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046B1 - 광학 필름 적층체,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필름 적층체,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046B1
KR101477046B1 KR1020097019804A KR20097019804A KR101477046B1 KR 101477046 B1 KR101477046 B1 KR 101477046B1 KR 1020097019804 A KR1020097019804 A KR 1020097019804A KR 20097019804 A KR20097019804 A KR 20097019804A KR 101477046 B1 KR101477046 B1 KR 101477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dhesive
meth
polarizing plate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9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4532A (ko
Inventor
카즈키 오후사
히데키 하야시
Original Assignee
도아고세이가부시키가이샤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아고세이가부시키가이샤,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도아고세이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4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적어도 편면에 보호막을 구비한 직선 편광판과 위상차 필름 등의 수지 필름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개재하여 적층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박형이고 내구성이 우수하고, 외관 및 흡광도도 우수하고, 또한 생산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 적층체 및 상기 적층체를 사용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365nm에 있어서의 피크 조도가 600mW/cm2 이하이고, 또한 상기 파장에 있어서의 피크 조도를 적산 광량(단위:mJ/cm2)으로 나눈 값이 0.25 이하인 조건하에서 조사하여 경화시킨다. 적산 광량은 1,500mJ/cm2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 적층체는 액정 표시 장치,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터치 패널 등의 화상 표시 장치 구성부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광학 필름 적층체, 표시 장치

Description

광학 필름 적층체,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표시 장치{OPTICAL FILM LAYERED BODY,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학 필름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및 상기 적층체를 사용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박형·경량·소비전력 절약 등의 특장때문에,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휴대전화·PDA 등의 소형 전자기기로부터, 워드프로세서나 퍼스널 컴퓨터의 화면 또는 텔레비전 수상기에도 보급되어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소자의 상하에 복수의 광학 필름이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액정 표시 소자의 상측(시인측)에는 위상차 필름, 직선 편광판이 순차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통상, 이러한 광학 필름의 접합은 점착제를 개재시켜 행해진다. 점착제란 일반적으로 감압 접착제라고도 호칭되는 접착제의 일종이고, 피착체끼리를 접합시켜 압착시키는 것만으로 접착가능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광학 필름의 접합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각종 광학 필름의 소형화·박형화·경량화의 시장요구는 해마다 높아지고 있고, 적층체를 종래보다 더 얇게 하는 요구도 강해지고 있다. 또한, 필름을 박형화함으로써, 유연성이 상당히 향상되는 메리트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배경으로부터, 직선 편광판의 박형화의 제안이 종래부터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직선 편광판의 보호막을 박막화하는 것이나 특허문헌 1에는 직선 편광판의 보호막을 편측에만 붙인 구조, 소위, 편측 보호막이 부착된 편광판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편측 보호막이 부착된 편광판과 위상차 필름을 점착제로 접합시킨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적층체는 열 또는 습열 조건하에서 편광판의 수축에 의한 치수변화가 크다. 또한, 점착제는 일반적으로 유리 전위 온도가 0℃ 미만의 매우 변형하기 쉬운 재료이기 때문에 내구성 시험에 있어서 편광판의 수축에 추종할 수 없고, 점착층의 발포나 필름의 들뜸, 박리 등이 발생하기 쉽다.
특허문헌 3에는 편광력을 갖는 편광막의 적어도 편면에 λ/4판을 접합시킨 원편광판으로서, λ/4판의 지상축과 편광막의 흡수축의 경사각도가 45°±5°이며, λ/4판과 편광막이 아크릴계 또는 폴리우레탄계 접착제에 의해서 직접 접착되어 있는 구조의 원편광판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적층체는 내구성이 향상되지만 아크릴계 또는 폴리우레탄계 접착제와 용매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사용한 웨트 라미네이션에 의해서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접합 후에 용제 건조공정이 필요하여 생산성이 낮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박형 구조의 적층체를 용제 건조공정이 불필요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로 접착하는 것도 고려되고 있지만, 편광판이나 위상차 필름은 자외선 조사시에 발생하는 열 등의 영향으로 열화되기 쉽고, 특히, 편광판이나 위상차 필름이 열변형하거나 편광판의 편광률이 저하하기 쉬워 통상의 경화 방법으로 적층하는 것은 곤란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2001-10883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 2002-14226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특허공개 2004-144943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적어도 편면에 보호막을 구비한 직선 편광판과 위상차 필름 등의 수지 필름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여 적층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박형으로 내구성이 우수하고, 외관 및 흡광도가 우수하고, 또한, 생산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 적층체 및 상기 적층체를 사용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연구를 거듭한 결과 직선 편광판과 위상차 필름 등의 수지 필름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여 적층할 때 특정 피크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사용하고, 비교적 약한 광조도로 또한, 특정 적산 광량을 충족시키도록 상기 접착제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직선 편광판 및 수지 필름을 열화시키지 않고 적층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리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 (1)~(12)의 발명이 제공된다.
