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867B1 - 헤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정디스펜서 - Google Patents

헤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정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867B1
KR101502867B1 KR1020080107414A KR20080107414A KR101502867B1 KR 101502867 B1 KR101502867 B1 KR 101502867B1 KR 1020080107414 A KR1020080107414 A KR 1020080107414A KR 20080107414 A KR20080107414 A KR 20080107414A KR 101502867 B1 KR101502867 B1 KR 101502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droplet
head
uni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8317A (ko
Inventor
김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80107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867B1/ko
Priority to TW098124211A priority patent/TWI386254B/zh
Priority to CN2009101590113A priority patent/CN101726933B/zh
Publication of KR20100048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액정디스펜서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디스펜서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스테이지; 상기 프레임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지지대; 상기 헤드지지대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유닛; 상기 헤드지지대에 장착되는 제2구동유닛; 상기 헤드지지대에 결합되어 상기 제2구동유닛에 의해 움직이는 헤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장치는 상기 헤드지지대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조립체; 상기 지지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액정흡입구 및 액정토출구를 구비한 실린더조립체; 및 상기 액정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액정을 미세한 입자로 쪼개어 마더기판에 분무시키는 분무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정방울로부터 액정방울조각이 떨어져 나가서, 액정방울이 적하된 지점이 아닌 다른 지점에 액정방울조각이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액정방울에 비해 그 크기와 무게가 작기 때문에, 마더기판과의 충돌시 변형이 적게되어 공기가 순간적으로 입자에 유입되어 갇히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마더기판들 합착후에 액정층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액정방울에 비해 그 크기와 무게가 작기 때문에, 마더기판의 표면에 얼룩이 발생되지 않는다.

Description

헤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정디스펜서{HEAD APPARATUS AND LIQIUD CRYSTAL DISPENS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마더기판에 정의된 단위패널영역에 액정을 적하시키는 액정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장치는 컬러 필터층이 구비된 마더기판과, 구동 소자들이 배열된 마더기판과, 상기 마더기판들을 부착시키는 실런트와, 상기 마더기판들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 표시장치는 액정층을 구성하는 액정분자를 구동소자로 구동하여,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량을 제어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마더기판에 정의된 단위패널영역에, 액정디스펜서를 이용하여 액정을 적하(滴下)시킨다.
상기 액정디스펜서는 단위패널영역에 액정을 설정된 양 만큼 적하시킨다.
도 1 (a),(b),(c)는 종래 액정디스펜서에서 노즐을 통해 액정이 단위패널영역에 적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N)을 마더기판(M)에 정의된 단위패널영 역(U) 상측에 위치시킨 후, 액정을 적하시킨다.
도 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하된 액정방울(D)이 마더기판(M)에 충돌하는 순간, 충격에 의해 액정방울(D)의 형상이 순간적으로 변형된다.
액정방울(D)의 형상이 순간적으로 변형될 때, 액정방울(D)로부터 작은 액정방울조각(P)이 떨어져 나간다. 동시에, 액정방울조각(P)이 떨어져 나가고 남은 자리에는 공기(A)가 순간적으로 유입된 후, 액정방울(D) 내부에 갇히게 된다.
도 1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방울조각(P)이 액정방울(D)로부터 떨어져 나가서 액정방울(D)이 적하된 지점이 아닌 다른 지점에 떨어진다.
일 예로, 액정방울조각(P)이 실런트 위로 떨어지면, 마더기판 합착공정시 마더기판들이 잘 합착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액정방울조각(P)이 단위패널영역(U)을 벗어나서 떨어지게 되며, 단위패널영역(U) 내에 적하된 액정의 총량이 미리 설정된 양보다 적게된다.
한편, 액정방울(D) 내부에 공기(A)가 갇히게 되면, 마더기판들 합착후에 액정층에 기포가 발생한다.
