하고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특장차용 냉동냉장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특장차용 냉동냉장탑의 바닥패널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국부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특장차용 냉동냉장탑의 리어게이트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장차용 냉동냉장탑의 구조를 나타낸 국부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장차용 냉동냉장탑의 전면패널과 우측면패널 구조를 나타낸 국부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장차용 냉동냉장탑의 구조를 나타낸 국부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장차용 냉동냉장탑의 우측면패널과 리어게이트 구조를 나타낸 국부 평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장차용 냉동냉장탑은 크게 함체(100)와 리어게이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함체(100)는 상면 및 바닥패널(110)(120)과 전면패널(130) 그리고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140)(150)을 결합하여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함체(100)의 후면 개구부는 리어게이트(20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면 및 바닥패널(110)(120)과 전면패널(130) 및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140)(150) 각각은, 일정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갖는 내판(10)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외판(20)의 사이에 내판(10)과 외판(20)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면서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지지프레임(30)이 내판(10) 및 외판(20)의 폭과 대응하는 폭 또는 길이를 가지면서 내판(10)과 외판(20)의 마주하는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장착되어 있고, 이에 의해 형성된 내판(10)과 외판(20) 사이의 격실 공간에는 우레탄폼(40)을 발포 경화시켜 촘촘하게 충전한 상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30)의 내판(10) 및 외판(20)과 대향하는 양단에는 끼움홈(31)이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판(10)과 외판(20)에는 끼움홈(31)과 대응하여 결합되는 끼움돌기(11)(2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내판(10) 또는 외판(20)에 고정되는 끼움돌기(21) 부분은 함체(100) 내에 적재되는 각종 화물을 고정하기 위한 트랙(track)이나 냉각장치 등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함체(100)의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일정 폭과 길이 및 강도를 갖는 형강 프레임 혹은 프로파일 형태로 형성하여 내판(10) 및 외판(20)에 리벳팅, 나사못,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내판(10) 및 외판(20)은 기계적 강도 확보를 위해 알루미늄 판재나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GRP) 판재로 형성할 수 있고, 지지프레임(30)은 내판(10)과 외판(20)을 단열시킬 수 있는 열가소성 플라스틱(PVC) 등 열전도성이 낮은 소재로 성형하여 그 끼움홈(31)을 내판(10) 및 외판(20)의 끼움돌기(11)(21)와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우레탄폼(40)은 강성이 있고 단열성과 저온특성이 좋은 폴리우레탄, 폴리스틸렌 등의 원료 수지에 휘발성 용제를 발포제로 섞어서 내판(10)과 외판(20)의 사이 공간이 조밀하게 채워지도록 발포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우레탄폼(40)의 밀도는 100~200g/㎠인 것이 바람직하다. 우레탄폼(40)의 밀도가 100g/㎠ 미만일 경우 단열성이 우수해지는 반면 외부충격에 의한 변형강도, 즉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고, 밀도가 200g/㎠ 이상일 경우 내구성은 우수해지는 반면 무게가 무거워지면서 단열성도 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면 및 바닥패널(110)(120)과 전면패널(130) 및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140)(150) 상호 간에 접촉되는 부분은 서로 대응하는 암수 결합방식으로 밀착 결합되어 있다.
