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251B1 - 누액 검지 기구 및 이것을 구비한 액체 재료 도포 장치 - Google Patents
누액 검지 기구 및 이것을 구비한 액체 재료 도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5251B1 KR101475251B1 KR1020097016089A KR20097016089A KR101475251B1 KR 101475251 B1 KR101475251 B1 KR 101475251B1 KR 1020097016089 A KR1020097016089 A KR 1020097016089A KR 20097016089 A KR20097016089 A KR 20097016089A KR 101475251 B1 KR101475251 B1 KR 1014752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ceiving tray
- liquid
- leakage
- liquid material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출 유닛으로부터의 누액(漏液)이 도포 대상물 상에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적은 액량의 누액도 검지할 수 있는 누액 검지 기구 및 이것을 구비한 액체 재료 도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테이블 상에 탑재된 공작물과, 공작물과 대향하는 토출 유닛을 상대 이동시켜 액체 재료를 도포하는 도포 장치에 장착 가능한 누액 검지 기구로서, 상기 토출 유닛의 토출구의 대향 위치에 형성된 개구부를 가지는 받이 트레이와, 받이 트레이에 저류된 누액을 검지하는 누액 검지 장치로 구성되며, 토출 유닛의 바로 아래에 설치되는 누액 검지 기구 및 이것을 구비한 액체 재료 도포 장치를 제공한다.
토출 유닛, 누액, 액체 재료 도포 장치, 토출구, 누액 검지 기구
Description
본 발명은, 누액(漏液) 검지 기구 및 이것을 구비한 액체 재료 도포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도포 장치에 탑재되는 토출 유닛으로부터 누출되는 액재(液材)를 도포 대상물 상에 낙하시키지 않고, 적은 양의 누액도 검지할 수 있는 누액 검지 기구 및 이것을 구비한 액체 재료 도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패널에 액정을 적하(滴下)하는 즉 방울지게 떨어뜨리는 도포 장치로서는, 테이블 상에 기판을 탑재하고, 기판과 대향하는 토출 유닛을 상대 이동시켜, 액정의 적하를 행하는 도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도포 장치에 사용되는 토출 유닛으로서는, 계량관 내에 밀착 접촉되어 진퇴 이동하는 플런저를 고속으로 진출 이동시켜 액재를 토출구로부터 비적(飛滴)시키는 플런저 타입의 토출 유닛이 제안되어 있다.
이 종류의 토출 유닛에서는,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내부의 슬라이드 이동 부품 등이 서로 마모되어, 부품 간에 간극이 생겨, 거기로부터 액재가 누출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장기간의 사용에 의한 것이 아니더라도, 유지보수 등의 이유로 토출 유닛을 분해하여 다시 조립할 때, 작업자의 기량(技量)의 차이에 따라 조립된 부품끼리의 접합이 양호하게 행해지지 않아 간극이 생겨, 거기로부터 액재가 누출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토출 유닛에 액재를 공급하는 배관 등을 연결하는 조인트의 종류는, 적정한 체결을 행하지 않으면, 체결 부분으로부터 액재가 누출되는 경우가 있다.
도포 장치가 구비하는 토출 유닛이, 액체 재료를 도포하는 도포 대상물의 위에 있을 때, 누액이 도포 대상물 상에 적하되면, 불량품이 생산되게 되어, 시간이나 비용이 낭비되게 된다. 생산 공정에 있어서, 누액의 검지가 즉시 검지되는 프로세스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불량품의 생산이 장시간 계속되게 되어, 시간이나 비용의 낭비가 더욱 심각한 것으로 될 우려가 있고, 최악의 경우에는 품질 문제로도 연결될 수 있다.
도포 장치에 있어서, 누액을 검지하는 장치로서는,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에 의하면 도포 장치 본체로부터, 이동 가능한 토출 유닛에 액재를 공급하는 통액(通液) 배관을 설치하기 위해, 토출 유닛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도록, 통액 배관을 케이블 지지 안내 장치 내에 수용하고 있다.
그리고, 토출 유닛의 움직임에 따른 통액 배관의 열화에 의해 누액이 발생한 경우에, 그 누액을 검지하기 위해, 통액 배관을 수용한 케이블 지지 안내 장치를 수납하는 수납부의 저부에 누액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 특허 제2006-10615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 특허 제2004-243186호 공보
특허 문헌 2의 검지 장치는, 액재를 토출 유닛에 공급하는 통액 배관으로부터 누출되는 액재를 검지하는 검지 장치이며, 토출 유닛으로부터 누출되는 액재를 직접 검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검지 장치는 없었다. 또한, 토출 유닛으로부터 누액이 발생한 경우에는, 누액이 도포 대상물 상에 적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은 없었고, 토출 유닛에서 발생한 누액을 검지하는 수단도 없었다.
