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956B1 -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폐기물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폐기물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4956B1 KR101474956B1 KR20140095581A KR20140095581A KR101474956B1 KR 101474956 B1 KR101474956 B1 KR 101474956B1 KR 20140095581 A KR20140095581 A KR 20140095581A KR 20140095581 A KR20140095581 A KR 20140095581A KR 101474956 B1 KR101474956 B1 KR 1014749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rganic material
- screw
- organic matter
- drum
- food wast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7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470 impreg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815 organic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IMACFCSSMIZSPP-UHFFFAOYSA-N phenac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O)C1=CC=CC=C1 IMACFCSSMIZSP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91 tear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3/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in which solid particles or bodies become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and simultaneous sifting or filtering
- B04B3/04—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in which solid particles or bodies become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and simultaneous sifting or filtering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9/00—Drives specially designed for centrifug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ransmission gearing; Suspending or balancing rotary bowls
- B04B9/10—Control of the drive; Speed regulat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폐기물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내부에 구획된 유입공간과 배출공간이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협잡물이 제거된 처리수를 상기 유입공간으로 유입하는 유입구 및 상기 배출공간에서 유기물이 제거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유기물처리조; 일측이 개구된 메쉬 형태의 중공관이 구비되고 상기 중공관를 감싸도록 통공망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그 전단이 상기 유입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배출공간에서 상향의 경사구배를 형성하며, 상기 중공관에서 상기 통공망과 회전 연동하여 분리되는 유기물을 중공관의 개구된 일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하기 위한 제1모터를 포함하는 분리드럼; 상기 분리드럼의 개구된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분리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유기물을 수용하고 내부에는 전달스크류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전달드럼; 및 상기 전달드럼과 연통하여 상기 전달스크류로부터 유기물을 전달받으며 탈수 완료된 유기물이 배출되는 유기물배출구가 구비된 메쉬 형태의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 내부에서 상기 전달스크류와 회전 연동하는 탈수스크류 및 상기 탈수스크류를 회전하기 위한 제2모터를 포함하는 유기물배출부;를 포함함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각 가정에서 디스포저에 의해 분쇄되어 배출되는 음식폐기물에 포함된 유기물을 제거토록 함으로써 하수처리장의 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제거된 유기물을 고형화하여 별도 배출할 수 있는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폐기물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정 또는 식당에서 배출되는 음식폐기물은 수분을 포함하고 있어 쉽게 부패되기 때문에, 신속한 처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음식물종량제봉투를 사용할 경우 봉투에 음식폐기물이 채워질 때까지 실내에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악취 발생은 물론 부패에 따른 생활환경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음식폐기물은 수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부피가 큼에 따라 처리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환경부는 이러한 음식폐기물에 대해 파쇄된 음식폐기물이 80%이상 회수, 20%미만 배출조건을 만족하는 디스포저만 부분적으로 승인하고 있는 바, 이렇게 디스포저로 분쇄한 음식폐기물을 하수로 배출하는 경우(비록 상기 조건을 만족하더라도) 하수처리장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관거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하수처리장에서 농도부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의 음식폐기물 처리장치는 개수대의 배수구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고속 회전하는 블레이드를 통해 분쇄한 후에 원심력에 의해 탈수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하더라도 파쇄된 음식폐기물 중에는 제대로 걸러지지 않은 유기물 등에 의해 하수처리장의 부하 발생을 제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각 가정 등에서 파쇄 후 배출되는 음식폐기물로부터 유기물은 물론 협잡물을 걸러내도록 한 후에 하수로 배출토록 함으로써 환경부가 파쇄된 음식폐기물에 대해 법제화한 규정(80%이상 회수 및 20%미만 배출)을 충실히 이행함과 동시에 하수관거의 막힘, 하수처리장의 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폐기물 처리장치는 내부에 구획된 유입공간과 배출공간이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처리수를 상기 유입공간으로 유입하는 유입구 및 상기 배출공간에서 유기물이 제거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유기물처리조; 일측이 개구된 메쉬 형태의 중공관이 구비되고 상기 중공관를 감싸도록 통공망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그 전단이 상기 유입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배출공간에서 상향의 경사구배를 형성하며, 상기 중공관에서 상기 통공망과 회전 연동하여 분리되는 유기물을 중공관의 개구된 일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하기 위한 제1모터를 포함하는 분리드럼; 상기 분리드럼의 개구된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분리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유기물을 수용하고 내부에는 전달스크류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전달드럼; 및 상기 전달드럼과 연통하여 상기 전달스크류로부터 유기물을 전달받으며 탈수 완료된 유기물이 배출되는 유기물배출구가 구비된 메쉬 형태의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 내부에서 상기 전달스크류와 회전 연동하는 탈수스크류 및 상기 탈수스크류를 회전하기 위한 제2모터를 포함하는 유기물배출부;를 포함함에 특징이 있다.
