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297B1 - 제습기 - Google Patents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297B1
KR101476297B1 KR1020080084062A KR20080084062A KR101476297B1 KR 101476297 B1 KR101476297 B1 KR 101476297B1 KR 1020080084062 A KR1020080084062 A KR 1020080084062A KR 20080084062 A KR20080084062 A KR 20080084062A KR 101476297 B1 KR101476297 B1 KR 101476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regeneration
air
dehumidification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5346A (ko
Inventor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4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297B1/ko
Priority to CN2009100072051A priority patent/CN101658754B/zh
Priority to ES09250623T priority patent/ES2372664T3/es
Priority to EP09250623A priority patent/EP2159500B1/en
Publication of KR20100025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with a moving bed of solid desiccants, e.g. a rotary wheel supporting solid desicc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12Details of the casing or co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32Desiccant 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68Rotary wheel comprising one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84Rotary wheel comprising two flow rotor 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습기는 실내공기가 흡입되어 제습된 후 토출되는 제습유로와 재생공기가 순환하는 재생유로가 형성된 본체, 상기 흡입된 실내공기를 제습시키고, 상기 재생공기에 의해 재생되는 제습로터, 상기 제습로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로터 서포터 및 로터 서포터를 고정하면서, 상기 제습로터를 통과하는 실내공기와 재생공기가 통과하는 제1개구부와 재생공기가 통과하는 제2개구부가 형성된 로터 프레임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습로터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로터 서포터를 구비하고, 로터 서포터를 로터 프레임에 고정한다. 따라서 제습로터의 교체가 편리하고 본체 내부에 위치하는 부품들을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Figure R1020080084062
제습기, 데시컨트, 로터 서포터, 로터 프레임, 바이패스홀

Description

제습기{Dehumidifier}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습로터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로터 서포터를 구비하여 제습로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본체 내부의 부품의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작동방식에 따라 냉방사이클을 이용한 제습기와 데시칸트 로터를 이용한 제습기로 구분될 수 있다.
냉방사이클을 이용한 제습기의 경우 압축기가 구비되어야 하고, 압축기의 소음 및 압축기가 위치하는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등이 있어, 최근에는 데시칸트 로터를 이용한 제습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데시칸트 로터는 공기중의 습기를 흡착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실내공기를 데시칸트 로터로 통과시키면서 제습시키고, 습기가 흡착된 데시칸트를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재생시키는 원리에 의한다.
여기서 데시칸트 로터를 재생시킨 공기는 고온 다습하게 되고, 상기 고온 다습한 공기는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 고온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 제습기가 건물의 외관에 위치하거나, 실내에 위치하더라도 별도의 배기덕트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데시칸트를 재생시킨 고온 다습한 공기를 제습기 내부에서 순환시키는 경우, 별도의 배기덕트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제습기의 위치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놓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고온 다습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서는 고온 다습한 공기의 습기를 제거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일반적으로 실내공기유입부와 데시칸트로터 사이의 공간에 고온 다습한 공기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응축 열교환기를 구비한다. 즉 고온 다습한 공기를 상온의 공기와 열교환 시켜서 고온 다습한 공기 내부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원리에 의해 습도를 낮춘다.