한편, 액정방울(D)의 바닥면이 닿는 마더기판(M)의 표면에는 액정방울(D)의 무게에 눌려서 얼룩(S)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위패널영역내 액정량이 설정된 액정량이 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정에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더기판 표면에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디스펜서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스테이지; 상기 프레임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지지대; 상기 헤드지지대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유닛; 상기 헤드지지대에 장착되는 제2구동유닛; 상기 헤드지지대에 결합되어 상기 제2구동유닛에 의해 움직이는 헤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장치는 상기 헤드지지대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조립체; 상기 지지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액정흡입구 및 액정토출구를 구비한 실린더조립체; 및 상기 액정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액정을 미세한 입자로 쪼개어 마더기판에 분무(噴霧)시키는 분무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디스펜서는, 분무유닛이 액정을 미세한 입자로 쪼개어 마더기판에 분무시킨다. 따라서, 액정이 마더기판에 방울형태로 적하될 때보다 그 크기와 무게가 작은 미세한 입자로 쪼개져서 분무되므로, 액정이 마더기판에 충돌 시 그 충격이 덜하게 된다. 이로 인해, 종래와 달리 액정방울로부터 액정방울조각이 떨어져 나가서, 액정방울이 적하된 지점이 아닌 다른 지점에 액정방울조각이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액정방울조각이 실런트 위로 떨어져, 마더기판 합착공정시 마더기판들이 잘 합착되지 않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액정방울조각이 단위패널영역을 벗어나서 떨어져, 단위패널영역 내 미리 설정된 액정량보다 적하된 액정량이 적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액정방울에 비해 그 크기와 무게가 작기 때문에, 마더기판과의 충돌시 변형이 적게되어 공기가 순간적으로 입자에 유입되어 갇히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마더기판들 합착후에 액정층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액정방울에 비해 그 크기와 무게가 작기 때문에, 마더기판의 표면에 얼룩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디스펜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인 액정디스펜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헤드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액정디스펜서는 프레임(100), 스테이지(110), 헤드지지대(130), 제1구동유닛(140), 제2구동유닛(150), 헤드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0)은 일정 높이와 면적을 갖는다. 상기 프레임(100)의 상면에 스테이지(110)가 설치된다. 상기 스테이지(110)는 프레임(100)의 상면에서 움직이도록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스테이지(110)는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스테이지(110)가 프레임(100)의 상면에서 움직이게 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스테이지(110)는 일정 면적과 두께를 갖는다.
상기 프레임(100)에 제1가이드유닛(160)이 구비된다. 상기 제1가이드유닛(160)은 프레임(100)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두 개의 제1가이드부재(161)들과, 제1가이드부재(161)들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슬라이딩블록(162)을 포함한다.
상기 제1가이드부재(161)들은 각각 단면 형상이 사각이며 일정 길이를 갖는다. 상기 두 개의 제1가이드부재(161)들은 서로 평행하게 위치한다.
상기 스테이지(110)의 하면에 슬라이딩블록(162)들이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100)에 스테이지(110)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가 장착된다. 상기 구동모터는 리니어모터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100)의 상면에 헤드지지대(130)가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헤드지지대(130)에 헤드장치들이 장착된다.
상기 헤드지지대(130)가 움직이기 위하여 프레임(100)에 헤드지지대가 결합되는 제2가이드유닛(17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가이드유닛(170)은 프레임(100)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두 개 의 제2가이드부재(171)들과, 제2가이드부재(171)들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라이딩블록(172)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2가이드부재(171)들은 각각 단면 형상이 사각이며 일정 길이를 갖는다. 상기 제2가이드부재(171)들은 서로 평행하게 위치한다. 상기 제2가이드부재(171)들의 길이 방향은 Y축 방향이다.
상기 제1가이드부재(161)들은 제2가이드부재(171)들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헤드지지대(130)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수평부(131)와, 상기 수평부(131)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수직부(132)들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부(131)는 제2가이드부재(171)들과 수직을 이룬다. 상기 수직부(132)들의 각 단부는 제2슬라이딩블록(172)들에 각각 결합된다. 즉, 하나의 수직부(132)의 단부가 하나의 제2가이드부재(171)에 결합된 하나의 제2슬라이딩블록(172)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수직부(132)의 단부는 다른 하나의 제2가이드부재(171)에 결합된 하나의 제2슬라이딩블록(172)에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100)에 헤드지지대(130)를 움직이는 제1구동유닛(140)이 설치된다. 상기 제1구동유닛(140)은 리니어모터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구동유닛(140)의 다른 실시예로회전모터와 그회전모터의 모터 축에 결합되는 볼 스크류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지지대(130)는 두 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지지대(130)에 하나의 헤드장치 또는 복수 개의 헤드장치들이 설치된다. 상기 헤드장치는 제3가이드유닛(180)에 의해 헤드지지대에 장착된다. 상기 제3가이드유닛(180)에 의해 헤드장치가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3가이드유닛(180)은 수평부(131)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3가이드부재(181)들과, 상기 제3가이드부재(181)들에 각각 결합되는 제3슬라이딩블록(182)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3가이드부재(181)들은 각각 단면 형상이 사각이며 일정 길이를 갖는다. 상기 제3가이드부재(181)들은 서로 평행하며 제3가이드부재(181)는 그 길이 방향이 상기 수평부(131)의 길이 방향과 같도록 설치된다.