즉, 상면패널(110)의 하면 테두리에는 결합홈(111)과 결합돌기(112)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면패널(110)의 최외측 모서리 부분은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패널(110)과, 전면패널(130), 좌측면패널(140) 및 우측면패널(150)에 의해 형성되는 코너 부분을 감싸듯이 결합되는 별도의 코너캡(미도시)을 외부로 돌출됨 없이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캡홈(11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면패널(140)의 상면에는 상면패널의 결합홈(111)과 결합돌기(112)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결합홈(141)과 결합돌기(142)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 및 전면에는 바닥패널의 결합홈(121)과 결합돌기(122) 및 전면패널의 결합홈(131)과 결합돌기(132)와 각각 대응하여 결합되는 결합홈(141)과 결합돌기(142)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면패널(150)의 상면에는 상면패널의 결합홈(111)과 결합돌기(112)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결합홈(151)과 결합돌기(152)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 및 전면에는 바닥패널의 결합홈(121)과 결합돌기(122) 및 전면패널의 결합홈(131)과 결합돌기(132)와 각각 대응하여 결합되는 결합홈(151)과 결합돌기(152)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패널(120)은 상면에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의 하면 결합홈(141)(151)과 대응하여 결합되는 결합돌기(122)가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21)과, 이 사이드프레임(121)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된 하부프레임(123)과, 이 하부프레임(123)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이격프레임(124)에 의해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된 상부프레임(125)과, 이 상부프레임(125)의 상면에 결합된 바닥판(126)과, 전면패널(130)의 하면이 안착 결합된 프런트프레임(127)과, 상면에 리어게이트(200)의 밑이 닿는 문턱(170)이 고정된 리어프레임(128)과, 하부프레임(123)과 프런트프레임(127) 및 리어프레임(128)의 하면을 커버하도록 부착된 받침판(129)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바닥판(126)은 다수 개로 분할 및 서로 연결 결합 가능한 형강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그 각각의 상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고, 양측에는 서로 대응하여 결합되는 형상의 연결홈(126a)과 연결돌기(126b)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상부프레임(125)과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지지대(126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판(126)과 상부프레임(125)의 사이 공간 및 받침판(129) 사이 공간, 상부프레임(125)과 하부프레임(123), 프런트프레임(127)과 리어프레임(128) 등의 공간부분에는 우레탄폼(40)이 촘촘하게 충전되어 있고, 바닥판(126) 중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140)(150)과 접하는 부분은 사이드프레임(121)과 각각 연결프레임(126d)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받침판(129)은 특장차의 차체에 직접 고정되는 부분으로 알루미늄 판재나 유리강화 플라스틱(GRP) 판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좌측면패널(140) 및 우측면패널(150)과 바닥패널(120)이 결합되는 외측면에는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간의 연결 틈새를 커버하면서 더욱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보강프레임(600)이 리벳팅, 나사못,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이 보강프레임(600)의 외측에는 고정수단의 노출 및 부식 등을 방지하는 별도의 캡(610)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패널(130)의 상면에는 상면패널의 결합홈(111)과 결합돌기(112)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결합홈(131)과 결합돌기(132)가 형성되어 있고, 내면의 양측 테두리에는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의 전면에 형성된 결합홈(141)(151)과 결합돌기(142)(152)와 각각 대응하여 결합되는 결합홈(131)과 결합돌기(1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패널(130)의 최외측 모서리 부분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패널(110)과, 전면패널(130), 좌측면패널(140) 및 우측면패널(150)에 의해 형성되는 코너 부분을 감싸듯이 결합되는 별도의 코너캡(미도시)을 외부로 돌출됨 없이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캡홈(139)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면 및 바닥패널(110)(120)과, 전면패널(130)과,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140)(150)의 결합홈과 결합돌기들은 그 각각의 내판(10) 및 외판(20)과 별도로 형강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어 내판(10)과 외판(20) 사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면 및 바닥패널(110)(120)과, 전면패널(130)과,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140)(150)은 지지브래킷(400)에 의해 상호 고정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아울러 마감캡(500)을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 부분이나 틈을 깔끔하게 마감 및 막을 수 있다.