한편, 데시컨트는 실내 공기가 통과하면서 수분이 흡착되는 제습영역과 재생 공기가 통과하면서 수분이 증발되는 재생영역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데시컨트의 회전에 따라 각 영역이 교대로 바뀌면서 수분이 흡착/증발된다. 따라서 본체의 내부에는 데시컨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하지만 종래에는 데시컨트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데시컨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분을 분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내부에 로터 서포터 및 로터 프레임을 두어 데시컨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데시컨트의 교체 가 편리한 제습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터 서포터가 고정되는 로터 프레임에 본체 내부의 다른 부품들을 고정시킴으로 본체 내부의 부품을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는 제습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로터 프레임에 바이패스홀을 구비하여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실내공기의 유동을 개선하고, 제습기의 제습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습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흡입된 실내공기를 제습한 후 토출시키는 제습유로 및 재생공기가 순환되는 재생유로가 각각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공기를 흡입한 후 토출시키는 송풍기; 상기 제습유로 및 재생유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된 실내공기를 제습시키고, 상기 재생공기에 의해 재생되는 제습로터; 상기 제습로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로터 서포터; 상기 로터 서포터가 고정되는 로터 프레임; 상기 로터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제습유로 상에 배치되는 제1개구부; 상기 로터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재생유로 상에 배치되는 제2개구부; 및 상기 로터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제습유로에서 상기 제습로터를 우회하여 상기 송풍기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홀;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로터 프레임에는 상기 제습로터를 통과하지 않은 실내공기가 바이패스되는 바이패스홀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습기는 상기 제습기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수용되는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컨트롤 박스가 장착되는 컨트롤 박스 고정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습기는 일단이 컨트롤박스에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의 후면을 통하여 외부로 연결되는 파워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 프레임에는 상기 파워코드를 로터 프레임측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장치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 박스 고정부에는 상기 파워코드를 컨트롤 박스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파워코드홈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습기는 상기 제1개구부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제1개구부를 통과하는 재생공기를 가열하는 재생공기 가열부재, 상기 제2개구부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제2개구부를 통과하는 재생공기를 흡입하는 재생팬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습로터의 전면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습로터를 재생시킨 재생공기를 응축시키고, 응축후의 재생공기를 나가는 유출부가 형성된 응축열교환기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유출부는 상기 제2개구부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출부는 응축열교환기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개구부는 로터 서포터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출부와 상기 제2개구부를 연통시키는 배기덕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가 로터 프레임에서 로터 서포터를 분리하여 데시컨트를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데시컨트 교체작업 용이해진다.
둘째, 로터 프레임에 본체 내부의 다양한 부품들을 결합시킨다. 따라서 본체 내부에 다른 부품들을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부재가 필요하지 않고, 본체 내부에 부품들을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셋째, 로터 프레임에 바이패스홀을 형성하여 본체 내부를 유동하는 실내공기의 유동을 원활히 하여 제습성능과 유동소음을 줄일 수 있다.
넷째,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다양한 전선 및 파워코드를 로터 프레임에 고정을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체 내부의 습기로부터 전선과 파워코드를 보호할 수 있고, 본체 내부의 전선들을 컴팩트하게 정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제습기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수분을 흡수한 후 제습된 실내 공기를 토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체(1)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와 흡입된 실내공기가 제습된 후 토출되는 공기 토출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흡입부는 본체(1)의 측면에 위치하고, 공기 토출부의 상면에 위치한다.
전면 패널(2), 버킷(10)의 전면, 좌, 우측 패널(4,5), 상부 패널(3), 베이스(12), 후면 상부 패널(7) 및 후면 하부 패널(6)은 본체의 외관을 형성한다.
전면 패널(2)은 본체의 전면 상부의 외관을 형성한다. 전면 패널(2)의 후면에는 필터가 슬라이딩 장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흡입부를 통하여 들어온 실내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필터가 장착된다.
좌, 우측 패널(4,5)은 본체의 측면을 형성하고, 사용자가 제습기를 수동으 로 이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설치된다. 그리고 측면 패널(4,5)의 하부 중 후술할 버킷(10)이 위치하는 지점에는 홀이 형성되어 버킷(10) 내부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별도의 호스가 연결될 수 있다.
상부 패널(3)은 본체의 상부를 형성하고, 공기 토출부 및 사용자가 제습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제습기의 동작을 입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및 조작부가 위치한다.
후방패널(6,7)은 본체의 후방을 형성한다. 특히 하부 후방 패널(6)은 본체에서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 후방 패널(6)의 내부에는 본체의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코드가 고정되는 파워코드 고정부(미도시)가 위치한다.
베이스(8)는 본체의 저면을 형성하고, 제습기의 이동을 돕도록 휠과 휠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휠 지지체로 이루어진 휠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베이스(8)는 상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상면에는 드레인팬(20)이 위치한다. 그리고 베이스(8)의 내부에는 버킷(10)이 슬라이딩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드레인팬(20)의 상부에는 응축 열교환기(100), 로터 프레임(40)과 송풍기(9)등이 장착된다. 그리고 드레인팬(20)에는 응축 열교환기(100)에서 응축되어 배출되는 응축수를 드레인팬(20)의 하부의 버킷(10)으로 배출시키는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된다.