(1) 적어도 편면에 보호막을 구비한 직선 편광판과 수지 필름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365nm에 있어서의 피크 조도가 600mW/cm2 이하이며, 또한 상기 파장에 있어서의 피크 조도를 적산 광량(단위:mJ/cm2)으로 나눈 값이 0.25 이하인 조건하에서 상기 자외선을 접착제층에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2) (1)에 있어서, 적산 광량이 1,500mJ/c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3)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직선 편광판이 보호막을 편면에만 구비한 직선 편광판이고, 상기 보호막과 반대인 면에 상기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수지 필름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수지 필름이 위상차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라디칼 중합성 반응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6) 적어도 편면에 보호막을 구비한 직선 편광판과 수지 필름이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 적층체로서, 상기 접착제층은 365nm에 있어서의 피크 조도가 600mW/cm2 이하이며, 또한 상기 파장에 있어서의 피크 조도를 적산 광량(단위:mJ/cm2)으로 나눈 값이 0.25 이하인 조건하에서 상기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
(7) (7)에 있어서, 상기 직선 편광판이 보호막을 편면에만 구비한 직선 편광판이고, 상기 보호막과 반대인 면에 상기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수지 필름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
(8) (6)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수지 필름이 위상차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
(9) (6)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라디칼 중합성 반응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
(10) (6)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필름 적층체와 액정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6)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필름 적층체와 유기 전계 발광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12) (6)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필름 적층체와 표시 수단과 터치식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로일 및 (메타)아크릴옥시는 각각 아크릴 및 메타아크릴,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 및 메타아크릴로일, 및 아크릴옥시 및 메타아크릴옥시를 의미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직선 편광판과 위상차 필름 등의 수지 필름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로 적층할 수 있게 함으로써, 경량 및 박형이고, 또한, 외관 및 광학특성이 양호한 광학 필름 적층체를 양호한 생산성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실시예 1과 2 및 비교예 1과 3에 있어서의 콘베이어 반송시간과 자외선 강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 적층체는 적어도 편면에 보호막을 구비한 직선 편광판과 위상차 필름 등의 수지 필름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접착시켜 얻어지고, 상기 접착제층에 자외선을 특정 조건하에서 조사함으로써 얻어진다.
직선 편광판이란 자연광, 즉 비편광 광선으로부터 어느 한 방향의 직선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직선 편광판은 편광자와 그 편면 또는 양면에 설치된 보호막을 구비한 것이면 그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편광자는 자연광으로부터 어느 한 방향의 직선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소위, 흡수형 편광자, 반사형 편광자, 산란형 편광자 등이 포함되고, 통상, 흡수형 편광자에는 폴리비닐알콜 등의 수지 필름을 기재로서 구성된다.
흡수형 편광자는 자연광으로부터 어느 한 방향의 직선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다른 한 방향의 직선편광을 흡수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반사형 편광자 및 산란형 편광자는 자연광으로부터 어느 한 방향의 직선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다른 한 방향의 직선편광을 반사 또는 산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흡수형 편광자의 구체예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요오드를 흡착, 배향시킨 요오드계 편광자,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이색성의 염료를 흡착, 배향시킨 염료계 편광자, 비닐알콜계/폴리엔계 편광자, (리오트로픽)액정상태의 이색성 염료를 코팅하고, 배향, 고정화시킨 도포형 편광자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편광자로서는 시인성이 우수한 흡수형 편광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 편광도, 투과율이 우수한 요오드계 편광자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광판에 사용되는 보호막으로는 예컨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나 디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수지 필름, 아크릴 수지 필름,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필름, 폴리에테르술폰 수지 필름, 노르보넨과 같은 환상 올레핀을 모노머로 하는 환상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보호막은 필름상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코팅에 의해서 형성된 보호막이어도 상관없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편광자의 보호막으로는 광학특성의 점으로부터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수지 필름, 환상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 적층체에 있어서는 적층체의 박막화의 점으로부터 보호막은 직선 편광판의 편면에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즉, 직선 편광판으로서, 편측 보호막이 부착된 직선 편광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선 편광판에 적층되는 수지 필름으로는 플랫 디스플레이 장치나 그 밖의 각종 광학 장치에 있어서 직선 편광판과 적층하여 사용되는 수지 필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대표적으로는 위상차 필름, 유리 기판을 대체하여 사용되는 필름 기판 등이 열거된다.
