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416B1 - 가축분뇨의 고액 분리기 - Google Patents

가축분뇨의 고액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416B1
KR101369416B1 KR1020120080651A KR20120080651A KR101369416B1 KR 101369416 B1 KR101369416 B1 KR 101369416B1 KR 1020120080651 A KR1020120080651 A KR 1020120080651A KR 20120080651 A KR20120080651 A KR 20120080651A KR 101369416 B1 KR101369416 B1 KR 101369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hydrator
solid
drum screen
screw compression
treat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3491A (ko
Inventor
이순호
이진석
Original Assignee
이순호
(주)국제환경기술
이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호, (주)국제환경기술, 이진석 filed Critical 이순호
Priority to KR1020120080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416B1/ko
Priority to PCT/KR2012/010366 priority patent/WO2014017707A1/ko
Priority to CN201280003791.2A priority patent/CN103702950B/zh
Publication of KR20140013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drum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067Construction of the filtering drums, e.g. mounting or sea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073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6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 B01D33/64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compression
    • B01D33/64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compression by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80Accessories
    • B01D33/804Accessories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3/807Accessories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25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only one screw or w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26Permeable casings or str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26Permeable casings or strainers
    • B30B9/267Strainer bars; Spac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filter p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분뇨를 고상과 액상으로 분리하는 가축분뇨의 고액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고액 분리기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저속회전하는 드럼 스크린 방식의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10); 상기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와 단을 이루는 스크류 압착 방식의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20); 상기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로 유입되는 고형분의 수위를 감지하는 안전 수위 센서(40); 상기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의 외부에 물을 분사하는 자동세척장치(50); 상기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에 배출된 처리수와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에서 배출된 처리수를 수집하여 처리수 배출구(62)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처리수 저장조(60); 및 상기 안전 수위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고액 분리기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축분뇨의 고액 분리기{Two-stage separator}
본 발명은 가축 분뇨의 고액 분리기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과 고상을 함께 포함하는 가축분뇨를 액상의 처리수와 고상의 고형분으로 분리하여 가축분뇨를 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가축분뇨의 고액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돼지, 소 등을 비롯하여 각종 가축을 기르는 축산농가에서는 대량 배출되는 가축분뇨를 무단 방출 또는 방치시켰을 때 토양오염 및 지하수나 하천 등의 수질오염의 환경오염을 크게 야기시키게 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축분(가축분뇨) 등을 후처리하여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게 하고 있는데, 현재 축분 등의 후처리방법으로는 지역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축산폐수 공공처리장을 통하여 일부의 축분을 처리하고, 극소수는 자가처리(가축의 수가 적어 축분의 배출이 적을때 이를 발효 등의 후처리공정을 통하여 비료 등으로 재활용하기도 함)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축분은 전부 해양투기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대량의 축분을 해양 투기하다 보니, 투기된 축분이 바다에서 분해되지 못하고 오히려 바다를 심하게 오염시키게 됨으로서, 생태계가 파괴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이러한 문제점의 주된 원인이 축분에 함유되어 있는 섬유질을 비롯한 축분에 함유된 각종 이물질 등이 그 원인으로 지적되었던 것이다.
근래에 해양투기되는 축분에 대하여 적어도 2mm이상의 섬유질이나 기타 여하한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축분은 투기할 수 없도록 규제하고 있으며, 바다의 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 실정이다.