지금까지, 토출 유닛으로부터 누출되는 액재의 문제를 정면으로부터 해결하기 위한 대처는 행해지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토출 유닛으로부터의 누액은, 미량이라도 제품의 품질과 직결되므로, 도포 장치 공급 메이커로서는 진지하게 대처하지 않으면 않되는 문제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토출 유닛으로부터의 누액이 도포 대상물 상에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적은 액량의 누액도 검지할 수 있는 누액 검지 기구 및 이것을 구비한 액체 재료 도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토출 유닛의 바로 아래에 받이 트레이를 설치함으로써, 토출 유닛으로부터의 누액 적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누액 검지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누액을 자동적으로 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기본 사상을 상도(想到)하고, 또한 각종 연구를 행하여, 본 발명을 달성하였다.
즉, 제1 발명은, 테이블 상에 탑재된 공작물과, 공작물과 대향하는 토출 유닛을 상대 이동시켜 액체 재료를 도포하는 도포 장치에 장착 가능한 누액 검지 기구로서, 상기 토출 유닛의 토출구의 대향 위치에 형성된 개구부를 가지는 받이 트레이와, 받이 트레이에 저류된 누액을 검지하는 누액 검지 장치로 구성되며, 토출 유닛의 바로 아래에 설치되는 누액 검지 기구이다.
제2 발명은, 제1 발명에 있어서, 받이 트레이의 외측 프레임을 에워싸는 외측 프레임의 스탠드부(9) 및 개구부를 에워싸는 개구부의 스탠드부(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발명은, 제1 또는 제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받이 트레이는 누액이 흘러내리는 가장 깊은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발명은, 제3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받이 트레이는 가장 깊은 부분으로 연결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발명은, 제3 또는 제4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지 장치는 상기 받이 트레이의 가장 깊은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발명은, 제3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지 장치는 상기 받이 트레이의 가장 깊은 부분과 연통되는 유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 발명은, 제1 또는 제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받이 트레이는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 발명은, 제1 또는 제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받이 트레이는 상기 토출 유닛의 하단부에 직접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9 발명은, 제1 또는 제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받이 트레이는 상기 토출 유닛이 장착되는 접속 부재(7)에 설치된 장착구에 의해, 토출 유닛의 바로 아래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0 발명은, 제1 또는 제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받이 트레이의 누액을 받는 면(8)은, 발수성(撥水性)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1 발명은, 제1 또는 제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지 장치로부터 발해지는 검지 신호를 수신하여 경보를 발하는 경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2 발명은, 제1 또는 제2의 발명에 기재된 누액 검지 기구와, 액체 재료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가지는 토출 유닛과, 공작물을 탑재하는 테이블과, 공작물과 토출 유닛을 상대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재료 도포 장치이다.
제13 발명은, 제1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누액 검지 기구, 상기 토출 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접속 부재(7) 및 접속 부재(7)에 설치된 상기 누액 검지 기구를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장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토출 유닛으로부터의 누액이 도포 대상물 상에 적하되는 것을 직접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누액이 미량이라도 정밀도 양호하게 검지할 수 있고, 또한 토출 유닛이 이동하는 위치와 상관없이, 토출 유닛으로부터의 누액을 검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관한 누액 검지 기구를 가지는 도포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관한 토출 유닛의 주요부를 투과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관한 받이 트레이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관한 토출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관한 토출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2에 관한 토출 유닛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예 3에 관한 받이 트레이의 변형예 1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예 3에 관한 받이 트레이의 변형예 2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예 4에 관한 토출 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5에 관한 토출 유닛의 주요부를 투과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도포 장치, 2: 토출 유닛, 3: 받이 트레이, 4: 검지 장치(센서), 5: 구동부, 6: 도포 대상물, 7: 접속 부재, 8: 액재를 받는 면(경사면), 9: 외측 프레임의 스탠드부(받이 트레이의 외측 에지부), 10: 토출용 개구부 11: 개구부의 스탠드부, 12: 액재가 흘러내리는 방향, 13: 바로 앞쪽으로의 경사, 14: 좌측으로의 경사, 15: 지지대, 16: 고정구, 17: 가장 깊은 부분, 18: 지지구, 19: 지지구 개구, 20: 토출 유닛 장착판, 21: 나사 부재, 22: 나사공, 23: 유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의 누액 검지 기구는, 일반적인 액체 재료 도포 장치에 장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액체 재료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가지는 토출 유닛(2)과, 토출구를 공작물의 도포 대상면에 평행하게 이동시키는 구동 부(5)를 포함하는 액체 재료 도포 장치(1)에 장착한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최선의 형태의 누액 검지 기구는, 외측 프레임의 스탠드부(9), 토출 유닛의 토출구의 대향 위치에 형성된 개구부(10), 및 개구부를 에워싸는 개구부의 스탠드부(11)를 가지는 받이 트레이(3)와, 받이 트레이(3)에 설치된 누액 검지 장치(4)로 구성된다.