위상차 필름은 편광판의 흡수축에 대하여 소정의 방위각을 갖는 필름이고, 주로, 액정 디스플레이의 액정층에 의한 착색을 보상하기 위해서나 시야각에 의한 위상차의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위상차 필름으로는 1축 또는 2축 연신 등의 가공을 실시한 광학용 필름 또는 액정성 화합물 등을 기재에 도포하고, 배향, 고정화의 가공을 한 광학용 필름 등이 열거되고, 이들은 삼차원 굴절률의 대소관계(굴절률타원체)를 사용 조건에 따라서 제어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위상차 필름에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그 기재로서 필름의 소재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환상 폴리올레핀과 같은 폴리올레핀이나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알콜,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아미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연신 등의 가공이 실시된 광학용 필름의 구체예로는 Tejin Ltd.에 의해서 제작된 「퓨어 에이스」(상품명), Kaneka Corporation에 의해서 제작된 「에르멕크」(상품명), Zeon Corporation에 의해서 제작된 「제오니아」(상품명), JSR Corporation에 의해서 제작된 「알톤」(상품명) 등이 열거된다. 또한, 액정성 화합물 등을 기재로 도포하여, 배향, 고정화의 가공을 한 광학용 필름의 구체예로는 Fujifilm Corporation에 의해서 제작된 「WV필름」(상품명), Nippon Oil Corporation에 의해서 제작된 「LC필름」, 「NH필름」(모두 상품명) 등이 열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직선 편광판과 위상차 필름을 적층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접착제로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종류는 본 발명의 자외선 조사 조건이나 적층하는 직선 편광판이나 수지 필름의 종류에 의해서 적당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로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 엔/티올계 접착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등의 광 라디칼 중합반응을 이용하는 접착제나 에폭시계 접착제, 옥세탄계 접착제, 에폭시/옥세탄계 접착제, 비닐에테르계 접착제 등의 광 양이온 중합반응을 이용하는 접착제 등이 열거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로는 이들 중에서도 광 라디칼 중합반응을 이용하는 접착제가 바람직하고,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우선, 광 양이온 경화형 접착제에 대해서 설명한다.
광 양이온 경화형 접착제로는 경화성 성분으로서, 에폭시 화합물, 비닐에테르 화합물 및 옥세탄 화합물이 열거되고, 이들 중에서도 에폭시 화합물 및 옥세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폭시 화합물 및 옥세탄 화합물을 병용시킨 접착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에폭시 화합물로는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각종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디시클로펜타디엔디옥시드, 리모넨디옥시드, 4-비닐시클로헥센디옥시드, 3,4-에폭시디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실산카르복실레이트, 디(3,4-에폭시시클로헥실)아디페이트,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 할로겐화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 수소첨가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S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F형 에폭시 수지,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부타디엔의 양말단이 글리시딜에테르화된 화합물, ο-, m-, ρ-크레졸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글리시딜에테르, 폴리부타디엔의 내부 에폭시화물,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이중결합이 일부 에폭시화된 화합물[예컨대,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에 의해서 제작된 에포프렌드], 에틸렌-부티렌 공중합체와 폴리이소프렌의 블록 코폴리머의 폴리이소프렌의 일부가 에폭시화된 화합물(예컨대, KRATON사에 의해서 제작된 L-207), 4-비닐시클로헥센옥시드의 개환중합체의 비닐기를 에폭시화시킨 구조의 화합물[예컨대,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에 의해서 제작된 EHPE3150] 및 에폭시화 식물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옥세탄 화합물로는 옥세타닐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각종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4-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톡시]메틸}벤젠, 디[2-(3-옥 세타닐)부틸]에테르, 1,4-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벤젠, 1,3-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벤젠, 1,2-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벤젠, 4,4'-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비페닐, 2,2'-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톡시]비페닐, 3,3',5,5'-데트라메틸[4,4'-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비페닐, 2,7-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나프탈렌, 1,6-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2,2,3,3,4,4,5,5-옥타플루오로헥산, 3(4),8(9)-비스[(1-에틸-3-옥세타닐)메톡시메틸]-트리시클로[5.2.1.02.6]데칸, 1,2-비스[2-[(1-에틸-3-옥세타닐)메톡시]에틸티오]에탄, 4,4'-비스[(1-에틸-3-옥세타닐)메틸]티오디벤젠티오에테르, 2,3-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노르보난, 2-에틸-2-[(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1,3-O-비스[(1-에틸-3-옥세타닐)메틸]-프로판-1,3-디올, 2,2-디메틸-1,3-O-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틸]-프로판-1,3-디올, 2-부틸-2-에틸-1,3-O-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틸]-프로판-1,3-디올, 1,4-O-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틸]-부탄-1,4-디올, 2,4,6-O-트리스[(3-에틸옥세탄-3-일)메틸]시아눌산, 비스페놀A와 3-에틸-3-클로로메틸옥세탄(OXC로 간략함)의 에틸화물(BisAOX), 비스페놀F와 OXC의 에테르화물, 페놀노볼락과 OXC의 에테르화물, 크레졸노볼락과 OXC의 에테르화물, 옥세타닐실세스퀴옥산 및 3-에틸-3-히드록시메틸옥세탄의 실리콘알콕사이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의 화합물은 1종을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광 양이온 경화형 접착제로 사용하는 광 양이온 중합개시제로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서 양이온 중합가능한 산을 발생하는 것이면 각종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 다.
그 구체적인 예로는 디아조늄염, 요오드늄염, 술포늄염, 셀레늄염, 피리디늄염, 페로세늄염, 포스포늄염 및 티오피리늄염 등의 오늄염이 열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성물의 경화성이 우수한 것으로 되고 경화물의 황변성이 적은 것으로 되는 점에서, 광 양이온 중합개시제로는 방향족 술포늄염이나 디알킬페나실술포늄염 등의 술포늄염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술포늄염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트리아릴술포늄염이다.
요오드늄염 및 술포늄염 등의 오늄염의 광 양이온 중합개시제를 사용할 경우, 음이온으로는 BF4 -, AsF6 -, SbF6 -, PF6 - 및 B(C6F5)4 - 등이 열거되고, 바람직하게는 SbF6 - 및 PF6 -이다.