리어게이트(200)는 함체(100)의 후면 개구부를 좌우 양방향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좌측면패널(140) 및 우측면패널(150)과 각각 힌지(300)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그 상면 및 바닥패널(110)(120)과 그리고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140)(150)과 대향면에는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다수 개의 밀착돌기(211)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개스킷(210)이 쐐기 결합방식으로 부착되어 있고, 그 밀착돌기(211)가 유연하게 변형되면서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상면 및 바닥패널(110)(120)과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140)(150)에는 냉기의 누출 및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재 문턱(17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문턱(170)은 접착제나 나사못,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면 및 바닥패널(110)(120)과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140)(150)에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장차용 냉동냉장탑은 상면 및 바닥패널(110)(120)과 전면패널(130) 그리고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140)(150)의 상호 연결 및 결합부분이 서로 대응하는 형상의 결합홈과 결합돌기에 의해 각각 견고하게 밀착될 뿐만 아니라 리어게이트(200)와 함체(100)의 개구부 사이의 틈은 개스킷(210) 및 내기와 외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단열재 문턱(170)에 의해 밀폐되므로 냉기의 누출 또는 외기의 유입을 기밀하게 차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단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냉각장치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하여 에너지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면 및 바닥패널(110)(120)과 전면패널(130) 및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140)(150)은 각각 내판(10)과 외판(20) 사이의 공간에 우레탄폼(40)을 발포 경화시켜 우레탄폼(40)이 충전과 동시에 내판(10) 및 외판(20)과 상호 일체화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합판과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 접착공정이 불필요하여 조립이 간편하고 용이하면서 작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무게가 줄면서도 구조 강성 및 내구성은 향상됨으로 인해 외력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이 최소화되어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특장차의 차체에 설치하는 작업이 편리하고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리어게이트가 함체의 후방뿐 아니라 측방 등에도 복수로 구비된 냉동냉장탑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내판 11: 끼움돌기
20: 외판 21: 끼움돌기
30: 지지프레임 31: 끼움홈
40: 우레탄폼
100: 함체 110: 상면패널
111: 결합홈 112: 결합돌기
120: 바닥패널 121: 사이드프레임
122: 결합돌기 123: 하부프레임
124: 이격프레임 125: 상부프레임
126: 바닥판 126a: 연결홈
126b: 연결돌기 126c: 지지대
126d: 연결프레임 127: 프런트프레임
128: 리어프레임 129: 받침판
130: 전면패널 131: 결합홈
132: 결합돌기 140: 좌측면패널
141: 결합홈 142: 결합돌기
150: 우측면패널 151: 결합홈
152: 결합돌기 170: 문턱
200: 리어게이트 210: 개스킷
211: 밀착돌기 300: 힌지
400: 지지브래킷 500: 마감캡

Claims (4)

  1. 삭제
  2. 상면 및 바닥패널(110)(120)과 전면패널(130) 그리고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140)(150)이 박스형으로 결합된 함체(100)와, 상기 함체(100)의 후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리어게이트(200)로 이루어진 냉동냉장탑에 있어서,
    상기 상면 및 바닥패널(110)(120)과 전면패널(130) 그리고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140)(150)은, 내판(10)과, 상기 내판(10)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외판(20)과, 상기 내판(10)과 외판(20) 사이에 다수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상기 내판(10)과 외판(20)을 결합하는 지지프레임(30) 및 상기 내판(10)과 외판(20) 사이의 공간에 충전된 우레탄폼(40)으로 각각 이루어져, 상호 간에 접촉되는 부분이 서로 대응하는 암수 결합방식으로 밀착 결합되고,
    상기 상면패널(110)의 하면 테두리에 결합홈(111)과 결합돌기(112)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140)(150)의 상면 및 하면과 전면에 상기 상면패널의 결합홈(111) 및 결합돌기(112)와 대응하는 형상의 결합홈(141)(151)과 결합돌기(142)(152)가 반복적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전면패널(130)의 상면 및 내측면의 양측 테두리에 상기 상면패널의 결합홈(111) 및 제1결합돌기(112)와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의 결합홈(141)(151) 및 결합돌기(142)(152)와 각각 대응하는 형상의 결합홈(131)과 결합돌기(132)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패널(120)은, 상면에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홈(141)(151)과 대응하는 형상의 결합돌기(122)가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21)과, 상기 사이드프레임(121)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된 하부프레임(123)과, 상기 하부프레임(123)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이격프레임(124)에 의해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된 상부프레임(125)과, 상기 상부프레임(125)의 상면에 결합된 바닥판(126)과, 상기 전면패널(130)의 하면이 안착 결합된 프런트프레임(127)과, 상면에 상기 리어게이트(200)의 밑이 닿는 단열재 문턱(170)이 형성된 리어프레임(128)과, 상기 하부프레임(123)과 상기 프런트프레임(127) 및 상기 리어프레임(128)의 하면을 커버하도록 부착된 받침판(129)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리어게이트(200)의 상기 상면 및 바닥패널(110)(120)과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140)(150)과 대향면에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다수 개의 밀착돌기(211)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개스킷(210)이 부착되고, 상기 밀착돌기(211)가 접촉되는 상기 상면 및 바닥패널(110)(120)과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140)(150)에 단열재 문턱(170)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냉동냉장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26)은 다수 개로 분할 형성하되, 그 각각의 상면에 요철부가 형성되고 양측에 서로 대응하는 형상의 연결홈(126a)과 연결돌기(126b)가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상부프레임(125)과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지지대(126c)가 형성되어 서로 연결 결합되고,
    상기 바닥판(126)과 상기 상부프레임(125)의 사이 공간에 우레탄폼(40)이 충전되고,
    상기 바닥판(126) 중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140)(150)과 접하는 부분은 상기 사이드프레임(121)과 각각 연결프레임(126d)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냉동냉장탑.
