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639B1 - 유기성 슬러지 처리용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성 슬러지 처리용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639B1
KR101666639B1 KR1020140063399A KR20140063399A KR101666639B1 KR 101666639 B1 KR101666639 B1 KR 101666639B1 KR 1020140063399 A KR1020140063399 A KR 1020140063399A KR 20140063399 A KR20140063399 A KR 20140063399A KR 101666639 B1 KR101666639 B1 KR 101666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screen
hopper
screw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6242A (ko
Inventor
이진석
Original Assignee
(주)국제환경기술
이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국제환경기술, 이진석 filed Critical (주)국제환경기술
Priority to KR1020140063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639B1/ko
Publication of KR20150136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23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01D29/2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open-ended the arrival of the mixture to be filtered and the discharge of the concentrated mixture are situated on both opposite sides of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29/9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 cake, e.g. chu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성 슬러지 처리용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성 슬러지의 이송에서 발생하는 침출수의 양을 저하시킬 수 있는 유기성 슬러지 처리용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공급스크루가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로 투입된 슬러지를 하부로 공급하는 호퍼;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슬러지가 압착되도록 제1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이송스크루가 구비되며, 슬릿형태의 구멍으로 이루어져 슬러지를 1차 탈수하는 테이퍼 형상의 타공슬릿스크린; 타공슬릿스크린의 단부와 연통되게 용접결합 또는 볼트/너트 결합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원통형을 이루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순차적으로 인접되게 설치되는 와이어부재 및 일측면에 형성된 요철면의 홈에 와이어부재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된 결합부재로 구성되어 1차 탈수된 슬러지를 2차 탈수하는 웨지와이어스크린; 및 웨지와이어스크린의 단부에 설치되어 2차 탈수된 슬러지가 배출되는 슬러지배출구;를 포함하되,
슬러지배출구에는, 중앙에 이송스크루가 관통되는 홀과, 홀의 외주에 방사형으로 절개되어 자체 탄성에 의하여 유연하게 움직였다 복원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날개로 이루어져, 배출되는 2차 탈수된 슬러지를 탄성력으로 막는 탄성판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슬러지 처리용 탈수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유기성 슬러지 처리용 탈수장치{Dehydrator of organic sludge}
본 발명은 유기성 슬러지 처리용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성 슬러지의 이송에서 발생하는 침출수의 양을 저하시킬 수 있는 유기성 슬러지 처리용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성 슬러지를 최종처리 하는 방법에는 매립, 소각, 재활용 등의 방법이 있으나 최종처리과정에서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은 물론 처리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방법도 아울러 모색되어야 한다.
특히, 함수율이 높은 유기성 슬러지를 매립할 경우, 슬러지 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폐수 누출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로 슬러지 함수율을 20% 정도 더 낮출 수 있으면 슬러지 중량이 반감되어 운송비나 매립비 등이 절감되고 침출수 누출 등의 문제도 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슬러지를 소각하는 경우 역시 함수율이 높은 유기성 슬러지를 소각함에 따라 소각효율이 낮음은 물론 그로 인한 대기 오염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확산되고 있으며 최선의 소각방법으로 개선하는 데는 경제적인 부담과 기술적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함수율을 낮출 수 있다면 슬러지 양을 현저히 감소시켜 소각 비용 등을 줄일 수 있고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유기성 슬러지의 탈수 및 건조는 슬러지의 매립, 소각, 재활용 등의 처리에 있어서 처리비용을 줄임은 물론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아주 중요한 핵심임을 알 수 있다.
유기성폐기물(가축분뇨, 음식물, 하수슬러지, 동식물성 잔재물, 폐수/분뇨 슬러지 등)의 경우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되나, 이를 처리할 수 있는 전처리 설비의 보급이 미흡한 실정이므로 슬러지발생원에서는 슬러지처리비용이 증가하여 채산성을 낮추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슬러지의 운송과정에서 발생되는 침출수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침출수가 지하수로 유입되어 2차 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는 여건에 놓여 있다.