토출 유닛(2)으로부터 누출되는 액재를 받는 받이 트레이(3)는, 접시형의 판이며, 액재를 받는 면(8)에 수직으로, 주위를 에워싸는 외측 프레임의 스탠드부(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외측 프레임의 스탠드부(9)에 의해 받이 트레이(3) 밖으로의 액재의 유출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개구부(10)에 형성된 개구부의 스탠드부(11)도 마찬가지로 액재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이다. 받이 트레이(3)를, 가장 깊은 부분(17)을 향한 경사면에 의해 구성하는 경우(예를 들면, 도 7의 경우)에는, 외측 프레임의 스탠드부(9)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다. 그러나, 받이 트레이(3)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용의 나사공 등의 형성 부분으로 하거나, 받이 트레이(3)의 휨이나 굴곡에 대한 보강의 역할을 하게 하는 등, 설계 상의 이유로부터, 외측 프레임의 스탠드부(9)를 구비한 쪽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받이 트레이(3)는, 누액의 유출 방지의 관점으로부터, 토출 유닛(2)의 바로 아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이 트레이(3)는, 각종 모드로 장착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토출 유닛(2)에 직접 설치해도 되고, 토출 유닛(2)과 구동부(5)를 접속하는 접속 부재(7)에 설치해도 된다. 접속 부재(7)와 받이 트레이(3)는 장착구에 의해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장착구는, 받이 트레이(3)와 접 속 부재(7)의 일부를 나사 부재 등으로 고정하는 모드의 것(도 2 참조), 및 받이 트레이(3)의 하면을 지지하는 모드의 것(도 9 참조)을 포함하는 광의의 의미의 장착구이다. 이 때 중요한 것은, 토출 유닛(2)과 일체적으로 받이 트레이(3)가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다. 일체로 되어 이동함으로써, 토출 유닛(2)의 이동 위치와 상관없이, 누액이 도포 대상물 상에 적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받이 트레이(3)는, 액재를 받는 면(8)이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져 있으므로, 액재가 가장 낮은 부분인 가장 깊은 부분(17)으로 흘러내려 모이도록 되기 때문이다. 가장 깊은 부분(17)은, 액재를 받는 면(8) 자체를 경사면으로 하고, 그 경사면의 아래쪽에 가장 깊은 부분(17)이 위치하도록 받이 트레이(3) 자체의 형상을 성형해도 된다.
받이 트레이(3)는, 액재를 받는 면(8)이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장착하는 것, 또는 액재를 받는 면(8) 자체를 경사면으로 하는 것에 더하여, 액재를 받는 면(8)에 발수성을 갖게 함으로써, 또한 액재가 흘러내리기 쉽도록 할 수 있다.
발수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발수성을 가지는 재료로 받이 트레이(3) 자체를 제작하거나, 발수성을 가지는 재료로 액재를 받는 면(8)을 덮거나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발수성을 가지는 재료로서는, 불소계 수지나 실리콘계 수지 등이 있지만, 이들 재료의 종류는, 도포하는 액재에 대한 내성(耐性) 등을 고려에 넣어 선택되는 설계 사항이므로, 상기 재료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검지 장치(4)는, 광학식 센서 등의 검지 수단이며, 토출 유닛(2) 및 받이 트레이(3)와 함께 이동하도록, 받이 트레이(3)에 설치한다. 받이 트레이(3)의 액재 를 받는 면(8) 내의, 액재가 흘러내려 모이는 가장 낮은 부분에 설치한다. 면(8) 자체를 성형하고, 오목부(凹部)로 이루어지는 가장 깊은 부분(17)을 형성하는 모드에 있어서는, 그 오목부에 검지 장치(4)가 장착되게 된다. 이 때,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게 행해지도록 설치함으로써, 받이 트레이(3)나 검지 장치(4)에 부착된 액재의 닦아내는 것을 적시에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재가 흘러내려 모이는 부분(17)에 설치하므로, 누액이 적은 경우라도 누액이 있었던 것을 검지할 수 있다.
토출 유닛(2)으로부터 누출된 액재를 검지한 경우, 검지 장치(4)로부터 발해지는 검지 신호를 수신하고, 경보를 발해 작업자에게 알리거나 토출 유닛(2)의 토출 동작을 정지하거나 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토출 유닛(2)으로서는, 플런저 타입의 토출 유닛이 예시되지만, 토출 유닛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선단에 토출구인 노즐이 접속된 시린지(syringe) 내의 액체 재료에, 압력 조절된 에어를 원하는 시간만큼 인가하는 에어식의 토출 유닛을 사용해도 된다.