광 양이온 중합개시제는 시판품으로서 입수가능하다.
트리아릴술포늄염으로는 Dow Chemical Japan Ltd.에 의해서 제작된 사이라큐어 UVI-6990, UVI-6992 및 UVI-6974 등, The Optronics Co., Ltd.에 의해서 제작된 아데카옵토머 SP-150, SP-152, SP-170 및 SP-172 등,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에 의해서 제작된 WPAG-593, WPAG-596, WPAG-640 및 WPAG-641 등이 열거된다.
방향족 요오드늄염으로는 GE Toshiba Coporation에 의해서 제작된 UV-9380C, 로디아사에 의해서 제작된 PHOTOINITIATOR2074,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에 의해서 제작된 WPI-016, WPI-116 및 WPI-113 등, Chiba·Specialty·Chemicals K. K.에 의해서 제작된 IRGACURE250이 열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 양이온 중합촉진제를 병용함으로써, 조성물의 경화성을 높이거나 경화물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광 양이온 중합촉진제로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서 라디칼을 발생하는 광 라디칼 중합개시제나 광 양이온 중합증감제가 열거된다.
광 양이온 중합개시제로는 후기한 바와 같은 것이 열거된다.
광 양이온 중합증감제로는 2-클로로안트라퀴논, 2-메틸안트라퀴논과 같은 안트라퀴논 유도체, N-메틸아크리돈, N-부틸아크리돈과 같은 아크리돈 유도체, 안트라센, 9,10-디알콕시안트라센, 9-알콕시안트라센과 같은 안트라센 유도체, 페릴렌, 페노티아진 등이 열거된다. 또한,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혼합해서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 적층체를 제조하기 위해서, 생산성이 높은 이유로부터 라디칼 중합성 반응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가 바람직하고, 또한, 투명성·내후성이 양호한 이유에서 자외선 경화형의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에 대해서 더 상술한다.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는 분자 중에 1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와 광 라디칼 중합개시제를 필수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는 필요에 의해서 적당하게 첨가제 등을 더 함유할 수도 있다.
분자 중에 1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로는 분자 중에 1개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관능 아크릴계 모노머나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관능 아크릴계 모노머를 들 수 있다.
단관능 아크릴계 모노머로는 예컨대,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페놀 유도체의 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의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카르비톨(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히드로프탈이미드, ω-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메타)아크릴레이트, 프탈산모노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다이머 등이 열거된다.
다관능 아크릴계 모노머로는 예컨대,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히드록시피발산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네오펜틸글리콜히드록시피발산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렌옥시드 변성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렌옥시드 변성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타)아크 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틸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탄소수 2~5개의 지방족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탄소수 2~5개의 지방족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메타)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메타)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열거된다.
분자 중에 1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올리고머로는 예컨대,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가 열거된다.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는 에폭시 수지와 (메타)아크릴산의 반응에 의해서 얻어진다. 에폭시 수지로는 예컨대,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나 비스페놀F형 에폭시 수지 등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나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가 열거된다.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로는 예컨대, Japan Epoxy Resins Co., Ltd.에 의해서 제작된 에피코트 827(상품명, 이하 동일), 에피코트 828, 에피코트 1001, 에피코트 1004 등이 열거되고, 비스페놀F형 에폭시 수지로는 에피코트 806, 에피코트 4004P 등이 열거된다. 또한,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로는 예컨대, 에피코트 152, 에피코트 154 등 이 열거된다.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과 (메타)아크릴산의 반응에 의해서 얻어진다.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은 다가 알콜과 다염기산의 반응에 의해서 얻어진다. 다가 알콜로는 예컨대, 네오펜틸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6-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시클로데칸디메틸올, 비스-[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 등이 열거된다. 다염기산으로는 예컨대, 숙신산, 프탈산, 헥사히드로무수프탈산, 테레프탈산, 아디프산, 아젤라인산, 테트라히드로무수프탈산 등이 열거된다.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는 폴리올과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히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삼자 반응에 의해서 얻어지는 것이나, 폴리올을 사용하지 않고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히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양자 반응에 의해서 얻어지는 것이 열거된다. 폴리올로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에틸폴리올, 상기 다가 알콜과 상기 다염기산의 반응에 의해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상기 다가 알콜과 상기 다염기산과 ε-카프로락톤의 반응에 의해서 얻어지는 카프로락톤폴리올 및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예컨대, 1,6-헥산디올과 디페닐카보네이트의 반응에 의해서 얻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등) 등이 열거된다.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예컨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산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열거된다. 삼자의 반응에 의해서 얻어지는 것이나, 양자의 반응에 의해서 얻어 지는 것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 양자를 병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로는 점도, 용해성 등의 점으로부터,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페놀 유도체의 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의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카르비톨(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페놀 유도체의 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올리고머로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사용되는 폴리올로는 내열성, 내수성 등의 점으로부터, 폴리에테르폴리올, 카프로락톤폴리올 및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내열성 등의 점으로부터,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의 또 다른 필수성분인 광 라디칼 중합개시제에 대해서 더 상술한다. 광 라디칼 중합개시제란 자외선 조사에 의해서 중합개시종인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화합물이다.
