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645B1 - 복수의 파쇄 블레이드 및 파쇄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는 앤빌을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 Google Patents

복수의 파쇄 블레이드 및 파쇄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는 앤빌을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645B1
KR101676645B1 KR1020150102794A KR20150102794A KR101676645B1 KR 101676645 B1 KR101676645 B1 KR 101676645B1 KR 1020150102794 A KR1020150102794 A KR 1020150102794A KR 20150102794 A KR20150102794 A KR 20150102794A KR 101676645 B1 KR101676645 B1 KR 101676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anvil
module
food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2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6831A (ko
Inventor
한창희
장정훈
Original Assignee
(주) 에코젠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코젠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 에코젠인터내셔널
Publication of KR20160126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1/00Solid material comminution or disintegration
    • Y10S241/38Solid waste dispos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0Baths, closets, sinks, and spittoons
    • Y10S4/04Garbage grinde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상하부가 개방된 음식물 투입구(110); 상기 음식물 투입구(110)의 하부에 연결되는 분쇄 하우징(3) 내에 배치되는 분쇄 모듈(120); 상기 분쇄 모듈(12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는 이송 스크류 모듈(130); 및 상기 이송 모듈(130)에 근접 배치되는 오수 배출관(160);을 포함하며, 상기 분쇄 모듈(120)은, 상기 분쇄 하우징(3) 내에서 나란히 이격 배열되는 복수의 분쇄 스크류(121) 및 상기 분쇄 스크류(121)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앤빌(125)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의 파쇄 블레이드 및 파쇄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는 앤빌을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Food disposer comprising multiple crushing blades and anvil between crushing blades}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파쇄 블레이드 사이에 보조 커터 기능을 하는 앤빌을 설치함으로써 커터인 파쇄 블레이드가 차지하는 용적을 조절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 또는 음식점 등에서는 매일 일정량의 잔반(폐기 음식물)이 배출되며, 이러한 잔반은 그대로 가축사료로 이용하거나 단순한 거름망을 통하여 섞여 있는 물기만을 걸러낸 후 폐기시키고 있다. 이러한 잔반 처리 방법은 쓰레기 수량을 증대시키고, 쓰레기를 자주 버리지 않을 경우 악취를 발생시켜 주변의 공기를 오염시키게 된다.
최근 일반 가정과 음식점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려는 노력이 활성화되고는 있으나, 점차 증가하는 쓰레기의 양을 조절하기란 여러 가지로 어려움이 따르고 있으며 이를 매립할 경우 매립장소가 한정됨은 물론 악취와 침출수로 인한 환경 피해는 매우 심각한 실정에 이르렀다.
따라서, 최근에는 쓰레기 종량제를 실시하고 있고, 정부에서 음식물을 발효, 건조 또는 소멸 등을 유도할 수 있는 처리장치를 단체급식소 또는 아파트 단지의 신축시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편, 가정이나 식당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분리 및 수거하여 수집통에 담아 음식물 종합처리장에서 일괄 처리하거나 싱크대 배수구에 분쇄기를 설치하여 여과망에서 걸러진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 압축, 분쇄 및 건조 과정을 거 쳐 처리량을 축소하는 방식으로 처리하고 있다.
일반 가정이나 유흥업소에서 싱크대, 즉 구체적으로는 싱크대의 배수구와 연결되어 배수구를 통해 버려지는 음식물 찌꺼기를 분쇄 및 탈수하여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있는데, 이러한 음식물 처리장치는 대개 싱크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음식물 찌꺼기를 하천으로 흘려 보내지 않고 이를 걸러내어 분쇄 및 탈수과정을 통해 별도로 수거하여 처리가 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분쇄기에 악취 제거제나 발효 곰팡이 등을 혼합하여 냄새를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가정이나 식당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 의 분리수거 방법 중 하나로 물과 함께 분쇄하여 배출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음식물 찌꺼기를 분쇄하는 과정에서 투입된 음식물의 전체적인 크기를 감소하면서도,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종래의 문헌으로 공개특허 제10-2011-0080601호(2011.07.13)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문헌에서는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듀얼 스크류 구조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가 하우징 내에서 순환될 수 있게 하고, 음식물의 압착, 탈수, 분쇄 , 건조와 같은 처리과정이 하나의 하우징 내에서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개시하지만, 듀얼 스크류를 이용하여 분쇄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스크류 상에 부착되는 찌꺼기를 수시로 제거하는 방안 및 복수의 분쇄 스크류가 차지하는 용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는 별도로 개시하고 있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특허문헌 1) KR10-2011-0080601 A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를 위한 분쇄 모듈을 구성하는 복수의 파쇄 블레이드 사이에 보조 커터 기능을 하는 앤빌을 설치함으로써 커터인 파쇄 블레이드가 차지하는 용적을 조절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상하부가 개방된 음식물 투입구(110); 상기 음식물 투입구(110)의 하부에 연결되는 분쇄 하우징(3) 내에 배치되는 분쇄 모듈(120); 상기 분쇄 모듈(12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는 이송 스크류 모듈(130); 및 상기 이송 모듈(130)에 근접 배치되는 오수 배출관(160);을 포함하며, 상기 분쇄 모듈(120)은, 상기 분쇄 하우징(3) 내에서 나란히 이격 배열되는 복수의 분쇄 스크류(121) 및 상기 분쇄 스크류(121)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앤빌(125)을 포함한다.
