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708B1 - 수도꼭지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수도꼭지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708B1
KR101476708B1 KR20130102957A KR20130102957A KR101476708B1 KR 101476708 B1 KR101476708 B1 KR 101476708B1 KR 20130102957 A KR20130102957 A KR 20130102957A KR 20130102957 A KR20130102957 A KR 20130102957A KR 101476708 B1 KR101476708 B1 KR 101476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guide
protruding
cylinder
fauc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2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길
Original Assignee
윤정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길 filed Critical 윤정길
Priority to KR20130102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7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1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with locking caps or locking ba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꼭지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미사용 수도꼭지, 수도요금이 체납된 해당 가정이나 업소 등의 수도꼭지의 무단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별도의 자물쇠를 채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도꼭지 잠금장치{FAUCET LOCK}
본 발명은 미사용 수도꼭지, 수도요금이 체납된 해당 가정이나 업소 등의 수도꼭지의 무단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별도의 자물쇠를 채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수도꼭지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업소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도꼭지(5)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체(51), 밸브축(53) 및 핸들(5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51)는 하부몸체(510)와 상부몸체(520)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몸체(510)의 일단부에는 유출단부(511)가 하향절곡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몸체(510)의 타단부에는 외주연에 나사산(512)이 형성된 유입단부(513)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몸체(520)는 상기 하부몸체(510)와 연통되도록 상기 하부몸체(510)의 중심부 상측에 일체형성된다.
상기 밸브축(53)은 상기 몸체(51)의 상부몸체(520)의 중심부에 수직으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몸체(51)의 하부몸체(510)의 내부를 개폐시키게 된다.
상기 핸들(55)은 상기 밸브축(53)의 상단부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핸들(55)을 사용하여 상기 밸브축(53)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미사용 수도꼭지, 수도요금이 체납된 해당 가정이나 업소 등의 수도꼭지의 무단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수도꼭지의 도수 방지장치가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4-76297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4-76297호(수도꼭지의 도수 방지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절단기 등을 사용하여 자물쇠의 잠금고리를 쉽게 절단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4-76297호(수도꼭지의 도수 방지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몸체(1), 타측몸체(3) 및 자물쇠(7)를 사용하여 미사용 수도꼭지, 수도요금이 체납된 해당 가정이나 업소 등의 수도꼭지의 무단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그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제조원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고, 나아가 절단기 등을 포함한 절단도구를 통해 자물쇠(7)의 잠금고리(71)를 쉽게 절단할 수 없는 수도꼭지 잠금장치가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특허 10-2012-0101857호(수도꼭지 잠금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4-76297호와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특허 10-2012-0101857호 모두는 별도의 자물쇠(7)를 채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4-76297호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특허 10-2012-010185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미사용 수도꼭지, 수도요금이 체납된 해당 가정이나 업소 등의 수도꼭지의 무단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별도의 자물쇠를 채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수도꼭지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몸체 및 상기 일측몸체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타측몸체로 구성되고, 내부에 수도꼭지의 상부가 수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몸체의 내주면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일측몸체와 상기 타측몸체를 결합 및 결합상태를 해제하는 잠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일측몸체의 전측 내주면과 상기 일측몸체의 후측 내주면에 각각 상기 일측몸체의 내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몸체의 전측 내주면과 상기 타측몸체의 후측 내주면에 상기 돌출부 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 상기 돌출부의 일측에서 상기 돌출부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되어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돌출부의 내부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돌출부의 상측에서 상기 돌출부의 하측방향으로 상하연장되는 보조삽입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상부에 상기 보조삽입홈과 연통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일측몸체의 내주면 상측에 구비되는 외통체와, 상기 외통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열쇠가 삽입되는 열쇠통로가 형성되는 내통체로 구성되는 실린더 자물쇠와; 상기 실린더 자물쇠의 내통체의 하측에 상기 일측몸체의 내주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통체를 따라 회전하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일측몸체의 내부에 상기 돌출부재에 의해 회전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돌출부재에 의해 회전이동하는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 상기 보조삽입홈내에서 상하이동하여 상기 끼움홈내에 끼움고정 및 끼움고정상태가 해제되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가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축부재의 헤드부 저면과 상기 돌출부의 상부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축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돌출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상부에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되는 중간회전부재와; 상기 중간회전부재의 전측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면 중간부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중간회전부재의 전방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전측 경사면이 형성되는 전측회전부재와; 상기 중간회전부재의 후측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면 중간부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중간회전부재의 전방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후측 경사면이 형성되는 후측회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실린더 자물쇠의 외통체의 전측과 상기 외통체의 후측에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외통체의 전측 하부와 상기 외통체의 후측 하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몸체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가이드몸체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하길이가 상기 가이드몸체의 상하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편의 일측과 상기 가이드몸체의 하부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내에 상기 회전부재가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내부에 수도꼭지의 상부가 수용되는 일측몸체 및 타측몸체로 구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몸체의 내주면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일측몸체와 타측몸체를 결합 및 결합상태를 해제하는 잠금부를 통해 미사용 수도꼭지, 수도요금이 체납된 해당 가정이나 업소 등의 수도꼭지의 무단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별도의 자물쇠를 채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도꼭지 잠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수도꼭지 잠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일측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회전부재를 펼쳐놓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전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돌출부재에 의해 회전부재가 회전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회전부재의 회전이동에 따라 축부재가 상하이동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5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2는 몸체의 내부에 수도꼭지의 상부가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수도꼭지 잠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수도꼭지 잠금장치는 도 2 내지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체(10)와 잠금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몸체(10)는 일측몸체(110)와, 상기 일측몸체(1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타측몸체(120)로 구성된다.