하나의 예로써, 본 발명의 음식폐기물 처리장치는, 상기 유기물배출구와 연통되어 상기 유기물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유기물로부터 악취를 제거하는 유기물방취부; 상기 유기물방취부로부터 배출된 유기물을 유동시키는 유기물컨베이어부; 및 상기 유기물컨베이어부로부터 유동된 유기물을 보관하는 유기물보관조;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기물방취부는, 유입된 유기물에 마이크로웨이브 또는 UV를 조사토록 하여 살균과 건조를 병행하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유기물컨베이어부는, 상면이 개구되어 유기물이 수용되도록 하는 수용봉투와 수용봉투로 수용되는 협잡물 또는 유기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셀과 협잡물 또는 유기물이 수용된 수용봉투가 기 설정된 무게에 도달하는 경우 수용봉투 상면을 폐쇄시키는 밀봉부와 밀봉된 수용봉투를 상기 보관조로 유동시키는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분리드럼은, 상기 개구된 일측으로부터 상기 중공관과 연장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 내부에서 상기 이송스크류와 베어링을 통해 연결되는 배출스크류와, 상기 배출관의 끝단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스크류로부터 이송되는 유기물을 배출하는 개구부 및 상기 배출스크류를 회전하기 위한 제3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드럼은, 상기 개구부의 하부에 장착되되 상기 개구부와 인접하는 그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개구부로부터 낙하되는 유기물이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스크류는, 그 스크류날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중공관의 내경부와 접하도록 구성되는 회전브러쉬가 장착되어 중공관의 수용공간에서 고착될 수 있는 유기물을 제거함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예로써, 본 발명의 음식폐기물 처리장치는 상기 제2모터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달드럼으로부터 이송관으로 유입되는 유기물을 량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2모터의 속도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이송관의 전단에 장착되어 상기 탈수스크류로 유입되는 유기물의 유입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2모터의 회전 속도를 일정 시간동안 높이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2모터로 전송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분리드럼은, 복수의 거름링이 상기 거름링과 직교하는 복수의 유기물유도판에 의해 상호간 일정유격을 형성하며 고정되며, 상기 분리드럼의 상부에는 유기물탈리구가 고정되되 상기 유기물탈리구는 상기 분리드럼의 외측 상부에 고정된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에서 하방향으로 복수로 돌출되며 거름링 간에 침적된 이물질을 분리드럼 내부로 탈리시키는 탈리살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본 발명의 음식폐기물 처리장치는 상기 전달드럼 및 유기물배출부와 상기 배출구를 연통하는 드레인 라인을 더 포함하되, 상기 유기물배출부에는 상기 메쉬 형태의 이송관을 둘러싸는 드레인관이 구성되어 상기 드레인관에 상기 드레인 라인이 연결됨으로써 탈수된 잔여 수분이 배출구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음식폐기물 처리장치를 이용한 음식폐기물 처리시스템은, 상술한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및 상기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전단에 배치되며, 유입 원수에 대하여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분리 및 처리하고 협잡물이 제거된 처리수를 상기 음식폐기물 처리장치의 유기물처리조로 유입시키는 협잡물 처리장치;를 포함에 특징이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협잡물 처리장치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협잡물이 제거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협잡물처리조; 상기 협잡물처리조 내부에서 상향 경사구배를 형성하며 원수로부터 협잡물을 걸러내는 복수의 살로 구성된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 하부에서 상향 경사구배를 형성하며 회전연동 하되 상단부가 상기 협잡물처리조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과 일체로 상기 스크린에 걸러진 협잡물을 걸러내며 상기 협잡물처리조 외부로 협잡물을 배출시키는 복수의 처리바로 구성된 협잡물배출부; 상기 협잡물배출부 상단부에 형성되어 처리바에 의해 유동하는 협잡물로부터 악취를 제거하는 협잡물방취부; 상기 협잡물방취부로부터 배출된 협잡물을 유동시키는 협잡물컨베이어부; 및 상기 컨베이어부로부터 유동된 협잡물을 보관하는 협잡물보관조;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처리바는, 상기 체인에 체결되며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걸림바와 상기 걸림바에서 복수로 돌출되며 상기 스크린에 있어 복수의 살 사이에 게재되는 걸림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은, 히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협잡물처리조 상면에는 스키머가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머리카락 등 협잡물을 전단에서 처리하고 유기물을 후단에서 처리함으로써 하수관 막힘, 하수처리장 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분리된 협잡물 및 유기물이 각각 악취가 제거된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규격화하여 보관됨으로써 소각처리, 비료 등으로 재활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식폐기물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폐기물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분리드럼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브러쉬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음식폐기물 처리장치를 이용한 음식폐기물 처리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폐기물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협잡물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협잡물배출부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협잡물처리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폐기물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분리드럼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브러쉬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음식폐기물 처리장치를 이용한 음식폐기물 처리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폐기물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협잡물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협잡물배출부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협잡물처리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양호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폐기물 처리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구획된 유입공간(213)과 배출공간(214)이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협잡물이 제거된 처리수를 상기 유입공간(213)으로 유입하는 유입구(211) 및 상기 배출공간(214)에서 유기물이 제거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구(212)를 포함하는 유기물처리조(210); 일측이 개구된 메쉬 형태의 중공관(221)이 구비되고 상기 중공관(221)을 감싸도록 통공망(222)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그 전단이 상기 유입공간(213)과 연통되도록 상기 배출공간(214)에서 상향의 경사구배를 형성하며, 상기 중공관(221)에서 상기 통공망(222)과 회전 연동하여 분리되는 유기물을 중공관(221)의 개구된 일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223) 및 상기 이송스크류(223)를 회전하기 위한 제1모터(m1)를 포함하는 분리드럼(220); 상기 분리드럼(220)의 개구된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분리드럼(220)으로부터 배출되는 유기물을 수용하고 내부에는 전달스크류(231)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전달드럼(230); 및 상기 전달드럼(230)과 연통하여 상기 전달스크류(231)로부터 유기물을 전달받으며 탈수 완료된 유기물이 배출되는 유기물배출구(244)가 구비된 메쉬 형태의 이송관(241)과, 상기 이송관(241) 내부에서 상기 전달스크류(231)와 회전 연동하는 탈수스크류(242) 및 상기 탈수스크류(242)를 회전하기 위한 제2모터(m2)를 포함하는 유기물배출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먼저, 상기 유기물처리조(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입공간(213)과 배출공간(214)을 구획하여 독립된 공간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유기물이 걸러진 처리수가 상기 배출공간(214)에서 유입공간(213)으로 반송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유기물처리조(210)는 구획된 유입공간(213)의 일측에 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1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처리수는 가정 등에서 배출되는 원수이거나, 상기 원수에서 별도의 협잡물 분리 수단을 통해 협잡물 처리 공정을 거쳐 협잡물이 제거된 처리수일 수 있다.
