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013B1 -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013B1
KR101475013B1 KR1020080138145A KR20080138145A KR101475013B1 KR 101475013 B1 KR101475013 B1 KR 101475013B1 KR 1020080138145 A KR1020080138145 A KR 1020080138145A KR 20080138145 A KR20080138145 A KR 20080138145A KR 101475013 B1 KR101475013 B1 KR 101475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lyamide resin
parts
resin composition
maleic anhyd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9611A (ko
Inventor
박지혁
박은하
구본창
Original Assignee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8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013B1/ko
Publication of KR20100079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0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수지에 폴리스티렌 수지 및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이미드/스티렌을 도입하여 우수한 특성을 발현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매우 경제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종래 폴리아미드 수지의 단점인 치수안정성 및 수분흡수율을 개선시키고 내열 특성,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이러한 특성이 요구되는 자동차 부품 및 전기전자 부품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폴리아미드, 무수말레인산, 나노클레이

Description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Polyamid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아미드 수지에 폴리스티렌 수지 및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이미드/스티렌을 도입함으로써 경제적인 방법에 의행 제조될 수 있으면서 종래 폴리아미드 수지의 단점인 치수안정성 및 수분흡수율을 개선시키고, 내열 특성,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 저하를 방지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나일론 수지로 널리 알려져 있는 폴리아미드 수지는 강성, 유연성, 내마모성, 내용제성, 도장성 등에 있어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서 우수한 특성을 갖추고 있어 자동차, 전기, 전자부품 등의 각종 분야에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비강화시 열변형 온도가 낮고, 수분흡수율이 높아 내충격 특성이 저하되고 성형수축율이 커서, 부피가 크고, 길이가 긴 제품에 대해 용도가 제한되거나, 취급상의 문제점을 야기시켜 왔다.
이에 치수안정성 및 흡습율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와 적절하게 용융, 혼합하는 기술이 많이 개발되었다. 일본국 특개소 제62-158740호, 일본국 특개소 제60-110740호가 그러하며, 특히 미합중국 특 허 제4,496,690호에서는 이 두 수지의 상용화제로 아크릴아미드가 공중합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상분리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열변형 온도, 치수안정성을 증가시켰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 제2007-0050608호에서는 상용화제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제1994-157903호에서는 내충격성과 저흡수성 향상을 위하여 폴리아미드와 변성폴리프로필렌, 스틸렌-말레이미드계 공중합 기술을 적용하였고, 대한민국 공개 제1995-0000801호와 일본국 제1993-214245호는 치수, 성형가공성, 내약품성 개선을 위하여 폴리아미드와 폴리페닐렌에테르/스티렌 공중합체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나일론의 열변형 온도 상승과 관련된 기술로 일본국 제1994-041388호와 미합중국 제6136908호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상세히 검토해 보면, 단순히 각각의 제안하는 특성 강화를 위해서는 나름대로 그 기술적 가치가 있을 수 있으나, 폴리아미드 비강화 수지의 본질적인 단점인 치수안정성과 높은 수분흡수율을 경제적으로 보완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다. 치수안정성 및 수분흡수율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와 적절하게 용융, 혼합하는 기술은 폴리스티렌 적용하는 경우에는 비용이 상승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며, 상온 충격강도와 치수안정성을 증가시키지만 신율, 내열성 및 흐름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나타내고, 특히 열변형 온도가 낮아진다. 또한, 스티렌-말레이미드 공중합물,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사용은 수지의 점도를 상승시켜 흐름성이 저하되어 표면 문제 및 충격강도 저하 발생 가능성이 크며, 비용 상승의 단점이 있다. 한편, 나일론의 내열특성 향상을 위하여 나노복합재를 사용한 기술은 내열 특성은 향상되나 충격 강도가 좋지 않으며 치수안정 및 수분흡수율 보완과는 무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강성, 유연성, 내마모성, 내화학성, 도장성이 뛰어나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널리 사용되는 폴리아미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스티렌 수지 10 내지 100 중량부,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이미드/스티렌 5 ~ 50 중량부,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5 ~ 20 중량부, 5 내지 30 나노미터 사이즈의 무기충전재 0.1 ~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인장강도, 충격강도 및 열변형 온도를 유지하면서, 치수안정성, 수분흡수율이 종래 폴리아미드 수지 대비하여 우수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치수안정성 및 수분흡수율이 아주 뛰어나 자동차 내/외장용 부품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스티렌 수지 10 내지 100 중량부, 중량평균분자량이 120000 ~ 170000인 하기 화학식 1인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이미드/스티렌 5 ~ 50 중량부,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스티렌/에틸 