상기와 관련된 종래기술인 '축산용 슬러지 탈수장치에서 슬러지의 탈수 물질에 따라 압착력을 조절하여 탈수효과를 높이려고 하였으나, 스크린의 구멍이 커서 처리수의 고형물 농도가 증가하거나, 스크린의 막힘현상이 발생하여 잦은 세척관리를 요하거나, 탈수력이 낮아 퇴비화시 부자재(톱밥, 왕겨 등)의 사용 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국내 특허등록공보 제10-1174603호, 2012.08.09.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유기성 슬러지의 수분함량을 저하시켜 슬러지 처리비용을 경감시킬 뿐만 아니라 슬러지 이송 중에 발생하는 침출수의 양을 저하시킬 수 있는 유기성 슬러지 처리용 탈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급스크루가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로 투입된 슬러지를 하부로 공급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슬러지가 압착되도록 제1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이송스크루가 구비되며, 슬릿형태의 구멍으로 이루어져 상기 슬러지를 1차 탈수하는 테이퍼 형상의 타공슬릿스크린; 상기 타공슬릿스크린의 단부와 연통되게 용접결합 또는 볼트/너트 결합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원통형을 이루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순차적으로 인접되게 설치되는 와이어부재 및 일측면에 형성된 요철면의 홈에 상기 와이어부재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된 결합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1차 탈수된 슬러지를 2차 탈수하는 웨지와이어스크린; 및 상기 웨지와이어스크린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2차 탈수된 슬러지가 배출되는 슬러지배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슬러지배출구에는, 중앙에 상기 이송스크루가 관통되는 홀과, 상기 홀의 외주에 방사형으로 절개되어 자체 탄성에 의하여 유연하게 움직였다 복원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날개로 이루어져, 상기 배출되는 2차 탈수된 슬러지를 탄성력으로 막는 탄성판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슬러지 처리용 탈수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삭제
상기 탄성판은, 고무, 우레탄, 실리콘 또는 연성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판을 관통한 상기 이송스크루의 단부에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상기 탄성판을 가압하는 압력막음판 및 상기 탄성부재의 압축량을 조절하여 상기 압력막음판의 가압력을 제어하는 나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막음판의 외부에는, 상기 이송스크루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고정된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슬러지 처리용 탈수장치는, 타공슬릿스크린 및 웨지와이어스크린을 지나 탄성판을 통하여 배출되는 유기성 슬러지의 함수량을 저감시켜 슬러지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러지 중량을 줄여 슬러지 처리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공슬릿스크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웨지와이어스크린의 정면도 및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판의 형상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압수단의 상세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슬러지 처리용 탈수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00), 타공슬릿스크린(200), 웨지와이어스크린(300) 및 슬러지배출구(40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호퍼(100)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호퍼(100)는 상부 직경은 크고 하부 직경은 작게 형성된 원추형의 구조을 가지며, 공급스크루(102)가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로 투입된 슬러지를 하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곳으로, 슬러지를 저류하고 타공슬릿스크린(200)과 웨지와이어스크린(300)으로 슬러지를 유입시켜준다.
부가적으로, 공급스크루(102)는 제2모터(104)의 구동으로 회전함에 따라 호퍼(100)의 상부에 투입되는 슬러지를 하부에 위치한 타공슬릿스크린(200)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슬러지로 인하여 호퍼(100) 내부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타공슬릿스크린(200)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공슬릿스크린(200)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타공슬릿스크린(200)은 상기 호퍼(100)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슬릿형태의 구멍인 슬릿구멍(204)이 무수히 형성된 테이퍼 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호퍼(100)의 하부로부터 타공슬릿스크린(200)의 상부에 형성된 투입구(208)를 통하여 공급받은 슬러지가 압착되도록 내부에 제1모터(206)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이송스크루(202)로 이용하여 1차 탈수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이송스크루(202)가 회전함에 따라 직경이 큰 곳에서 직경이 작은 방향으로 슬러지를 이송시켜 압착력을 높여 슬러지의 탈수효과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슬릿구멍(204)은 탈수 시작시 이송스크루(202)의 회전에 따라 타공슬릿스크린(200) 내부의 슬러지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슬러지의 처리수가 타공슬릿스크린(200)에 형성된 슬릿구멍(204)을 통하여 타공슬릿스크린(200) 외부로 탈리되어 처리수배출구(210)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에 따라, 무수한 슬릿구멍(204)을 통하여 점성을 가진 유기성 슬러지의 탈수되는 처리수 배수가 원활해질 수 있다. 또한, 슬러지배출구(400)를 통하여 배출되는 슬러지의 함수량을 낮추어 수질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무수한 슬릿구멍(204)이 형성되어 점성을 가진 유기성 슬러지의 탈수 여액의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을 덧붙이자면, 이송스크루(202)는 타공슬릿스크린(200)의 내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회전축(202a)에 스크루블레이드(202b)가 형성되어 회전축(202a)의 일단에 직결된 제1모터(206)의 동력에 따라 타공슬릿스크린(200) 내부에서 회전함으로써 슬러지를 압착시켜 슬러지의 고형분으로부터 처리수를 분리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제1모터(206)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며, 분리하고자 하는 슬러지의 종류에 따라 이송스크루(202)의 회전속도를 달리하여 본 발명의 유기성 슬러지 처리용 탈수장치는 음식물 찌꺼기, 가축분뇨, 도축슬러지(도축과정에서 내장 안의 분뇨와 털이 물에 침지되어 발생되는 슬러지) 등 다양한 종류의 유기성 슬러지에 적용될 수 있다.