상기 유입구(211)로 유입된 처리수는 상기 배출공간(214)에 장착된 분리드럼(220) 내부로 유입되어 분리드럼(220)에 형성된 통공망(222)을 통해 유기물이 걸러지게 되고, 이렇게 유기물이 걸러진 처리수는 상기 통공망(222)을 통과하여 상기 배출공간(214)으로 낙하되는 것이며 배출공간(214)에 유입된 처리수는 상기 배출구(212)를 통해 배출되어 하수관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분리드럼(220)은 상기 배출공간(214) 내에서 상향의 경사구배를 형성하며 그 일부 즉, 유기물을 포함한 처리수가 유입되는 전단이 상기 유입공간(213)과 연통하도록 위치함으로써 상기 유입공간(213)에서 일정 수위를 유지하며 수용된 처리수가 유입되도록 하며, 이렇게 유입된 처리수로부터 유기물을 제거함과 더불어 제거된 유기물을 상기 개구된 일측을 통해 외부로 유동 및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리드럼(22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쉬 형태의 중공관(221)이 구비되고 상기 중공관(221)을 감싸도록 통공망(222)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회전 연동 작용에 의해 그 전단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처리수에 있어 유기물은 상기 이송스크류(223)를 따라 상부측으로 유동하도록 하며, 유기물이 분리된 처리수는 상기 중공관(221) 내지 통공망(222)을 통해 유출되도록 하여 배출공간(214)으로 낙하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분리드럼(220)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호퍼(22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드럼(220)은 상기 중공관(221)을 수용하는 형태로 그 내경에 다수 개의 유기물유도판(228)이 형성되며, 하단부가 상기 이송스크류(223)의 축과 플렌지(224)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통공망(222)은 이송스크류(223)와 일체로 회전 연동을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호퍼(226)의 일측에는 고무재질의 브러쉬(227)가 형성되어 상기 유기물유도판(228)에 걸러진 유기물을 상기 호퍼(226)로 유도토록 한다.
한편, 도 3에서는 하나의 실시 예로서 상기 분리드럼(220)을 제시하고 있는 바, 본 실시 예의 분리드럼(220)은 복수의 거름링(229)이 상기 거름링(229)과 직교하는 복수의 유기물유도판(228)에 의해 상호 간 일정유격을 형성하며 고정됨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본 실시 예의 분리드럼(220)은 회전 연동을 하면서 유기물이 상기 거름링(229)에 의해 걸러지게 되고 걸러진 유기물은 거름링(229) 간 및 유기물유도판(228)에 침적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브러쉬(227)에 의해 상기 유기물유도판(228)에 침적된 유기물은 상기 호퍼(226)로 유도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거름링(229) 간에 침적된 유기물은 이하에서 설명할 유기물탈리구(225)에 의해 상기 호퍼(226)로 유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유기물탈리구(225)는 상기 분리드럼(220)의 외측 상부에 고정된 고정봉(225-1)과 상기 고정봉(225-1)에서 하방향으로 복수로 돌출되며 거름링(229) 간에 침적된 이물질을 분리드럼(220) 내부 즉 상기 호퍼(226)로 탈리시키는 탈리살(225-2)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탈리살(225-2) 끝단부가 거름링(229) 간에 내재되도록 하여 회전하는 상기 분리드럼(220)에서 거름링(229) 간에 침적된 유기물이 상기 탈리살(225-2)에 의해 탈리되어 상기 호퍼(226)로 유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탈리살(225-2)은 탄성 재질로 구성됨이 타당하다.
그리고 상기 분리드럼(220)의 중공관(22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쉬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분리드럼(220)에서 호퍼(226)를 통해 중공관(221) 내부로 유입된 유기물이 중공관(221)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됨을 차단하면서 분리 공정에서 분리된 수분은 하부에 위치하는 배출공간(214)으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중공관(221) 내부에 장착되는 이송스크류(223)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스크류날의 회전 방향을 따라 중공관(221)의 내경부와 접하도록 구성되는 회전브러쉬(223-1)가 장착됨으로써 상기 이송스크류(223)의 회전 과정에서 메쉬 형태의 중공관(221)에 고착될 수 있는 유기물 등이 용이하게 탈리되게 함이 타당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브러쉬(223-1)는 상기 분리드럼(220)의 회전 작용에 기해 상기 중공관(221) 내부로 분리 및 유도되는 유기물이 다시 중공관(221)의 메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흡착하면서 상부방향으로 상기 유기물을 이송시키면서도 수분은 자연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분리드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드럼(220)의 개구된 일측으로 유동되는 유기물을 안정적으로 상기 전달드럼(230)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이 타당하다.
일 예로써, 상기 분리드럼(220)은 상기 개구된 일측으로부터 상기 중공관(221)과 연장되는 배출관(232)과, 상기 배출관(232) 내부에서 상기 이송스크류(223)와 연결되는 배출스크류(233)와, 상기 배출관(232)의 끝단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스크류(233)로부터 이송되는 유기물을 배출하는 개구부(23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배출스크류(233)는 상기 분리드럼(220)과 별도의 회전 구동력을 부여받아 회전될 수 있는 바, 상기 배출스크류(233)를 회전하기 위한 제3모터(m3)가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이송스크류(223)와 베어링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독립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여 분리드럼(220)을 회전하기 위한 제1모터(m1)의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달드럼(230)의 경우 상기 분리드럼(220)의 개구부(234) 하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개구부(234)와 인접하는 그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개구부(234)로부터 낙하되는 유기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분리드럼(220)은 상기 이송스크류(223)로부터 이송되는 유기물이 배출스크류(233)를 통해 개구부로 배출되는 것이며, 이때, 개구부(234)가 위치하는 상기 배출스크류(233)의 끝단에는 상기 배출스크류(233)의 스크류날과 반대의 회전방향을 갖는 커터(235)를 포함함으로써 배출스크류(233)에서 개구부(234) 측으로 유기물의 이송이 상기 커터(235)에 의해 더 이상 진행되지 않고 개구부(234)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편, 상기 전달드럼(230)은 상기 분리드럼(220)으로부터 배출되는 유기물을 수용하도록 한다. 이러한 전달드럼(230)은 유기물을 수용하도록 수용공간이 구비되는데,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유기물처리조(210)의 배출공간(214)과 접하는 부위를 구성하고 해당 부위를 메쉬 형태로 구성하여 수용공간 내에서 존재할 수 있는 잔여 수분을 상기 배출공간(214)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달드럼(230)은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이하에서 설명하는 탈수스크류(242)와 회전 연동하는 전달스크류(231)가 구비되어 수용된 유기물을 상기 유기물배출부(240) 측으로 유동시켜 상기 탈수스크류(242)로 전달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전달드럼(230)은 분리드럼(220)으로부터 분리되는 유기물을 일시 보관하는 한편 보관된 유기물을 상기 유기물배출부(24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달스크류(231) 역시 앞서 설명한 이송스크류(223)와 동일하게 그 스크류날의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브러쉬(231-1)가 장착되게 함으로써 수용공간 내에 고착될 수 있는 유기물 등이 탈리되어 상기 유기물배출부(240)로 함께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유기물배출부(240)는 상기 전달드럼(230)으로부터 유기물을 전달받아 이로부터 수분을 최소화하도록 하여 유기물을 감량시키고 이를 배출한다. 이를 위해 상기 유기물배출부(240)는 내부에 메쉬 형태의 이송관(241)이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이송관(241) 내부에서 탈수스크류(242)가 회전하면서 유입된 유기물을 가압 및 압축시켜 상기 이송관(241)의 메쉬를 통해 탈수된 수분을 배출하도록 하고, 수분이 탈수되어 고형화된 유기물은 상기 유기물배출구(244)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배출된 수분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드레인 라인(29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음식폐기물 처리장치(200)는 상기 분리드럼(220)의 이송스크류(223)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1모터(m1)와 상기 전달스크류(231) 및 탈수스크류(242)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모터(m2) 및 상기 배출스크류(233)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3모터(m3)의 회전 구동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2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모터(m1), 제2모터(m2) 및 제3모터(m3)의 경우 회전 속도의 조절이 가능한 인버터형 모터를 채용함으로써 상기 제어부(28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 속도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제어부(280)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 및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제어신호를 송출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모터(m1), 제2모터(m2) 및 제3모터(m3)에 대하여 일괄 또는 독립적인 속도 제어가 구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전달드럼(230)으로부터 이송관(241)으로 유입되는 유기물을 량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2모터(m2)의 속도를 선택적으로 제어함에 특징이 있다.
