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4696A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4696A
KR20170124696A KR1020160054384A KR20160054384A KR20170124696A KR 20170124696 A KR20170124696 A KR 20170124696A KR 1020160054384 A KR1020160054384 A KR 1020160054384A KR 20160054384 A KR20160054384 A KR 20160054384A KR 20170124696 A KR20170124696 A KR 20170124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food
tank
storage tank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종열
Original Assignee
(주)동아에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아에프이 filed Critical (주)동아에프이
Priority to KR1020160054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4696A/ko
Publication of KR20170124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6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3Propeller-shaped stirrers for producing an axial flow, e.g. shaped like a ship or aircraft propeller
    • B01F7/00341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4Agitating, stirring, or scra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5Mixing waste with other ingredients
    • B01F2215/004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가 개시된다.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 상기 저장 탱크에 삽입되고,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음식물을 압축하기 위한 압축 부재; 상기 저장 탱크에서 상기 압축 부재의 상기 음식물 쓰레기 압축에 따라,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받을 수 있는 오수 배출 탱크; 상기 저장 탱크에서 상기 압축 부재에 의해 압축되면서 수분이 일정량 제거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이동되어 건조되는 건조 탱크; 및 상기 압축 부재를 포함한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부재;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시스템이 필요하지 않으면서도, 유압모터가 간헐적으로 동작하여 부하의 감소 및 에너지 효율이 증대하고, 유압모터의 수명도 종래의 기술보다 길어질 수 있으며, 간단하게 많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Food waste disposal}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급식소, 음식 업소 등 음식 관련 업체에서는 매일 대량의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한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음식물 쓰레기로 거름이 가축의 사료 등을 만들거나, 아래 제시된 등록실용신안 또는 공개특허처럼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과정으로 그 부피를 줄여 처리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의하면, 음식물이 분쇄되며 발생하는 소음과, 음식물이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내부 부품 사이에 음식물이 자주 끼어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음식물을 지속적으로 갈아서 분쇄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이때 사용되는 모터의 부하로 인해 기계의 수명이 짧아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 20-0255569호, 등록일자: 2001.02.04., 발명의 명칭: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공개특허 제 10-2014-0035121호, 공개일자: 2014.3.21., 발명의 명칭: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시스템이 필요하지 않으면서도, 유압모터가 간헐적으로 동작하여 부하의 감소 및 에너지 효율이 증대하고, 유압모터의 수명도 종래의 기술보다 길어질 수 있으며, 간단하게 많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 상기 저장 탱크에 삽입되고,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음식물을 압축하기 위한 압축 부재; 상기 저장 탱크에서 상기 압축 부재의 상기 음식물 쓰레기 압축에 따라,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받을 수 있는 오수 배출 탱크; 상기 저장 탱크에서 상기 압축 부재에 의해 압축되면서 수분이 일정량 제거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이동되어 건조되는 건조 탱크; 및 상기 압축 부재를 포함한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부재;를 포함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 상기 저장 탱크에 삽입되고,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음식물을 압축하기 위한 압축 부재; 상기 저장 탱크에서 상기 압축 부재의 상기 음식물 쓰레기 압축에 따라,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받을 수 있는 오수 배출 탱크; 상기 저장 탱크에서 상기 압축 부재에 의해 압축되면서 수분이 일정량 제거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이동되어 건조되는 건조 탱크; 및 상기 압축 부재를 포함한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부재;를 포함함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시스템이 필요하지 않으면서도, 유압모터가 간헐적으로 동작하여 부하의 감소 및 에너지 효율이 증대하고, 유압모터의 수명도 종래의 기술보다 길어질 수 있으며, 간단하게 많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하단에 관통 형성된 오수 관통 홀을 보이는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압축되는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 탱크 양 끝단에 관통 형성된 습기 관통 홀을 보이는 확대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하단에 관통 형성된 오수 관통 홀을 보이는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압축되는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 탱크 양 끝단에 관통 형성된 습기 관통 홀을 보이는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0)는 저장 탱크(120)와, 압축 부재(130)와, 오수 배출 탱크(140)와, 건조 탱크(150)와, 제어 부재(160)를 포함한다.
음식물 쓰레기(10)가 투입되는 투입구(110)에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가 투입되면 상기 저장 탱크(120)에 쌓이게 된다.
상기 저장 탱크(120)는 일정량의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저장할 수 있는 탱크로, 내부가 빈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110)가 상단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압축 부재(130)는 상기 저장 탱크(120)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저장 탱크(120)에 삽입되는 압축 실린더(131)와, 상기 압축 실린더(131)에 유압을 가하는 유압모터(132)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 탱크(120) 내부에 쌓여있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압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10)가 상기 저장 탱크(120) 내부에 적당량으로 쌓이게 되면, 상기 유압모터(132)가 상기 압축 실린더(131)에 유압을 가하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10)가 압축되는 것으로 상기 유압모터(132)가 계속 작동하고 있는 것이 아닌, 상기 음식물 쓰레기(10)가 적당량 쌓여있을 때만 동작하는 것으로, 상기 유압모터(132)는 간헐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유압모터(132)가 간헐적으로 동작하게 되면, 상기 유압모터(132)로 인한 부하가 종래의 기술보다 감소하고, 에너지 효율도 상승하며, 상기 유압모터(132)의 수명도 길어진다.