상기 헤드지지대에 헤드장치를 움직이는 제2구동유닛(150)이 구비된다.
상기 제3슬라이딩블록(182)들에 헤드장치를 구성하는 지지조립체(200)가 결합된다.
도 4는 도 3의 실린더조립체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장치는 지지조립체(200), 실린더조립체(300), 피스톤(400), 액정공급유닛(500), 회전구동유닛(700), 직선구동유닛(800), 분무유닛(90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조립체(200)는 일정 면적을 가지며 제3슬라이딩블록(182)들에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210)와, 제1지지부재(2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220)와, 제2지지부재(220)에 결합되는 지지케이스(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지지부재(220)는 지지케이스(230)와 제1지지부재(210)를 일정 간격떨어뜨린다.
상기 지지케이스(230)는 일정 면적을 가지며 내부에 구멍(231)이 구비된 배면판(232)과, 배면판(232)의 양측단부에 결합된 양측판(233)과, 배면판(232)의 하 부에 결합된 하부부재(234)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유닛(240)은 하부부재(234)의 하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는 고정볼트(241)들과, 고정볼트(241)들에 각각 체결되는 고정너트(24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볼트(241)는 두 개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구동유닛(150)은 리니어모터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유닛(240)에 실린더조립체(3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실린더조립체(300)는, 체결유닛(240)에 착탈되는 착탈홈(311)들이 구비된 실린더블록(310)과, 피스톤(400)이 삽입되는 펌핑홀(321)과 펌핑홀(321)과 각각 연통된 액정흡입구(322) 및 액정토출구(323)가 구비되며 실린더블록(310)에 삽입되는 실린더(320)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320)의 하면에 상기 펌핑홀(321)을 덮는 복개부재(340)가 구비된다.
상기 복개부재(340)는 펌핑홀(321) 내부를 볼 수 있게 투명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블록(310)을 체결유닛(240)에 고정시, 고정볼트(241)들을 각각 실린더블록(310)의 착탈홈(311)들에 삽입한 후, 고정너트(242)들을 돌려 실린더블록(310)을 하부부재(234)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실린더블록(310)을 체결유닛(240)으로부터 분리시, 고정너트(242)들을 풀고, 고정볼트(241)들을 실린더블록(310)의 착탈홈(311)들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 실린더(320)의 펌핑홀(321)에 피스톤(400)이 삽입된다.
상기 피스톤(400)은 일정 길이와 외경을 가지는 펌핑부(410)와, 펌핑부(410)의 일측 단부에 연장 형성된 착탈부(420)로 구성된다.
상기 펌핑부(410)의 한쪽에 그 외주면의 일부분이 커팅되어 형성된 절단부(430)가 구비된다.
상기 절단부(430)가 액정흡입구(322)와 대면될 때 액정흡입구(322)는 오픈되며 액정토출구(323)는 펌핑부(410)의 외주면에 의해 닫히게 된다. 그리고 그 절단부(430)가 액정토출구(323)와 대면될 때 그 액정토출구(323)가 오픈되며 액정토출구(323)는 펌핑부(410)의 외주면에 의해 닫히게 된다.
상기 실린더(320)의 액정흡입구(322)에 액정공급유닛(500)이 연결된다.
상기 액정공급유닛(500)은, 지지케이스(230)에 장착되는 받침대(510)와, 받침대(510) 내부에 놓여지며 내부에 액정이 채워진 액정병(520)과, 액정병(520)과 실린더(320)의 액정흡입구(322)를 연결하여 액정병(520)의 액정을 액정흡입구(322)로 안내하는 제1튜브(53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구동유닛(700)의 회전축(705)에 피스톤(400)의 착탈부(4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피스톤(400)이 회전구동유닛(700)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회전구동유닛(700)이 피스톤(400)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케이스(230)에 상기 회전구동유닛(700)을 상 또는 하로 움직이는 직선구동유닛(800)이 구비된다.