버킷(10)은 드레인팬(20)을 통하여 유입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베이스(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응축수가 어느 정도 수용된 경우 사용자는 버킷(10)을 베이스(8)에서 분리시켜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본체의 내부에는 송풍기(9), 제습 로터(30), 재생 팬(50), 재생공기 가열부재(60) 및 응축 열교환기(100)가 설치된다.
송풍기(9)는 공기 흡입부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본체를 통과한 후 공기 토출부로 토출되게 하는 일종의 제습 팬으로서, 후방 상부 패널(7)와 함께 송풍 유로를 형성하도록 배면이 개방되고 전면에 공기 흡입홀이 형성되며 상부에 토출부가 개구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에 팬모터와 팬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팬을 포함하고, 토출부에 토출 그릴이 설치될 수 있다.
제습 로터(30)는 송풍기(9)에 의해 흡입된 실내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되고 저온 재생이 가능한 것으로서, 송풍기(9)와 응축 열교환기(100)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제습 로터(30)는 실내공기가 통과하면서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되고 재생이 가능한 데시컨트(35)와, 데시컨트(35)의 둘레를 감싸고 데시컨트(35)가 고정되는 데시컨트 휠(33)을 포함한다.
데시컨트(35)는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게 감기고, 중앙에 고정을 위한 고정홀이 형성된다.
데시컨트로 다양한 형태 및 재질의 데시컨트가 사용될 수 있으나,본 실시예에서의 데시컨트(35)는 세라믹 섬유질의 평면지와 파형지를 번갈아 원통형으로 감아올린 형상이다. 그리고 메조 실리카(Meso-Silica(SiO2))로서 기공 및 표면적이 매우 발달돼 있어 흡습 특성이 우수하고 대략 60℃ 이하인 저온에서도 재생이 가능 한 나노 카본 볼(NCB: Nano caboon Ball)이 포함된다.
나노 카본 볼(NCB)은 구형의 중공 코어부와 메조 다공성의 카본 셀부로 이루어지고, 직경 200nm~500nm 인 구형 탄소구조체로서, 세공이 2㎚~50nm이며, 통상적인 활성탄의 경우 보다 표면적 BET 및 Mesopore area가 크기 때문에 기공 막힘 현상이 없다.
한편, 데시컨트(35)는 실내 공기가 통과하면서 수분이 흡착되는 영역(이하,'제습영역' 이라 칭함)과 재생 공기가 통과하면서 수분이 증발되는 영역(이하,'재생영역' 이라 칭함)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데시컨트(35)의 회전에 따라 각 영역이 교대로 바뀌면서 수분이 흡착/증발된다.
재생 영역은 일반적으로 부채꼴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재생 영역은 후술하는 재생공기 가열부재(60)에 대향되게 구획될 수 있다.
데시컨트 휠(33)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데시컨트(35) 둘레를 둘러싸는 테두리부와, 데시컨트(35)가 고정하는 고정부와, 테두리부와 고정부를 연결하도록 테두리부와 고정부 사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한다.
도3은 본 실시예의 제습로터, 로터 서포터, 로터 프레임, 재생팬 및 재생공기 가열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실시예의 로터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본체의 내부에는 제습 로터(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로터 서포터(31)와, 로터 서포터(31)가 장착되는 로터 프레임(40)이 배치된다.
로터 서포터(31)의 전면에는 후술하는 재생공기 분배부재(90)가 결합된다. 그리고 재생공기 분배부재(90)의 후면은 개방되어 있고 로터 서포터(31)과 결합하면서 재생공기 분배부재(90)로 재생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를 형성한다.
로터 프레임(40)은 본체의 내부를 송풍기(20)가 배치되는 후방측 공간과 응축 열교환기(100)가 배치되는 전방측 공간을 구획하는 일종의 베리어 역할을 한다.
로터 프레임(40)에는 제습로터(30)를 통과하는 실내공기와 재생공기가 통과하는 제1개구부(41)와 재생공기가 통과하는 재2개구부(42)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개구부(41)를 통과하는 실내공기는 데시컨트(35)의 제습영역을 통과한 후 제1개구부(41)을 통과한다. 그리고 제1개구부(41)을 통과하는 재생공기는 후술할 재생공기 가열부재(60)를 통과한 후 제1개구부(41)를 통과하고, 데시컨트(35)의 재생영역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배기덕트(80)을 통과한 재생공기는 제2개구부(42)를 통과하여 재생팬(50)으로 유입된다.