상기 오수 배출 탱크(140)는 상기 저장 탱크(120)에서 상기 압축 부재(130)의 상기 음식물 쓰레기(10) 압축에 따라, 상기 음식물 쓰레기(10)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받는 것으로, 상기 저장 탱크(12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10)의 상기 오수를 받는다.
상기 건조 탱크(150)는 상기 저장 탱크(120)에서 상기 압축 부재(130)에 의해 압축되면서 수분이 일정량 제거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가 이동되어 건조되는 것으로, 교반기(151)와, 습기 관통 홀(155)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부재(160)는 상기 압축 부재(130)를 포함한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저장 탱크(120)에서 상기 압축 부재(130)의 상기 음식물 쓰레기(10)의 압축에 따라, 상기 음식물 쓰레기(10)에서 배출되는 상기 오수를 상기 오수 배출 탱크(140)에 흘려보낼 수 있는 오수 관통 홀(121)이 상기 저장 탱크(120) 하단의 내측면에서 이격되고 복수 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10)가 상기 압축 부재(130)로 압축될 때, 상기 음식물 쓰레기(10)에서 배출되는 상기 오수가 상기 오수 관통 홀(121)을 관통하여 상기 오수 배출 탱크(140)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오수가 상기 오수 배출 탱크(140)로 유입되어 쌓이게 되면, 고정 상태의 상기 오수 배출 탱크(140)를 사용자 편으로 당겨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0)와 분리하여 상기 오수 배출 탱크(140)에 유입된 상기 오수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압 부재가 정지 상태이고, 상기 오수 배출 탱크(140)에 상기 오수가 유입되고 있는 상태가 아닐 때, 상기 오수 배출 탱크(140)를 사용자 편으로 당길 수 있으며, 상기 오수 배출 탱크(140)를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0)와 분리하여 상기 오수 배출 탱크(140) 내의 상기 오수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저장 탱크(120)의 압축 부재(130)가 결합되어 있는 측단의 다른 측단에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10)가 낙하 가능한 원형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저장 탱크(120)의 내부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10)가 쌓여있을 때, 상기 압축 부재(130)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압축하면, 압축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가 상기 저장 탱크(120)의 한 측에 관통 형성되어있는 상기 홀에서 낙하하여 상기 건조 탱크(150)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압축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상기 저장 탱크(120)에서 상기 건조 탱크(150)로 이동할 때, 상기 홀에서 낙하하는 방식으로 이동됨으로, 별도의 이동수단이 필요하지 않다.
상기 저장 탱크(120)에서 상기 건조 탱크(150)의 내부로 이동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는 상기 건조 탱크(150) 내부의 낙하 지점에 쌓이게 된다. 상기 낙하 지점에 쌓인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는 상기 건조 탱크(150)의 내부에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교반기(151)로 위치가 이동되고 섞이게 된다.
상기 교반기(151)는 2개 이상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의 회전운동으로 상기 낙하 지점에 모여진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섞어주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10)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해준다. 또한, 낙하 지점에 모여진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상기 건조 탱크(150) 내부에서 이동시켜 넓게 퍼트림으로, 모여있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10)의 표면적이 넓어진다.
상기와 같이, 공기층이 형성되고, 표면적이 넓어진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는 상기 압축 부재(130)로 오수가 완전히 제거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오수를 포함한 수분이 남아있다. 이러한 상기 수분이 배출되기 위해 상기 건조 탱크(150)의 양 끝단 전면에 서로 이격되고 복수 개로 습기 관통 홀(15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습기 관통 홀(155)을 통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10)에 남아있는 상기 수분이 상기 건조 탱크(150)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로 방출된 상기 수분에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10)에 따른 악취를 포함한다. 이러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악취 제거용 필터부(154)가 상기 건조 탱크(150)의 일 측단에 형성되어있어 상기 수분이 외부로 방출되기 전에 상기 수분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가 제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열풍기(152)가 상기 건조 탱크(150)의 타 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건조 탱크(150)의 벽체에는 건조히터(153)가 배치되어 상기 열풍기(152) 및 상기 건조히터(153)에 의해 상기 건조 탱크(150) 내부가 간접 가열되어 상기 수분이 증발되는 속도가 높아짐으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가 건조된다.