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5 ~ 20 중량부 및 5 내지 30 나노미터 사이즈의 무기충전재 0.1 ~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8090984552-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m, n은 서로 같거나 다른 0이 아닌 정수, R1은 탄소수가 6인 방향족기, R2는 탄소수가 6인 방향족 또는 탄소수가 6 ~ 8인 알킬기이며, R3는 산소원자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나일론6 및 나일론66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스티렌 수지는 폴리스티렌 수지 또는 폴리스티렌 수지를 함유하는 비결정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이미드/스티렌은 무수말레인산이 0.5 ~ 3 중량%의 범위로 그라프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는 무수말레인산이 0.5 ~ 3 중량%의 범위로 그라프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무기충전재는 크기가 5 ~ 30 ㎚인 클레이, 마이카 및 실리케이트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ASTM 평가법 D 570에 규정된 시험편으로 60 ℃, 100 %RH(120 hr 경과후)에서의 수분흡수율이 1.9 % 이하이고, ASTM 평가법 D 955에 의한 흐름방향으로의 성형수축율이 1.4 % 이하이고, ASTM 평가법 D 648에 의한 4.6 kgf/cm2 하중 하에서의 열변형온도가 150 ℃ 이상이고, ASTM 평가법 D 638에 의한 인장강도가 550 kg/cm2 이상이고, ASTM D 256에 의한 충격강도가 15 kg.cm/cm 이상인 물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아미드 수지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나일론 6, 나일론 66, 또는 그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나일론 6, 나일론 66은 상대점도 2.3 내지 4.2(20 ℃, 96 % 황산 100 ㎖ 중 폴리머 1 g 용액으로 측 정한 값을 기준으로 함)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대점도가 2.3 미만이면 강성 및 치수안정성 향상 측면에서 그 효과가 미비하고, 4.2 초과이면 유동성의 저하로 인한 표면 불량 및 미성형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일론 6, 나일론 66의 평균 중합도는 200 내지 20,000인 것을 사용하여 최종 수지 조성물의 우수한 기계적 강성, 치수안정성, 표면 특성 및 내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수지는 최종 수지 조성물 제조를 위하여, 칩(chip) 형태로 만들어 제습형 건조기에서 충분히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스티렌 수지는 폴리스티렌 단독 혹은 폴리스티렌 수지를 90 중량% 이상 함유하는 비결정성 수지인 것을 사용한다.
폴리스티렌 단독 혹은 폴리스티렌 수지를 90 중량% 이상 함유하는 비결정성 수지는 폴리아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0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 중량부를 사용한다. 첨가량이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치수안정성 및 수분흡수율 감소 효과가 부족하고 100 중량부 초과일 경우에는 열변형 온도 및 인장강도 저하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이미드/스티렌 공중합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20000 ~ 170000인 하기 화학식 1과 같은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90984552-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m, n은 서로 같거나 다른 0이 아닌 정수, R1은 탄소수가 6인 방향족기, R2는 탄소수가 6인 방향족 또는 탄소수가 6 ~ 8인 알킬기이며, R3는 산소원자이다.
중량평균분자량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모세관 점도계를 사용하여 액체의 점도를 결정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고분자의 분자량을 측정하는 방법, 전기이동법 (SDS-PAGE), 비휘발성 물질의 분자량측정(라울의 법칙을 이용), Victor Meyer법, 끓는점 오름법, 어는점 내림법 ( 빙점강하에의한 분자량측정) 및 겔여과법 (GPC)이 사용되는 데 본 발명에서는 겔여과법(GPC)을 사용하여 질량분자량을 측정하였다.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 된 이미드/스티렌 공중합 수지는 5 내지 5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부를 사용한다. 첨가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수분흡수율 감소 및 열변형 온도 강화 효과가 부족하고, 50 중량부 초과하는 경우에는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 저하의 문제가 발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미드/스티렌 공중합 수지는 무수말레인산이 0.5 내지 3 중량%의 범위에서 그라프트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폴리아미드와 폴리스티렌 수지의 상용성이 부족하여 기계적 특성 및 표면 특성의 저하가 발생하며, 3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비용 대비 충분한 효과를 발현 할 수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고무질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를 사용한다.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는 폴리아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3 중량부를 사용한다. 첨가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폴리아미드와 폴리스티렌 수지의 상용성이 부족하여 열변형 온도 및 충격강도 저하의 문제가 발생하고, 20 중량부 초과일 때는 비용 대비 충분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수지의 인장강도 및 유동성이 저하된다.
상기 공중합체는 무수말레인산이 0.5 내지 3 중량%의 범위에서 그라프트 되는데 0.5 중량% 미만일 때는 폴리아미드와의 상용성이 부족하고, 3 중량% 초과일 때는 비용 대비 충분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무기충전재는 5 ~ 30 나노미터 크기의 클레이, 마이카, 실리케이트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무기충전재는 그 입자가 판상형의 종횡비가 수백 이상으로 충분히 크면 더 유리하다. 0.1 내지 2 중량부를 사용하는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부를 사용하고, 0.1 중량부 미만 을 사용할 때는 열변형 온도와 치수안정성 향상 효과가 미비하고, 2 중량부 초과 사용할 때는 인장강도, 충격강도 및 표면 특성이 저하된다.