로터 프레임(40)에는 바이패스홀(43)이 개구 형성된다. 따라서 응축열교환기(100)을 통과하면서 재생공기를 응축시킨 실내공기 중의 일부는 제습로터(30)를 통과하지 않고 바이패스홀(43)을 통과하게 된다. 결국 제습로터(30)가 제습을 할 수 있는 양보다 많은 양의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응축열교환기(100) 내의 재생공기를 응축시킬 수 있어 응축효율이 증대하게 된다. 그리고 응축열교환기(100)를 통과한 실내공기 중의 일부를 바이패스시켜서 실내공기의 유동을 원활히 하여 유동소음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로터 프레임(40)의 상부에는 제습기를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22)가 장착되는 컨트롤 박스 고정부(44)가 상부에 형성된다. 컨트롤 박스(22)를 로터 프레임(40)의 상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컨트롤박스(22) 내부의 전자부품들을 본체(1) 내부의 습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습기를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22)를 상면에 위치하여, 상면패널(3)에 설치되는 조작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컨트롤 박스(22)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개구부(42) 또한 로터 프레임(4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로터 프레임(40)의 상부의 일부분에 제2개구부(42)를 형성하고, 나머지부분에 컨트롤박스(22)를 위치시키면 본체(1) 내부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제습기에는 외부의 전원을 전달하는 파워코드(미도시) 구비한다. 상기 파워코드는 컨트롤 박스(22)와 본체(1) 외부의 전원에 연결된다. 상기 파워코드는 미감상의 이유로 본체(1) 후방을 통하여 외부 전원에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 박스(22)가 로터 프레임(40)의 상부에 위치하고, 따라서 로터 프레임(40)에는 상기 파워코드를 로터 프레임(40)에 고정시키는 고정장치(45)가 형성된다. 고정장치(45)는 클립형태로 이루어져 파워코드를 로터 프레임(40)측으로 밀착 및 고정시킨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고정장치(45)는 로터 프레임(40)의 전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로터 프레임(40)의 하부 일측에는 본체(1)의 후방에서 연결된 상기 파워코드가 로터 프레임(40)의 전면의 고정장치(45)에 고정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홈(47)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습기 내부에 부품 조립시 파워코드를 간편하게 본체(1) 후방에서 로터 프레임(40)의 전면으로 유도하여 고정장치(45)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 박스(22)는 컨트롤 박스 고정부(44)에 위치한다. 따라서 고정장치(45)에 고정된 파워코드를 컨트롤 박스(22)로 연결하기 위해서 컨트롤 박스 고정부(44)에도 파워코드홈(46)이 형성된다. 결국 파워코드는 컨트롤 박스(22), 파워코드홈(46), 고정장치(45) 및 홈(47)을 거쳐서 본체(1)의 후방을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된다. 따라서 파워코드를 본체 내부에 효과적으로 설치하여 다른 부품들에 간섭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로터 프레임(40)에는 컨트롤 박스(22)와 로터 프레임(40) 후방에 위치하는 송풍기(9)과 재생팬(50)을 연결하는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홈(48)이 형성된다. 따라서 송풍기(9)와 재생팬(50)으로 연결되는 전선을 다른 부품들에 간섭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개구부(42) 후방에는 재생팬(50)이 결합된다. 재생팬(50)은 재생공기가 본체내에서 순환하면서 유동을 할 수 있도록 순환력을 부여한다. 즉 재생팬(50)은 제2개구부(42)를 통과한 공기를 흡입하여 재생공기 가열부재(60)으로 토출한다.
그리고 제1개구부(41)의 재생공기가 통과하는 영역의 후면에는 재생공기 가열부재(60)가 결합된다. 재생공기 가열부재(60)는 재생 팬(50)에서 토출된 재생공기를 가열하여 제습 로터(30)로 고온의 재생 공기를 공급한다. 재생공기 가열부재(60)은 히터(63), 히터(63)를 덮으면서 재생 팬(50)과 연통되는 제1히터커버(65) 및 제1히터 커버(65)와 제습 로터(30) 사이에 위치하며, 제1히터 커버(65)와 결합되는 제2히터커버(61)를 포함한다.