일 예로써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이송관(241)의 전단에 장착되어 상기 탈수스크류(242)로 유입되는 유기물의 유입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28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제2모터(m2)는 상기 전달드럼(230)의 전달스크류(231)를 회전함에 있어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유기물이 상기 이송관(241)의 전단으로 유동되어 충분히 축적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압력센서(281)는 기설정된 압력값보다 상대적으로 감지된 입력 압력값이 클 경우 감지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제어부(280)로 전송하도록 하며, 이렇게 감지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제어부(280)에서는 상기 유기물배출부(24)에 의한 탈수 공정에서 요구되는 유기물의 양이 충분하다고 판단하여 상기 제2모터(m2)의 회전 속도를 높이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2모터(m2)로 전송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어부(280)의 제어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제2모터(m2)는 그 회전속도가 급격히 빨라지도록 회전 구동함에 따라 상기 탈수스크류(242)로 유입되는 유기물에 대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가압 및 압축 공정이 실시되게 함으로써 유기물에 포함된 잔여 수분들이 상기 이송관(241)의 메쉬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모터(m2)의 회전 속도를 상승하도록 하는 제어부(280)의 제어신호는 상기 압력센서(281)의 감지신호가 입력된 시점으로부터 제1시간 동안 유지되게 설정되어 상기 탈수스크류(242)에 의한 탈수 공정이 충분히 실시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시간은 상기 유기물의 축적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음식폐기물 처리장치(200)에는 상기 전달드럼(230)은 물론 유기물배출부(240)에서 배출되는 잔여 수분을 상기 유기물처리조(210)의 배출구(212)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드레인 라인(29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드레인 라인(290)은 상기 전달드럼(230) 및 유기물배출부(240)와 상기 배출구(212)를 연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바, 일 예로 상기 유기물배출부(240)에는 상기 메쉬 형태의 이송관(241)의 외부를 둘러싸는 구조를 갖는 드레인관(243)이 구성되도록 하여 이송관(241)의 메쉬를 통해 배출되는 수분을 수용하도록 하며, 상기 드레인관(243)의 하부에는 상기 드레인 라인(290)이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드레인관(243)에 수용된 수분이 드레인 라인(290)을 통해 상기 배출구(212)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상기 음식폐기물 처리장치(200)의 작동 예를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280)는 제1모터(m1)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1제어신호는 물론 제3모터(m3)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4제어신호를 송출한다. 이에 상기 제1모터(m1)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유기물처리조(210)에 배치된 분리드럼(220) 및 이송스크류(223)가 일체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이송스크류(223)와 연결된 배출스크류(233) 역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유기물처리조(210)에 수용된 처리수는 상기 분리드럼(220)의 개구된 하단으로 유입되고 상기 분리드럼(220)이 회전 연동함에 따라, 내부에 형성된 유기물유도판(228) 등에 의해 유기물이 걸러지게 되며 유기물유도판(228) 등에 걸러진 유기물은 분리드럼(220)의 회전 과정에서 중공관(221)에 형성된 호퍼(226)를 통해 중공관(221) 내로 유입된다.
이후, 상기 중공관(221)으로 유입된 유기물은 중공관(221) 내부에 장착된 이송스크류(223)의 회전에 의해 중공관(221)의 상방향으로 유동하게 되어 중공관(221)의 개구된 일측을 통해 배출되고 이와 연하도록 구성된 배출관(232)으로 유입되어 배출스크류(233)을 따라 개구부(234)로 배출된다.
이렇게 개구부(234)를 통해 배출 및 낙하되는 유기물은 상기 전달드럼(230) 내로 투입하게 됨과 더불어 분리된 수분은 중공관(221)의 메쉬 내지 통공망(222) 등을 통해 배출공간(214)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전달드럼(230) 내에 투입된 유기물은 상기 제어부(280)의 제2제어신호에 의해 탈수스크류(242)와 함께 회전 구동하는 전달스크류(231)를 통해 유기물배출부(240) 측으로 유동하게 되어 점차 축적되는데 유기물의 양이 어느 정도 축적되면 상기 이송관(241) 전단에 장착된 압력센서(281)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280)로 감지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감지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제어부(280)는 제3제어신호를 상기 제2모터(m2)로 전송하게 되는 바, 상기 제2모터(m2)에서는 앞서 전달스크류(231)에 유기물의 유동에서 요구되는 회전력보다 상대적으로 큰 회전력이 상기 탈수스크류(242)에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급격히 회전 속도가 상승되는 탈수스크류(242)로 유입된 유기물을 가압 및 압축하게 되고 이렇게 가압 및 압축된 유기물은 수분이 제거된 상태로 상기 유기물배출구(244)를 통해 케익화되어 외부로 배출되며 탈수된 수분은 상기 이송관(241)의 메쉬를 통해 배출되어 최종적으로 드레인관(243) 및 드레인 라인(290)을 통해 배출구(212)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폐기물 처리장치(200)는 상술한 유기물배출부(240)를 통해 고형화되어 배출되는 유기물을 별도로 처리 및 보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유기물이 자원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음식폐기물 처리장치는 상기 유기물배출부(240)의 유기물배출구(244)와 연통되어 상기 유기물배출구(244)에서 배출되는 유기물로부터 악취를 제거하는 유기물방취부(250)와, 상기 유기물방취부(250)로부터 배출된 유기물을 유동시키는 유기물컨베이어부(260) 및 상기 유기물컨베이어부(260)로부터 유동된 유기물을 보관하는 유기물보관조(270)를 더 포함함에 특징이 있다.