광 라디칼 중합개시제로는 예컨대,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등의 아세토페논계 광중합개시제, 벤조인, 벤조인에테르, 벤질디메틸케탈, 벤조인알킬에테르 등의 벤조인계 광중합개시제, 벤조페논, 벤조일 안식향산, 페닐벤조페논, 히드록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광중합개시제, 티옥산톤, 클로로티옥산톤, 메틸티옥산톤, 에틸티옥산톤, 프로필티옥산톤, 플루오로티옥산톤 등의 티옥산톤계 광중합개시제, 글리옥시에스테르류, 아실옥심에스테르류, 아실포스핀옥시드류, 비스아실포스핀옥시드류 등이 열거된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에는 더욱 반응성을 높이기 위해서, 지방족 아민 또는 미힐러케톤, 디에틸아미노페논, 디메틸아미노 안식향산 에틸, 디메틸아미노 안식향산 이소아실 등의 방향족 아민을 광중합 개시 조제로서 첨가할 수도 있다.
접착제는 필요에 따라서, (메타)아크릴로일기 이외의 라디칼 중합성 반응기를 갖는 화합물이나, 고분자 폴리머, 가소제, 실란커플링제, 중합금지제, 레벨링제, 표면윤활제, 소포제, 광안정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충진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메타)아크릴로일기 이외의 라디칼 중합성 반응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예컨대, N-비닐피롤리돈, N-비닐포름아미드, N-비닐카프로락톤, 아크릴로일모르폴린,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N- 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등이 열거된다. 이들 화합물 중에서, N-비닐피롤리돈, 아크릴로일모르폴린,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는 저점도이고 용해성이 높아 본 발명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폴리머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아크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비닐계 수지 등이 열거된다.
가소제로는 예컨대, 디옥틸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 디옥틸아디페이트, 인산트리크레실, 에폭시화 대두유, 트리멜리트산트리옥틸, 염소화 파라핀 등이 열거된다. 실란커플링제로는 예컨대, 알킬계, 아민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이소시아네이트계, 에폭시계, 티올계 등이 열거된다. 중합금지제는 예컨대, 메토퀴논, 메틸히드로퀴논, 페노티아진 등이 열거된다. 레벨링제, 표면윤활제, 소포제로는 유기 폴리머계, 실리콘계, 불소계 등의 것이 열거된다. 산화방지제로는 힌더드 아민계, 힌더드 페놀계, 고분자 페놀계 등의 것이 열거된다. 대전방지제로는 4급 암모늄계, 폴리에테르계, 도전성 분말 등이 열거된다. 충진제로는 실리카겔, 산화 티탄, 알루미나, 도전성 분말 등이 열거된다. 이들 첨가제의 사용량은 목적에 따라서 상기 범위내로 적당히 정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서 경화된다. 사용하는 자외선으로는 각종의 것이 사용가능하다.
자외선의 광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태양광, 저압수은등, 중압수은등, 고압수은등, 초고압수은등, 메탈할라이드램프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 중에서, 염가로 범용성이 우수한 점에서, 고압수은 램프 및 메탈할라이드 램프 가 바람직하다.
자외선 조사의 형태로는 샘플을 반송시키면서 자외선 조사를 행하는 샘플 반송식과 샘플을 고정한 상태로 조사하는 샘플 고정식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어느 방식도 선택가능하지만, 생산성, 대면적화의 점으로부터, 콘베이어 등의 반송기구를 갖는 샘플 반송식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자외선 조사는 365nm에 있어서의 피크 조도가 600mW/cm2 이하이고, 또한 상기 파장에 있어서의 피크 조도를 적산 광량(단위:mJ/cm2)으로 나눈 값이 0.25 이하인 조건하에서 행해진다. 피크 조도가 600mW/cm2를 초과하면, 직선 편광판이나 수지 필름이 열변형되거나 편광판의 흡광도가 저하된다. 또한, 상기 값(피크 조도/적산 광량)이 0.25를 초과하면, 직선 편광판이나 수지 필름의 접착성이 불충분하게 되어 적층체가 박리된다.
피크 조도란 자외선 조사시에 있어서의 조도의 최대값이다. 특히, 샘플 반송식의 경우, 자외선 광원 아래를 샘플이 통과하여 가기 때문에, 조사 시간-조도의 관계를 그래프화 하면, 위로 볼록한 산 형태가 되고, 그 산 정상이 피크 조도가 된다. 또한, 적산 광량이란 조도와 조사 시간의 곱이고, 조사 시간-조도의 관계를 그래프화 하면, 그 면적이 적산 광량이 된다.