제2히터커버(61)는 히터(63)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히터(63)와 제습 로터(30) 사이에서 주변으로 새나가지 않고 제습 로터(30)로 향해 이동되게 막는 일종의 에어 가이드 역할을 한다. 즉 재생공기 가열부재(60)에서 가열된 재생공기는 로터 프레임(40)의 제1개구부(41)를 통과하여 데시컨트(35)의 재생영역으로 유입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로터 프레임(40)은 로터 서포터(31), 컨트롤 박스(22), 재생공기 가열부재(60) 및 재생팬(5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부품들을 본체(1) 내부에 컴팩트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재생히터(6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재생공기는 제1개구부(41)와 데시컨트(30)의 재생영역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재생공기 분배부재(90)으로 유입된다.
재생공기 분배부재(90)는 상기 재생영역과 응축열교환기(100)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재생영역에서 배출된 재생공기는 재생공기 분배부재(90)로 들어가서 응축열교환기(100)로 분배되어 유입된다. 즉 재생공기 분배부재(90)는 재생영역을 통과한 재생공기를 후술하는 복수개의 열교환판으로 분배하여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응축 열교환기(100)는 재생공기 분배부재(90)를 경유한 재생공기를 실내공 기와 열교환시킨다. 즉 제습 로터(30)의 재생 영역을 통과하면서 수분을 흡착시킨 재생공기를 실내공기를 이용하여 응축시켜, 수분이 제거된 재생공기는 배기덕트(80)를 통하여 재생팬(50)측으로 배출한다. 그리고 응축수는 드레인팬(20)을 거쳐 버킷(10)으로 유입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응축열교환기(100)는 복수개의 열교환판으로 형성되어 재생공기와 실내공기의 열교환면적을 최대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응축열교환기는 제습로터(30)의 전면에 위치하면서, 제습로터(30)를 재생시킨 재생공기를 응축시킨다. 그리고 응축후의 재생공기가 배출되는 유출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유출부(110)은 제2개구부(42)와 연통되어, 응축열교환기(100)에서 응축된 재생공기는 제2 개구부(42)를 통과하여 재생팬(50)으로 흡입되고, 재생공기 가열부재(60)에서 가열되게 된다.
한편, 유출부(110)가 응축열교환기(100)의 하부에 형성되고, 제2 개구부(42)가 로터 프레임(40)의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면 응축된 재생공기가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재생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하부로 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의 제습기는 응축열교환기(100)의 하부에 형성된 유출부(110)와 로터 프레임(40)의 상부에 형성된 제2개구부(42)를 연결하는 배기덕트(80)를 더 포함한다. 즉 응축열교환기(100)을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된 재생공기는 유출부(110)와 연통되어 형성되는 배기덕트(90), 제2개구부(42)를 통하여 다시 재생팬(50)으로 흡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제습기의 재생공기의 응축과정, 실내공기의 제습과정 및 본체(1) 내부의 응축수 및 수분의 배출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재생공기는 재생팬(50)의 회전에 의해 재생유로를 순환한다. 즉 재생팬(50)을 통과한 재생공기는 재생공기 가열부재(60)에서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한다. 상기 가열된 재생공기는 로터 프레임(40)의 제1개구부(41)를 통하여 제습로터(30)로 유입된다. 그리고 데시컨트(35)의 재생 영역을 재생시키고, 재생공기 분배부재(90)를 경유하여 응축열교환기(100)으로 유입된다
응축열교환기(100)로 유입된 재생공기는 복수개의 열교환판의 상부에서 하부로 유동을 하면서 실내공기와 열교환을 한다. 상기 열교환과정에서 재생공기중의 수분이 응축된다. 응축된 재생공기는 유출부(110), 배기덕트(90), 로터 프레임(40)의 제2개구부(4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다시 재생팬(50)으로 유입된다. 즉 재생공기는 상기의 사이클을 따라 본체 내부를 순환하게 된다.