상기 유기물방취부(25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기물배출부(240)와 연계되는 구성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상기 유기물배출구(244)와 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유기물배출부(240)로부터 배출되는 유기물이 유기물방취부(250)에서 유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기물방취부(250)는 전단에 마이크로웨이브처리조(251)가 구성되는 바, 마이크로웨이브처리조(251)에서는 하부에 구성된 컨베이어벨트(251-2)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유기물이 유동하도록 하며 이렇게 유기물이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부에 구성된 마이크로웨이브발생장치(251-1)에 의해 마이크로웨이브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발생장치(251-1)에 의해 발생되는 마이크로웨이브의 파장이 30cm-0.1mm이 되도록 하여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기물을 우선적으로 건조시키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 다음으로 마이크로웨이브처리조(251)를 통과한 유기물은 UV처리조(252)로 유입되는데 UV처리조(252)에서는 하부에 구성된 컨베이어벨트(252-2)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유기물이 유동하도록 하며 이렇게 유기물이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부에 구성된 UV램프(252-1)에 의해 UV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UV램프(252-1)에 의해 UV-C영역에 UV185nm의 단파장을 유기물에 조사토록 함으로써 혐기성 미생물의 멸균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악취의 제거효율을 배가시키는 것이 타당하다.
상기 유기물컨베이어부(260)는 상기 유기물방취부(250)를 통과하여 낙하된 유기물을 자동으로 패킹하여 상기 유기물보관조(270)로 이송시키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를 위해 우선 상기 유기물방취부(250)의 위치에서 상기 유기물보관조(270)까지 연결하는 컨베이어벨트(264, 265)가 구성되는 바, 제 1컨베이어벨트(264)에는 로드셀(262)이 구성되어 제 1컨베이어벨트(264) 상부에 안치되면서 상기 유기물방취부(250)로부터 배출되는 유기물을 수용하는 상면이 개구된 수용봉투(261)의 무게를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용봉투(261)로 유기물이 낙하되어 적층되면서 기 설정된 무게에 도달하면 상기 제 1컨베이어벨트(264)는 밀봉부(263)가 구성된 위치로 유기물이 수용된 수용봉투(261)를 이동시키고 상기 밀봉부(263)는 초음파 등 공지의 수단으로 상기 수용봉투(261)를 밀폐한다. 즉 일정 무게의 유기물의 패킹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렇게 패킹이 완료된 유기물은 제 2컨베이어벨트(265)에 의해 유기물보관조(270)로 유동되어 저장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처리수로부터 분리된 유기물은 악취가 제거된 상태로 일정규격으로 패킹이 되며 패킹된 유기물은 유기물보관조(270)에 저장되면서 비료 등으로 재사용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즉 일정규격으로 패킹이 되면서 완전히 악취가 제거된 상태이므로 바로 제품으로서 재활용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음식폐기물 처리장치(200)에 의하면 유기물이 제거된 하수를 방류토록 함과 동시에 별도의 공정이 필요없이 악취가 제거된 상태에서 일정규격으로 패킹된 유기물을 배출토록 하여 바로 유기물의 재활용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음식폐기물 처리장치가 적용된 본 발명의 음식폐기물 처리시스템(1, 이하 "본 발명의 시스템" 이라 함)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에 협잡물처리장치(100)를 구성하고 그 후단에는 상기 음식폐기물 처리장치(200)가 상호 연통되도록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즉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협잡물을 포함한 음식폐기물을 포함한 원수(W1)로부터 상기 협잡물처리장치(100)에서 우선적으로 머리카락 등 협잡물이 제거된 처리수(W2)를 배출하도록 하고, 상기 음식폐기물 처리장치(200)에서는 협잡물이 제거된 처리수(W2)로부터 유기물을 제거한 처리수(W3)를 하수로 배출토록 함으로써 머리카락 등 협잡물에 의한 하수관 막힘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며, 음식폐기물로부터 협잡물 및 유기물을 제거하여 하수로 배출함으로써 하수처리장의 부하를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음식폐기물을 포함한 원수(W1)"라 함은 가정, 공동주택 등에서 각각의 싱크대에 설치된 디스포져를 통과한 원수를 정의하는 것으로, 경우에 따라 디스포징된 음식폐기물에 각각의 화장실 등으로부터의 오수가 포함된 원수일 수 있다.