상기 직선구동유닛(800)은, 회전구동유닛(700)을 구성하는 베이스부재(710) 의 후면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배면판(232)의 구멍(231)을 통해 돌출된 이동부재(810)와, 배면판(232)의 상부에 구비된 제1고정부재(820)와, 배면판(232)의 하부에 구비된 제2고정부재(830)와, 제1고정부재(820)에 장착된 제3회전모터(840)와, 이동부재(810)와 제2고정부재(830)에 연결되며 제3회전모터(84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이동부재(810)를 상 또는 하로 움직이는 볼 스크류(850)를 포함한다.
상기 분무유닛(900)은 액정토출구(323)를 통해 토출된 액정을 미세한 입자로 쪼개서 마더기판(M, 도 7참조)에 적하한다.
도 5는 도 3의 실린더조립체의 액정토출구와 튜브로 연결된 분무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990)로 분무유닛(900)과 액정토출구(323)를 연결하고, 분무유닛(900)은 받침대(980)에 설치된다. 받침대(980)는 지지조립체(200, 도 3참조)에 결합된다.
도 6은 도 5의 분무유닛의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분무유닛을 통해 단위패널영역에 액정이 미세한 입자로 쪼개져 분무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무유닛(900)은, 액정이 유입되는 입구(911)와 미세한 입자가 분무되는 출구(912)가 구비된 케이스(910); 입구(911)와 출구(912)를 연결하는 연결관(920); 연결관(920)을 진동시키는 압전소자(930); 압전소자(9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940); 연결관(920)과 입구(911)에 개재되어 있는 제1흡진부재(951); 및 연결관(920)과 출구(912)에 개재되어 있는 제2흡진부 재(952)로 구성된다.
상기 입구(911)는 액정토출구(323)와 튜브(990)로 연결된다.
상기 튜브(990)와 입구(911)를 통해서, 액정토출구(323)로부터 토출된 액정이 연결관(92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압전소자(930)는 도넛형태를 가지며, 연결관(920)에 삽입되어 연결관(920)의 외주면에 부착된다. 물론 압전소자(930)가 연결관(920)을 진동시킬 수 만 있다면 어떠한 형태를 가져도 무관할 것이다.
상기 압전소자(930)는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바꾸어, 연결관(920)을 진동시킨다.
상기 전선(940)을 통해 압전소자(930)에 공급된 전원의 주파수가 올라갈 수록, 연결관(920)이 더욱 빨리 진동하게 된다. 상기 연결관(920)는 초음파에 상당하는 주파수(20KHz이상)로 진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관(920)이 진동하면, 액정(L)은 연결관(920)을 통과하면서, 미세한 입자(C)로 쪼개진다.
상기 출구(912)를 통해 미세한 입자(C)가 분무된다.
상기 제1흡진부재(951)와 제2흡진부재(952)는 연결관(920)이 진동할 때, 케이스(910)도 함께 진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제1흡진부재(951)와 제2흡진부재(952)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케이스(910)도 함께 진동한다.
상기 제1흡진부재(951)와 제2흡진부재(952)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고무재 질이다.
이하, 마더기판에 정의된 단위패널영역에 액정이 분무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구동유닛(700)이 작동하여 피스톤(400)의 절단부(430)가 실린더(320)의 액정흡입구(322)와 대면되도록 피스톤(400)을 회전시킨다. 상기 피스톤(400)의 절단부(430)가 실린더(320)의 액정흡입구(322)와 대면된 상태에서 회전구동유닛(700)의 작동이 정지된다.
상기 직선구동유닛(800)이 작동하여 회전구동유닛(700)을 위로 이동시킨다. 상기 회전구동유닛(700)이 위로 설정된 거리만큼 움직임에 따라 피스톤(400)이 그 회전구동유닛(700)과 함께 위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400)이 위로 움직임에 따라 펌핑홀(321)의 내주면과 피스톤(400)의 끝면 그리고 복개부재(340)의 상면에 의해 형성되는 액정흡입공간이 커지면서 그 공간과 공간 밖(액정병 내부)의 압력차에 의해 액정공급유닛(500)의 액정병(520)에 채워진 액정이 제1튜브(530)와 액정흡입구(322)를 통해 그 공간으로 흡입된다.