한편,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스티렌 수지 10 내지 100 중량부,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이미드/스티렌 공중합 수지 5 내지 50 중량부,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5 내지 20 중량부, 5 내지 30 나노미터 사이즈의 무기충전재 0.1 내지 2 중량부를 첨가한 후에 용융 혼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한 가지 일례에서, 본 발명의 각 구성 성분은 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함으로써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조성물의 혼련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혼합기로는 2축 스크류압출기를 사용하여 245 ~ 275 ℃에서 혼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스크류압출기의 조성물의 투입구에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스티렌,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이미드/스티렌 공중합 수지,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고무질 공중합체, 5 내지 30 나노미터 사이즈의 무기충전재를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용융 혼련시에 조성물의 열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체류시간을 최소화하고 본 조성물에서 분산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스크류 회전수 조절이 필요한데 200 ~ 300 rpm 정도의 회전수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을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도어 트림, 자동차 내/외장용 부품 커버 또는 퓨즈박스 등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강성, 유연성, 내마모성, 내용제성 및 도장성 뿐만 아니라, 치수안정성, 수분흡수율, 내열특성,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하여 이러한 특성이 요구되는 성형품에 적합하다. 이러한 특성이 요구되는 성형품으로는 자동차 부품 소재가 대표적인데, 주로 도어트림 및 내/외장용 커버류에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전기부품인 퓨즈박스 제조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에 본 발명의 범주가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관련 실시예 및 비교예는 하기와 같이 실시하고, 그에 따라 제조된 수지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평가 방법에 의거하여 각각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9.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의 각 성분들 폴리아미드 50 kg을 사용하여, 245 ℃ 내지 275 ℃로 가열된 이축 압출기 내에서 용융 혼련한 후 칩(Chip)상태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조성물을 85 ℃, 6 시간 제습형 건조기를 이용 건조하여 가열된 스크 류식 사출기를 이용, 용융 혼련 때와 동일한 온도로 각각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단위: 중량부)
구 분 폴리아미드 폴리스티렌 이미드/스티렌
공중합체1 )
고무질
공중합체2 )
나노
클레이3 )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70
10
100
10
100
100
10
100
10
20
10
20
5
50
20
20
20
20
13
10
10
10
10
5
20
5
20
1.0
0.5
0.5
0.5
2.0
2.0
0.5
0.1
2.0
1) 무수말레인산이 1 중량% 그라프트된, 중량평균분자량 150000인 이미드/스티렌 공중합체, 2) 무수말레인산이 2중량% 그라프트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3) 20 나노미터의 클레이
비교예 1-10.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상기 실시예 1-9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의 시험용 시편을 제작하였다.
(단위: 중량부)
구 분 폴리아미드 폴리스티렌 이미드/스티렌
공중합체1 )
고무질
공중합체2 )
나노
클레이3 )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4 )
비교예105 )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5
120
100
10
100
100
100
100
100
100
5
5
3
70
20
5
5
10
50
50
5
5
5
20
25
2
5
5
20
20
0.1
0.1
0.1
2.0
0.1
0.1
0.05
2.5
1.0
1.0
1) 무수말레인산이 1 중량% 그라프트된, 중량평균분자량 150000인 이미드/스티렌 공중합체, 2) 무수말레인산이 2 중량% 그라프트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3) 20 나노미터의 클레이, 4) 무수말레인산이 0.3 중량% 그라프트된, 중량평균분자량 150000인 이미드/스티렌 공중합체 적용, 5) 무수말레인산이 0.3 중량% 그라프트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적용
시험예 . 제조된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물성
실시예 1-9 및 비교예 1-10의 제조된 수지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평가 방법에 의거하여 각각의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1) 수분흡수율 : ASTM 평가법 D 570에 규정된 시험편으로 60 ℃,100 %RH에서 120 hr 경과 후에 수분흡수 정도를 측정하였다.
2) 성형수축율 : ASTM 평가법 D 955에 의해 1/8 inch 원판시험편 흐름방향으로의 성형수축율을 측정하였다.
3) 열변형온도 : ASTM 평가법 D 648에 의한 4.6 kgf/cm2 하중 하에서 1/4 inch 시험편의 열변형 온도를 측정하였다.
4) 인장강도: ASTM 평가법 D 638에 의거, 1/8 inch 시편을 제작한 후 측정하였다.
5) 충격강도: ASTM 평가법 D 256에 의거, 1/4 inch 시편을 제작한 후 측정하였다.