즉 하수처리장으로 배출 시 머리카락 등 협잡물에 의해 하수관 막힘을 유발할 수 있으며, 유기물량이 과도한 경우 하수처리장에 부하를 유발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원수로부터 협잡물 및 유기물을 처리토록 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토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사용 예로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주택 등에 섹션별로 설치되어 각각의 가정(n1..., m1...., l1....)으로부터의 "음식폐기물을 포함한 원수(W1)"를 상기와 같이 처리토록 하여 각각 하수관(a-1, a-2, a-3) 및 합류관(a-4)으로 배출하여 하수처리장(a)에서 최종적인 처리가 되도록 하는 것인데, 각각 하수관(a-1, a-2, a-3) 및 합류관(a-4)에서 하수 막힘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며, 하수처리장(a)의 부하를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서 상기 협잡물처리장치(100)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1)와 협잡물이 제거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12)를 포함하는 협잡물처리조(110); 상기 협잡물처리조(110) 내부에서 상향의 경사구배를 형성하며 원수로부터 협잡물을 걸러내도록 복수의 살(121-1)이 구성된 스크린(121)과, 상기 스크린(121)과 평행하게 상향의 경사구배를 형성하며 회전연동하되 그 상단부가 상기 협잡물처리조(110)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체인(122)과, 상기 체인(122)과 일체로 상기 스크린(121)에 걸러진 협잡물을 걸러내며 상기 협잡물처리조(110) 외부로 협잡물을 배출시키는 복수의 처리바(123)로 구성된 협잡물배출부(120); 상기 협잡물배출부(120)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처리바(123)에 의해 유동하는 협잡물로부터 악취를 제거하는 협잡물방취부(130); 상기 협잡물방취부(130)로부터 배출된 협잡물을 유동시키는 협잡물컨베이어부(140); 상기 협잡물컨베이어부(140)로부터 유동된 협잡물을 보관하는 협잡물보관조(1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협잡물처리조(110)는 일측에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형성되는 바, 여기서 원수는 상기에서 언급한 "음식폐기물을 포함한 원수(W1)"이다. 상기 유입구(111)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협잡물처리조(110) 내부에 형성된 유로(15)를 통해 하부에서 상기 스크린(121)을 통과하면서 스크린(121)의 복수의 살(121-1)에 의해 머리카락 등 협잡물이 걸러지게 되고, 이렇게 협잡물이 걸러진 처리수는 상기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배출구(112)는 이하에서 설명할 유기물처리조(210)의 유입구(211)와 연결되어 협잡물이 걸러진 처리수가 상기 유기물처리조(210)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협잡물처리조(110)에는 상향의 경사구배를 형성하도록 협잡물배출부(120)가 설치되는데, 상기 협잡물배출부(120)는 스크린(121), 체인(122) 및 처리바(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크린(121)은 협잡물처리조(110) 내부에서 상향 경사구배를 형성하며 원수로부터 협잡물을 걸러내는 복수의 살(121-1)로 구성되는 바, 상향으로 각각의 살(121-1)이 평행하게 설치되어 살(121-1) 간에 머리카락 등 협잡물이 걸리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복수의 살(121-1) 간에는 일정유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간격유지구가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체인(122)은 모터에 연결된 기어(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연동을 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도 7 및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협잡물처리조(110) 일측 하단에서부터 대각선 방향의 상단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이와 일체로 연동하는 처리바(123)에 의해 스크린(121)에 걸러진 협잡물을 유동시켜 외부 즉 상기 협잡물방취부(130)로 배출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처리바(123)는 상기 체인(122)에 체결되는 걸림바(123-2)와 상기 걸림바(123-2)에서 복수로 돌출되며 상기 스크린(121)에 있어 복수의 살(121-1) 사이에 게재되는 걸림돌기(123-1)로 구성되도록 하는데, 상기 걸림돌기(123-1)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향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스크린(121)에 걸러진 협잡물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걸림바(123-2)는 평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스크린(121)을 통과한 상태에서 걸림바(123-2)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이 상기 걸림바(123-2)에 안치된 상태로 유동하다가 협잡물방취부(130)로 배출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바(123-2)에는 복수의 관통홀(123-3)이 형성되도록 하여 협잡물이 유동 과정에서 수분이 상기 관통홀(123-3)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며 배출된 수분은 상기 협잡물처리조(110)로 재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협잡물에서 습기를 사전에 물리적으로 배출토록 함으로써, 후행 공정으로서 방취 공정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며 그 후공정에서 패킹되는 협잡물에 물기를 최소한으로 하여 패킹된 협잡물의 소각공정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협잡물처리조(110)와 협잡물배출부(120)의 다른 실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본 실시 예의 협잡물처리조(110)는 도 7에서 제시된 협잡물처리조(110)와 동일한 구조이나 유로(15)의 상면 즉 수위가 형성되는 부분에 스키머(125)가 더 구성된 점이 다르다.
이렇게 스키머(125)를 구성하는 이유는 부유하는 유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 예의 유로(15)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121)이 형성되는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크린(121)을 히팅 시 발생되는 유분이 유로(15)에 형성된 수면으로 부유토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협잡물배출부(120)의 구성에 더하여 스크린(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히터(124)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히터(124)가 더 구성되는 이유는 히터(124)에 의해 상기 스크린(121)을 가온시켜 협잡물을 포함한 음식폐기물로부터 유분을 분리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스크린(121)을 통과하는 원수 및 스크린(121)에 걸러진 협잡물을 가온시킴으로써 협잡물 및 유기물의 점성을 저하시켜 유분을 분리토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분리된 유분은 비중이 작아 상기 유로(15)에서 부상하게 되는 것이며 부상된 유분은 상기 스키머(125)를 이용하여 제거토록 하는 것이다. 결국 본 실시 예에서는 원수로부터 협잡물을 제거함과 동시에 유분까지 제거토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협잡물방취부(1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협잡물처리조(110) 일측 상단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상세히는 마이크로웨이브처리조(131)와 UV처리조(132)로 구성된다.
상기 협잡물방취부(130) 역시 그 전단에 마이크로웨이브처리조(131)가 구성되는 바, 마이크로웨이브처리조(131)에서는 하부에 구성된 컨베이어벨트(131-2)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협잡물이 유동하도록 하며 이렇게 협잡물이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부에 구성된 마이크로웨이브발생장치(131-1)에 의해 마이크로웨이브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발생장치(131-1)에 의해 발생되는 마이크로웨이브의 파장이 30cm ~ 0.1mm이 되도록 하여 내부에서 유동하는 협잡물을 우선적으로 건조시키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 다음으로 마이크로웨이브처리조(131)를 통과한 협잡물은 UV처리조(132)로 유입되는데 UV처리조(132)에서는 하부에 구성된 컨베이어벨트(132-2)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협잡물이 유동하도록 하며 이렇게 협잡물이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부에 구성된 UV램프(132-1)에 의해 UV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UV램프(132-1)에 의해 UV-C영역에 UV185nm의 단파장을 협잡물에 조사토록 함으로써 혐기성 미생물의 멸균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악취의 제거효율을 배가시키는 것이 타당하다.