가축 분뇨의 고액분리는 현재까지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일례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여과망을 이용해 고형분과 액상의 처리수를 자연 낙하방식에 의해 분리하거나, 또는 다공드럼과 그 다공드럼의 둘레 정점 부분에 가압롤들을 갖추어 압착방식으로 고액분리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축산 분뇨를 처리 장치하는 고액 분리기는 대부분이 원심분리기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고형분과 액상물을 분리하고 있다. 그러나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가축분뇨 고액 분리기는 진동이나 소음이 과도하게 발생되며, 이에 따라 내구성이 약해져 장치의 수명이 짧으며, 또한 시간이 지날수록 원심 분리 기능이 현저히 저하되고 처리속도가 늦거나, 불필요한 시설설치면적이 많이 요구되어 시설 및 운영경비의 부담으로 농가에 과중한 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축분뇨에 의한 악취 확산을 방지하며, 원심분리에 비하여 진동과 소음을 줄이고, 장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고액 분리 효율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고형분의 탈수력 극대화와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의 가축분뇨 고액 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축분뇨를 고상과 액상으로 분리하는 가축분뇨의 고액 분리기는,
구동모터(12)의 구동력에 저속 회전되며, 내부는 비어 있으며, 표면에는 액상의 처리수가 배출되기 위한 장공의 슬롯이 형성되며, 고형분이 배출되는 다수개의 배출구(13)가 표면에 다수개 형성되고, 내부 벽면에는 고형분을 출구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1개 이상의 나선형의 가이드 부재가 형성되며, 출구측 측면에는 밀폐판(14)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밀폐판에는 회전축(15)이 결합된 구조를 갖는, 드럼 스크린 방식의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10);
상기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와 단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입구측은 상기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의 배출구에서 배출된 고형분이 낙하하여 투입되는 투입구(21)가 형성되고, 원통형 드럼(30)의 내부에 상기 고형분을 압착하는 스크류(28)가 구동모터(22)와 변속기(23)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출구측은 측면에 고형분 배출구(28)가 형성된, 스크류 압착 방식의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20);
상기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의 투입구의 상부에 설치되어,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로 유입되는 고형분의 수위를 감지하는 안전 수위 센서(40);
분뇨의 고액 분리가 끝난 후, 일측에 형성된 펌프(52)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의 외부에 물을 분사하는 자동세척장치(50);
상기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에 배출된 처리수와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에서 배출된 처리수를 수집하여 처리수 배출구(62)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처리수 저장조(60); 및
상기 안전 수위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고액 분리기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통형 드럼(30)은,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가 순차적으로 인접설치되어 전체적으로 원통형 드럼을 이루는 와이어 부재(31),상기 와이어 부재의 내측 또는 외측에 결합되는 원통형 드럼을 지지하는 결합 지지부재(32)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 지지부재(32)의 일측면에는 요철면(32a)이 형성되며, 상기 요철면의 홈에 상기 와이어 부재(31)가 각각 삽입 결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 및 상기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는 보호커버(70)에 의해 밀폐되어 악취의 확산을 방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20)의 고형분 배출구(28)는 마개(27)가 형성되고, 상기 마개(27)는 무게추(26)와 결합되어, 상기 무게추(26)에 의한 가압력으로 상기 마개(27)가 상기 고형분 배출구(28)를 막는 구조를 갖는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축분뇨(축분)를 고상(고형분)과 액상으로 분리하는 고액 분리기는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에 의해서 고속 회전이 아닌 저속회전하면서 드럼 스크린 표면의 슬롯을 통해 처리수를 1차로 배출하고,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와 단을 이루는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에서 가축분뇨를 압착하여 2차로 처리수를 탈수시킴으로써, 가축분뇨의 고형분과 액상의 분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진동이나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의 원통형 드럼이 웨지 와이어 스크린으로서 결합 부재에 요철면을 형성하여 그 사이에 웨지 와이어를 각각 삽입함으로써 웨지 와이어의 탈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구성을 향상시켜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아울러, 2차 탈수기의 구동부에 변속기를 추가적용하여 분뇨의 특성에 따른 회전력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종류의 가축분뇨에 본 발명의 장치를 적용가능하며, 2차 탈수기의 투입구 상부에 안전수위센서를 설치하여 이상운전시(과도한 고형분 투입시) 장치를 정지시킴으로써 장치의 고장을 막고, 처리되지 않은 분뇨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운전이 정지된 후,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의 상부에 설치된 자동세척 장치를 이용하여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를 자동으로 세척함으로써, 스크린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고, 스크린의 효율을 유지하고, 스크린의 수명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축분뇨의 고액 분리기의 전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드럼의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드럼의 부분 절개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가축분뇨의 고액 분리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축 분뇨 고액 분리기는 드럼 스크린 방식의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10); 스크류 압착 방식의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20); 안전수위센서(40); 자동세척장치(50); 처리수 저장조(60) 및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축분뇨 고액 분리기는 1차적으로 가압없이 드럼 스크린만이 저속 회전하면서 드럼 스크린 표면의 슬롯을 통해 처리수를 배출한 후, 2차적으로 스크류의 회전에 의한 가압공정으로 처리수를 2차로 탈수시키는 방식이다.