구 분 수분흡수율
(%)
성형수축율
(%)
열변형온도
(℃, 4.6kgf/cm2)
충격강도
(kg.cm/cm)
인장강도
(kg/cm2)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1.4
1.9
1.2
1.9
1.2
1.2
1.8
1.3
1.9
1.0
1.3
0.9
1.4
0.8
0.8
1.3
0.8
1.4
200
205
160
210
195
165
210
150
220
23
20
22
24
15
15
30
18
21
670
720
600
710
570
550
750
570
700
구 분 수분흡수율
(%)
성형수축율
(%)
열변형온도
(℃, 4.6 kgf/cm2)
충격강도
(kg.cm/cm)
인장강도
(kg/cm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2.2
1.0
1.5
1.9
1.2
1.2
1.3
1.3
1.3
1.3
1.8
0.6
1.0
1.4
0.8
0.8
1.0
0.8
0.8
0.8
165
140
135
230
195
130
143
160
140
180
16
15
17
13
27
13
17
13
16
12
710
670
570
560
530
580
575
520
530
535
실시예 1-9의 물성에 대한 시험결과는 상기 표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하기 위한 물성을 모두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 1-10의 물성에 대한 시험결과는 상기 표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수분흡수율이 1.9 %를 초과하거나, 성형수축율이 1.4 %를 초과하거나, 열변형 온도가 150 ℃ 미만이거나, 충격강도가 15 kg.cm/cm 미만이거나, 인장강도가 550 kg/cm2 미만인 경우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물성을 만족하지 않는다. 그러나, 실제 제품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모든 물성이 만족해야만 하므로, 실시예 1-9의 경우가 비교예 1-10에 비하여 물성이 우수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경우임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폴리아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스티렌 수지 10 내지 100 중량부, 중량평균분자량이 120000 ~ 170000인 하기 화학식 1인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이미드/스티렌 5 ~ 50 중량부,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5 ~ 20 중량부 및 5 내지 30 나노미터 사이즈의 무기충전재 0.1 ~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90984552-pat00003
    m, n은 서로 같거나 다른 0이 아닌 정수, R1은 탄소수가 6인 방향족기, R2는 탄소수가 6인 방향족 또는 탄소수가 6 ~ 8인 알킬기 및 R3는 산소원자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나일론6 및 나일론66 중에서 선 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스티렌 수지는 폴리스티렌 수지 또는 폴리스티렌 수지를 함유하는 비결정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이미드/스티렌은 무수말레인산이 0.5 ~ 3 중량%의 범위로 그라프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는 무수말레인산이 0.5 ~ 3 중량%의 범위로 그라프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충전재는 크기가 5 ~ 30 ㎚인 클레이, 마이카 및 실리케이트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 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자동차 도어트림, 자동차 내/외장용 부품 커버 또는 퓨즈박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080138145A 2008-12-31 2008-12-31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101475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145A KR101475013B1 (ko) 2008-12-31 2008-12-31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145A KR101475013B1 (ko) 2008-12-31 2008-12-31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611A KR20100079611A (ko) 2010-07-08
KR101475013B1 true KR101475013B1 (ko) 2014-12-23

Family

ID=42640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145A KR101475013B1 (ko) 2008-12-31 2008-12-31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0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4218A (ko) * 1993-11-02 1995-06-15 구창남 폴리아미드·올레핀계 수지조성물
KR19980055643A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폴리아미드와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수지조성물
KR20050088660A (ko) * 2004-03-02 2005-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충격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658450B1 (ko) * 2001-09-19 2006-12-15 주식회사 코오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4218A (ko) * 1993-11-02 1995-06-15 구창남 폴리아미드·올레핀계 수지조성물
KR19980055643A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폴리아미드와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수지조성물
KR100658450B1 (ko) * 2001-09-19 2006-12-15 주식회사 코오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20050088660A (ko) * 2004-03-02 2005-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충격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611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9282B2 (ja) ポリエーテルイミドスルホンと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とのブレンド
JP2736279B2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
KR20170039015A (ko)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플라스틱 성형체
KR101439143B1 (ko) 휠커버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101475012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101475013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JPH03231969A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EP1362080A1 (en)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KR101187193B1 (ko) 내충격성이 향상된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고분자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성형품
CN107226930B (zh) 树脂组合物、树脂成型体以及制备树脂组合物的方法
KR101476502B1 (ko) 도장성이 뛰어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26089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023501072A (ja) ポリエステル用熱安定剤
KR10195152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CN106009049B (zh) 树脂组合物和树脂成型体
JP6524630B2 (ja) 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形体
JP2016183283A (ja) 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形体
JP4265328B2 (ja)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JPH03285954A (ja) 軽量化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JP6790394B2 (ja) 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形体
JP6968322B1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6968321B1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WO2006037755A1 (en) Sulfone polymer composition
KR20140092455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US20220177633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