자외선 조도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램프의 출력을 변경하거나 램프와 샘플의 거리를 변화시키거나 램프와 샘플 사이에 필터를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적산 광량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조도 또는 조사 시간, 또는 양쪽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자외선 조사와 동시에 경화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열을 가해도 좋지만, 어느 경우라도 적층체의 표면온도를 실온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적층체의 표면온도가 50℃를 초과하면, 직선 편광판이나 수지 필름이 변형하여 적층체의 외관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조사하는 자외선의 적산 광량은 1,500mJ/cm2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산 광량이 1,500mJ/cm2 미만일 경우, 충분한 접착 강도가 유지될 수 없어 적층체가 박리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 적층체에 있어서, 직선 편광판의 양면에 보호막을 구비할 경우, 직선 편광판의 보호막의 면과 수지 필름의 면이 접착제층과 직접 접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필름 적층체에 있어서, 직선 편광판이 편면에만 보호막을 구비할 경우, 직선 편광판의 편광자의 면과 수지 필름의 면이 접착제층과 직접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직선 편광판과 수지 필름을 적층할 경우, 접착제를 직선 편광판에 도포하고 나서 수지 필름과 접합시켜도 좋고, 또한, 접착제를 수지 필름에 도포하고 나서 직선 편광판과 접합시켜도 좋다.
직선 편광판에 수지 필름을 접합시키기 전에, 층간 접착력을 크게 하기 위해서 한쪽 또는 양쪽의 표면에 활성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표면활성화 처리로는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방전처리, 약액 처리, 조면화 처리, 에칭 처리, 화염 처리 등이 열거되고, 이들을 병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 적층체는 사용하는 직선 편광판의 흡수축에 대하여 위상차 필름을 소정의 각도로 접합함으로써, 타원 편광판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타원 편광판은 각종 광학 제품 또는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반사방지층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반사방지층으로는 일반적으로 원편광판을 사용한다고 하지만, 광학 제품 또는 화상 표시 장치의 색조나 콘트라스트 등, 시인성을 조정하기 위해서, 약간 원편광으로부터 타원편광으로 변위시켜 타원 편광판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 적층체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플랫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총칭되는 화상 표시 장치나 그 밖의 각종 광학장치의 구성 요소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수지 필름으로서 위상차 필름을 사용한 본 발명의 광학 필름 적층체는 직선 편광판과 위상차 필름을 적층하여 구비한 종래의 화상 표시 장치나 타원 편광판을 구비한 종래의 화상 표시 장치의 상기 직선 편광판 및 위상차 필름 또는 타원 편광판의 대체로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 표시 장치의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반투과 반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도 포함), 유기 전계 발광을 사용한 표시 장치, 터치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전극을 갖는 2매의 기판간에 액정이 봉입된 액정셀을 중심으로 구성되고, 그곳으로의 전압 인가의 유무나 인가 전압의 크기 등에 의해서 표시를 행하는 것이다. 그 시인측에 상술한 타원 편광판이 배치된다.
유기 전계 발광(유기EL) 표시 장치는 유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물질이 전계로 부터 에너지를 받아서 여기되고, 에너지를 광의 형태로 재방출하는 유기 전계 발광 수단을 사용한 표시 장치이다. 구체예로는 기판/투명전극(양극)/홀 수송층/발광층/전자 수송층/투명전극(음극)/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양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과 음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가 각각 홀 수송층과 전자 수송층을 거쳐서 발광층에 도착하여 거기에서 재결합함으로써, 유기 분자가 여기상태를 경유하여 발광이 발생하는 것이다. 상술한 타원 편광판은 그 시인측의 기판 상에 배치된다.
터치 패널은 표시 수단과 터치식 입력 수단을 구성 요소로서 갖는 것이다. 표시 수단의 예로는 캐소드 레이 튜브(CRT),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필드 에미션 디스플레이(FED), 무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등이 열거된다. 터치식 입력 수단은 도전막/스페이서/도전막과 같은 구성이 일반적이고, 타원 편광판은 그 시인측의 도전막 상에 배치된다. 터치 패널은 검출 방식에 근거한 분류에 의해서, 저항막식 터치 패널, 광학식 터치 패널, 초음파식 터치 패널,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 등으로 나눌 수 있지만, 어느 방식의 터치 패널에 대해서도 상술한 타원 편광판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구체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물성의 측정 방법, 효과의 평가 방법은 다음 방법을 따라 행했다.
(1) 자외선 조도 및 적산 광량
Ushio Inc.에 의해서 제작된 자외선 적산 광량계 UIT150을 사용하여 측정했다.
(2) 외관
시험에 제공된 샘플을 자외선 조사 전후에 육안으로 관찰하여 비교했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시험 전후에 변화가 없다.
△: 시험 전후에 약간 변형이 확인된다.
×: 시험 후, 샘플의 파손 변형이 현저하다.
(3) 흡광도 변화율
편광 프리즘을 출사측에 설치한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자외선 조사 전의 샘플을 크로스 니콜 상태가 되도록 고정하고, 470~480nm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것의 평균치를 구했다. 그 후에, 자외선 조사 후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평균치를 구하고, 그 변화율을 하기 식으로 산출했다. 흡광도 변화율이 2% 미만인 샘플을 ○, 2% 이상인 샘플을 ×로 했다.