한편, 실내공기는 본체의 공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되어 응축열교환기(100)의 실내공기유로를 통과하면서 재생공기유로를 유동하는 재생공기와 열교환을 한다. 응축열교환기(100)를 통과한 실내공기는 데시컨트(35)의 제습영역을 통과하면서 수분이 흡착되어 제습된다. 수분이 흡착된 실내공기는 로터 프레임(40)의 제1개구부(41)와 송풍팬(9)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본체의 공기토출부를 통하여 실내로 다시 배출된다.
한편, 응축열교환기(100)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드레인팬(5)을 경유하여 버킷(2)의 내부로 수용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버킷(2)을 베이스(8)에서 분리하여 응 축수 및 수분을 제품의 외부에 버리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제습기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실시예의 제습로터, 로터 서포터, 로터 프레임, 재생팬 및 재생공기 가열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실시예의 로터 프레임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전면패널
3: 상부패널 4,5: 좌, 우측패널
6,7: 하부패널 8: 베이스
10: 버킷 20: 드레인팬
30: 제습로터 31: 로터 서포터
33: 데시컨트 휠 35: 데시컨트
40: 로터 프레임 41: 제1개구부
42: 제2개구부 43: 바이패스 홀
44; 콘트롤 박스 고정부 45: 고정장치
46: 파워코드 홈 47: 홈
48: 전선홈 50: 재생팬
60: 재생공기 가열부재 80: 배기 덕트
90: 재생공기 분배부재 100: 응축 열교환기
110: 유출부

Claims (9)

  1. 흡입된 실내공기를 제습한 후 토출시키는 제습유로 및 재생공기가 순환되는 재생유로가 각각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공기를 흡입한 후 토출시키는 송풍기;
    상기 제습유로 및 재생유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된 실내공기를 제습시키고, 상기 재생공기에 의해 재생되는 제습로터;
    상기 제습로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로터 서포터;
    상기 로터 서포터가 고정되는 로터 프레임;
    상기 로터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제습유로 상에 배치되는 제1개구부;
    상기 로터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재생유로 상에 배치되는 제2개구부; 및
    상기 로터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제습유로에서 상기 제습로터를 우회하여 상기 송풍기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홀;을 포함하는 제습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습기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수용되는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컨트롤 박스가 장착되는 컨트롤 박스 고정부가 형성된 제습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일단이 컨트롤박스에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의 후면을 통하여 외부로 연결되는 파워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 프레임에는 상기 파워코드를 로터 프레임측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장치가 형성된 제습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일단이 컨트롤박스에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의 후면을 통하여 외부로 연결되는 파워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박스 고정부에는 상기 파워코드를 컨트롤 박스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파워코드홈이 형성된 제습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부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제1개구부를 통과하는 재생공기를 가열하는 재생공기 가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제습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개구부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제2개구부를 통과하는 재생공기를 흡입하는 재생팬을 더 포함하는 제습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습로터의 전면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습로터를 재생시킨 재생공기를 응축시키고, 응축후의 재생공기를 나가는 유출부가 형성된 응축열교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출부는 상기 제2개구부와 연통되는 제습기.
  9. 제습유로 및 재생유로가 형성된 제습기에 있어서,
    실내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제습유로로 유동시키고, 제습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송풍기;
    상기 제습유로 및 재생유로 상에 배치되는 제습로터;
    상기 제습로터 및 송풍기 사이에 배치되는 로터 프레임;
    상기 로터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제습유로 상에 배치되는 제1개구부;
    상기 로터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재생유로 상에 배치되는 제2개구부; 및
    상기 로터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제습유로에서 상기 제습로터를 우회하여 상기 송풍기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홀;을 포함하는 제습기.
KR1020080084062A 2008-08-27 2008-08-27 제습기 KR101476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062A KR101476297B1 (ko) 2008-08-27 2008-08-27 제습기
CN2009100072051A CN101658754B (zh) 2008-08-27 2009-02-13 除湿机
ES09250623T ES2372664T3 (es) 2008-08-27 2009-03-04 Deshumificador.