단, 회전축(202a)은 타공슬릿스크린(200)과 웨지와이어스크린(300)의 내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충분한 여분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전축(202a)의 일단에는 제1모터(206)가 연결 설치되고 회전축(202a)의 타단에는 가압수단(500)이 설치된다. 상기한 웨지와이어스크린(300)과 가압수단(500)은 추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수많은 슬릿구멍(204)이 형성된 타공슬릿스크린(200)은 녹슬지 않는 금속재질 또는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탈수시 가해지는 압력에 견딜 수 있는 정도의 어느 재질로도 제작 가능하다.
다음으로, 웨지와이어스크린(300)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웨지와이어스크린(300)의 정면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웨지와이어스크린(300)의 정면도를 도시하였고,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웨지와이어스크린(300)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이를 참조하여 기술해보면, 상기 웨지와이어스크린(300)은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일자형 와이어부재(302)가 원통형을 이루도록 순차적으로 인접되게 설치되고, 링 모양의 결합부재(304) 일측면에 형성된 요철면(304a)의 홈에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부재(302)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상기 타공슬릿스크린(200)의 단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1차 탈수된 슬러지가 와이어부재(302)와 와이어부재(302) 사이의 공간인 구멍을 통하여 처리수가 배출되면서 2차 탈수하게 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와이어부재(302)와 요철면(304a)의 홈은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지니는데, 와이어부재(302)의 양측면과 요철면(304a) 홈의 양측면이 접합결속되어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와이어부재(302)의 간격을 최소 0.01㎜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탈수력을 향상시키고 처리수의 균질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타공슬릿스크린(200)의 단부와 웨지와이어스크린(300)을 연통되게 설치하여 1차로 타공슬릿스크린(200)에서 슬러지의 처리수 탈수가 진행된 후 타공슬릿스크린(200)에서 미처 탈수되지 못한 슬러지를 웨지와이어스크린(300)을 통과시킴으로써 슬러지배출구(400)를 통하여 배출되는 슬러지의 함수율을 10~20%까지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어 본 발명에 적용하였다.
이때, 웨지와이어스크린(300)은 타공슬릿스크린(200)의 단부와 용접결합되거나 볼트와 너트로 결합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슬러지배출구(400)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슬러지배출구(400)는 상기 웨지와이어스크린(300)의 단부에 구멍이 형성 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2차 탈수된 슬러지가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곳으로, 상기 슬러지배출구(400)에는, 상기 배출되는 2차 탈수된 슬러지를 탄성력으로 가압하여 탈수력을 높일 수 있는 탄성판(402)이 더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판(402)의 형상 예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탄성판(402)은, 중앙에 상기 이송스크루(202)가 관통되는 홀(402a)과, 상기 홀(402a)의 외주에 방사형으로 절개되어 자체 탄성에 의하여 유연하게 움직였다 복원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날개(402b)가 포함되어 원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각각의 날개(402b)는 홀에서 탄성판(402)의 외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진다.
도 4-(b)를 참조하면, 홀(402a)과 복수 개의 날개(402b)로 이루어진 탄성판(402)을 통하여 배출되는 슬러지의 고형분량이 적어 압력이 낮아지면 각각의 날개(402b)가 슬러지배출구(400)의 외부로 돌출되게 펼쳐져 복원되는 힘이 적어진다.
도 4-(c)를 참조하면, 탄성판(402)을 통하여 배출되는 슬러지의 고형분량이 많아 압력이 높아지면 각각의 날개(402b)가 슬러지배출구(400)의 외부로 돌출되게 펼쳐져 복원되는 힘이 커진다. 따라서, 배출되는 슬러지가 탄성판(402)에 가하는 압력에 따라 날개(402b)는 유기적으로 세밀하게 압력조절을 할 수 있다.