상기 분쇄 스크류(121)는 각각, 스크류 회전축(122), 상기 스크류 회전축(122)의 외주면 상에 그 축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파쇄 블레이드(123) 및 상기 파쇄 블레이드(123)의 외주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블레이드 팁(124)을 포함한다.
상기 앤빌(125)은, 상기 분쇄 스크류(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앤빌축(126), 상기 앤빌축(12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앤빌 블레이드(127) 및 상기 앤빌축(126)의 길이 방향 양 끝단 상에 돌출 형성되는 앤빌 돌기(128)를 포함한다.
상기 앤빌(125)은, 상기 앤빌 돌기(128)가 상기 분쇄 하우징(3)의 내측에 형성되는 돌기 홈(4)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과정을 통해 상하 운동이 가능하다.
상기 분쇄 스크류(121)의 지름은 60㎜ 내지 100㎜ 의 범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음식물 처리기는 음식물 투입구, 분쇄 모듈, 이송 케이스, 이송 스크류 모듈, 오수 배출관 등으로 구성되며, 분쇄 모듈 상에서는 파쇄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는 앤빌을 설치하여 동일 파쇄 대상의 크기를 파쇄할 때 커터인 파쇄 블레이드의 크기를 크게 하지 않아도 되므로 확장성을 뛰어나게 하는 동시에 파쇄 블레이드의 가공 측면에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음식물 처리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음식물 처리기를 구성하는 분쇄 모듈과 이송 스크류 모듈 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음식물 처리기를 구성하는 분쇄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분쇄 모듈과 이송 스크류 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정면도, 및
도 6은 도 5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영업용 내지 가정용으로 호환 적용 가능하고, 예를 들어 싱크대 하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압착, 이송, 건조 등의 과정을 진행하게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수 있도록 상하부가 개방된 음식물 투입구(110), 음식물 투입구(110)의 하부에 연결되는 분쇄 하우징(3), 분쇄 하우징(3) 내에 배치되는 분쇄 모듈(120), 분쇄 하우징(3) 하부에 결합되는 이송 케이스(150), 이송 케이스(150) 내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는 동시에 분쇄 모듈(12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는 이송 스크류 모듈(130), 이송 모듈(130)에 근접 배치되며, 이송 모듈(130)을 통해 이송, 압착되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나오는 오수를 배출하는 오수 배출관(160) 및 분쇄 모듈(120)과 이송 스크류 모듈(130)에 동력을 제공하는 메인 구동 모터(170)를 포함한다.
음식물 처리기는 메인 구동 모터(170)가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 및 베이스 플레이트(1) 상에서 상기 메인 구동 모터(170)와는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수직 프레임(2)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 프레임(2) 상에는 분쇄 하우징(3), 분쇄 모듈(120) 및 이송 스크류 모듈(130)이 고정된다.