상기 협잡물컨베이어부(140)는 상기 협잡물방취부(130)를 통과하여 낙하시킨 협잡물을 자동으로 패킹하여 상기 협잡물보관조(150)로 이송시키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를 위해 우선 상기 협잡물방취부(130)의 위치에서 상기 협잡물보관조(150)까지 연결하는 컨베이어벨트(144,145)가 구성되는 바, 제 1컨베이어벨트(144)에는 로드셀(142)이 구성되어 제 1컨베이어벨트(144) 상부에 안치되면서 상기 협잡물방취부(130)로부터 배출되는 협잡물을 수용하는 상면이 개구된 수용봉투(141)의 무게를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용봉투(141)로 협잡물이 낙하되어 적층되면서 기 설정된 무게에 도달하면 상기 제 1컨베이어벨트(144)는 밀봉부(143)가 구성된 위치로 협잡물이 수용된 수용봉투(141)를 이동시키고, 상기 밀봉부(143)는 초음파 융착 등 공지의 수단으로 상기 수용봉투(141)를 밀폐한다.
즉 일정 무게의 협잡물의 패킹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렇게 패킹이 완료된 협잡물은 제 2컨베이어벨트(145)에 의해 협잡물보관조(150)로 유동되어 저장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원수로부터 분리된 협잡물은 악취가 제거된 상태로 일정규격으로 패킹이 되며 패킹된 협잡물은 협잡물보관조(150)에 저장되면서 후공정으로 소각공정 등에 의해 완전한 처리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 인력에 의한 공정수행의 비용,시간,효율의 문제를 해결하여 완전히 자동으로 악취발생을 제어하면서 협잡물의 후처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협잡물처리조(110)를 통과하여 협잡물이 제거된 처리수는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이러한 유기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수는 앞서 설명한 음식폐기물 처리장치(200)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이렇게 협잡물 및 유기물을 제거토록 함으로써 하수관의 막힘, 하수처리장의 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협잡물처리장치 110 : 협잡물처리조
120 : 협잡물배출부 130 : 협잡물방취부
140 : 협잡물컨베이어부 150 : 협잡물보관조
200 :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210 : 유기물처리조
220 : 분리드럼 230 : 전달드럼
240 : 유기물배출부 250 : 유기물방취부
260 : 유기물컨베이어부 270 : 유기물보관조
120 : 협잡물배출부 130 : 협잡물방취부
140 : 협잡물컨베이어부 150 : 협잡물보관조
200 :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210 : 유기물처리조
220 : 분리드럼 230 : 전달드럼
240 : 유기물배출부 250 : 유기물방취부
260 : 유기물컨베이어부 270 : 유기물보관조
Claims (14)
- 내부에 구획된 유입공간과 배출공간이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처리수를 상기 유입공간으로 유입하는 유입구 및 상기 배출공간에서 유기물이 제거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유기물처리조;
일측이 개구된 메쉬 형태의 중공관이 구비되고 상기 중공관를 감싸도록 통공망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그 전단이 상기 유입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배출공간에서 상향의 경사구배를 형성하며, 상기 중공관에서 상기 통공망과 회전 연동하여 분리되는 유기물을 중공관의 개구된 일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하기 위한 제1모터를 포함하는 분리드럼;
상기 분리드럼의 개구된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분리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유기물을 수용하고 내부에는 전달스크류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전달드럼;
상기 전달드럼과 연통하여 상기 전달스크류로부터 유기물을 전달받으며 탈수 완료된 유기물이 배출되는 유기물배출구가 구비된 메쉬 형태의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 내부에서 상기 전달스크류와 회전 연동하는 탈수스크류 및 상기 탈수스크류를 회전하기 위한 제2모터를 포함하는 유기물배출부;
상기 유기물배출구와 연통되어 상기 유기물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유기물로부터 악취를 제거하는 유기물방취부;
상기 유기물방취부로부터 배출된 유기물을 유동시키는 유기물컨베이어부; 및
상기 유기물컨베이어부로부터 유동된 유기물을 보관하는 유기물보관조;를 포함하되,
상기 유기물방취부에는 유입된 유기물에 마이크로웨이브 또는 UV를 조사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컨베이어부는,
상면이 개구되어 유기물이 수용되도록 하는 수용봉투와 수용봉투로 수용되는 협잡물 또는 유기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셀과 협잡물 또는 유기물이 수용된 수용봉투가 기 설정된 무게에 도달하는 경우 수용봉투 상면을 폐쇄시키는 밀봉부와 밀봉된 수용봉투를 상기 보관조로 유동시키는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드럼은,
상기 개구된 일측으로부터 상기 중공관과 연장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 내부에서 상기 이송스크류와 베어링을 통해 연결되는 배출스크류와, 상기 배출관의 끝단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스크류로부터 이송되는 유기물을 배출하는 개구부 및 상기 배출스크류를 회전하기 위한 제3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드럼은,
상기 개구부의 하부에 장착되되 상기 개구부와 인접하는 그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개구부로부터 낙하되는 유기물이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류는,
그 스크류날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중공관의 내경부와 접하도록 구성되는 회전브러쉬가 장착되어 상기 중공관 내부로 분리 및 유도되는 유기물을 흡착하면서 상부 방향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터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달드럼으로부터 이송관으로 유입되는 유기물을 량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2모터의 속도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이송관의 전단에 장착되어 상기 탈수스크류로 유입되는 유기물의 유입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2모터의 회전 속도를 일정 시간동안 높이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2모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드럼은,
복수의 거름링이 상기 거름링과 직교하는 복수의 유기물유도판에 의해 상호간 일정유격을 형성하며 고정되며, 상기 분리드럼의 상부에는 유기물탈리구가 고정되되 상기 유기물탈리구는 상기 분리드럼의 외측 상부에 고정된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에서 하방향으로 복수로 돌출되며 거름링 간에 침적된 이물질을 분리드럼 내부로 탈리시키는 탈리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드럼 및 유기물배출부와 상기 배출구를 연통하는 드레인 라인을 더 포함하되, 상기 유기물배출부에는 상기 메쉬 형태의 이송관을 둘러싸는 드레인관이 구성되어 상기 드레인관에 상기 드레인 라인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 제 1항, 제 4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의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및