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10)는 고형분이 포함된 원수에서 고형분에 대한 스크류에 의한 압축과정 없이 드럼 표면에 형성된 장공의 슬롯으로 배출수만을 고형분에서 분리배출시키는, 표면에 천공된 장공의 슬롯이 무수히 형성된 타공 스크린 타입의 슬롯 드럼 스크린이다. 즉, 고형분에 대해서 압축분리하기 전에 먼저 배출수만을 고형분에서 1차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한 것이다.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10)는 원심분리를 위한 고속회전(1000회/분 이상)이 아니라, 약 1~100회/분 정도의 저속회전을 수행하는 데,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의 저속 회전은 원심분리를 위한 고속 회전에 비하여, 소음과 진동 발생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소비되는 동력 소모를 줄이고, 장치의 안정적 운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치의 고장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10)의 내부 내벽에는 나선형의 가이드 부재가 형성된다. 즉, 가이드 부재는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가 회전함에 따라 내부의 고형분이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 내부를 따라 출구쪽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가이드 부재는 나선형으로 일자로 길게 연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나선형을 이루되, 부분적으로 분리 이격되어 점선과 같이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10)에서 장공의 슬롯(slot)을 통해 액상의 처리수가 배출된 고형분은 배출구(13)를 통해서,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20)로 배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10)에서, 고형분의 배출구(13)는 드럼 스크린의 측면(원통형 기둥에서 밑면 또는 윗면에 해당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드럼 스크린의 출구측 측면은 밀폐판(14)에 의해 막혀 있으며, 드린 스크린의 표면에 다수개의 배출구(13)가 형성되며, 이 표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고형분이 배출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배출구(13)를 드럼 스크린의 출구측 측면이 아니라,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스크린의 표면에 형성한 이유는 오염물인 고형분으로부터 베어링과 같은 회전관련 부속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드럼 측면을 밀폐판(14)으로 막고, 밀폐판에 회전축(15)이 결합하여, 회전축(15)을 보호커버(70) 외부로 연장시켜 지지함으로써, 베어링과 같은 부속품이 고형분과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높이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드럼 스크린의 출구측 측면이 아니라,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스크린의 표면에 배출구를 형성됨은 본 발명의 또다른 기술적 특징에 해당된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로 유입된 가축분뇨는 드럼 스크린의 표면에 형성된 슬롯을 통해 처리수는 배출되어 하부의 처리수 저장조(60)에 저장될 것이며, 고형분은 드럼 스크린의 출구측 표면에 형성된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된다.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에서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고형분은 스크류(24)에 의한 압축방식의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20)로 유입된다. 1차 드럼 스크류 탈수기와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는 단차를 두고 형성되어, 1차 드럼 스크류의 배출구(13)에서 배출된 고형분이 자유낙하하여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의 투입구(21)로 투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별도의 구동력에 의한 이동없이 오로지 고형분의 자중에 의한 자유낙하로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의 투입구(21)로 투입된다.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20)는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와 달리 스크류(24)에 의한 강제 압축방식으로 고형분을 압축시켜 처리수를 분리하는 방식이다.
고형분을 압착하는 스크류(24)는 측면에 형성된 구동 모터(22) 및 변속기(23)에 연결되어 원통형 드럼(30) 내부에서 회전하게 된다. 변속기(23)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할 것이며, 분리하고자 하는 축분의 종류에 따라 회전속도를 달리하여 본 발명의 고액분리기는 다양한 종류의 축분에 적용될 수 있다.
스크류와 원통형 드럼의 간격 및 스크류의 날개의 간격 등은 가축분뇨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을 것이나, 스크류(24)의 회전에 의해서 고형분에 대한 압착이 이루어져, 원통형 드럼(30)에 형성된 구멍(도 2의 34)으로 액상의 처리수가 배출되는 구조를 지녀야 한다.
원통형 드럼(30)의 구멍을 통해 배출된 처리수는 하부의 처리수 저장조(60)에 보관될 것이며, 고형분을 출구측 측면으로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고형분 배출구(2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20)의 출구측은 측면에 고형분 배출구(28)가 형성되되, 어느 정도의 가압력을 주도록 무게추(26)의 무게에 의한 마개(27)로 막힌 구조를 갖는다. 즉, 마개(27)는 무게추(26)와 결합되어, 무게추의 무게로 인한 가압력으로 마개가 고형분 배출구를 막고 있는 구조를 갖는다. 고형분 배출구를 마개로 막는 이유는 최대한 축분을 압착하여 처리수를 탈수시키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과도하게 고형분 배출구를 막게 된다면 오히려 장치의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음으로, 바람직하게는 마개의 중앙에 구멍을 형성하여 과도한 가압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측의 회전축(25)이 길게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는 베어링과 같은 부속품이 고형분과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높이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안전 수위센서(40)는 안전상의 이유로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와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 사이, 다시말해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의 투입구(21)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의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고형분의 량이 과다하여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의 투입구(21)가 넘쳐 일정수위 이상 높아질 경우에 이를 감지하는 수위센서이다.
