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510B1 - 폐기물 처리기 및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폐기물 처리기 및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510B1
KR101865510B1 KR1020170123519A KR20170123519A KR101865510B1 KR 101865510 B1 KR101865510 B1 KR 101865510B1 KR 1020170123519 A KR1020170123519 A KR 1020170123519A KR 20170123519 A KR20170123519 A KR 20170123519A KR 101865510 B1 KR101865510 B1 KR 101865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crew
waste
shaft
cr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일
Original Assignee
김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일 filed Critical 김정일
Priority to KR1020170123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B09B3/005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6Mills in which a fixed container houses stirring means tumbling the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only one screw or w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폐기물 처리기가 제공된다. 상기 폐기물 처리기는, 수분을 함유한 폐기물을 제공받아 이송하는 이송모듈, 상기 이송모듈로부터 수분을 함유한 폐기물을 이송받아 탈수하는 탈수모듈, 및 상기 이송모듈과 상기 탈수모듈을 관통하는 스크류 축 및 상기 스크류 축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스크류 날개를 포함하는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폐기물 처리기 및 처리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waste treatment}
본 발명은 폐기물 처리기 및 처리방법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수분이 함유된 폐기물을 용이하게 탈수하는 폐기물 처리기 및 처리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2013년 런던협약 의정서의 발효로 전 세계에서 음식물쓰레기의 해양 투기가 전면 금지됨에 따라 각 국가들은 음식물쓰레기와의 전쟁을 치르고 있다. 특히, 한국은 음식물쓰레기의 3분의1을 해양에 투기 해 왔으나, 해양 투기 금지에 따라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대부분이 매립되고 있는 상황에서 매립지 부족뿐만 아니라 매립 후에 발생하는 침출수로 인한 토양 및 수질을 오염시키는 등의 심각한 환경문제가 대두 된 지 이미 오래된 일이다.
이로 인하여 한국의 경우, 연간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이 약 550만 톤으로 처리 비용만 하더라도 연간 8,000억원이상과 20조원 이상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를 시행하고 2013년 1월부터는 민간아파트까지 음식물쓰레기 감량처리기 설치를 의무화함에 따라 자치구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아파트 단지, 공동주택, 신축하는 모든 건물을 대상으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설치를 의무화하여 퇴비 등의 재활용 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에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음식물쓰레기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탈수 효율이 향상된 폐기물 처리기 및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내구성이 향상된 폐기물 처리기 및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고신뢰성의 폐기물 처리기 및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폐기물 처리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폐기물 처리기는, 수분을 함유한 폐기물을 제공받아 이송하는 이송모듈, 상기 이송모듈로부터 수분을 함유한 폐기물을 이송받아 탈수하는 탈수모듈, 및 상기 이송모듈과 상기 탈수모듈을 관통하는 스크류 축 및 상기 스크류 축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스크류 날개를 포함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모듈에서의 스크류 날개 간의 간격으로 정의되는 제1 피치는 상기 탈수모듈에서의 스크류 날개 간의 간격으로 정의되는 제2 피치보다 길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폐기물 처리기는, 상기 스크류 축의 회전에 따라, 수분을 함유한 폐기물이 이송되되, 상기 이송모듈에서의 이송 속도는 상기 탈수모듈에서의 이송 속도 보다 빠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탈수모듈은, 상기 스크류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하여 마련된 착탈홈들이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착탈홈들에 끼움 삽입되는 스크린 뼈대들을 포함하는 탈수 스크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축이 회전함에 따라 폐기물에 포함된 수분이, 상기 스크린 뼈대들 사이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탈수모듈은, 상기 이송모듈과 연결되는 반대측에, 탈수된 폐기물을 배출하는 배출 덮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출 덮개는,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크기가 상이한 폐기물 배출구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폐기물 처리기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폐기물을 