메인 구동 모터(170)는 분쇄 모듈(120) 및 이송 스크류 모듈(130)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한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구동 모터(170)의 구동축 상에 결합되는 모터 스프라켓(179)은 구동 벨트(5)를 통해 분쇄 모듈(120)의 분쇄 스프라켓(129) 및 이송 스크류 모듈(130)의 스크류 스프라켓(139)에 연결되는데, 상기한 구조를 통해 구동력이 전달된다. 한편, 모터 스프라켓(179)은 메인 구동 모터(170)의 동일 회전축 상에서 상이한 직경을 갖는 한쌍의 모터 스프라켓일 수 있는데, 이를 통해 한쌍의 모터 스프라켓에 각각 연결되는 분쇄 스프라켓(129)과 스크류 스프라켓(139)은 서로 다른 회전수로의 구동이 가능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 모듈(120)은 분쇄 하우징(3) 내에서 한쌍이 나란히 이격 배열되는 분쇄 스크류(121) 및 분쇄 스크류(121) 사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앤빌(125)을 포함한다.
분쇄 스크류(121)는 스크류 회전축(122), 스크류 회전축(122)의 외주면 상에 그 축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파쇄 블레이드(123) 및 파쇄 블레이드(123)의 외주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블레이드 팁(124)을 포함한다. 상기 한쌍의 스크류 회전축(122)의 끝단 상에는 연결 스프라켓(125)이 각각 맞물리도록 결합되며, 상기 연결 스프라켓(125) 중 하나는 분쇄 스프라켓(129)과 동일한 스크류 회전축(122) 상에 배치되어진다. 즉, 메인 구동 모터(170)로부터 분쇄 스프라켓(129)으로 동력을 전달받은 후에, 한쌍의 연결 스프라켓(125)을 통해 한쌍의 스크류 회전축(122)이 동시에 회전 구동한다.
상기 한쌍의 분쇄 스크류(121) 간의 간격은 파쇄 블레이드(123)의 외주에 형성되는 블레이드 팁(124) 간의 배치 간격을 조절하는 과정을 통해 설정한다.
앤빌(125)은 분쇄 스크류(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앤빌축(126), 앤빌축(12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앤빌축(126)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앤빌 블레이드(127) 및 앤빌축(126)의 길이 방향 양 끝단 상에 돌출 형성되는 앤빌 돌기(128)를 포함한다.
앤빌(125)은 앤빌 돌기(128)가 분쇄 하우징(3)의 내측에 형성되는 돌기 홈(4)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과정을 통해 안정적인 상하 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돌기 홈(4) 상에는 앤빌(125)이 분쇄 스크류(121)의 하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턱(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앤빌(125)은 한쌍의 분쇄 스크류(121) 사이에서 상하부로 이동하게 배치된다. 여기에서, 앤빌 블레이드(127) 각각은 인접하여 배치된 파쇄 블레이드(123)들 사이를 왕복 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앤빌 블레이드(127)의 각각의 폭은 소정 간격으로 인접하여 배치된 파쇄 블레이드(123)들 사이의 이격거리보다는 작게 설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한쌍의 분쇄 스크류(121) 사이에 음식물 쓰레기가 공급되어 분쇄되는 과정에서, 앤빌(125)은 분쇄 스크류(121)의 파쇄 블레이드(123) 사이를 운동할 수 있는 앤빌 블레이드(127)를 구비함으로써 이를 통해 분쇄 스크류(121)의 파쇄 블레이드(123) 사이에 잔존할 수 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원활히 제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처리기의 사용상 문제점 중에서 수저, 젓가락, 티수푼 등의 이물질이 실수로 투입되어 A/S 발생시에 설치 장소에서 수리할 수 없는 어려움이 발생하는데, 앤빌(125)은 한쌍의 분쇄 스크류(121) 사이에서 상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설계되는 구조를 통해 A/S 발생시 분쇄 모듈(120)에서 분해 결합이 용이하므로 이를 통해, 앤빌(125)을 쉽게 분해하는 과정을 통해 한쌍의 분쇄 스크류(121) 사이로 공구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한쌍의 분쇄 스크류(12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과정을 통해 분쇄 스크류(121)의 크기를 변형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파쇄 대상물의크기를 크게 조절하게 장치이다. 즉, 보조 커터인 앤빌(125)을 한쌍의 분쇄 스크류(121) 사이에 장착하여 양 분쇄 스크류(121) 사이를 넓게 할 수 있어 이격된 거리만큼 파쇄 대상물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
앤빌(125)의 모양은 배출되는 음식물의 특성에 따라 본 발명의 도면 상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삼각형 모양 또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5의 앤빌(125) 조립 구조를 참조하면, 한쌍의 분쇄 스크류(121) 내에 이물질 투입시 분쇄 스크류(121) 상부를 통해 앤빌(125)을 탈착하여 이물질을 제거 할 수 있다.