검지 장치(4)는, 광학식 센서에 한정되지 않고, 액체 재료를 검지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검지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로드셀을 이용하여 흘러내려 온 액재의 무게를 검지해도 된다. 또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흘러내려 온 액재의 화상을 잡아 검지해도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세를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어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에 관한 누액 검지 기구를 가지는 도포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에 개시된 도포 장치에는, 3개의 토출 유닛(2)이 구동부(5)에 장착되어 있고, 그 각각에 받이 트레이(3)와 검지 장치(4)를 설치하고 있다. 각각의 토출 유닛(2)에 각 1개씩의 받이 트레이(3)와 검지 장치(4)를 설치함으로써, 어느 쪽의 토출 유닛(2)에서 액재의 누출이 생긴 것인지를 검출할 수 있다. 토출 유닛(2)의 장착의 수는, 도포 대상물인 공작물(6)의 크기나 도포 방법 등에 따라 정해지는 설계 사항이며, 3개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하로 해도 되고, 역으로 4개 이상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당연한 것이지만, 토출 유닛(2)을 복수 개 설치하는 경우에는, 모든 토출 유닛(2)에 누출 검지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 장치(1)는, 구동부(5)를 구비하고 있고, 토출구를 가지는 토출 유닛(2)을, 공작물(6)의 도포 대상면에 평행한 면내를 이동시키는(즉, 상대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받이 트레이(3)는, 토출 유닛(2)과 구동부(5)를 접속하는 접속 부재(7)에 설치되어 있고, 받이 트레이(3)에 검지 장치(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토출 유닛(2)과 받이 트레이(3) 및 검지 장치(4)는 일체로 되어 이동한다. 공작물(6)은, 토출 유닛(2)의 아래쪽의 토출구에 평행한 면(테이블)에 탑재된다. 그리고, 공작물(6)에 대하여, 구동부(5)에 의해 토출 유닛(2)을 원하는 궤적에 따라 이동시키면서, 토출구로부터 액재를 토출하고, 액재를 공작물(6)에 도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 유닛(2)으로서 계량관 내를 밀접하게 진퇴 이동하는 플런저를 고속으로 진출 이동시켜 액재를 토출구로부터 비적시키는 플런저 타입의 토출 장치를 사용한다.
도 2에 토출 유닛(2), 받이 트레이(3) 및 검지 장치(4)의 주요부를 투과한 확대 사시도를, 도 3에 받이 트레이(3)의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다.
받이 트레이(3)의 형상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출 유닛(2)의 저면의 면적과 대략 같은 크기의 직사각형의 판이며, 외측 에지부에, 액재를 받는 면(8)에 수직으로, 주위를 에워싸도록 외측 프레임의 스탠드부(9)를 형성한다. 이 외측 프레임의 스탠드부(9)에 의해 받이 트레이(3) 밖으로의 액재의 유출을 방지한다. 토출구인 노즐의 바로 아래에 닿는 부분은, 개구부(10)를 형성하고 있다. 개구부(10)의 에지에도 개구부의 스탠드부(11)를 형성하여, 액재 토출용의 개구부(10)로부터 받이 트레이(3) 밖으로의 액재의 유출을 방지하고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이 트레이(3)는, 나사 부재(21)에 의해 접속 부재(7)에 고정 설치되어 토출 유닛(2)의 바로 아래에 설치된다. 이 때, 받이 트레이(3)는, 토출 유닛(2)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설치된다. 이 간극은 액재를 흐르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단, 액재가 흐르는 상태에 따라서는, 받이 트레이(3)의 액재를 받는 면(8)의 일부가 토출 유닛(2)의 저면에 접하도록 받이 트레이(3)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받이 트레이(3)는 토출 유닛(2)과 독립적으로, 구동부(5)의 이동 가능한 접속 부재(7)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받이 트레이(3)를 설치한 상태인 채, 토출 유닛(2)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다.
받이 트레이(3)는, 접속 부재(7)에 설치된 상태로, 액재를 받는 면(8)이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경사지게 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을 생각할 수 있지만, 도 4 및 도 5에, 액재를 받는 면(8)은 평면을 지지한 채, 받이 트레이(3) 자체를 경사지게 고정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바로 앞쪽이 아래로 되도록 경사지게 한 후(도 4), 그대로의 상태에서 보다 좌측이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고정한다(도 5). 그러면 왼쪽 앞이 받이 트레이 중 가장 낮은 위치로 되고, 왼쪽 앞에 모이도록 누출된 액재가 흘러내린다. 그리고, 액재를 받는 면(8)으로 경사지도록 성형해도 된다.
검지 장치(4)는, 경사지게 장착된 받이 트레이(3) 중, 가장 낮은 위치인 왼쪽 앞의 가장 깊은 부분(17)에 설치한다. 검지 장치(4)는 장착 및 분리를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설치 방법으로 한다. 장착 및 분리를 간단하게 함으로써, 흘러내려와 받이 트레이(3) 상에 남아 있는 액재나 검지 장치(4)에 부착된 액재를 확실하게 닦아낼 수가 있어, 닦아내고 남아있는 잔재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검지 장치(4)로서는, 본 실시예에서는 누액 검지용의 광학식 센서를 사용하고 있다. 이 종류의 누액 검지 센서는, 투광성의 케이스 내부에, 검출면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투광부와, 검출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있고, 검출면이 액재에 잠기면, 수광부에 입사하는 광의 양이 변화되고, 이에 의해, 누액을 검지한다. 누액 검지 센서는, 검출면이 받이 트레이(3)의 액재를 받는 면(8)에 대략 접하도록 대향하여 설치되고, 센서 설치 위치(17)까지 액재가 흘러내려 오는지를 감시한다.