파쇄하도록, 제1 파쇄 축 및 상기 제1 파쇄 축의 외주면에 마련된 제1 파쇄 날개를 포함하고, 파쇄된 폐기물을 상기 이송모듈로 제공하는 파쇄모듈, 및 구동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듈에서 생성된 회전력은 상기 제1 파쇄 축 및 상기 스크류 축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파쇄 모듈은, 상기 제1 파쇄 축과 대향하는 제2 파쇄 축, 상기 제2 파쇄 축의 외주면에 마련된 제2 파쇄 날개, 상기 제1 파쇄 축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파쇄 축으로 상기 구동모듈로부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내부 기어, 및 상기 제1 내부 기어의 양 단에 마련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파쇄 축의 폭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파쇄 축의 회전 속도는 상기 스크류 축의 회전속도 보다 느릴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폐기물 처리기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폐기물을 파쇄 축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며 파쇄하는 파쇄모듈, 상기 파쇄모듈로부터 파쇄된 폐기물을 제공받아 이송하는 이송모듈, 파쇄된 폐기물을 상기 이송모듈로부터 이송받아 수분을 탈수시키는 탈수모듈, 파쇄된 폐기물을 상기 스크류 축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이송모듈에서 상기 탈수모듈로 이송시키는 스크류, 및 상기 파쇄 축 및 상기 스크류 축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탈수모듈에 과부하(overload)가 발생된 경우, 상기 파쇄 축과 상기 스크류 축을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폐기물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폐기물 처리방법은, 유입된 폐기물이 파쇄되도록 파쇄 축을 회전시키는 파쇄 단계, 및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피치가 좁아지는 스크류 날개가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류 축을 회전시켜 상기 파쇄된 폐기물을 이송 및 탈수시키는 이송 및 탈수 단계를 포함하되, 폐기물이 상기 스크류 축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되는 속도는 상기 전단부에서 상기 후단부보다 빠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폐기물 처리기는, 수분을 함유한 폐기물을 제공받아 이송하는 이송모듈, 상기 이송모듈로부터 수분을 함유한 폐기물을 이송받아 탈수하는 탈수모듈, 및 상기 이송모듈과 상기 탈수모듈을 관통하는 스크류 축 및 상기 스크류 축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스크류 날개를 포함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모듈에서의 상기 스크류 날개 간의 간격으로 정의되는 제1 피치는 상기 탈수모듈에서의 상기 스크류 날개 간의 간격으로 정의되는 상기 제2 피치보다 길 수 있다. 이에 따라, 폐기물의 이송 속도는, 상기 탈수모듈 보다 상기 이송모듈에서 더욱 빠르고, 상기 탈수모듈 내부에 배치된 상기 스크류의 압착력이 향상되어 파쇄된 폐기물의 탈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기가 포함하는 파쇄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기가 포함하는 스크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기가 포함하는 스크류가 이송모듈 및 탈수모듈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기가 포함하는 탈수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방법 중 탈수모듈에 발생된 과부하를 해소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기는 투입모듈(100), 파쇄모듈(200), 이송모듈(300), 탈수모듈(400), 스크류(500), 및 구동모듈(60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입모듈(100)로 수분을 함유한 폐기물이 투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투입모듈(100)은 호퍼(hopper)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을 함유한 폐기물은 음식물 쓰레기일 수 있다.
상기 파쇄모듈(200)은, 상기 투입모듈(100)로부터 수분을 함유한 폐기물을 제공받아, 파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파쇄모듈(200)은, 회전하는 두 개의 파쇄 롤(210, 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분을 함유한 폐기물은, 회전하는 상기 두 개의 파쇄 롤(210, 220) 사이로 제공되어 파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모듈(300)은, 파쇄된 폐기물을 제공받아 이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모듈(300)은 하우징(미표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모듈(300)은, 상기 이송모듈(300) 내부에 배치된 상기 스크류(500)의 회전을 구동력으로 하여 파쇄된 폐기물을 이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모듈(300)은 상기 파쇄모듈(200)로부터 파쇄된 폐기물을 상기 하우징 내부로 제공받고, 상기 스크류(500)의 회전에 의해, 제공받은 파쇄된 폐기물을 상기 탈수모듈(400)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탈수모듈(400)은, 상기 이송모듈(300)과 연결되고, 상기 이송모듈(300)로부터 파쇄된 폐기물을 이송받아 탈수할 수 있다. 상기 탈수모듈(400)은, 상기 탈수모듈(400) 내부에 배치된 상기 스크류(500)의 회전을 통하여 이송된 폐기물을 압착함으로써, 파쇄된 폐기물을 탈수 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500)의 회전에 따른 압착력으로 파쇄된 폐기물이 탈수되는 메커니즘은 후술된다.