안전 수위 센서(40)에서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에서의 과도한 배출을 감지하게 되면(즉, 2차 스크류 압출 탈수기의 투입구가 넘쳐 고형분이 안전 수위 센서의 위치까지 올라오면), 안전 수위 센서(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PLC 판넬 또는 PC)에 감지신호를 전송하여, 고액 분리기 전체가 구동을 멈추도록 제어부에서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구동모터(12, 22) 등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와 상기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는 보호 커버(70)에 의해서 밀폐되어 있다. 이는 가축 분뇨 등에 의한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아 사용자에게 주는 혐오감을 줄이기 위해서이다.
한편, 자동 물세척 장치(50)는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와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에 의한 가축 분뇨의 고액 분리가 끝난 후, 표면에 슬롯을 지닌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에 대한 세척이 외부에서 이루어진다. 자동 물세척 장치(50)는 펌프(52)에 의해서 외부의 물을 끌어올려, 상부에 위치하는 노즐을 통해서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의 드럼 표면에 분사함으로써, 드럼 표면을 외부에서부터 세척하게 된다. 자동 물세척 장치(50)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의 제어 신호에 의해서 세척 시간 및 수압 등이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드럼의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의 원통형 드럼(30)은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에 사용되는 스크린으로서, 웨지 타입의 와이어 부재가 원통형의 드럼을 이루는 웨지 와이어 스크린이다. 웨지 와이어 스크린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순차적으로 인접설치되어 전체적으로 원통형 드럼을 이루는 와이어 부재(31, 웨지 와이어), 상기 와이어 부재의 내측 또는 외측에 결합되는 원통형 드럼을 지지하는 결합 지지부재(32)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웨지 와이어 스크린(원통형 드럼)은 길이방향으로 일자형 와이어 부재(31)가 일정간격으로 결합되어 원통형 드럼을 이루며, 링 형상의 결합 지지부재(32)가 다수개의 와이어 부재(31)들을 결합하는 방식이다. 참고로 도 3에서는 와이어 부재가 링 형상이며, 결합지지부재(32)가 일자 형상이다.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20)에서 와이어 부재(31)와 와이어 부재(31) 사이의 공간인 구멍(34)를 통해서 배출수가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 지지부재의 일측면에는 요철면(32)이 형성되며, 상기 요철면의 홈에 상기 와이어 부재가 각각 삽입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 와이어(31)는 대략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지니는 데, 요철면의 홈 또한 대략 삼각형 형상을 지녀, 웨지 와이어(31)의 양측면과 요철면(32a)의 홈의 양측면이 용접결합된다.
종래의 웨지 와이어 스크린에서는 결합 지지부재에 요철면이 없이 평탄면으로 이루어지고, 여기게 와이어가 결합되는 방식이였는 데,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외부 이물질에 의하여 와이어의 탈리 현상이 두드러져, 잦은 사후 관리에 따른 불편과, 스크린 간격의 균일성이 떨어져 탈수력이 저하되고, 처리수의 균질성이 떨어졌다. 또한 공정 특성상 와이어의 탈리에 의한 문제 발생시 수선이 어려워 스크린 전체를 교체하여야 함으로 과도한 비용이 발생되고, 스크린 교체에 다른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서와 같이 결합 지지부재(32)에 요철면(32a)이 형성되고, 웨지 와이어(31)가 요철면의 홈에 삽입되는, 도 2 내지 3과 같은 방식은 웨지 와이어 부재와 결합지지부재와의 접합결속되는 면적이 증대되어 결속력이 증대되며, 이에 따라 탈리 현상이 발생될 위험이 적으며, 탈리 현상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수선이 용이하여 교체에 따른 불편 및 과도한 비용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크린의 간격 즉, 웨지 와이어 부재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탈수력의 증대와 처리수의 균질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드럼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에서는 원통형 드럼 스크린의 형상을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원통형 드럼을 수직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원통형 드럼임으로 도 2와 같이 원통형 형상을 가짐은 물론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원통형 드럼 스크린은 도 2와 같은 웨지 와이어 스크린이긴 하나, 도 2와 달리 웨지 와이어(31)가 일자형이 아니라, 링 형상이며, 결합 지지부재(32)가 일자형이다.