또한, 검지 장치(4)에는, 같은 광학식의 반사형 광전 센서를 사용해도 된다. 반사형 광전 센서에서는, 센서로부터 나와 검지 대상물로부터 반사되어 오는 광을 수광하여, 그 수광량의 변화에 따라 대상물을 검지한다. 반사형 광전 센서는, 그 투수광면이 받이 트레이(3)의 액재를 받는 면(8)을 마주보도록 어느 정도의 간극을 두고 설치되고, 센서 설치 위치(17)까지 액재가 흘러내려 오는지를 감시한다.
《검지 동작》
검지 장치(4)에 의해 누액을 검지했을 때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토출 유닛(2)의 내부 부품의 마모, 조립 미스 및 조인트의 부적정한 체결 등에 의해, 토출 유닛(2) 본체나, 토출 유닛(2)에 액재를 공급하는 배관이 연결되는 조인트 부분으로부터의 액재의 누락이 발생한 경우를 상정한다. 누출된 액재는, 토출 유닛(2)으로부터 바로 아래에 설치된 받이 트레이(3)의 위로 적하된다. 적하된 액재는, 받이 트레이(3)의 경사에 의해, 가장 낮은 위치인 검지 장치(4)가 설치되어 있는 가장 깊은 부분(17)으로 흘러내려 간다. 액재가 검지 장치(4)의 위치에 흘러내려 오면, 검지 장치(4)가 액재를 검지하고, 검지한 것을 알리는 신호를 발한다. 이 신호를 경보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받으면, 경보를 발해 작업자에게 알린다. 알리는 방법으로서는, 음을 울리거나 표시 등(도시하지 않음)을 점등 또는 점멸하거나 조작 패널(도시하지 않음) 등에 문자를 표시하거나 한다. 이들 경보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조합시켜 사용해도 된다.
또한, 경보를 발하는 동시에, 토출 유닛(2)으로부터의 액재의 토출을 자동적으로 정지하도록 해도 된다. 경보를 해제하는 데는, 토출 유닛(2)의 누액 원인을 제거하고, 받이 트레이(3)에 부착되어 있는 액재를 닦아낸다. 또한, 검지 장치(4)에 액재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병행하여 닦아낸다. 이 때, 검지 장치(4)를 받이 트레이(3)로부터 분리하면, 받이 트레이(3) 및 검지 장치(4) 모두 확실하게 닦아내기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 유닛(2)에 받이 트레이(3)를 직접 장착하는 모드를 설명한다.
도 6과 같이 지지대(15)에 토출 유닛(2)을 설치하고, 도포 장치(1)와는 다른 장소에서 세팅을 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또한 동일한 지지대(15)에 설치하여, 테이블 위 등에서 토출 유닛(2)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받이 트레이(3)를 토출 유닛(2)의 저면에 직접 장착하는 모드가 유용하다. 어느 모드도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받이 트레이(3)와 토출 유닛(2)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형성하여 설치해도 되고, 받이 트레이(3)의 액재를 받는 면(8)의 일부가 토출 유닛(2)의 저면과 접하도록 받이 트레이(3)를 설치해도 된다.
받이 트레이(3)의 장착은, 4개의 고정구(16)에 의해, 토출 유닛(2)의 저면과 외측 프레임의 스탠드부(9) 또는 액재를 받는 면(8)을 접속함으로써 행해진다. 고정구(16)는, 공지의 범용 고정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누액 검지 기구와 같이, 토출 유닛(2)의 저면에 받이 트레이(3)를 직접 장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도포 장치(1)에 탑재하기 전의 토출 유닛(2)으로의 단독 작업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사전의 준비를 함으로써, 도포 장치(1) 에 토출 유닛(2)을 장착하고 나서 작업을 행하지 않고 끝나, 시험이나 준비 등에 걸리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는, 받이 트레이(3)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에서는, 받이 트레이(3)가 가지는 면(8)을 평면으로 하고, 받이 트레이(3) 자체를, 경사지게 장착함으로써 가장 깊은 부분(17)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받이 트레이(3)를 장착 시에 경사지게 하여 고정하지 않아도, 받이 트레이(3) 자체가 경사지도록 미리 성형하고 있다. 즉, 액재를 받는 면(8)은, 수평면과 평행은 되지 않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고, 그 가장 낮은 위치가 가장 깊은 부분(17)을 구성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서, 구체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변형예 1》
변형예 1은, 대략 중앙부에 가장 깊은 부분(17)을 형성한 받이 트레이의 구성예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면(8)을, 경사면의 형상으로 하고, 연직 하향으로 했을 때 가장 깊은 부분(17)이 뿔체의 정점(頂点)을 구성하도록 하고, 도면 중 화살표 측으로 액재가 모이도록 하고 있다. 중앙의 뿔체의 정점에 닿는 부분(17)은, 검지 장치(4)의 검출면과 대략 같은 면적의 수평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앙 평면부가 가장 깊은 부분(17)이 되고, 받이 트레이(3) 상에 적하된 액재는 경사면(8)을 흘러내려 가장 깊은 부분(17)에 모인다. 따라서, 여기에 검지 장치(4)를 설치함으로써, 누액의 양이 적은 경우라도, 확실한 검지를 행할 수 있다. 외측 에지부에는, 도 3과 마찬가지로 외측 프레임의 스탠드부(9)가 형성되 어 있고, 받이 트레이(3) 밖으로의 액재의 유출을 방지하고 있다. 도 7에서는 외측 프레임이 직사각형이며 4개의 경사면(8)을 포함하는 사각뿔형을 하고 있지만, 외측 프레임이 원형의 원추형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가장 깊은 부분(17)은 중앙부에 위치하지 않아도 된다.