상기 스크류(500)는, 상기 이송모듈(300) 및 상기 탈수모듈(400)을 관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500)는 상기 이송모듈(300)에서는 파쇄된 폐기물을 이송하고, 상기 탈수모듈(400)에서는 파쇄된 폐기물에 원심력을 가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상기 스크류(50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송모듈(300, 스크류의 전단부)에서는 폐기물이 상기 탈수모듈(400)로 이송되고, 상기 탈수모듈(400, 스크류의 후단부)에서는 폐기물이 탈수되면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이송모듈(300), 상기 탈수모듈(400), 및 상기 스크류(500)를 설명함에 있어, 파쇄된 폐기물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지만, 파쇄된 폐기물이 상기 탈수모듈(400)에서 탈수되기 전까지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 구동모듈(600)은, 구동기어(610) 및 구동모터(6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600)은, 상기 파쇄모듈(200) 및 상기 스크류(50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파쇄모듈(200) 및 상기 스크류(500)는 상기 구동모듈(600)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기의 각 구성 요소들 중, 상기 파쇄모듈(200), 상기 스크류(500), 및 상기 탈수모듈(400)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파쇄모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기가 포함하는 파쇄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파쇄모듈(200)은 제1 파쇄 롤(210) 및 제2 파쇄 롤(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파쇄 롤(210)은 파쇄기어(211), 제1 파쇄 축(212), 제1 파쇄 날개(213), 제1 내부기어(214), 제1 베어링(215a), 및 제2 베어링(215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파쇄 축(212)의 폭(212w)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길이방향은 도 2에 도시된 X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 파쇄 축(212)의 폭(212w)이 일정함에 따라, 국부 응력(stress)이 분산되어 상기 제1 파쇄 축(212)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파쇄 축(212)을, 상기 제1 파쇄 축(212)의 직경 방향으로 자른 단면은 육각(hexagon)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파쇄 축(212)의 직경 방향은 도 2에 도시된 YZ면 방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파쇄 축(212)과 결합되는 상기 파쇄기어(211), 상기 제1 내부기어(214), 상기 제1 베어링(215a), 및 상기 제2 베어링(215b)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파쇄기어(211)는, 상기 제1 파쇄 축(212)의 말단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 파쇄 축(21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력은 상기 구동모듈(600)로부터 발생되어, 상기 스크류(50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500)로부터 상기 파쇄기어(211)로 회전력이 전달되는 메커니즘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1 파쇄 날개(213)는 상기 제1 파쇄 축(212)의 외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파쇄 날개(213)는 상기 제1 파쇄 축(212)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상기 투입모듈(100)을 통해 유입된 수분을 함유한 폐기물을 파쇄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부기어(214)는 상기 파쇄기어(211) 및 상기 제1 파쇄 날개(213)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부기어(214)는 상기 제1 파쇄 축(212)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후술되는 제2 내부기어(221)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어링(215a) 및 상기 제2 베어링(215b)은 상기 제1 내부기어(214)의 양단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베어링(215a) 및 상기 제2 베어링(215b)은 상기 내부기어(214)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파쇄 축(21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부기어(214)의 양단에 상기 제1 및 제2 베어링(215a, 215b)이 제공됨에 따라, 상기 파쇄모듈(200) 내에 단단한 물질(예를 들어, 동물의 뼈)이 투입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파쇄 축(212)의 파괴가 방지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내부기어(214)의 일단에 하나의 베어링만 제공되는 경우, 상기 파쇄모듈(200) 내에 단단한 물질이 투입됨에 따라, 상기 제1 파쇄 축(212)과 상기 파쇄기어(211) 사이에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여, 상기 파쇄기어(211)가 파괴될 수 있다.