한쌍의 분쇄 스크류(121) 중심축 간의 거리 L1이 일정하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본 발명과 같이 앤빌(125)을 이용하는 경우와 앤빌(125)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의 차이점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앤빌(125)을 이용하는 경우에, 각 분쇄 스크류(121)의 지름을 D1으로 설정하고, 분쇄 스크류(121)를 이루는 파쇄 블레이드(123) 끝단 간의 간격인 L2는 15㎜로 설정한다.
한편, 앤빌(125)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각 분쇄 스크류(121)의 지름은 D2로 하고, 분쇄 스크류(121)의 겹친 부분은 11㎜로 설정된다.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D2는 D1에 L2와 11㎜를 더한 길이가 되므로, 결과적으로 D2=D1+26 의 관계식으로 결정된다.
본 발명의 앤빌(125)을 이용하는 경우에 분쇄 스크류(121)의 체적을 V1, 앤빌(125)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분쇄 스크류(121)의 체적을 V2로 정의하여 그 비를 나타내면, D1의 값이 작을 수록 그 비는 커지며 D1의 값이 커질수록 비가 작아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V2와 V1의 체적비는 하기의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112015070489378-pat00001
상기 상태에서, D1의 값이 작을 수록 그 비는 커지며, D1의 값이 커질수록 비가 작아지게 된다. 음식물 파쇄기의 경우에, 적합한 분쇄 스크류(121)의 지름은 60㎜에서 100㎜사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D1이 60㎜인 경우에 D2는 86㎜이며, 체적비(V2/V1)는 2.1로써 약 두 배 정도로 앤빌(125)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분쇄 스크류를 제조하는 재료비가 더 소요되며, D1이 100㎜인 경우에 D2는 126㎜이고, 체적비(V2/V1)는 1.5를 갖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앤빌(125)을 사용하여 분쇄 모듈(120)을 구성하는 것이 제조단가를 낮추는 동시에 점유 공간을 줄임으로써 효과적인 공간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분쇄 모듈(120)을 통한 음식물의 분쇄 과정을 보면 다음과 갈다.
음식물 투입구(110)를 통해 한쌍의 분쇄 스크류(121) 사이 공간으로 음식물이 투입된다. 한쌍의 분쇄 스크류(121)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일예로서 도 5를 참조할때 한쌍의 분쇄 스크류(121) 중 좌측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우측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을 통해서 한쌍의 분쇄 스크류(121) 사이로 유입되는 분쇄 대상물이 앤빌(125) 측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분쇄 스크류(121)의 회전 과정에서 앤빌(125)의 앤빌 블레이드(127)는 분쇄 스크류(121)의 파쇄 블레이드(123) 사이 공간을 연속적으로 거치는 구동 과정을 통해 공급된 음식물은 잘게 분쇄가 이루어진다. 상기 과정을 통해 분쇄되는 음식물은 파쇄 블레이드(123)와 앤빌 블레이드(127)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들을 통해 이송 스크류 모듈(130) 상으로 전달된다.
이송 스크류 모듈(130)은, 이송 케이스(15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축,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이송 블레이드 및 이송 블레이드의 전방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압출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이송 케이스(150)는 분쇄 하우징(3)의 하단에 직접 연결되는 메인 케이스(151), 메인 케이스(151)의 전단에 연결되는 중간 케이스(153) 및 중간 케이스(153)의 전단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압출홀이 형성된 압출 케이스(135)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케이스(151)는 그 하단이 오수 배출관(160)에 연결됨으로써 발생하는 오수의 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중간 케이스(153)는 이송 스크류 모듈(130)을 이루는 회전축의 전방부를 전체적으로 덮게 되는데, 그 내부의 직경은 회전축 전방부의 형태를 따라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이다.
메인 케이스(151)는 파쇄된 음식물이 이송 스크류 모듈(130) 상으로 공급하게 음식물 관통홀(157)이 형성된 케이스 상판(156) 및 음식물 관통홀(157)의 일측에 형성된 음식물 가이드벽(158)이 배치된다. 음식물 가이드벽(158)은 분쇄 스크류(121) 사이에 끼거나 걸려 있는 음식물을 하부로 떨어뜨리게 한다.