상기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전단에 배치되며, 유입 원수에 대하여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분리 및 처리하고 협잡물이 제거된 처리수를 상기 음식폐기물 처리장치의 유기물처리조로 유입시키는 협잡물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폐기물 처리장치를 이용한 음식폐기물 처리시스템.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 처리장치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협잡물이 제거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협잡물처리조;
상기 협잡물처리조 내부에서 상향 경사구배를 형성하며 원수로부터 협잡물을 걸러내는 복수의 살로 구성된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 하부에서 상향 경사구배를 형성하며 회전연동 하되 상단부가 상기 협잡물처리조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과 일체로 상기 스크린에 걸러진 협잡물을 걸러내며 상기 협잡물처리조 외부로 협잡물을 배출시키는 복수의 처리바로 구성된 협잡물배출부;
상기 협잡물배출부 상단부에 형성되어 처리바에 의해 유동하는 협잡물로부터 악취를 제거하는 협잡물방취부;
상기 협잡물방취부로부터 배출된 협잡물을 유동시키는 협잡물컨베이어부; 및
상기 컨베이어부로부터 유동된 협잡물을 보관하는 협잡물보관조;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폐기물 처리장치를 이용한 음식폐기물 처리시스템.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바는,
상기 체인에 체결되며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걸림바와 상기 걸림바에서 복수로 돌출되며 상기 스크린에 있어 복수의 살 사이에 게재되는 걸림돌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폐기물 처리장치를 이용한 음식폐기물 처리시스템.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히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협잡물처리조 상면에는 스키머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폐기물 처리장치를 이용한 음식폐기물 처리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95581A KR101474956B1 (ko) | 2014-07-28 | 2014-07-28 |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폐기물 처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95581A KR101474956B1 (ko) | 2014-07-28 | 2014-07-28 |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폐기물 처리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74956B1 true KR101474956B1 (ko) | 2014-12-22 |
Family
ID=52679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095581A KR101474956B1 (ko) | 2014-07-28 | 2014-07-28 |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폐기물 처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4956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1206B1 (ko) * | 2015-03-25 | 2015-12-31 | 코오롱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섬유막 및 굴렁쇠판을 이용한 음식폐기물 처리·수집 시스템 |
CN106110751A (zh) * | 2015-05-06 | 2016-11-16 | (株)国际环境技术 | 配备倾斜滚筒筛和双重锥形筛的2段脱水型固液分离机 |
CN112660647A (zh) * | 2020-12-24 | 2021-04-16 | 上海食安天天科技有限公司 | 一种垃圾袋处理及装于垃圾袋的湿垃圾收集处理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25914A (ja) * | 1999-05-20 | 2000-11-28 | Nippon Koei Co Ltd | 廃棄物処理装置 |
KR100301687B1 (ko) * | 1998-12-21 | 2001-10-29 | 심세보 | 야채쓰레기압축기 |
KR100676729B1 (ko) * | 2006-05-18 | 2007-02-01 | 주식회사 무한기술 | 음식물 및 야채 쓰레기 처리 시스템 |
-
2014
- 2014-07-28 KR KR20140095581A patent/KR10147495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01687B1 (ko) * | 1998-12-21 | 2001-10-29 | 심세보 | 야채쓰레기압축기 |
JP2000325914A (ja) * | 1999-05-20 | 2000-11-28 | Nippon Koei Co Ltd | 廃棄物処理装置 |
KR100676729B1 (ko) * | 2006-05-18 | 2007-02-01 | 주식회사 무한기술 | 음식물 및 야채 쓰레기 처리 시스템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1206B1 (ko) * | 2015-03-25 | 2015-12-31 | 코오롱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섬유막 및 굴렁쇠판을 이용한 음식폐기물 처리·수집 시스템 |
CN106110751A (zh) * | 2015-05-06 | 2016-11-16 | (株)国际环境技术 | 配备倾斜滚筒筛和双重锥形筛的2段脱水型固液分离机 |
KR20160131187A (ko) * | 2015-05-06 | 2016-11-16 | (주)국제환경기술 | 경사드럼스크린과 이중 테이퍼스크린을 구비한 2단 탈수방식의 고액분리기 |
KR101703731B1 (ko) * | 2015-05-06 | 2017-02-07 | (주)국제환경기술 | 경사드럼스크린과 이중 테이퍼스크린을 구비한 2단 탈수방식의 고액분리기 |
CN112660647A (zh) * | 2020-12-24 | 2021-04-16 | 上海食安天天科技有限公司 | 一种垃圾袋处理及装于垃圾袋的湿垃圾收集处理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69416B1 (ko) | 가축분뇨의 고액 분리기 | |
US6651822B2 (en) | Horizontal solids recycler | |
US4137062A (en) | Filtration with a compostable filter medium | |
KR100779738B1 (ko) | 종합 협잡물 처리장치 | |
KR101244211B1 (ko) | 하수 및 오폐수용 협잡물 처리기 | |
KR101474956B1 (ko) |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폐기물 처리 시스템 | |
KR101517288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100676729B1 (ko) | 음식물 및 야채 쓰레기 처리 시스템 | |
KR100824290B1 (ko) | 폐수처리장치 | |
KR100880270B1 (ko) |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 | |
JP2014525349A (ja) | 分離方法及び装置 | |
JP3152648B2 (ja) | 脱水機 | |
KR101469832B1 (ko) | 싱크분쇄 음식폐기 협잡물 처리시스템 | |
KR101333512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 |
KR101581259B1 (ko) |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협잡물의 제거 및 건조장치 | |
JP2002282824A (ja) | 生ゴミ処理装置 | |
KR100648972B1 (ko) | 유기물질 회수장치 | |
PL130037B1 (en) | Apparatus for cleaning the wastes,especially gaseous,liquid and pasty residues | |
KR100998074B1 (ko) |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 | |
KR101247569B1 (ko) | 이동식 분뇨, 찌꺼기 및 하수 슬러지 재활용 처리 장치 | |
KR101192856B1 (ko) | 하폐수의 협잡물 처리기 | |
KR101488763B1 (ko) | 오수처리장치 | |
KR101749521B1 (ko) |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 절감형 협잡물 처리방법 | |
KR100653205B1 (ko) |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20130090851A (ko) | 침사물 감량화 방법 및 침사물 감량화 처리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