상기 일측몸체(11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벽(111)과 일측바닥판(1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벽(111)은 상기 일측벽(111)의 상측에서 상기 일측벽(111)의 하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상하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일측벽(111)의 평단면 형상은 호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벽(111)의 내주면 상측에는 상기 일측벽(111)의 내주면에서 상기 일측벽(111)의 외주면 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끼움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바닥판(112)은 상기 일측벽(111)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바닥판(112)은 반원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일측바닥판(112)의 중심부에 반원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일측 수용구(113)가 형성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일측바닥판(112)의 중심부를 벗어난 상태로 상기 일측바닥판(112)의 중심부 주변 표면에 상기 일측 수용구(113)가 편심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타측몸체(12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타측벽(121), 타측바닥판(122) 및 타측상부판(1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벽(121)은 상기 타측벽(121)의 상측에서 상기 타측벽(121)의 하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상하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타측벽(121)의 평단면 형상은 상기 일측벽(111)과 좌우대칭되는 호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바닥판(122)은 상기 타측벽(121)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바닥판(122)은 상기 일측바닥판(112)과 좌우대칭되는 반원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타측바닥판(122)의 중심부에 상기 일측 수용구(113)와 좌우대칭되는 반원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타측 수용구(124)가 형성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타측바닥판(122)의 중심부를 벗어난 상태로 상기 타측바닥판(122)의 중심부 주변 표면에 상기 타측 수용구(124)가 편심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타측상부판(123)은 상기 타측벽(121)의 내주면 상측에 원형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상부판(123)의 일측 중심부에는 상기 잠금부(20)의 후술할 외통체(211)가 수용되는 수용홈(124)이 상기 타측상부판(123)의 일측에서 상기 타측상부판(123)의 타측방향으로 수평으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몸체(110)에 상기 타측몸체(120)를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과정 중에 상기 타측상부판(123)은 상기 일측몸체(110)의 끼움홈(114)내에 끼움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몸체(110)의 일측 수용구(113)의 상부방향 및 상기 타측몸체(120)의 타측 수용구(124)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수도꼭지(5)의 상부몸체(520), 밸브축(53) 및 핸들(55)이 수용될 수 있다.(도 12 참조.)
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일측몸체(110)의 일측 수용구(113)의 내측 및 상기 타측몸체(120)의 타측 수용구(124)의 내측에 상기 수도꼭지(5)의 밸브축(53)이 위치한 상태로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수도꼭지(5)의 밸브축(53) 및 핸들(55)이 수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잠금부(2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일측몸체(110)의 내주면 상측 중심부에 일체형으로 수직구비 또는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직구비되어 상기 일측몸체(110)와 상기 타측몸체(120)의 결합상태를 유지 및 상기 일측몸체(110)와 상기 타측몸체(120)의 결합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도 5는 도 3의 일측몸체(1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회전부재(230)를 펼쳐놓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몸체(110)의 전측 내주면 중간과 상기 일측몸체(110)의 후측 내주면 중간에는 상기 일측몸체(110)의 내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30)가 각각 일체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몸체(120)의 전측 내주면 중간과 상기 타측몸체(120)의 후측 내주면 중간에는 상기 돌출부(30) 방향으로 각각 좌우연장형성되어 상기 돌출부(30)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40)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0)의 내부의 중심부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30)의 일측에서 상기 돌출부(30)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형성되는 삽입홈(3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310)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돌출부(30)의 내부 상측 중간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30)의 상측에서 상기 돌출부(30)의 하측방향으로 상하연장되는 보조삽입홈(3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40)의 일측 상부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40)의 상측에서 상기 삽입부(40)의 하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끼움홈(4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40)가 상기 삽입홈(310)내에 삽입될 시 상기 끼움홈(410)과 상기 보조삽입홈(320)은 연통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돌출부재(220)에 의해 회전부재(230)가 회전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회전부재(230)의 회전이동에 따라 축부재(240)가 상하이동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 도 7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잠금부(20)는 실린더 자물쇠(210), 돌출부재(220), 회전부재(230), 축부재(240) 및 탄성부재(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린더 자물쇠(210)는 크게, 외통체(211)와 내통체(2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통체(211)는 상기 몸체(10)의 일측몸체(110)의 내주면 상측 중심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통체(212)는 상기 외통체(211)의 내부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고, 열쇠(미도시)가 삽입되는 열쇠통로(213)가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통체(212)의 열쇠통로(213)에 작업자가 상기 열쇠(미도시)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열쇠(미도시)와 함께 상기 내통체(212)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내통체(212)의 하측은 상기 외통체(211)의 하측 외부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외통체(211)의 하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될 수 있다.