상기 제2 파쇄 롤(220)은 제2 내부기어(221), 제2 파쇄 축(222), 제2 파쇄 날개(223), 및 제3 베어링(2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파쇄 축(212)과 같이 상기 제2 파쇄 축(222)의 폭(222w)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하고, 상기 제2 파쇄 축(222)의 직경 방향으로 자른 단면이 육각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파쇄 축(222)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상기 제2 파쇄 축(222)과 결합되는 상기 제2 내부기어(221) 및 상기 제3 베어링(224)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2 내부기어(221)는 상기 제2 파쇄 축(222)의 일단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내부기어(221)는 상기 제1 내부기어(21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2 파쇄 축(22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파쇄 축(212) 및 상기 제2 파쇄 축(222)은 서로 주종관계에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제1 파쇄 축(212)이 주 파쇄 축으로서 기능하고, 상기 제2 파쇄 축(222)가 종 파쇄 축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2 파쇄 날개(223)는 상기 제2 파쇄 축(222)의 외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파쇄 날개(223)는 상기 제2 파쇄 축(222)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상기 투입모듈(100)을 통해 유입된 수분을 함유한 폐기물을 파쇄할 수 있다.
상기 제3 베어링(224)은, 상기 제2 내부기어(221)의 일단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파쇄 축(212)과 달리 상기 제2 파쇄 축(222)은, 상기 파쇄기어(211)와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하나의 베어링 만으로도 상기 제2 파쇄 축(222)의 파괴가 방지될 수 있다.
스크류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기가 포함하는 스크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기가 포함하는 스크류가 이송모듈 및 탈수모듈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크류(500)는 스크류 축(510), 스크류 날개(520), 제1 스크류 기어(530), 및 제2 스크류 기어(5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스크류 기어(530)는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스크류 축(5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력은 상기 구동모듈(600)로부터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크류 기어(540)는 상기 스크류 축(51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고 전달받은 회전력을 상기 파쇄기어(211)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600)로부터 상기 제1 스크류 기어(530), 상기 스크류 축(510), 상기 제2 스크류 기어(540), 및 상기 파쇄기어(211)로 동력이 전달되는 메커니즘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스크류 축(510)은, 상기 이송모듈(300) 및 상기 탈수모듈(400)을 관통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크류 축(510)은 상기 이송모듈(300) 및 상기 탈수모듈(4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날개(520)는, 상기 스크류 축(510)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크류 날개(520) 또한 상기 이송모듈(300) 및 상기 탈수모듈(4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모듈(300) 내 상기 스크류 날개(520) 간의 간격은 제1 피치(P1)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탈수모듈(400) 내 상기 스크류 날개(520)의 간격은 제2 피치(P2)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크류(500)는 서로 다른 간격의 피치를 갖는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스크류(500)의 제1 영역(A1)은 상기 이송모듈(3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500)의 제2 영역(A2)은 상기 탈수모듈(4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피치(P1)는 상기 제2 피치(P2)보다 길 수 있다. 즉 상기 스크류 날개(520)의 피치 간격은 상기 이송모듈(300) 내에서 넓고 상기 탈수모듈(400) 내에서 좁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파쇄모듈(200)로부터 제공된 파쇄된 폐기물의 이송 속도는, 상기 탈수모듈(400) 보다 상기 이송모듈(300)에서 더욱 빠를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수모듈(400) 내부에 배치된 상기 스크류(500)의 압착력이 향상되어 파쇄된 폐기물의 탈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파쇄모듈(200)로부터 제공받은 파쇄된 폐기물은, 상기 스크류 축(51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스크류 날개(520)를 따라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1 피치(P1)의 간격은 상기 제2 피치(P2)보다 길기 때문에, 상기 제1 피치(P1)의 간격을 갖는 상기 스크류 날개(520)가 배치된 상기 이송모듈(300) 내에서 파쇄된 폐기물의 이송 속도가, 상기 제2 피치(P2)의 간격을 갖는 상기 스크류 날개(520)가 배치된 상기 탈수모듈(400) 내에서 파쇄된 폐기물의 이송 속도보다 빠르게 된다. 