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2625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2625B1
KR100892625B1 KR1020080076164A KR20080076164A KR100892625B1 KR 100892625 B1 KR100892625 B1 KR 100892625B1 KR 1020080076164 A KR1020080076164 A KR 1020080076164A KR 20080076164 A KR20080076164 A KR 20080076164A KR 100892625 B1 KR100892625 B1 KR 100892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unit
food waste
screw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택묵
Original Assignee
김택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택묵 filed Critical 김택묵
Priority to KR1020080076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only one screw or w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퍼에 투입된 쓰레기를 호퍼의 하부에서 1차 분쇄한 다음, 이송 스크류에 의해 이송하고,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2차 분쇄한 후 압축 스크류에 의해 압축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일시 저장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어 호퍼로부터 낙하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받는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두 개의 축이 나란히 설치되며, 상기 각 축상에 다수의 분쇄날이 설치되어 이웃하는 축의 분쇄날과 서로 맞물려 위치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축에 모터의 동력이 인가되도록 구성된 1차 분쇄부; 상기 1차 분쇄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1차 분쇄부로부터 분쇄되어 낙하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 스크류에 의하여 측면 이송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의 전방축이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전방축상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2차 분쇄하는 회전 분쇄부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이송 스크류의 후방축에 모터의 동력이 인가되도록 구성된 이송부; 점진적으로 지름이 증가하는 몸체를 가지는 압축 스크류가 상기 이송부의 전방축상에 장착되며, 그 둘레로는 압축 스크류에 밀착되어 탈수망이 장착되어 압축시 발생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압축 스크류의 선단에는 체결구가 장착되어 압축 스크류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압축부;로 이 루어진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n apparatus for crushing food garbag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 분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식물을 미세하게 분쇄함과 아울러 압착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에 따라 음식물이 풍부해지면서 식당이나 가정에서 음식을 먹은 후에 많은 양의 음식찌꺼기가 배출되고 있는데, 이러한 음식찌꺼기는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면서 종류가 다른 여러 가지 음식물이 양념과 함께 혼합된 상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대로 방치하면 썩으면서 유해한 물질이 생성될 뿐만 아니라 좋지 아니한 냄새를 발생하여 환경을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효과적인 방안으로서, 쓰레기를 압축하여 수분을 일차적으로 제거한 다음에, 건조기에서 다시 한번 건조시킨 상태에서 연소실로 이송시켜 연소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쓰레기는 압착 건조시키는 장치는 쓰레기를 저장하고 있는 호퍼와 상 기 호퍼에서 공급되는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날, 그리고 분쇄날로부터 분쇄된 음식물을 압착하는 스크류를 갖추고 있으나, 이러한 장치는 한 번의 분쇄과정을 거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가 충분히 분쇄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하여, 음식물 쓰레기는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음과 아울러 분쇄되지 못한 음식물이 덩어리 형태로 뭉쳐짐으로 인해 스크류에 자주 걸리는 문제점이 있어서, 작업자가 일일이 뭉쳐져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밀어서 아래쪽으로 내려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자도 여러 명이 필요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쓰레기 처리장치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여, 호퍼에 투입된 쓰레기를 호퍼의 하부에서 1차 분쇄한 다음, 이송 스크류에 의해 이송하고,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2차 분쇄한 후 압축 스크류에 의해 압축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일시 저장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어 호퍼로부터 낙하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받는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두 개의 축이 나란히 설치되며, 상기 각 축상에 다수의 분쇄날이 설치되어 이웃하는 축의 분쇄날과 서로 맞물려 위치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축에 모터의 동력이 인가되도록 구성된 1차 분쇄부;
상기 1차 분쇄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1차 분쇄부로부터 분쇄되어 낙하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 스크류에 의하여 측면 이송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의 전방축이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전방축상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2차 분쇄하는 회전 분쇄부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이송 스크류의 후방축에 모터의 동력이 인가되도록 구성된 이송부;
점진적으로 지름이 증가하는 몸체를 가지는 압축 스크류가 상기 이송부의 전방축상에 장착되며, 그 둘레로는 압축 스크류에 밀착되어 탈수망이 장착되어 압축시 발생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압축 스크류의 선단에는 체결구가 장착되어 압축 스크류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압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호퍼 하부에 설치된 1차 분쇄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1차 분쇄하고, 회전 분쇄부에 의해 2차 분쇄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부수어 줌으로써 음식물 쓰레기가 뭉치지 않게 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자연스럽게 압축 스크류쪽으로 이송하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 기의 분쇄 및 압축 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또한, 음식물의 종류나 수분 함유량에 따라 압축 강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일시 저장하는 투입호퍼(200)와, 상기 호퍼(200)에서 공급된 음식물 쓰레기를 1차 분쇄하는 1차 분쇄부(300)와, 상기 1차 분쇄부(300)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 및 재차 분쇄하는 이송부(400)와, 상기 이송부(400)에 의해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하여 수분을 탈수시키는 압축부(500) 및 상기 압축부(500)의 압축 강도를 조절하는 압축력 조절부(600)로 구성된다.