《변형예 2》
변형예 2는, 가장 깊은 부분(17)을 바로 앞쪽에 설치한 받이 트레이의 구성예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면(8)을 사각형과 그 사각형의 한 변을 아래 바닥으로 하는 사다리꼴을 조합한 5각형의 형상으로 하고, 이것을 경사면의 형상으로 함으로써, 화살표 측으로 액재가 모이도록 하고 있다. 이 받이 트레이(3) 상에 적하된 액재는, 사다리꼴부의 폭이 좁은 쪽을 향해 흘러내려 간다. 그리고, 흘러내려 감에 따라 폭이 좁아져 가므로, 가장 깊은 부분(17)에서는 액재의 깊이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여기에 검지 장치(4)를 설치함으로써, 누액의 양이 적은 경우라도, 확실한 검지를 행할 수 있다. 액재가 모여 오는 부분의 폭은 검지 장치(4)의 폭과 대략 같은 폭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에지부에는, 받이 트레이(3) 밖으로의 액재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도 3과 동일한 외측 프레임의 스탠드부(9)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의 받이 트레이(3)는, 토출 유닛(2)을 설치한 상태인 채 받이 트레이(3)만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9는 본 실시예의 받이 트레이(3)를 분리해 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토 출 유닛(2)을 장착하는 토출 유닛 장착판(20)에, 받이 트레이(3)를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장착구인 지지구(18)를 설치하고, 그 지지구(18) 상에 받이 트레이(3)를 설치한다.
지지구(18)는, 받이 트레이(3)와의 고정을 느슨하게 했을 때, 받이 트레이(3)가 낙하되지 않도록 아래로부터 받이 트레이(3)를 지지하도록 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지지구(18)는 받이 트레이(3)를 지지하는 면이 U자형을 하고 있고, U자형의 지지구 개구(19)에 토출용 개구부(10)가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토출 유닛(2)은, XY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면서 액체 재료의 토출을 행하므로, 받이 트레이(3)가 어긋나지 않도록 지지구(18)에 의해 지지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받이 트레이(3)와 지지구(18)를, 도시하지 않은 나사 부재에 의해 고정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2와 같이 지지대(15)에 장착되는 구성에 있어서는, 받이 트레이(3)의 저부에 지지구(18)의 지지구 개구(19)와 끼워맞추어지는 볼록부를 형성하고, 결합만으로 지지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받이 트레이(3)만을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토출 유닛(2)에 방해되지 않고 용이하게 받이 트레이(3)의 청소나 유지보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토출 유닛 장착판(20)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접속판(7)이어도 된다. 또한, 실시예 2와 같이, 지지대(15)에 장착되는 토출 유닛 장착판(20)이어도 된다.
[실시예 5]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 부재(7)에 검지 장치(4)를 설치하는 모드를 설명한 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이 트레이(3)는, 나사 부재(21)에 의해 접속 부재(7)에 고정 설치되어, 토출 유닛(2)의 바로 아래에 설치된다. 또한, 받이 트레이(3)는, 접속 부재(7)에 설치된 상태에서, 액재를 받는 면(8)이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를 가진다. 도 10에서는, 우측 안쪽이 가장 낮은 위치인 가장 깊은 부분(17)으로 되고, 누출된 액재는 우측 안쪽에 모이도록 흘러내린다(화살표 12). 그리고, 받이 트레이(3)의 가장 깊은 부분(17)인 우측 안쪽부는, 접속 부재(7)에 설치된 검지 장치(4)와 연결되는 유로(23)와 대략 같은 폭의 개구부를 외측 프레임의 스탠드부(9)의 일부에 설치하고 있다.