흡광도 변화율(%)={(시험 전의 흡광도)-(시험 후의 흡광도)}/(시험 전의 흡광도)×100
(4) 박리 강도
JIS K6854-3(접착제-박리접착강도 시험 방법-제3부:T형 박리)에 근거하여, 항온조가 부착된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편광판과 수지 필름의 박리 강도를 측정했다. 시험편의 폭은 25mm, 파지 이동 속도는 10mm/분으로 했다. 박리 강도가 100mN/mm 이상인 샘플을 ○, 100mN/mm 미만인 샘플을 ×로 했다.
(제조예:편측 보호막이 부착된 편광판의 제작)
평균 중합도 약 2,400, 비누화도 99.9몰% 이상으로 두께 75㎛의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건식으로 연신배율 5배로 1축 연신하고, 긴장 상태를 더 유지한 채, 요오드/요오드화 칼륨/물의 중량비가 0.05/5/100의 수용액에 28℃로 60초간 침지했다. 다음에, 요오드화 칼륨/붕산/물의 중량비가 10/9.5/100의 수용액에 74℃로 300초간 침지했다. 26℃의 순수로 20초간 수세시킨 후, 65℃로 건조하고, 폴리비닐알콜에 요오드가 흡착배향된 편광자를 얻었다. 그 두께는 약 26㎛이었다.
다음에, 이 편광자의 편면에 7질량%의 PVA수용액으로 된 접착제를 도포하고, 보호층으로서 접착면을 가성 소다 수용액으로 비누화 처리시킨 두께 40㎛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을 접합시켜 총 두께 68㎛의 편측 보호막이 부착된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의 단체 투과률은 43.4%, 편광도는 99.9%이었다.
(실시예 1~2, 비교예 1~5)
상기 제조예에서 얻어진 편측 보호막이 부착된 직선 편광판의 편광자측과 폴리카보네이트 필름(막두께:40마이크론)을 Toagosei Co., Ltd.에 의해서 제작된 아크릴레이트계 광경화형 접착제 「락스 트럭 LCR-0634」(상품명)을 사용하여, 접착제 막두께가 10마이크론이 되도록 라미네이트했다. 그 후에, 메탈할라이드 램프가 설치된 콘베이어식 반송 기구를 갖는 자외선 조사 장치를 사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측으로부터 소정의 조건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제를 경화시켜 필름 적층체를 얻었다.
그리고, 이 필름 적층체를 샘플로서, 그 외관, 흡광도 변화율, 박리 강도를 상기 방법에 따라 평가했다. 얻어진 결과에 대해서,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2에는 자외선(UV) 피크 조도를 600mJ/cm2 이하로 하고, 또한, 자외선(UV) 피크 조도를 자외선(UV) 적산 광량(단위:mJ/cm2)으로 나눈 값이 0.25 이하인 조건으로 자외선을 조사했으므로, 외관, 흡광도 변화율, 접착 강도의 어느 것에도 문제없는 광학 필름 적층체가 얻어졌다. 이것에 대하여, 비교예 1 및 3은 자외선(UV) 피크 조도가 강하고, 또한 자외선 조사 시간이 길기 때문에 적층체가 크게 변형하여 사용을 견뎌내지 못했다. 비교예 2, 4 및 5는 자외선 조사 시간이 짧기 때문에 적산 광량이 부족하여 적층체의 접착 강도가 부족하였다.
본 발명을 보다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도 1에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3의 자외선 조사 조도와 조사 시간의 관계를 자외선 조도 분포로서 도시했다. 도 1에 있어서 X축(콘베이어 반송시간)은 샘플이 콘베이어로 자외선 조사 부분을 통과하는 시간을 나타내고, 0초부터 개시되어 16초로 종료한다. 또한, Y축은 자외선 조도를 나타내고, 그래프 곡선의 산 정상이 자외선의 피크 조도에 상당한다. 이 그래프 곡선의 면적은 적산 광량에 상당한다.
실시예 1 및 2와 같이, 적당한 조사 조도 및 적산 광량이면 직선 편광판과 수지 필름을 적합하게 접착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 및 3과 같이, 자외선 조사 조도가 600mJ/cm2를 초과하면 직선 편광판이나 수지 필름이 열변형하거나 편광판의 흡광율이 저하하고, 한편, 자외선 조사 조도는 적당하지만 조사 조도/적산 광량이 0.25를 초과하는(적산 광량이 적은 것, 그래프 곡선의 면적이 작은 것) 비교예 5(도시되지 않음)의 경우, 접착성이 불충분하다.
Figure 112009058155412-pct00001
Figure 112009058155412-pct00002
본 발명의 광학 필름 적층체는 플랫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그 밖의 각종 광학장치 구성부품으로서 유용하고, 이것을 이용함으로써 박형이며 내구성이 우수하고, 또한 생산성이 우수한 각종 광학 장치가 얻어진다.