  4. 상면 및 바닥패널(110)(120)과 전면패널(130) 그리고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140)(150)이 박스형으로 결합된 함체(100)와, 상기 함체(100)의 후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리어게이트(200)로 이루어진 냉동냉장탑에 있어서,
    상기 상면 및 바닥패널(110)(120)과 전면패널(130) 그리고 좌측면 및 우측면패널(140)(150)은, 내판(10)과, 상기 내판(10)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외판(20)과, 상기 내판(10)과 외판(20) 사이에 다수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상기 내판(10)과 외판(20)을 결합하는 지지프레임(30) 및 상기 내판(10)과 외판(20) 사이의 공간에 충전된 우레탄폼(40)으로 각각 이루어져, 상호 간에 접촉되는 부분이 서로 대응하는 암수 결합방식으로 밀착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30)은 상기 내판(10) 및 외판(20)과 대향하는 양단에 끼움홈(31)이 형성되고, 상기 내판(10)과 외판(20)에는 상기 끼움홈(31)과 대응하여 결합되는 끼움돌기(11)(21)가 각각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냉동냉장탑.
KR1020130114642A 2013-09-26 2013-09-26 특장차용 발포식 초단열 냉동냉장탑 KR101365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642A KR101365419B1 (ko) 2013-09-26 2013-09-26 특장차용 발포식 초단열 냉동냉장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642A KR101365419B1 (ko) 2013-09-26 2013-09-26 특장차용 발포식 초단열 냉동냉장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5419B1 true KR101365419B1 (ko) 2014-02-19

Family

ID=50271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4642A KR101365419B1 (ko) 2013-09-26 2013-09-26 특장차용 발포식 초단열 냉동냉장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5419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285B1 (ko) * 2014-03-13 2015-11-11 한국차체 주식회사 화물차용 적재함
KR101608250B1 (ko) * 2014-11-07 2016-04-01 한호희 특장차용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
CN109204110A (zh) * 2018-09-03 2019-01-15 中车长江车辆有限公司 冷藏车车顶结构、发泡方法以及冷藏车
CN110758574A (zh) * 2019-12-12 2020-02-07 武义普巴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长途运输维持蔬菜新鲜的保鲜车厢
RU200522U1 (ru) * 2020-07-06 2020-10-2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Объединенный инженерный центр" ( ООО "ОИЦ") Фургон изотермический бескаркасный
CN114571656A (zh) * 2022-03-04 2022-06-03 广州广冷华旭制冷空调实业有限公司 集装箱保温发泡方法及工装套件
RU213571U1 (ru) * 2022-08-18 2022-09-16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Рузаевский завод химическ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АО "Рузхиммаш") Изотермический корпус грузового контейнера
KR20220164135A (ko) * 2021-06-04 2022-12-13 성우피앤비 주식회사 화물차량 컨테이너의 단열구조
CN116358072A (zh) * 2023-02-14 2023-06-30 南京御风环境技术有限公司 一种高端箱体结构除湿机
CN117108603A (zh) * 2020-07-17 2023-11-24 唐腊辉 一种板材与板材的扣锁发泡膨胀拼接结构
CN117107910A (zh) * 2020-07-21 2023-11-24 唐腊辉 一种房箱体的组装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0161A (ja) * 1997-10-24 1999-05-18 Isuzu Motors Ltd 断熱壁構造