즉, 파쇄된 폐기물이 스크류 축(510) 길이 방향으로 이송되는 속도는 상기 이송모듈(300)에서 상기 탈수모듈(400) 보다 빠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피치(P1)의 간격을 갖는 상기 스크류 날개(520) 사이와, 상기 제2 피치(P2)의 간격을 갖는 상기 스크류 날개(520) 사이에는 동일한 양의 파쇄된 폐기물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제2 피치(P2)의 간격이 상기 제2 피치(P1)의 간격보다 짧음에 따라, 파쇄된 폐기물에 인가되는 압착력이 향상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탈수모듈(400)의 탈수 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탈수모듈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기가 포함하는 탈수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탈수모듈(400)은 프레임(410, 420, 430), 탈수 스크린부(440), 배출 덮개(450), 및 배수구(4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탈수모듈(4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직렬 배치된 제1 내지 제3 프레임(410, 420, 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프레임(410, 420, 430)은 상기 스크류(5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되, 각각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된 복수의 제1 내지 제3 착탈홈(410g, 420g, 430g)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수 스크린부(440)는 복수의 스크린 뼈대(442)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크린 뼈대(442)들은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3 착탈홈(410g, 420g, 430g)에 끼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스크린 뼈대(442)들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빈 공간은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파쇄된 폐기물에 함유된 수분은 슬릿 형상의 개구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하지만, 상술된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기의 상기 탈수모듈(400)과 달리, 탈수모듈이 복수개의 독립된 구멍(hole)을 통해 수분을 배출하는 경우, 파쇄된 폐기물에 의해 탈수모듈의 구멍이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여, 탈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 배출 덮개(450)는 상기 이송모듈(300)과 상기 탈수모듈(400)이 연결되는 반대측에, 마련되어 탈수된 폐기물을 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 덮개(450)는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크기가 상이한 폐기물 배출구(452)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의 함량이 높은 폐기물인 경우 직경이 좁은 상기 배출구(452)를 갖는 상기 배출 덮개(450)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수분의 함량이 낮은 폐기물인 경우 직경이 넓은 상기 배출구(452)를 갖는 상기 배출 덮개(450)가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요구되는 탈수도에 따라 폐기물이 탈수모듈(400) 내에 머무는 시간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배수구(460)는 상기 탈수모듈(40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수구(460)는 탈수된 폐기물로부터 분리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폐기물 처리기는, 수분을 함유한 폐기물을 제공받아 이송하는 상기 이송모듈(300), 상기 이송모듈(300)로부터 수분을 함유한 폐기물을 이송받아 탈수하는 상기 탈수모듈(400), 및 상기 이송모듈(300)과 상기 탈수모듈(400)을 관통하는 상기 스크류 축(510) 및 상기 스크류 축(510)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스크류 날개(520)를 포함하는 상기 스크류(500)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모듈(300)에서의 상기 스크류 날개(520) 간의 간격으로 정의되는 상기 제1 피치(P1)는 상기 탈수모듈(400)에서의 상기 스크류 날개(520) 간의 간격으로 정의되는 상기 제2 피치(P2)보다 길 수 있다. 이에 따라, 폐기물의 이송 속도는, 상기 탈수모듈(400) 보다 상기 이송모듈(300)에서 더욱 빠르고, 상기 탈수모듈(400) 내부에 배치된 상기 스크류(500)의 압착력이 향상되어 파쇄된 폐기물의 탈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기의 구동 메커니즘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기의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기는, 상기 구동모듈(600)에서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1 파쇄 축(212) 및 상기 스크류 축(510)이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모듈(600)은 상기 제1 파쇄 축(212) 및 상기 스크류 축(510)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파쇄모듈(200)에서 폐기물이 파쇄되고, 파쇄된 폐기물은 상기 스크류(5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송모듈(300)을 거쳐 상기 탈수모듈(400)로 이송되어 탈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폐기물 처리기는, 상기 상기 구동기어(610)와 상기 제1 스크류 기어(530)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스크류 기어(540)와 상기 파쇄기어(211)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모듈(600)에서 생성된 회전력은, 상기 스크류 축(510)으로 전달되어 상시 스크류(500)를 회전시키고, 상기 스크류 축(510)으로 전달된 회전력은, 상기 파쇄기어(211)로 전달되어 상기 파쇄모듈(20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기어(610), 상기 제1 스크류 기어(530), 상기 제2 스크류 기어(540), 및 상기 파쇄기어(211) 각각의 기어비를 조절하여, 상기 스크류 축(510)의 회전 속도와 상기 제1 파쇄 축(212)의 회전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크류 축(510)의 회전 속도가 상기 제1 파쇄 축(212)의 회전 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탈수모듈(400) 내부로 이송된 파쇄된 폐기물에 가해지는 원심력과 압착력이 향상되어, 탈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파쇄모듈(200)의 