EP09250623A EP2159500B1 (en) 2008-08-27 2009-03-04 Dehumid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062A KR101476297B1 (ko) 2008-08-27 2008-08-27 제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346A KR20100025346A (ko) 2010-03-09
KR101476297B1 true KR101476297B1 (ko) 2014-12-24

Family

ID=40974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062A KR101476297B1 (ko) 2008-08-27 2008-08-27 제습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159500B1 (ko)
KR (1) KR101476297B1 (ko)
CN (1) CN101658754B (ko)
ES (1) ES2372664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775B1 (ko) * 2011-10-25 2012-11-05 (주)에이티이엔지 데시칸트로터 카세트
CN107560018A (zh) * 2017-09-28 2018-01-09 欧伏电气股份有限公司 复合型除湿/热回收转轮及除湿/热回收机
CN108826502A (zh) * 2018-07-19 2018-11-16 中山市英为拓电器有限公司 一种转轮除湿机及其使用方法
CN110397998A (zh) * 2019-08-21 2019-11-01 无锡普爱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分体模块式转轮结构骨架、除湿转轮和转轮除湿机
CN113091164B (zh) * 2020-01-09 2023-03-24 霓佳斯株式会社 除湿用转子以及除湿机
CN112169550B (zh) * 2020-09-24 2022-09-30 邹平双飞成套设备有限公司 一种通用型工业气体处理用电热干燥设备
KR102476763B1 (ko) 2021-01-14 2022-12-09 정진옥 펌핑 마개
KR20220130987A (ko) 2021-03-19 2022-09-27 정진옥 진공펌프 및 이를 이용한 펌핑마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627A (ko) * 1999-08-20 2001-03-1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집진필터 장착장치
KR20060129674A (ko) * 2005-06-13 2006-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KR100775075B1 (ko) * 2007-08-13 2007-11-08 (주)에이티이엔지 데시칸트 제습기
JP3182805U (ja) * 2013-01-30 2013-04-11 新典自動化股▲分▼有限公司 デシカントホイール除湿機及びその熱交換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60618B (sv) * 1987-02-12 1989-10-30 Wilhelm Von Doebeln Saett och anordning att konditionera en gas i en roterande regenerativ fuktvaexlarapparat
CN1048914C (zh) * 1995-07-21 2000-02-02 邓大贤 空气压缩除湿机
WO2006135169A2 (en) * 2005-06-13 2006-12-21 Lg Electronics Inc. Dehumidifier
KR20060131112A (ko) * 2005-06-15 2006-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EP1899657B1 (en) * 2005-06-15 2014-03-05 LG Electronics Inc. Dehumidifier
KR20070107281A (ko) * 2006-05-02 2007-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627A (ko) * 1999-08-20 2001-03-1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집진필터 장착장치
KR20060129674A (ko) * 2005-06-13 2006-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KR100775075B1 (ko) * 2007-08-13 2007-11-08 (주)에이티이엔지 데시칸트 제습기
JP3182805U (ja) * 2013-01-30 2013-04-11 新典自動化股▲分▼有限公司 デシカントホイール除湿機及びその熱交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59500B1 (en) 2011-10-26
ES2372664T3 (es) 2012-01-25
CN101658754B (zh) 2012-10-24
CN101658754A (zh) 2010-03-03
KR20100025346A (ko) 2010-03-09
EP2159500A1 (en) 201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6297B1 (ko) 제습기
KR101440521B1 (ko) 제습기
KR101158579B1 (ko) 제습기
CN107923635A (zh) 除加湿装置
CN101726061A (zh) 转轮式除湿机加热器
EP2159503A2 (en) Dehumdifier
KR101534170B1 (ko) 제습기
JP2004216229A (ja) 除湿装置並びに該装置の結露水処理方法
KR101450556B1 (ko) 제습 로터를 갖는 제습기
CN107327901A (zh) 带干燥功能的取暖器
EP2116783A2 (en) Dehumidifier having dehimidifying rotor
KR101016310B1 (ko) 공기조화기
JP4329584B2 (ja) 除湿装置
JP6311113B2 (ja) 除湿装置
JP2001221496A (ja) 除湿機
KR20100025344A (ko) 제습기
KR101535143B1 (ko) 제습기
KR101534292B1 (ko) 제습기
JP2021104495A (ja) 除湿装置
KR101450555B1 (ko) 제습기
JP7113205B2 (ja) 除湿装置
JP2005103365A (ja) 除湿装置
JP2007185657A (ja) 除湿装置
KR100600774B1 (ko) 제습기
JP2023050357A (ja) 除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