결합 지지부재(32)는 웨이 와이어 부재의 내부측 또는 외부측에 형성되는 데, 도 3의 (a)는 일자형의 결합지지부재(32)가 링 형상의 웨지 와이어 부재(31)의 외부측에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며, 도 3의 (b)는 일자형의 결합 지지부재(32)가 링형상의 웨지 와이어 부재(31)의 내부측에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원통형 드럼의 내부에는 스크류가 삽입되어 가축분뇨에 대한 압축이 이루어짐으로, 바람직하게는 스크류와의 마찰 내지 걸림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도 3(a)와 같이 결합지지부재가 외부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도 3에서의 웨지 와이어 스크린에서도 도 2에서와 같이, 결합 지지부재(32)의 결합부에는 요철면이 형성되고, 웨지 와이어가 요철면의 홈에 삽입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 11: 유입수 투입구
12: 구동모터 13: 배출구
14: 밀폐판 15: 회전축
20: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 21: 투입구
22: 구동모터 23: 변속기
24: 스크류 25: 회전축
26: 무게추 27: 마개
28: 고형분 배출구
30: 원통형 드럼
31: 와이어 부재 32: 결합 지지부재
32a: 요철면 34: 구멍
40: 안전 수위센서
50: 자동 물세척 장치 52: 펌프
60: 처리수 저장조 62: 처리수 배출구
70: 보호 커버

Claims (4)

  1. 가축분뇨를 고상과 액상으로 분리하는 가축분뇨의 고액 분리기에 있어서,
    구동모터(12)의 구동력에 저속 회전되며, 내부는 비어 있으며, 표면에는 액상의 처리수가 배출되기 위한 장공의 슬롯이 형성되며, 고형분이 배출되는 다수개의 배출구(13)가 표면에 다수개 형성되고, 내부 벽면에는 고형분을 출구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1개 이상의 나선형의 가이드 부재가 형성되며, 출구측 측면에는 밀폐판(14)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밀폐판에는 회전축(15)이 결합된 구조를 갖는, 드럼 스크린 방식의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10);
    상기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와 단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입구측은 상기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의 배출구에서 배출된 고형분이 낙하하여 투입되는 투입구(21)가 형성되고, 원통형 드럼(30)의 내부에 상기 고형분을 압착하는 스크류(28)가 구동모터(22)와 변속기(23)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출구측은 측면에 고형분 배출구(28)가 형성된, 스크류 압착 방식의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20);
    상기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의 투입구의 상부에 설치되어,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로 유입되는 고형분의 수위를 감지하는 안전 수위 센서(40);
    분뇨의 고액 분리가 끝난 후, 일측에 형성된 펌프(52)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의 외부에 물을 분사하는 자동세척장치(50);
    상기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에 배출된 처리수와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에서 배출된 처리수를 수집하여 처리수 배출구(62)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처리수 저장조(60);
    상기 안전 수위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고액 분리기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분뇨의 고액 분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드럼(30)은,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가 순차적으로 인접설치되어 전체적으로 원통형 드럼을 이루는 와이어 부재(31),
    상기 와이어 부재의 내측 또는 외측에 결합되는 원통형 드럼을 지지하는 결합 지지부재(32)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 지지부재(32)의 일측면에는 요철면(32a)이 형성되며, 상기 요철면의 홈에 상기 와이어 부재(31)가 각각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분뇨의 고액 분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드럼 스크린 탈수기 및 상기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는 보호커버(70)에 의해 밀폐되어 악취의 확산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분뇨의 고액 분리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스크류 압축 탈수기(20)의 고형분 배출구(28)는 마개(27)가 형성되고,
    상기 마개(27)는 무게추(26)와 결합되어, 상기 무게추(26)에 의한 가압력으로 상기 마개(27)가 상기 고형분 배출구(28)를 막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분뇨의 고액 분리기.