상기 열풍기(152) 및 상기 건조히터(153)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수분이 증발하면서 생기는 습기가 상기 습기 관통 홀(155)을 통하여 상기 건조 탱크(150) 내부에서 상기 건조 탱크(150)의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방출된 습기의 악취를 상기 악취 제거용 필터부(154)로 제거하여, 공기 중으로는 악취가 제거된 상기 습기가 방출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10)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0)에서 처리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투입구(110)에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가 투입되고, 상기 저장 탱크(120) 내부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100가 적당량 쌓이게 되면, 상기 압축 부재(130)의 상기 유압모터(132)가 상기 압축 실린더(131)에 유압을 가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를 압축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음식물 쓰레기(10)가 압축되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10)에서 상기 오수가 배출되고, 상기 오수는 상기 오수 관통 홀(121)을 관통하여 상기 오수 배출 탱크(140)로 이동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가 상기 저장 탱크(120)의 한 측에 관통 형성되어있는 상기 홀에서 낙하하여 상기 건조 탱크(150)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건조 탱크(150)로 이동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는 상기 교반기(151)로 넓게 상기 건조 탱크(150) 내부에서 넓게 퍼트림으로, 모여있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10)의 표면적을 넓힌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열풍기(152) 및 상기 건조히터(153)로 상기 건조 탱크(150) 내부가 간접 가열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10)에 남은 상기 수분이 증발되고, 상기 수분이 증발하면서 생기는 상기 습기가 상기 습기 관통 홀(155)을 통하여 상기 건조 탱크(150) 내부에서 상기 건조 탱크(150)의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방출된 상기 습기의 악취를 상기 악취 제거용 필터부(154)로 제거하여, 공기 중으로는 악취가 제거된 상기 습기가 방출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시스템이 필요하지 않으면서도, 유압모터가 간헐적으로 동작하여 부하의 감소 및 에너지 효율이 증대하고, 유압모터의 수명도 종래의 기술보다 길어질 수 있으며, 간단하게 많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110 : 투입구
120 : 저장 탱크
130 : 압축 부재
140 : 오수 배출 탱크
150 : 건조 탱크
160 : 제어 부재

Claims (5)

  1.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
    상기 저장 탱크에 삽입되고,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음식물을 압축하기 위한 압축 부재;
    상기 저장 탱크에서 상기 압축 부재의 상기 음식물 쓰레기 압축에 따라,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받을 수 있는 오수 배출 탱크;
    상기 저장 탱크에서 상기 압축 부재에 의해 압축되면서 수분이 일정량 제거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이동되어 건조되는 건조 탱크; 및
    상기 압축 부재를 포함한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탱크 하단의 내측면에서 이격되고 복수 개의 오수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압축 부재로 압축될 때,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서 배출되는 오수가 상기 오수 관통 홀을 관통하여 상기 오수 배출 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탱크에서 상기 압축 부재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할 때, 압축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저장 탱크의 한 측에서 낙하하여 상기 건조 탱크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탱크의 내부에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섞어주는 교반기가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 남아있는 수분이 배출되는 습기 관통 홀이 상기 건조 탱크의 양 끝단 전면에 서로 이격되고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건조 탱크의 일 측단에는 상기 습기의 악취를 제거하는 악취 제거용 필터부가 형성되고,
    상기 건조 탱크의 타 측단에는 열풍기가 배치되고 상기 건조 탱크의 벽체에는 건조히터가 배치되어 상기 열풍기 및 건조히터에 의해 상기 건조 탱크 내부가 간접 가열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는
    2개 이상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의 회전운동으로 상기 날개의 주변에 쌓인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건조 탱크 내부에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20160054384A 2016-05-03 2016-05-03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1701246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384A KR20170124696A (ko) 2016-05-03 2016-05-03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384A KR20170124696A (ko) 2016-05-03 2016-05-03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696A true KR20170124696A (ko) 2017-11-13

Family

ID=60385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384A KR20170124696A (ko) 2016-05-03 2016-05-03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46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031A (ko) 2020-06-24 2022-01-03 주식회사 에코프랜드리 선택적 발광을 통한 음식물 처리 자동화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031A (ko) 2020-06-24 2022-01-03 주식회사 에코프랜드리 선택적 발광을 통한 음식물 처리 자동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168B1 (ko) 건조기능이 향상된 음식물 쓰레기처리기
KR20140100823A (ko) 스크류 압축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KR2016003940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40109578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970033098A (ko) 주방쓰레기 처리 장치
KR200159338Y1 (ko) 주방쓰레기처리장치
KR101625989B1 (ko) 음식물 처리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170124696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130024351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491133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장치
KR101927466B1 (ko)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545017B1 (ko) 고효율 음식물쓰레기 처리 및 감량장치
KR101755009B1 (ko) 음식물 쓰레기 다중 처리 장치
KR10033793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666639B1 (ko) 유기성 슬러지 처리용 탈수장치
KR10087414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63402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
KR20160036938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188338B1 (ko) 음식물처리기의 압축탈수부재
KR20140047379A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는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KR100503650B1 (ko) 싱크대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625994B1 (ko) 음식물 처리기의 누름 부재
KR101751489B1 (ko) 음식물 쓰레기 다중 처리 장치
KR2015013878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26854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