검지 장치(4)는, 접속 부재(7)에 설치된 유로(23)에, 검지면이 받이 트레이(3) 측을 향하도록 끼워 설치된다. 유로(23)의 받이 트레이(3)와는 반대측의 면은, 도시하지 않은 실링 부재에 의해 밀봉하여 액재의 유출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받이 트레이(3)의 가장 깊은 부분(17)와 접속 부재(7)의 유로(23)와의 접속 부분도 마찬가지로, 실링 부재에 의해 밀봉하여 액재의 유출을 방지하고 있다.
토출 유닛(2)으로부터 누출된 액재는, 받이 트레이(3) 상에 적하되어, 우측 안쪽의 가장 깊은 부분(17)에 모인다. 가장 깊은 부분(17)에는, 접속 부재(7)에 설치된 유로(23)에 통하는 개구부가 있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액재는 유로(23)를 거쳐 검지 장치(4)까지 달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 부재(7)에 검지 장치(4)를 설치함으로써, 받이 트레이(3)의 크기를 검지 장치(4)가 설치되는 분만큼 작게 할 수 있어,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토출 유닛(2)으로의 작업시에, 검지 장치(4)에 잘못하여 접촉되어 버리는 것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3)
- 테이블 상에 탑재된 공작물과, 상기 공작물과 대향하는 토출 유닛을 상대 이동시켜 액체 재료를 도포하는 도포 장치에 장착 가능한 누액(漏液) 검지 기구로서,상기 토출 유닛의 토출구의 대향 위치에 형성된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토출 유닛의 바로 아래에 설치되는 받이 트레이와, 상기 받이 트레이에 저류된 누액을 검지하는 누액 검지 장치로 구성되는,누액 검지 기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받이 트레이의 외측 프레임을 에워싸는 외측 프레임의 스탠드부(9) 및 상기 개구부를 에워싸는 개구부의 스탠드부(11)를 포함하는, 누액 검지 기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받이 트레이는 누액이 흘러내리는 가장 깊은 부분을 포함하는, 누액 검지 기구.
- 제3항에 있어서,상기 받이 트레이는 가장 깊은 부분과 연결되는 경사면을 가지는, 누액 검지 기구.
- 제3항에 있어서,상기 검지 장치는 상기 받이 트레이의 가장 깊은 부분에 설치되는, 누액 검지 기구.
- 제3항에 있어서,상기 검지 장치는 상기 받이 트레이의 가장 깊은 부분과 연통되는 유로에 설치되는, 누액 검지 기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받이 트레이는, 액재(液材)를 받는 면이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장착되는, 누액 검지 기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받이 트레이는 상기 토출 유닛의 하단부에 직접 장착되는, 누액 검지 기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받이 트레이는 상기 토출 유닛이 장착되는 접속 부재(7)에 설치된 장착구에 의해, 상기 토출 유닛의 바로 아래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누액 검지 기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받이 트레이의 누액을 받는 면(8)은, 발수성(撥水性)을 가지는, 누액 검지 기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검지 장치로부터 발해지는 검지 신호를 수신하여 경보를 발하는 경보 장치를 포함하는, 누액 검지 기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누액 검지 기구와, 액체 재료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가지는 토출 유닛과, 공작물을 탑재하는 테이블과, 상기 공작물과 토출 유닛을 상대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체 재료 도포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누액 검지 기구, 상기 토출 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접속 부재(7)와, 상기 접속 부재(7)에 설치된 상기 누액 검지 기구를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하는 장착구를 포함하는, 액체 재료 도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7-032000 | 2007-02-13 | ||
JP2007032000A JP5073310B2 (ja) | 2007-02-13 | 2007-02-13 | 漏液検知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液体材料塗布装置 |
PCT/JP2008/052098 WO2008099769A1 (ja) | 2007-02-13 | 2008-02-08 | 漏液検知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液体材料塗布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1830A KR20090111830A (ko) | 2009-10-27 |
KR101475251B1 true KR101475251B1 (ko) | 2014-12-22 |
Family
ID=39690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7016089A KR101475251B1 (ko) | 2007-02-13 | 2008-02-08 | 누액 검지 기구 및 이것을 구비한 액체 재료 도포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JP (1) | JP5073310B2 (ko) |
KR (1) | KR101475251B1 (ko) |
CN (1) | CN101605613B (ko) |
HK (1) | HK1135936A1 (ko) |
TW (1) | TWI404572B (ko) |
WO (1) | WO200809976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264006A (zh) * | 2013-04-18 | 2013-08-28 |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 一种印刷机 |
JP6975630B2 (ja) * | 2017-02-27 | 2021-12-01 |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方法 |
CN107367422A (zh) * | 2017-08-07 | 2017-11-21 | 胡国良 | 萃取液泄露检测方法及萃取仪 |
US11131931B2 (en) * | 2018-06-29 | 2021-09-28 |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 Fluidic leakage handling for semiconductor apparatus |