KR1020120080651A 2012-07-24 2012-07-24 가축분뇨의 고액 분리기 KR101369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651A KR101369416B1 (ko) 2012-07-24 2012-07-24 가축분뇨의 고액 분리기
PCT/KR2012/010366 WO2014017707A1 (ko) 2012-07-24 2012-12-03 가축분뇨의 고액 분리기
CN201280003791.2A CN103702950B (zh) 2012-07-24 2012-12-03 家畜粪尿的固液分离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651A KR101369416B1 (ko) 2012-07-24 2012-07-24 가축분뇨의 고액 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491A KR20140013491A (ko) 2014-02-05
KR101369416B1 true KR101369416B1 (ko) 2014-02-28

Family

ID=49997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651A KR101369416B1 (ko) 2012-07-24 2012-07-24 가축분뇨의 고액 분리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69416B1 (ko)
CN (1) CN103702950B (ko)
WO (1) WO201401770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94190A (zh) * 2014-12-21 2015-04-08 遵义联谷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人畜粪便压缩成块装置
KR20150136242A (ko) * 2014-05-27 2015-12-07 (주)국제환경기술 유기성 슬러지 처리용 탈수장치
KR20160131190A (ko) * 2015-05-06 2016-11-16 (주)국제환경기술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를 위한 스크루프레스 고액분리기
WO2021261945A1 (ko) * 2020-06-26 2021-12-30 한국기계연구원 수분 함유량 조절이 가능한 탈수 기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3773B (zh) * 2014-02-25 2015-07-01 洛阳高坦机械技术有限公司 一种无滤布垂直压缩污泥高压脱水机
CN104054620A (zh) * 2014-06-25 2014-09-24 浙江海洋学院 采用滚筒固液分离的封闭式养殖系统
KR101490083B1 (ko) * 2014-08-20 2015-02-04 정지호 침사물에 포함된 모래 및 협잡물의 분리 배출 시스템
CN104210129A (zh) * 2014-08-30 2014-12-17 蒋世芬 小型手摇花生榨油机
KR101528329B1 (ko) * 2014-11-05 2015-06-11 강대민 축산 분뇨 처리시스템
CN104773941B (zh) * 2015-04-27 2017-02-01 苏州市凯业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漂染污泥自动压缩脱水装置
KR101703731B1 (ko) * 2015-05-06 2017-02-07 (주)국제환경기술 경사드럼스크린과 이중 테이퍼스크린을 구비한 2단 탈수방식의 고액분리기
CN105174631B (zh) * 2015-09-25 2018-07-20 宁波中车时代传感技术有限公司 一种粪便污水固液分离器
CN105944438A (zh) * 2016-05-24 2016-09-21 安徽宜留电子科技有限公司 转鼓真空过滤机出铁作业安全防护组件
JP6753704B2 (ja) * 2016-06-09 2020-09-09 株式会社丸島アクアシステム 固液分離装置
CN105944450B (zh) * 2016-06-22 2023-10-31 陈长卿 一种新型畜禽粪便固液分离机
KR101865510B1 (ko) * 2017-09-25 2018-06-07 김정일 폐기물 처리기 및 처리방법
CN107935082A (zh) * 2018-01-08 2018-04-20 芦发科 一种生活污水固液分离处理装置
KR102202049B1 (ko) * 2019-08-12 2021-01-12 (주)국제환경기술 다단 웨지스크린이 구비된 고액분리기
CN110604962A (zh) * 2019-09-24 2019-12-24 广东东荣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模块式、独立中轴支撑、长与直径超大比率微滤机
WO2021064263A1 (es) * 2019-10-02 2021-04-08 Anton Foix Padrell Dispositivo de filtrado de aguas
CN112586369A (zh) * 2021-01-12 2021-04-02 河南瑞航农牧业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养猪育肥猪笼用通风装置
CN113003867A (zh) * 2021-03-04 2021-06-22 萍乡市泰华牧业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猪场养殖废水分离效率的方法
CN113457271B (zh) * 2021-06-22 2022-06-24 浙江水美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畜禽粪液初步分离装置
CN113428448B (zh) * 2021-07-19 2022-12-23 山西晋龙养殖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肥生产用离心成型包装装置
WO2024014629A1 (ko) * 2022-07-12 2024-01-18 (주)워터솔루션 고액분리부가 구비되는 축사 분뇨 비료화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955B1 (ko) * 1994-10-13 1998-04-30 강석민 종합 분뇨 전 처리방법