상기 외통체(211)와 상기 내통체(212)로 구성되는 상기 실린더 자물쇠(210)는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특허 10-2010-0124491호 등을 통해 널리 공지된 기술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돌출부재(220)는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통체(212)의 하부 일측에서 상기 일측몸체(110)의 내주면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220)는 상기 내통체(212)를 따라 정역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3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몸체(120)에서 상기 일측몸체(110) 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3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30)의 상부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돌출부(30)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일측몸체(110)의 내부 상측에 상기 돌출부재(220)에 의해 정방향(시계방향) 및 역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부재(240)는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이동축(241)과 헤드부(24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축(241)은 상기 돌출부재(220)에 의해 회전이동하는 상기 회전부재(230)에 의해 상기 보조삽입홈(320)내에서 상하이동하여 상기 끼움홈(410)내에 끼움고정 및 상기 끼움홈(410)내로부터 끼움고정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242)는 상기 상하이동축(241)의 상부에 일체형성되어 상기 상하이동축(241)을 따라 상하이동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50)는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250)의 내측에 상기 축부재(240)의 상하이동축(241)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250)는 상기 축부재(240)의 헤드부(242)의 저면과 상기 돌출부(30)의 상부면 사이에 수직구비되어 상기 축부재(240)의 헤드부(242)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부재(23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간회전부재(231), 전측회전부재(232) 및 후측회전부재(2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회전부재(231)의 상부에는 수용홈(2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234)은 상부수용홈(234a)과 하부수용홈(234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수용홈(234a)은 상기 중간회전부재(231)의 상부 중간에 상기 중간회전부재(231)의 상측에서 상기 중간회전부재(231)의 하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수용홈(234b)은 상기 상부수용홈(234a)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상부수용홈(234a)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중간회전부재(231)의 상부 중간에 상기 중간회전부재(231)의 상측에서 상기 중간회전부재(231)의 하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수용홈(234a)의 전측에서 상기 상부수용홈(234a)의 후측까지의 상기 상부수용홈(234a)의 전후폭은 상기 하부수용홈(234b)의 전측에서 상기 하부수용홈(234b)의 후측까지의 전후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234)의 하부수용홈(234b)내에 상기 돌출부재(22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전측회전부재(232)는 상기 중간회전부재(231)의 전측 상부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회전부재(232)의 하부면 중간부에 전측경사면(23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경사면(232a)은 상기 전측경사면(232a)의 하측에서 상기 전측경사면(232a)의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중간회전부재(231)의 전방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회전부재(233)는 상기 중간회전부재(231)의 후측 상부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회전부재(233)의 하부면 중간부에 후측경사면(23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경사면(233a)은 상기 후측경사면(233a)의 하측에서 상기 후측경사면(233a)의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중간회전부재(231)의 전방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내통체(212)의 열쇠통로(213)에 상기 열쇠(미도시)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열쇠(미도시)와 함께 상기 내통체(212)를 역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돌출부재(220)는 상기 내통체(212)를 따라 역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회전부재(230)를 역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축부재(240)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경사면(232a)과 상기 후측경사면(233a)을 따라 수평상태인 상기 전측회전부재(232)의 후측 하부면 및 상기 후측회전부재(233)의 후측 하부면방향으로 각각 이동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탄성부재(250)는 수축되면서 상기 보조삽입홈(320)내의 상기 축부재(240)의 상하이동축(241)은 하강하여 상기 삽입부(40)의 끼움홈(410)내에 끼움고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일측몸체(110)와 상기 타측몸체(120)의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작업자가 상기 내통체(212)의 열쇠통로(213)에 상기 열쇠(미도시)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열쇠(미도시)와 함께 상기 내통체(212)를 정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돌출부재(220)는 상기 내통체(212)를 따라 정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회전부재(230)를 정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축부재(24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경사면(232a)과 상기 후측경사면(233a)을 따라 수평상태인 상기 전측회전부재(232)의 전측 하부면 및 상기 후측회전부재(233)의 전측 하부면 방향으로 각각 이동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팽창되는 상기 탄성부재(250)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보조삽입홈(320)내의 상기 축부재(240)의 상하이동축(241)은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끼움홈(410)내에 끼움고정되었던 상기 축부재(240)의 상하이동축(241)의 끼움고정상태가 해제될 수 있게 되며, 이로서 상기 일측몸체(110)와 상기 타측몸체(120)의 결합상태가 해제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도 5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부재(230)의 