Claims (16)

  1. 적어도 편면에 보호막을 구비한 직선 편광판과 수지 필름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직선 편광판과 상기 수지 필름이 상기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통해 적층된 상태에서 365nm에 있어서의 피크 조도가 600mW/cm2 이하이고, 또한 상기 파장에 있어서의 피크 조도를 적산 광량(단위:mJ/cm2)으로 나눈 값이 0.25 이하인 조건하에서 상기 자외선을 접착제층에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산 광량은 1,500mJ/c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편광판은 보호막을 편면에만 구비한 직선 편광판이고, 상기 보호막과 반대인 면에 상기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수지 필름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필름은 위상차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필름은 위상차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라디칼 중합성 반응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라디칼 중합성 반응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라디칼 중합성 반응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라디칼 중합성 반응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10. 적어도 편면에 보호막을 구비한 직선 편광판과 수지 필름이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되어서 이루어진 광학 필름 적층체로서: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직선 편광판과 상기 수지 필름이 상기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통해 적층된 상태에서 365nm에 있어서의 피크 조도가 600mW/cm2 이하이며, 또한 상기 파장에 있어서의 피크 조도를 적산 광량(단위:mJ/cm2)으로 나눈 값이 0.25 이하인 조건하에서 상기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편광판은 보호막을 편면에만 구비한 직선 편광판이고, 상기 보호막과 반대인 면에 상기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수지 필름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필름은 위상차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
  13.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라디칼 중합성 반응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
  14.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 적층체와 액정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5.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 적층체와 유기 전계 발광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16.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 적층체와 표시 수단과 터치식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KR1020097019804A 2007-03-16 2008-03-13 광학 필름 적층체,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표시 장치 KR1014770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68058 2007-03-16
JP2007068058 2007-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532A KR20100014532A (ko) 2010-02-10
KR101477046B1 true KR101477046B1 (ko) 2014-12-29

Family

ID=39765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9804A KR101477046B1 (ko) 2007-03-16 2008-03-13 광학 필름 적층체,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361707B2 (ko)
KR (1) KR101477046B1 (ko)
CN (1) CN101663602B (ko)
TW (1) TW200900758A (ko)
WO (1) WO20081146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92733B2 (ja) * 2009-09-09 2014-09-17 協立化学産業株式会社 柔軟性にすぐれたカチオン硬化性樹脂組成物
CN104114359B (zh) * 2012-01-13 2018-01-09 日本化药株式会社 光学构件及用于制造该光学构件的紫外线固化型胶粘剂
JP5901741B2 (ja) 2012-03-21 2016-04-13 日本化薬株式会社 光学部材及びその製造に用いる紫外線硬化型接着剤
JP2014106305A (ja) * 2012-11-26 2014-06-09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10274416B2 (en) * 2017-05-18 2019-04-30 The Boeing Company Peel adhesion test specimens and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CN112424653B (zh) * 2018-08-07 2023-06-23 三菱化学株式会社 光学薄膜、薄膜层叠体、显示单元
JP7212507B2 (ja) * 2018-12-03 2023-01-25 日東電工株式会社 紫外線照度評価方法、紫外線照度評価装置及び紫外線照射装置
CN111791559A (zh) * 2020-07-27 2020-10-20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保护盖板、显示装置及保护盖板的制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3410A (ja) * 2003-12-12 2005-06-30 Sony Chem Corp 液晶フィルム形成用組成物、光学異方性フィルム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20070015172A (ko) * 2004-03-23 2007-02-0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6270B2 (ja) * 2003-02-12 2009-07-29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その製造法、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JP4081488B2 (ja) * 2005-12-28 2008-04-23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補償層付偏光板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7219022A (ja) * 2006-02-14 2007-08-30 Toagosei Co Ltd ロール状位相差フィルムならびに楕円偏光板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5090695B2 (ja) * 2006-09-08 2012-12-05 大倉工業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3410A (ja) * 2003-12-12 2005-06-30 Sony Chem Corp 液晶フィルム形成用組成物、光学異方性フィルム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20070015172A (ko) * 2004-03-23 2007-02-0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8114689A1 (ja) 2010-07-01
CN101663602A (zh) 2010-03-03
TW200900758A (en) 2009-01-01
JP5361707B2 (ja) 2013-12-04
CN101663602B (zh) 2012-06-13
KR20100014532A (ko) 2010-02-10
WO2008114689A1 (ja) 200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994B1 (ko)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KR101477046B1 (ko) 광학 필름 적층체,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표시 장치
KR101719883B1 (ko) 광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과 그 제조법, 광학 부재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10133987A (ja) 光学フィルム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CN105739003B (zh) 偏振板
JP6309012B2 (ja) 偏光板およびこれを含む画像表示装置
KR20150022692A (ko)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그 제조 방법, 광학 부재, 그리고 액정 표시 장치
JP2008134385A (ja) 液晶表示用偏光板
JP2016212443A (ja) 光学フィルム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739002B (zh) 偏振板
KR102403282B1 (ko)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JP7250827B2 (ja) 光学積層体
KR102598279B1 (ko)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US20220155509A1 (en) Optical film set and optical layered body
KR101813756B1 (ko)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JP6986616B2 (ja) 積層体及び光学積層体
KR20190035847A (ko) 적층 필름
WO2023276931A1 (ja) 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230115914A (ko)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WO2020050099A1 (ja) 光学フィルムセットおよび光学積層体
KR20230092786A (ko) 적층체
JP2023090644A (ja) 積層体
KR20230092796A (ko) 적층체
JP2023090645A (ja) 積層体
KR20240005766A (ko) 광학 적층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