KR200426105Y1 (ko) * 2006-06-15 2006-09-14 윤병권 축분 고액 분리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001Y1 (ko) * 2001-02-23 2001-07-03 전상근 분리형 고액분리기
CN2931611Y (zh) * 2006-01-09 2007-08-08 王绍康 城市粪便处理固液分离装置
CN201593235U (zh) * 2009-12-11 2010-09-29 贵州威尔森环保生物工程有限公司 淤泥、化粪池清掏设备
CN201713368U (zh) * 2010-06-23 2011-01-19 北京昊业怡生科技有限公司 浓缩絮凝脱水一体机
JP2012012260A (ja) * 2010-07-01 2012-01-19 Sumikin Recotech Co Ltd 水砕処理用脱水槽及びそれを備えた水砕製造装置
CN202030625U (zh) * 2011-04-21 2011-11-09 钱玉芳 禽畜粪便处理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955B1 (ko) * 1994-10-13 1998-04-30 강석민 종합 분뇨 전 처리방법
KR200426105Y1 (ko) * 2006-06-15 2006-09-14 윤병권 축분 고액 분리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242A (ko) * 2014-05-27 2015-12-07 (주)국제환경기술 유기성 슬러지 처리용 탈수장치
KR101666639B1 (ko) * 2014-05-27 2016-10-14 (주)국제환경기술 유기성 슬러지 처리용 탈수장치
CN104494190A (zh) * 2014-12-21 2015-04-08 遵义联谷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人畜粪便压缩成块装置
KR20160131190A (ko) * 2015-05-06 2016-11-16 (주)국제환경기술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를 위한 스크루프레스 고액분리기
KR101703733B1 (ko) * 2015-05-06 2017-02-07 (주)국제환경기술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를 위한 스크루프레스 고액분리기
WO2021261945A1 (ko) * 2020-06-26 2021-12-30 한국기계연구원 수분 함유량 조절이 가능한 탈수 기계
KR20220000517A (ko) * 2020-06-26 2022-01-04 한국기계연구원 수분 함유량 조절이 가능한 탈수 기계
KR102524056B1 (ko) * 2020-06-26 2023-04-21 한국기계연구원 수분 함유량 조절이 가능한 탈수 기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491A (ko) 2014-02-05
CN103702950A (zh) 2014-04-02
CN103702950B (zh) 2015-07-08
WO2014017707A1 (ko) 201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9416B1 (ko) 가축분뇨의 고액 분리기
US9737896B2 (en) Screw conveyor type separation apparatus an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CN104411410B (zh) 利用离心法的食物垃圾的破碎和脱水设备
US6395187B1 (en) Horizontal solids recycler
KR101769008B1 (ko) 협잡물 강제이송 및 절단장치가 장착된 협잡물 종합처리기
KR102018800B1 (ko) 부유물 농도센서를 이용한 협잡물 종합처리기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협잡물 처리방법
KR100945273B1 (ko) 고농도 유기폐수의 원심 농축장치
KR101820094B1 (ko) 협잡물 절단 및 분쇄장치가 내장된 협잡물 종합처리기
KR20160131187A (ko) 경사드럼스크린과 이중 테이퍼스크린을 구비한 2단 탈수방식의 고액분리기
GB2438076A (en) Rotary screen drum
KR20120066280A (ko) 스크류형 침출수 정화장치
KR101233808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1458499B1 (ko) 스크류 프레스형 슬러지 탈수장치
EP2628519B1 (en) Device for removing liquid
KR200400258Y1 (ko)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
KR20150017208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30025936A (ko) 개수대에 구비된 음식쓰레기 절단 및 탈수장치
KR100805377B1 (ko)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의 고액분리기
CN204798978U (zh) 新型污水泥渣联合处理机
KR101437908B1 (ko) 물과 응집 슬러지의 비중 차이를 이용한 수직형 스크류 탈수기
KR101859716B1 (ko) 스크루피더의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일체형 농축탈수장치
KR101495905B1 (ko) 모래여과의 안정성이 향상된 협잡물 처리기
KR100620438B1 (ko) 상향식 오폐수 처리 장치
CN205420120U (zh) 污泥除水器
KR100478008B1 (ko) 축폐수.분뇨 및 정화조 오니 고도 전처리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