토크가 향상되어 효율적으로 폐기물을 파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모듈(600)은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탈수모듈(400)에 과부하(overload)가 발생된 경우, 상기 제1 파쇄 축(212)과 상기 스크류 축(510)의 회전 방향을 전환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탈수모듈(400)에 과부하가 발생되기 전에는 상기 제1 파쇄 축(212)과 상기 스크류 축(510)을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반면, 상기 탈수모듈(400)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1 파쇄 축(212)과 상기 스크류 축(510)을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시계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반시계 방향일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탈수모듈(400)에 과부하가 발생된 경우, 스크류 축(510)뿐 아니라 파쇄 축도 자동적으로 역 회전하게 되므로, 추가적인 폐기물 파쇄가 일시적으로 중단될 수 있다. 따라서, 탈수모듈(400)에 발생된 과부하가 해소되는 동안 추가적인 탈수물이 유입되지 않으므로 과부하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방법이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폐기물 처리기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 예에 다른 폐기물 처리방법은 파쇄 단계(S100), 이송 단계(S200), 및 탈수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쇄 단계(S100)는, 수분을 함유한 폐기물(W)이 상기 투입모듈(100)을 지나, 상기 파쇄모듈(200)로 유입되는 단계(도 8의 ①), 유입된 폐기물(W)이 상기 파쇄 롤들(210, 220)의 회전에 의하여 파쇄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도 8의 ②). 이로써, 폐기물(W)는 파쇄될 수 있다. 파쇄된 폐기물(W)은 이송모듈(30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송 단계(S200)는, 파쇄모듈(200)에서 파쇄된 폐기물을 전달받는 단계 및 전달받은 폐기물을 탈수모듈(400)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도 8의 ③).
상기 탈수 단계(S300)는, 상기 이송모듈(300)로부터 이송받은 파쇄된 폐기물을 상기 스크류 축(510)의 회전을 통하여 탈수 할 수 있다(도 8의 ④). 이에 따라, 폐기물은 탈수된 폐기물과 수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 탈수된 폐기물은 폐기물 배출구(45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도 8의 ⑤), 수분은 배수구(4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도 8의 ⑥).
이때, 상기 스크류 날개(520)의 피치가 상기 이송모듈(300)이 마련된 전단부에서 상기 탈수모듈(400)이 마련된 후단부로 갈수록 좁아짐에 따라, 파쇄된 폐기물이 상기 스크류 축(510)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되는 속도는, 상기 전단부에서 상기 후단부보다 빠를 수 있다. 따라서, 파쇄모듈(200)에서 파쇄된 폐기물이 빠른 속도로 탈수모듈(400)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탈수모듈(400)로 진입한 폐기물은 좁은 스크류 날개 피치에 의하여 압착됨으로써, 향상된 탈수 효율이 제공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방법은, 상기 탈수모듈(400)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탈수모듈(400)에 발생된 과부하를 해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탈수모듈(400)에 발생된 과부하를 해소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방법 중 탈수모듈에 발생된 과부하를 해소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탈수모듈(400)에서 과부하가 발생하였는지 판단될 수 있다(S310). 예를 들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모듈(600)에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의 부하가 감지된 경우, 탈수모듈(400)에서 과부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 때, 구동모듈(600)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탈수모듈(400)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탈수모듈(400)에서의 스크류 날개(520) 피치가 좁음에 따라 폐기물이 압착되는 바, 폐기물이 압착되면서 스크류 축(510)의 회전에 부하가 작용할 수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만약, 과부하 발생여부 판단에 따라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단계 S310이 재 수행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과부하 발생여부 판단에 따라 과부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320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탈수모듈(400)에서 과부하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구동모듈(600)의 회전 방향을 제1 방향에서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S320). 상기 구동모듈(600)의 회전 방향이 바뀜에 따라, 상기 구동모듈(600)에 연계된 스크류 축(510)과 제1 파쇄 축(212)의 회전 방향이 함께 바뀔 수 있다. 즉, 구동모듈(600)의 회전 방향만을 제어함으로써, 스크류 축(510)과 제1 파쇄 축(212)의 회전 방향을 함께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가 구동모듈(600)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게 되면, 스크류 축(510)이 역 회전하면서, 과부하가 해소될 수 있다. 스크류 축(510)이 역 회전하는 동안, 제1 파쇄 축(212)도 역 회전하게 되므로, 추가적인 파쇄 폐기물이 이송모듈(300)로 제공되는 것이 중단될 수 있다. 따라서, 파쇄모듈(400)의 관점에서, 추가적으로 탈수 처리해야 하는 폐기물의 이송이 없는 상태에서 과부하를 해소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과부하가 해소될 수 있다.