단, 상기 탄성판은, 고무, 우레탄, 실리콘 또는 연성플라스틱 등 가압에 따라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는 어느 재질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탄성판(402)의 날개(402b) 갯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늘리거나 줄여서 사용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날개(402b)는 상호 포개어진 형태로도 사용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압수단(500)의 상세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탄성판(402)을 관통한 상기 이송스크루(202)의 단부, 즉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스크루(202)의 구성요소인 회전축(202a)의 타단에, 탄성부재(502), 탄성부재(502)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탄성판(402)을 가압하는 압력막음판(504) 및 탄성부재(502)의 압축량을 조절하여 압력막음판(504)의 가압력을 제어하는 나사(506)를 구성요소로 하는 가압수단(500)이 설치될 수 있다. 단, 탄성부재(502)는 탄성력이 좋은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압수단(500)의 가압 정도에 따라 탄성판(402)의 날개(402b)가 움직였다 복원되는 힘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기술해보면, 이송스크루(202)를 통해 이송되는 슬러지가 배출되는 슬러지배출구(400) 즉 탄성판(402)측으로, 나사(506)와 압력막음판(504) 사이에 위치한 탄성부재(502)의 압축력을 받은 압력막음판(504)이 탄성판(402)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또한, 나사(506)를 회전축(202a)의 일단 또는 타단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시킴으로써 탄성판(402)에서 슬러지가 배출되는 공간을 넓게 하거나 축소시킴에 따라 결과적으로 배출되는 슬러지에 가해지는 압착력을 높게 하거나 낮아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배출되는 슬러지의 함수량에 따라 나사(506)를 이동시켜 고정함으로써 슬러지의 탈수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압력막음판(504)의 외부에 상기 이송스크루(202)의 구성요소인 회전축(202a)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고정된 복수 개의 블레이드(504a)가 추가로 형성되어 슬러지배출구(400)측에서 바라본 형상을 도시하였다. 이러한 블레이드(504a)를 압력막음판(504)의 외부에 형성시키는 이유는 슬러지배출구(400) 외부로 배출되는 슬러지의 적체된 고형분을 스크럽해주고 배출을 용이하게 해주기 위함이다.
이때, 압력막음판(504)의 외부에 형성되는 블레이드(504a)의 갯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슬러지 처리용 탈수장치는, 슬러지를 슬릿형태의 구멍이 형성된 타공슬릿스크린(200) 내부로 통과시켜 1차적으로 슬러지의 처리수를 제거하여 탈수하고, 1차 탈수된 슬러지를 웨지와이어스크린(300) 내부로 통과시켜 슬러지의 잔여 처리수 및 미세 슬러지의 여과를 가능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압력에 따라 슬러지가 배출되는 탄성판(402)으로 인하여 배출되는 슬러지 고형분의 함수량을 최종적으로 10~20%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호퍼 102: 공급스크루
104: 제2모터 200: 타공슬릿스크린
202: 이송스크루 202a: 회전축
202b: 스크루블레이드 204: 슬릿구멍
206: 제1모터 208: 투입구
210: 처리수배출구 300: 웨지와이어스크린
302: 와이어부재 304: 결합부재
304a: 요철면 400: 슬러지배출구
402: 탄성판 402a: 홀
402b: 날개 500: 가압수단
502: 탄성부재 504: 압력막음판
504a: 블레이드 506: 나사

Claims (5)

  1. 공급스크루(102)가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로 투입된 슬러지를 하부로 공급하는 호퍼(100);
    상기 호퍼(100)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슬러지가 압착되도록 제1모터(206)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이송스크루(202)가 구비되며, 슬릿형태의 구멍으로 이루어져 상기 슬러지를 1차 탈수하는 테이퍼 형상의 타공슬릿스크린(200);
    상기 타공슬릿스크린(200)의 단부와 연통되게 용접결합 또는 볼트/너트 결합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원통형을 이루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순차적으로 인접되게 설치되는 와이어부재(302) 및 일측면에 형성된 요철면(304a)의 홈에 상기 와이어부재(302)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된 결합부재(304)로 구성되어 상기 1차 탈수된 슬러지를 2차 탈수하는 웨지와이어스크린(300); 및
    상기 웨지와이어스크린(300)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2차 탈수된 슬러지가 배출되는 슬러지배출구(400);를 포함하되,
    상기 슬러지배출구(400)에는,
    중앙에 상기 이송스크루(202)가 관통되는 홀(402a)과, 상기 홀(402a)의 외주에 방사형으로 절개되어 자체 탄성에 의하여 유연하게 움직였다 복원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날개(402b)로 이루어져, 상기 배출되는 2차 탈수된 슬러지를 탄성력으로 막는 탄성판(402)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슬러지 처리용 탈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402)은,
    고무, 우레탄, 실리콘 또는 연성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슬러지 처리용 탈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402)을 관통한 상기 이송스크루(202)의 단부에는,
    탄성부재(502), 상기 탄성부재(502)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상기 탄성판(402)을 가압하는 압력막음판(504) 및 상기 탄성부재(502)의 압축량을 조절하여 상기 압력막음판(504)의 가압력을 제어하는 나사(506)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슬러지 처리용 탈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막음판(504)의 외부에는,
    상기 이송스크루(202)의 회전축(202a)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고정된 복수 개의 블레이드(504a)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슬러지 처리용 탈수장치.