CN110841874A (zh) * | 2019-12-02 | 2020-02-28 |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 一种带擦拭功能的积液盘及辊涂机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4076180A1 (ja) * | 2003-02-28 | 2004-09-10 | Seiko Epson Corporation | 液滴吐出装置及び液滴吐出ヘッドの吐出異常検出・判定方法 |
JP2004361234A (ja) * | 2003-06-04 | 2004-12-24 | Seiko Epson Corp | 液滴吐出評価試験装置 |
JP4032942B2 (ja) * | 2002-11-27 | 2008-01-16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吐出機能液の重量測定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液滴吐出装置、並びに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86121A (ja) * | 1998-02-06 | 1999-10-19 | Canon Inc | インクタンク、該インクタンクを用いる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ヘッド、プリントヘッドカ―トリッジ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装置 |
KR20010020885A (ko) * | 1999-05-24 | 2001-03-15 | 히가시 데쓰로 | 용액공급노즐 및 용액공급장치 |
JP2004243186A (ja) * | 2003-02-12 | 2004-09-02 | Seiko Epson Corp | 長尺体配設構造、液滴吐出装置、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
CN1286645C (zh) * | 2003-02-28 | 2006-11-29 | 精工爱普生株式会社 | 液滴喷出装置及液滴喷出头的喷出异常检测、判断方法 |
JP2006276347A (ja) * | 2005-03-29 | 2006-10-12 | Brother Ind Ltd | 立体画像表示装置 |
-
2007
- 2007-02-13 JP JP2007032000A patent/JP5073310B2/ja active Active
-
2008
- 2008-02-08 KR KR1020097016089A patent/KR10147525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8-02-08 WO PCT/JP2008/052098 patent/WO2008099769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8-02-08 CN CN2008800048709A patent/CN101605613B/zh active Active
- 2008-02-13 TW TW097105003A patent/TWI404572B/zh active
-
2010
- 2010-02-24 HK HK10101918.5A patent/HK1135936A1/xx unkno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032942B2 (ja) * | 2002-11-27 | 2008-01-16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吐出機能液の重量測定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液滴吐出装置、並びに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
WO2004076180A1 (ja) * | 2003-02-28 | 2004-09-10 | Seiko Epson Corporation | 液滴吐出装置及び液滴吐出ヘッドの吐出異常検出・判定方法 |
JP2004361234A (ja) * | 2003-06-04 | 2004-12-24 | Seiko Epson Corp | 液滴吐出評価試験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0843864A (en) | 2008-11-16 |
CN101605613A (zh) | 2009-12-16 |
KR20090111830A (ko) | 2009-10-27 |
TWI404572B (zh) | 2013-08-11 |
JP2008194607A (ja) | 2008-08-28 |
HK1135936A1 (en) | 2010-06-18 |
CN101605613B (zh) | 2012-09-26 |
WO2008099769A1 (ja) | 2008-08-21 |
JP5073310B2 (ja) | 2012-1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75251B1 (ko) | 누액 검지 기구 및 이것을 구비한 액체 재료 도포 장치 | |
US20140298892A1 (en) | Air permeability apparatus | |
KR100957085B1 (ko) | 액정 공급 장치 | |
JPH09192566A (ja) | 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並びに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 |
KR101364674B1 (ko) | 페이스트 도포 헤드, 페이스트 도포 장치 및 페이스트 도포 방법 | |
KR20120101986A (ko) | 청소 부재와 도포기의 청소 방법 및 청소 장치 및 디스플레이용 부재의 제조 방법 | |
CN102806208A (zh) | 粒状体分选装置 | |
US20140137637A1 (en) | Air permeability tester | |
KR20170111934A (ko) | 다층필름 절단용 칼날부 자동 세척 장치 | |
JP2009154088A (ja) | パターン形成装置 | |
KR101844055B1 (ko) | 롤와이퍼 클리닝 장치 | |
JPH11352021A (ja) | 噴射弁の噴霧パターン検査装置 | |
JP2013052350A (ja) | ペースト吐出装置、ペースト塗布装置及びペースト塗布方法 | |
JP6199968B2 (ja) | ノズルヘッド及び液体滴下装置 | |
KR101853609B1 (ko) | 노즐 검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정 디스펜서 | |
JP4331194B2 (ja) | 液剤滴下装置 | |
KR101949121B1 (ko) | 액정적하장치 및 액정적하장치의 이상 토출 감지 방법 | |
KR101201403B1 (ko) | 감지 모듈 | |
CN220596117U (zh) | 一种计量称重机 | |
KR101164561B1 (ko) | 적하 장치 | |
KR101502867B1 (ko) | 헤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정디스펜서 | |
CN220160567U (zh) | 玻璃盘视觉筛分机 | |
JP7546272B2 (ja) | テンション計測装置とテンション計測方法 | |
CN211937649U (zh) | 点胶设备 | |
JP2011161308A (ja) | 液体吐出装置、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及び位置決め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