상기 피스톤(400)이 설정된 거리만큼 위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직선구동유닛(800)의 작동이 정지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구동유닛(700)이 작동하여 상기 피스톤(400)의 절단부(430)가 실린더(320)의 액정토출구(323)와 대면되도록 상기 피스톤(400)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피스톤(400)의 절단부(430)가 상기 실린더(320)의 액정토출구(323)와 대면된 상태에서 회전구동유닛(700)의 작동이 정지된다.
상기 직선구동유닛(800)이 작동하여 회전구동유닛(700)을 아래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시킨다. 상기 회전구동유닛(700)이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피스톤(400)이 아래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한다.
상기 피스톤이 아래로 설정된 거리만큼 연속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피스톤(400)의 펌핑홀(321)의 내주면과 피스톤(400)의 끝면 그리고 복개부재(340)의 상면에 의해 형성되는 액정흡입공간이 점점 작아지면서 그 공간에 채워진 액정이 액정토출구(323)를 통해 토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액정토출구(323)를 통해 토출된 액정이, 튜브(990)와 분무유닛(900)의 입구(911)를 통해서, 연결관(920)으로 유입된다.
상기 압전소자(930)는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바꾸어, 연결관(920)을 초음파에 상당하는 주파수(20KHz이상)로 진동시킨다.
상기 연결관(920)이 진동하면, 연결관(920)을 통과하는 액정(L)은 점차 미세한 입자(C)로 쪼개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L)이 연결관(920)을 통과하면서 미세한 입자(C)로 쪼개져 출구(912)를 통해 단위패널영역(U)에 분무된다.
도 8은 4개의 단위패널영역(U)들이 정의된 마더기판(M), 각 단위패널영역(U)들 마다 정의된 4개의 지점들에, 액정이 분무유닛을 통해 분무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무유닛을 통해 분무된 액정(L)은 설정된 지점들마다, 미세한 입자(C)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도 1 (a),(b),(c)는 종래 액정디스펜서에서 노즐을 통해 액정방울이 단위패널영역에 적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인 액정디스펜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헤드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실린더조립체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도 3의 실린더조립체의 액정토출구와 튜브로 연결된 분무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분무유닛의 정단면도,
도 7은 도 5의 분무유닛을 통해 단위패널영역에 액정이 미세한 입자로 쪼개져 분무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4개의 단위패널영역(U)들이 정의된 마더기판(M), 각 단위패널영역(U)들 마다 정의된 4개의 지점들에, 액정이 분무유닛을 통해 분무된 도면이다.

Claims (7)

  1. 액정흡입구 및 액정토출구가 구비된 실린더조립체; 및
    상기 액정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액정을 미세한 입자로 쪼개어 마더기판에 분무(噴霧)시키는 분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분무유닛은,
    액정이 유입되는 입구와, 미세한 입자가 분무되는 출구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입구와 출구를 연결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을 진동시키는 압전소자; 및
    상기 압전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을 포함하는 헤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이 진동될 때, 상기 입구로 유입된 액정은 그 연결관을 통과하면서 점차 미세한 입자로 쪼개져 상기 출구로 분무되는 헤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에 공급된 전원의 주파수가 올라갈 수록,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연결관을 더욱 빨리 진동시키는 헤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연결관을 초음파에 상당하는 주파수(20KHz이상)로 진동시키는 헤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유닛은,
    상기 연결관과 상기 입구에 개재된 제1흡진부재; 및
    상기 연결관과 상기 출구에 개재된 제2흡진부재;를 더 포함하는 헤드장치.
  7.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스테이지;
    상기 프레임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지지대;
    상기 헤드지지대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유닛;
    상기 헤드지지대에 장착되는 제2구동유닛;
    상기 헤드지지대에 결합되어 상기 제2구동유닛에 의해 움직이는 헤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장치는 상기 헤드지지대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조립체;
    상기 지지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액정흡입구 및 액정토출구를 구비한 실린더조립체; 및
    상기 액정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액정을 미세한 입자로 쪼개어 마더기판에 분무시키는 분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분무유닛은, 액정이 유입되는 입구와, 미세한 입자가 분무되는 출구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입구와 출구를 연결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을 진동시키는 압전소자, 및 상기 압전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디스펜서.