KR1020140063399A 2014-05-27 2014-05-27 유기성 슬러지 처리용 탈수장치 KR101666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399A KR101666639B1 (ko) 2014-05-27 2014-05-27 유기성 슬러지 처리용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399A KR101666639B1 (ko) 2014-05-27 2014-05-27 유기성 슬러지 처리용 탈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242A KR20150136242A (ko) 2015-12-07
KR101666639B1 true KR101666639B1 (ko) 2016-10-14

Family

ID=54872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399A KR101666639B1 (ko) 2014-05-27 2014-05-27 유기성 슬러지 처리용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6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603B1 (ko) * 2018-04-16 2018-09-07 김용신 압축식 슬러지 탈수장치
KR20230159901A (ko) 2022-05-12 2023-11-23 백대현 유기성 찌꺼기의 연속 혼합 분쇄조를 통한 적정토양 건조장치와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589B1 (ko) * 2020-11-20 2021-06-17 서윤배 협잡물 처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1145A (ja) * 2000-06-23 2002-01-08 Kotaro Yamamoto 生ゴミ処理装置
KR101187322B1 (ko) * 2012-02-15 2012-10-02 주식회사 에취켓 정역회전식 탈수용 스크류프레스 및 이를 이용한 탈수방법
KR101369416B1 (ko) * 2012-07-24 2014-02-28 이순호 가축분뇨의 고액 분리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249B1 (ko) * 2004-04-10 2006-12-08 박학구 음식물 처리기의 탈수 장치
KR101174603B1 (ko) 2011-10-05 2012-08-16 천상준 축산용 슬러지 탈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1145A (ja) * 2000-06-23 2002-01-08 Kotaro Yamamoto 生ゴミ処理装置
KR101187322B1 (ko) * 2012-02-15 2012-10-02 주식회사 에취켓 정역회전식 탈수용 스크류프레스 및 이를 이용한 탈수방법
KR101369416B1 (ko) * 2012-07-24 2014-02-28 이순호 가축분뇨의 고액 분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603B1 (ko) * 2018-04-16 2018-09-07 김용신 압축식 슬러지 탈수장치
KR20230159901A (ko) 2022-05-12 2023-11-23 백대현 유기성 찌꺼기의 연속 혼합 분쇄조를 통한 적정토양 건조장치와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242A (ko) 201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5187B1 (en) Horizontal solids recycler
KR101666639B1 (ko) 유기성 슬러지 처리용 탈수장치
KR101471168B1 (ko) 건조기능이 향상된 음식물 쓰레기처리기
US8061057B2 (en) Waste treatment system
KR2016003940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40100823A (ko) 스크류 압축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KR20160131187A (ko) 경사드럼스크린과 이중 테이퍼스크린을 구비한 2단 탈수방식의 고액분리기
KR20160131190A (ko)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를 위한 스크루프레스 고액분리기
KR20140109578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0736699B1 (ko)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
KR20130025936A (ko) 개수대에 구비된 음식쓰레기 절단 및 탈수장치
KR20160070643A (ko) 오폐수 필터링 장치
JP2004322074A (ja) 脱水装置
KR102545017B1 (ko) 고효율 음식물쓰레기 처리 및 감량장치
KR10033793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89838Y1 (ko) 탈수장치
KR101581259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협잡물의 제거 및 건조장치
JPS6068017A (ja) 電気浸透式脱水機
KR20160000474U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KR20180009941A (ko) 전력절감 및 악취 방지형 슬러지 전기 침투탈수기
KR101521280B1 (ko)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 및 이송장치
KR101379344B1 (ko)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DE3736657A1 (de) Verfahren zum entwaessern von abwasserschlamm und anlage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KR10068452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70124696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