정방향(시계방향) 및 역방향(반시계방향)으로의 원활한 회전이동을 안내함과 더불어 상기 회전부재(230)가 원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 자물쇠(210)의 외통체(211)의 전측과 상기 외통체(211)의 후측에 상기 회전부재(230)의 회전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50)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50)는 가이드몸체(510)와 가이드편(5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몸체(510)는 상기 외통체(211)의 전측 하부와 상기 외통체(211)의 후측 하부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편(520)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몸체(510)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가이드몸체(510)의 타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편(520)의 상하길이는 상기 가이드몸체(510)의 상하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편(520)의 일측과 상기 가이드몸체(510)의 하부 사이에 상기 가이드몸체(510)의 하부에서 상기 가이드몸체(5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되는 가이드홈(530)내에 상기 회전부재(230)의 중간회전부재(232)가 수용될 수 있다.
도 12는 몸체(10)의 내부에 수도꼭지(5)의 상부가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상기 수도꼭지(5)의 상부가 수용되는 상기 일측몸체(110) 및 타측몸체(120)로 구성되는 상기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일측몸체(110)의 내주면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일측몸체(110)와 타측몸체(120)를 결합 및 결합상태를 해제하는 상기 잠금부(20)를 통해 미사용 수도꼭지, 수도요금이 체납된 해당 가정이나 업소 등의 수도꼭지(5)의 무단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별도의 자물쇠를 채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이점이 있다.
10; 몸체, 110; 일측몸체,
120; 타측몸체, 20; 잠금부.

Claims (6)

  1. 일측몸체(110) 및 상기 일측몸체(11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타측몸체(120)로 구성되고, 내부에 수도꼭지(5)의 상부가 수용되며, 상기 일측몸체(110)의 전측 내주면과 상기 일측몸체(110)의 후측 내주면에 각각 상기 일측몸체(110)의 내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30)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몸체(120)의 전측 내주면과 상기 타측몸체(120)의 후측 내주면에 상기 돌출부(30) 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어 상기 돌출부(30)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40)가 형성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일측몸체(110)의 내주면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일측몸체(110)와 상기 타측몸체(120)를 결합 및 결합상태를 해제하는 잠금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30)의 내부에 상기 돌출부(30)의 일측에서 상기 돌출부(30)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되어 상기 삽입부(40)가 삽입되는 삽입홈(310)과;
    상기 삽입홈(310)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돌출부(30)의 내부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돌출부(30)의 상측에서 상기 돌출부(30)의 하측방향으로 상하연장되는 보조삽입홈(32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40)의 상부에 상기 보조삽입홈(320)과 연통되는 끼움홈(410)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부(20)는 상기 일측몸체(110)의 내주면 상측에 구비되는 외통체(211)와, 상기 외통체(2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열쇠가 삽입되는 열쇠통로(213)가 형성되는 내통체(212)로 구성되는 실린더 자물쇠(210)와;
    상기 실린더 자물쇠(210)의 내통체(212)의 하측에 상기 일측몸체(110)의 내주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통체(212)를 따라 회전하는 돌출부재(220)와;
    상기 돌출부(30)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일측몸체(110)의 내부에 상기 돌출부재(220)에 의해 회전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230)와;
    상기 돌출부재(220)에 의해 회전이동하는 상기 회전부재(230)에 의해 상기 보조삽입홈(320)내에서 상하이동하여 상기 끼움홈(410)내에 끼움고정 및 끼움고정상태가 해제되는 축부재(240)와;
    상기 축부재(240)가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축부재(240)의 헤드부(242) 저면과 상기 돌출부(30)의 상부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축부재(24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230)는 상기 돌출부재(220)가 수용되는 수용홈(234)이 상부에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되는 중간회전부재(231)와;
    상기 중간회전부재(231)의 전측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면 중간부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중간회전부재(231)의 전방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전측 경사면(232a)이 형성되는 전측회전부재(232)와;
    상기 중간회전부재(231)의 후측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면 중간부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중간회전부재(231)의 전방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후측 경사면(233a)이 형성되는 후측회전부재(2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잠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자물쇠(210)의 외통체(211)의 전측과 상기 외통체(211)의 후측에 상기 회전부재(230)의 회전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잠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50)는 상기 외통체(211)의 전측 하부와 상기 외통체(211)의 후측 하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몸체(510)와;
    상기 가이드몸체(510)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가이드몸체(510)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하길이가 상기 가이드몸체(510)의 상하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편(520);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편(520)의 일측과 상기 가이드몸체(510)의 하부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530)내에 상기 회전부재(230)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잠금장치.