상기 탈수모듈(400)의 과부하가 해소된 경우, 상기 구동모듈(600)은 상기 제1 파쇄 축(212) 및 상기 스크류 축(510)의 회전 방향을 다시 제1 방향으로 전환하여, 상기 탈수모듈(400) 내부로 파쇄된 폐기물을 이송할 수 있다. 즉, 상기 S200 단계가 다시 수행될 수 있다. 반면, 상기 탈수모듈(400)의 과부하가 해소되지 않은 경우, 상기 탈수모듈(400)의 과부하가 해소되기까지, 파쇄된 폐기물의 이송이 중단될 수 있다. 즉, 상기 S320 단계가 계속 수행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투입모듈
200: 파쇄모듈
210, 220: 제1 파쇄 롤, 제2 파쇄 롤
211: 파쇄기어
212, 212w: 제1 파쇄 축, 제1 파쇄 축의 폭
213, 214: 제1 파쇄 날개, 제1 내부기어
215a, 215b: 제1 베어링, 제2 베어링
221: 제2 내부기어
222, 222w: 제2 파쇄 축, 제2 파쇄축의 폭
223, 224: 제2 파쇄 날개, 제3 베어링
300: 이송모듈
400: 탈수모듈
410, 420, 430: 제1, 제2, 제3 프레임
410g, 420g, 430g: 제1, 제2, 제3 착탈홈
440, 442: 탈수 스크린부, 스크린 뼈대
450, 452: 배출 덮개, 폐기물 배출구
460: 배수구
500: 스크류
510, 520: 스크류 축, 스크류 날개
530, 540: 제1 스크류 기어, 제2 스크류 기어
P1, P2: 제1 피치, 제2 피치
A1, A2: 제1 영역, 제2 영역
600: 구동모듈
610: 구동기어
620: 구동모터
W: 수분을 함유한 폐기물

Claims (9)

  1. 수분을 함유한 폐기물을 제공받아 이송하는 이송모듈;
    상기 이송모듈로부터 수분을 함유한 폐기물을 이송받아 탈수하는 탈수모듈; 및
    상기 이송모듈과 상기 탈수모듈을 관통하는 스크류 축 및 상기 스크류 축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스크류 날개를 포함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모듈에서의 스크류 날개 간의 간격으로 정의되는 제1 피치는 상기 탈수모듈에서의 스크류 날개 간의 간격으로 정의되는 제2 피치보다 길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폐기물을 파쇄하여 상기 이송모듈로 제공하도록 외주면에 제1 파쇄 날개가 마련된 제1 파쇄 축, 상기 제1 파쇄 축과 대향하고 외주면에 제2 파쇄 날개가 마련된 제2 파쇄 축 및 상기 제1 파쇄 축의 일 단에 마련된 파쇄 기어를 포함하는 파쇄모듈; 및
    구동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축의 일 단에는 상기 구동모듈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스크류 축을 회전시키는 제1 스크류 기어 및 상기 스크류 축의 일 단에 상기 제1 스크류 기어와 이격하여 마련되어 상기 스크류 축에 가해진 구동력을 상기 파쇄 기어로 전달하는 제2 스크류 기어가 배치되고,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탈수모듈에 과부하(overload)가 발생된 경우, 상기 제1 스크류 기어에 역 방향의 구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2 스크류 기어 및 상기 파쇄 기어를 통하여 상기 제1 파쇄 축에도 역 방향의 구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제1 파쇄 날개와 상기 파쇄 기어 사이에 마련되는 제1 내부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부 기어의 양 단에 제1 베어링 및 제2 베어링이 배치되고,
    상기 제1 내부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제2 파쇄 축에 마련되는 제2 내부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내부 기어의 양 단 중 일 단에만 베어링이 배치되고
    상기 제1 파쇄 축의 회전 속도는 상기 스크류 축의 회전속도 보다 느린, 폐기물 처리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축의 회전에 따라, 수분을 함유한 폐기물이 이송되되, 상기 이송모듈에서의 이송 속도는 상기 탈수모듈에서의 이송 속도 보다 빠른, 폐기물 처리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모듈은,
    상기 스크류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하여 마련된 착탈홈들이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착탈홈들에 끼움 삽입되는 스크린 뼈대들을 포함하는 탈수 스크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축이 회전함에 따라 폐기물에 포함된 수분이, 상기 스크린 뼈대들 사이로 배출되는, 폐기물 처리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모듈은,
    상기 이송모듈과 연결되는 반대측에, 탈수된 폐기물을 배출하는 배출 덮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출 덮개는,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크기가 상이한 폐기물 배출구를 가지는, 폐기물 처리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70123519A 2017-09-25 2017-09-25 폐기물 처리기 및 처리방법 KR101865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519A KR101865510B1 (ko) 2017-09-25 2017-09-25 폐기물 처리기 및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519A KR101865510B1 (ko) 2017-09-25 2017-09-25 폐기물 처리기 및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5510B1 true KR101865510B1 (ko) 2018-06-07