KR20000018118U (ko) * 1999-03-12 2000-10-16 고준환 차량의 조립식 냉동/보온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0161A (ja) * 1997-10-24 1999-05-18 Isuzu Motors Ltd 断熱壁構造
KR20000018118U (ko) * 1999-03-12 2000-10-16 고준환 차량의 조립식 냉동/보온실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285B1 (ko) * 2014-03-13 2015-11-11 한국차체 주식회사 화물차용 적재함
KR101608250B1 (ko) * 2014-11-07 2016-04-01 한호희 특장차용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
CN109204110A (zh) * 2018-09-03 2019-01-15 中车长江车辆有限公司 冷藏车车顶结构、发泡方法以及冷藏车
CN110758574A (zh) * 2019-12-12 2020-02-07 武义普巴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长途运输维持蔬菜新鲜的保鲜车厢
RU200522U1 (ru) * 2020-07-06 2020-10-2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Объединенный инженерный центр" ( ООО "ОИЦ") Фургон изотермический бескаркасный
CN117108603A (zh) * 2020-07-17 2023-11-24 唐腊辉 一种板材与板材的扣锁发泡膨胀拼接结构
CN117107910A (zh) * 2020-07-21 2023-11-24 唐腊辉 一种房箱体的组装结构
KR20220164135A (ko) * 2021-06-04 2022-12-13 성우피앤비 주식회사 화물차량 컨테이너의 단열구조
KR102544035B1 (ko) * 2021-06-04 2023-06-16 성우피앤비 주식회사 화물차량 컨테이너의 단열구조
CN114571656A (zh) * 2022-03-04 2022-06-03 广州广冷华旭制冷空调实业有限公司 集装箱保温发泡方法及工装套件
CN114571656B (zh) * 2022-03-04 2024-02-02 广州广冷华旭制冷空调实业有限公司 集装箱保温发泡方法及工装套件
RU213571U1 (ru) * 2022-08-18 2022-09-16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Рузаевский завод химическ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АО "Рузхиммаш") Изотермический корпус грузового контейнера
CN116358072B (zh) * 2023-02-14 2023-11-07 南京御风环境技术有限公司 一种高端箱体结构除湿机
CN116358072A (zh) * 2023-02-14 2023-06-30 南京御风环境技术有限公司 一种高端箱体结构除湿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419B1 (ko) 특장차용 발포식 초단열 냉동냉장탑
US20160370082A1 (en) Isothermal Container For Preserving Of Various Materials
CA2971999C (en) Refrigerator and vacuum insulation module thereof
TWI391621B (zh) 冰箱
JP5978520B2 (ja) 断熱箱
KR200471021Y1 (ko) 온도 조절이 가능한 박스형 패키징
US20200003481A1 (en) Magnetic gasket and cooling apparatus
RU2115071C1 (ru) Шкаф с поддерживаемой регулируемой температурой
EP2789952B1 (en) Refrigerator
KR20100054801A (ko)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탱크
CN114620360A (zh) 分体式保温集装箱
AU2019427660A1 (en) Refrigerator
US20090224644A1 (en) Sliding lid for a refrigerator and/or freezer and refrigerator and/or freezer with a sliding lid
KR100613051B1 (ko) 패널 보강구조를 갖는 진공 냉동탑차
JP4852987B2 (ja) 断熱箱体
KR20150000671U (ko) 온도 조절이 가능한 박스형 패키징
JP4916413B2 (ja) 断熱パネルを備えたウイング車のシール装置
CN204384119U (zh) 开顶式冷藏集装箱
KR20110006584U (ko) 냉동창고용 벽체 프레임
CN204787554U (zh) 具有双密封发泡式中横梁的双门体转换型冷冻冷藏柜
JP5507981B2 (ja) 保冷庫用ドアのヒンジ取付部材及びヒンジ取付構造
KR101521157B1 (ko) 결빙방지용 파이프 지지부가 구비된 선박
CN218578631U (zh) 一种陆运冷机安装框及冷藏集装箱
JP2022152082A (ja) 輸送用保冷庫
CN1321308C (zh) 隔热箱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