KR1020080107414A 2008-10-30 2008-10-30 헤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정디스펜서 KR101502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414A KR101502867B1 (ko) 2008-10-30 2008-10-30 헤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정디스펜서
TW098124211A TWI386254B (zh) 2008-10-30 2009-07-17 噴塗裝置及具有此噴塗裝置之液晶塗佈機
CN2009101590113A CN101726933B (zh) 2008-10-30 2009-07-29 喷射装置和具有该喷射装置的液晶涂布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414A KR101502867B1 (ko) 2008-10-30 2008-10-30 헤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정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317A KR20100048317A (ko) 2010-05-11
KR101502867B1 true KR101502867B1 (ko) 2015-03-18

Family

ID=42275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414A KR101502867B1 (ko) 2008-10-30 2008-10-30 헤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정디스펜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02867B1 (ko)
CN (1) CN101726933B (ko)
TW (1) TWI3862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753B1 (ko) * 2012-05-21 2019-08-19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액정토출노즐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7666A (ja) * 2001-08-10 2003-02-26 Sharp Corp 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そ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システム
JP2005265689A (ja) * 2004-03-19 2005-09-29 Olympus Corp 液体吐出ヘッド及び液体吐出ヘッドの駆動方法並びに液体分注装置
JP2006077252A (ja) 2005-09-09 2006-03-23 Optonix Seimitsu:Kk 加圧振動及び噴射造粒による超微粒子
KR20070073478A (ko) * 2006-01-05 2007-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적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31774B (en) * 2001-10-17 2005-05-01 Musashi Engineering Inc Delivering method and apparatus of liquid material
KR100700176B1 (ko) * 2002-12-18 2007-03-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패널의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노즐과 기판의갭 제어방법
TW587019B (en) * 2003-07-25 2004-05-11 Tzung-Shing Liu Liquid droplet injection control system integrating surface tension micro-valv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7666A (ja) * 2001-08-10 2003-02-26 Sharp Corp 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そ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システム
JP2005265689A (ja) * 2004-03-19 2005-09-29 Olympus Corp 液体吐出ヘッド及び液体吐出ヘッドの駆動方法並びに液体分注装置
JP2006077252A (ja) 2005-09-09 2006-03-23 Optonix Seimitsu:Kk 加圧振動及び噴射造粒による超微粒子
KR20070073478A (ko) * 2006-01-05 2007-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적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86254B (zh) 2013-02-21
CN101726933A (zh) 2010-06-09
CN101726933B (zh) 2011-12-14
TW201016322A (en) 2010-05-01
KR20100048317A (ko) 201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0358B2 (ja) フィルタ洗浄装置及びフィルタ洗浄方法
CN104364526A (zh) 鼓风机
KR101502867B1 (ko) 헤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정디스펜서
CN1991533A (zh) 用于液晶显示装置的液晶滴注设备
JP6582238B2 (ja) 液体吐出装置
KR101475251B1 (ko) 누액 검지 기구 및 이것을 구비한 액체 재료 도포 장치
KR100971140B1 (ko) 액정 디스펜서의 피스톤 및 그 제작 방법 그리고 그를 구비한 액정 디스펜서의 실린더 조립체
KR100754152B1 (ko) 울트라소닉을 이용한 평판디스플레이 글라스 및 필름의무기성 이물질 세정유닛
KR200451159Y1 (ko) 압력 완충부가 구비된 초음파 분무기
KR101968835B1 (ko) 스크러버 장치
JP5524637B2 (ja) 微小液滴吐出装置
JP6646809B2 (ja) 液体吐出用の吐出ノズル
KR101502868B1 (ko) 헤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정디스펜서
US869102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wafer-shaped articles
KR101665051B1 (ko) 액정 무게 측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액정 디스펜서
TWI531834B (zh) 塗佈機之平台以及控制塗佈機之平台及塗佈頭單元移動之方法
KR101116137B1 (ko) 액정 분사 방법 및 이를 채택한 액정 디스펜싱 장치
KR101611333B1 (ko) 분수식 초음파 세정 장치
KR20090129420A (ko) 노즐, 드라이 클리너 및 드라이 클리너 시스템
CN216965309U (zh) 一种金矿石筛选装置
JP5044740B2 (ja) 超音波エタノール分離装置
JP3134678B2 (ja) ボンド塗布方法
KR101110031B1 (ko) 이물질 제거장치
KR102665245B1 (ko) 마찰교반용접 툴의 클리닝 장치 및 방법
KR20110067210A (ko) 액정 디스펜서용 액정 분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액정 디스펜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