압출 케이스(135)는 이송 스크류 모듈(130)의 회전 구동을 통해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가 압축된 상태에서 그 전단의 압출홀을 통해 배출되게 한다. 상기 메인 케이스(151), 중간 케이스(153) 및 압출 케이스(135)는 결합력 및 밀폐력을 높이기 위해서 스크류 결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음식물 처리기는 파쇄 블레이드 및 상기 파쇄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는 앤빌을 갖는 분쇄 모듈을 설치하여 동일 파쇄 대상의 크기를 파쇄할 때 커터인 파쇄 블레이드의 크기를 크게 하지 않아도 되므로 확장성을 뛰어나게 하는 동시에 파쇄 블레이드의 가공 측면에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베이스 플레이트
2 : 수직 프레임
3 : 분쇄 하우징
110 : 음식물 투입구
120 : 분쇄 모듈
130 : 이송 스크류 모듈
150 : 이송 케이스
160 : 오수 배출관
170 : 메인 구동 모터

Claims (5)

  1. 상하부가 개방된 음식물 투입구(110);
    상기 음식물 투입구(110)의 하부에 연결되는 분쇄 하우징(3) 내에 배치되는 분쇄 모듈(120);
    상기 분쇄 모듈(12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는 이송 스크류 모듈(130); 및
    상기 이송 모듈(130)에 근접 배치되는 오수 배출관(160);을 포함하며,
    상기 분쇄 모듈(120)은, 상기 분쇄 하우징(3) 내에서 나란히 이격 배열되는 복수의 분쇄 스크류(121) 및 상기 분쇄 스크류(121)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앤빌(125)을 포함하며,
    상기 앤빌(125)은,
    상기 분쇄 스크류(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앤빌축(126), 상기 앤빌축(12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앤빌 블레이드(127) 및 상기 앤빌축(126)의 길이 방향 양 끝단 상에 돌출 형성되는 앤빌 돌기(128)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스크류(121)는 각각,
    스크류 회전축(122), 상기 스크류 회전축(122)의 외주면 상에 그 축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파쇄 블레이드(123) 및 상기 파쇄 블레이드(123)의 외주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블레이드 팁(124)을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앤빌(125)은, 상기 앤빌 돌기(128)가 상기 분쇄 하우징(3)의 내측에 형성되는 돌기 홈(4)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과정을 통해 상하 운동이 가능한,
    음식물 처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스크류(121)의 지름은 60㎜ 내지 100㎜ 의 범위인,
    음식물 처리기.
KR1020150102794A 2015-04-24 2015-07-21 복수의 파쇄 블레이드 및 파쇄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는 앤빌을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16766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57861 2015-04-24
KR1020150057861 2015-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831A KR20160126831A (ko) 2016-11-02
KR101676645B1 true KR101676645B1 (ko) 2016-11-16

Family

ID=57518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794A KR101676645B1 (ko) 2015-04-24 2015-07-21 복수의 파쇄 블레이드 및 파쇄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는 앤빌을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66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382B1 (ko) * 2018-08-22 2020-04-07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용 파쇄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17261030A (zh) * 2023-10-19 2023-12-22 河北宝森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电缆护套制备用高效复合双阶挤出造粒机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682A (ko) * 1998-08-12 2000-03-06 이종필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110008545A (ko) * 2009-07-20 2011-01-27 이한원 고성능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03562U (ko) * 2014-03-20 2015-10-02 최선기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831A (ko)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6049B1 (ko) 야채 분쇄장치
WO2016171336A1 (ko) 상이한 방향의 블레이드가 형성된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135888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일체형 파쇄, 고액 분리 및 압축 탈수 장치
KR20110008545A (ko) 고성능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675756B1 (ko) 상이한 방향의 블레이드가 형성된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2016003940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09092868B (zh) 一种生活垃圾环保处理再生能源系统及工艺
KR101676645B1 (ko) 복수의 파쇄 블레이드 및 파쇄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는 앤빌을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20160126833A (ko) 오수 배수 기능이 향상된 음식물 처리기
KR101652706B1 (ko) 조립식 커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200432685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1479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948744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130024351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729956B1 (ko) 음식쓰레기 일괄 처리장치
KR200481337Y1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KR200700821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65510B1 (ko) 폐기물 처리기 및 처리방법
KR20150003588U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3940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수 및 분쇄기
KR101705130B1 (ko) 수직형 디스포져
KR200255569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0745458B1 (ko) 음식폐기물 처리기
KR200157041Y1 (ko) 잔반 처리장치
KR10102045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