  5. 삭제
  6. 삭제
KR20130102957A 2013-08-29 2013-08-29 수도꼭지 잠금장치 KR101476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2957A KR101476708B1 (ko) 2013-08-29 2013-08-29 수도꼭지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2957A KR101476708B1 (ko) 2013-08-29 2013-08-29 수도꼭지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6708B1 true KR101476708B1 (ko) 2014-12-26

Family

ID=52679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2957A KR101476708B1 (ko) 2013-08-29 2013-08-29 수도꼭지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7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156B1 (ko) * 2016-01-22 2016-06-03 노진학 밸브 잠금장치
KR20230028966A (ko) * 2021-08-23 2023-03-03 장현동 밸브 안전 잠금장치
KR102603816B1 (ko) * 2023-01-03 2023-11-17 주식회사 베스타 수도꼭지 잠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7445A (en) * 1982-08-07 1984-07-03 P.M. Plasmatic (Leicester) Limited Valve cap tamper-proof cover
JP2002130528A (ja) * 2000-08-09 2002-05-09 Hiroaki Sakamoto 止水栓カバー
JP2004076297A (ja) * 2002-08-12 2004-03-11 Shunichi Moriyama 蛇口の盗水防止装置
KR100828393B1 (ko) * 2007-05-25 2008-05-08 태산이엔씨주식회사 밸브핸들용 안전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7445A (en) * 1982-08-07 1984-07-03 P.M. Plasmatic (Leicester) Limited Valve cap tamper-proof cover
JP2002130528A (ja) * 2000-08-09 2002-05-09 Hiroaki Sakamoto 止水栓カバー
JP2004076297A (ja) * 2002-08-12 2004-03-11 Shunichi Moriyama 蛇口の盗水防止装置
KR100828393B1 (ko) * 2007-05-25 2008-05-08 태산이엔씨주식회사 밸브핸들용 안전캡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156B1 (ko) * 2016-01-22 2016-06-03 노진학 밸브 잠금장치
KR20230028966A (ko) * 2021-08-23 2023-03-03 장현동 밸브 안전 잠금장치
KR102581194B1 (ko) 2021-08-23 2023-09-20 장현동 밸브 안전 잠금장치
KR102603816B1 (ko) * 2023-01-03 2023-11-17 주식회사 베스타 수도꼭지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6708B1 (ko) 수도꼭지 잠금장치
JP5651326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2011111175A5 (ko)
JP2008000482A (ja) 消火栓装置
JP2008303658A (ja) 吐水切替装置
JP5088736B2 (ja) シングルレバー水栓
CN203873576U (zh) 一种加热茶具的自动旋转式上水器
JP5979787B2 (ja) シリンダ錠
EP1491805B1 (en) Single-control mixing faucet
JP4976664B2 (ja) 混合水栓
JP5077882B2 (ja) シングルレバー水栓
KR20100005795A (ko) 수도밸브 잠금장치
JP2014214581A (ja) 湯水混合栓の取付け方法及び湯水混合栓
JP2005061202A (ja) マンホール錠
JP4540130B2 (ja) 開閉状態選択型窓構造における駆動制御機構の入力用ハンドル装置
KR20130004804U (ko) 텀블러 뚜껑
KR101203450B1 (ko) 화상방지 수도꼭지
CN205035861U (zh) 重锤
JP4482725B2 (ja) 給水栓
CN202756673U (zh) 拉出式龙头旋转切换结构
JP6543894B2 (ja) 水栓装置
JP3875064B2 (ja) クリック機構付シングルレバー水栓
AU2017200723A1 (en) A Lock Assembly
CN205617924U (zh) 一种门窗锁具
KR20030069912A (ko) 음료토출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