Family

ID=62916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519A KR101865510B1 (ko) 2017-09-25 2017-09-25 폐기물 처리기 및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5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7734A (zh) * 2018-10-12 2019-03-01 北京晟智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可调节螺旋的有机废弃物挤压装置
CN112675967A (zh) * 2020-12-24 2021-04-20 安徽华晶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餐余垃圾处理的粉碎输送一体化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584A (ko) * 1998-01-09 1998-03-30 정만석 잔반처리 기계
KR200222008Y1 (ko) * 2000-09-06 2001-05-02 김창중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압력조절구조
KR20040041110A (ko) * 2004-03-30 2004-05-13 남주희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852510B1 (ko) * 2006-11-02 2008-08-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40013491A (ko) * 2012-07-24 2014-02-05 이순호 가축분뇨의 고액 분리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584A (ko) * 1998-01-09 1998-03-30 정만석 잔반처리 기계
KR200222008Y1 (ko) * 2000-09-06 2001-05-02 김창중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압력조절구조
KR20040041110A (ko) * 2004-03-30 2004-05-13 남주희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852510B1 (ko) * 2006-11-02 2008-08-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40013491A (ko) * 2012-07-24 2014-02-05 이순호 가축분뇨의 고액 분리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7734A (zh) * 2018-10-12 2019-03-01 北京晟智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可调节螺旋的有机废弃物挤压装置
CN109397734B (zh) * 2018-10-12 2023-12-12 北京晟智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可调节螺旋的有机废弃物挤压装置
CN112675967A (zh) * 2020-12-24 2021-04-20 安徽华晶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餐余垃圾处理的粉碎输送一体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62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65510B1 (ko) 폐기물 처리기 및 처리방법
KR20110137036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70056716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1143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301687B1 (ko) 야채쓰레기압축기
KR101675756B1 (ko) 상이한 방향의 블레이드가 형성된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20110065781A (ko) 2중 스크류 구조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32685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423438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1676645B1 (ko) 복수의 파쇄 블레이드 및 파쇄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는 앤빌을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200700821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45458B1 (ko) 음식폐기물 처리기
KR2006012770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위한 압축 스크류 구조
KR200320823Y1 (ko) 슬러지 건조장치
KR10102045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126833A (ko) 오수 배수 기능이 향상된 음식물 처리기
KR101807831B1 (ko) 하수처리용 협잡물 파쇄기
KR20039678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위한 압축 스크류 구조
KR200157041Y1 (ko) 잔반 처리장치
KR101760105B1 (ko) 음식물 처리 장치
KR102423431B1 (ko) 음식물 처리장치
JPS6314916Y2 (ko)
CN101259446A (zh) 湿式固体物料破碎机
KR200384872Y1 (ko) 음식폐기물 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