이러한 각 구성요소는 프레임(100)에 탑재되어 고정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에는 본 발명을 이송가능하게 하도록 바퀴(11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호퍼(200)는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서, 호퍼(200)의 개방된 하부에는 1차 분쇄부(300)가 설치되는데, 상기 1차 분쇄부(300)는 하우징(310)의 내부에 두 개의 축 즉, 제1축(320)과 제2축(330)이 장착되며, 그 제1축(320) 및 제2축(330) 상에는 각각 축의 둘레를 따라서 다수개의 제1분쇄날(321) 및 제2분쇄날(331)이 설 치된다.
상기 제1분쇄날(321)과 제2분쇄날(331)은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는데, 제1분쇄날(321)의 사이사이에 제2분쇄날(331)이 맞물려 위치함으로써 상기 호퍼(200)로부터 낙하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분쇄하게 된다.
상기 제1축(320)과 제2축(330)상에는 모터의 동력이 선택적으로 연결되는데, 도 2에서는 제1축(320)에 동력이 연결되도록 상기 제1축(320)이 하우징(31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물론, 제1축(320)과 제2축(330)에 모두 동력이 연결될 수 있으나, 동력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어느 한 축에만 동력을 인가하게 되면, 다른 축도 분쇄날이 맞물려 있으므로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1차 분쇄부(300)에 의하여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하부에 위치한 이송부(400)로 낙하하게 되는데, 상기 이송부(400)는 하우징(410)의 내측에 이송 스크류(420)가 장착되어 구성되며, 상기 이송 스크류(420)의 전방축(443)과 후방축(430)은 상기 하우징(4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후방축(430)은 동력을 인가받기 위하여 모터의 동력축과 결합되며, 전방축(440)은 이후에 설명할 압축 스크류(540)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1차 분쇄부(300)로부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이송부(400)로 낙하되어 이송 스크류(420)에 의하여 측방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이송 스크류(420)의 전방축(440)상에는 사각의 제1축(441)이 형성되며, 상기 제1축(441)은 하우징(410)의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이에 회전분쇄 부(450)가 장착된다.
상기 회전분쇄부(450)는 제1축(44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날로서 중심부에 사각의 축삽입공(451)이 형성되어, 이에 제1축(441)이 삽입되며, 주변으로는 회전날(4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날(452)에 의하여 아주 잘게 2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하우징(410)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압축부(500)로 이송되는데, 이때 이송 스크류(420)의 선단과 맞닿는 부위(즉, 회전분쇄부(450)가 접촉되는 지지되는 부위)의 하우징(410)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축이 삽입되는 축구멍 주위로 배출구가 상하방향 및 측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410)의 외측으로는 압축부(5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압축부(500)는 이송 스크류(420)의 전방축(440)에 장착되는 것으로, 제2축(442)상에는 원판 형태의 타공판(530)이 장착되는데, 상기 타공판(530)에는 다수개의 배출공(533)이 고르게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축삽입공(531)이 형성되면서 외측에는 고정홈(53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축(442)에 장착될 때 고정홈(532)이 하우징(410)의 외측에 걸리도록 하여 회전을 하지 않게 고정된다.
그러므로, 이송 스크류(420)로부터 이송되면서 회전 분쇄부(450)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공(533)을 통과하면서 압축 스크류(540)의 상하 및 측방향으로 고르게 유입된다.
즉, 타공판(530)의 배출공(533)을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각 방향으로 고르 게 확산됨으로써 압축 스크류(540)에 음식물 쓰레기가 편중되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전방축(440)의 제2축(442)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 스크류(540)의 제1삽입공(551)에 삽입되며, 제3축(443)은 제2축(442)보다 지름이 작은 형태로 제2삽입공(552)에 삽입된다.
이때 제3축(443) 상에는 키돌기(444)가 장착되어 있어 압축 스크류(540)의 제2삽입공(552)에 형성된 키홈(553)에 삽입됨으로써 압축 스크류(540)가 헛돌지 않고 전방축(44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삽입공(552)은 제3삽입공(554)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3삽입공(554)은 제2삽입공(552)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며, 이에 스프링(640)이 삽입됨 다음, 상기 스프링(640)을 관통하여 전방축(440)의 제3축(443) 선단이 압축 스크류(54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돌출된 전방축(440)의 선단에는 체결 나사산(445)이 형성되어 있어서, 로크너트(630)와 체결됨으로써 압축 스크류(5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압축 스크류(540)는 몸체(541)의 지름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압축 스크류(540)의 외측에 씌워진 탈수망(520)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함으로써 탈수를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탈수망(520)은 원통체로 형성되고, 다수의 미세한 타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압착시 발생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탈수망(520)의 외측으로는 하우징(510)이 씌워져서 탈수망(520)으로부 터 배출되는 수분을 받게 되고,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510)의 선단 즉, 압축 스크류(540)의 선단과 맞닿는 부위는 압축 스크류(540)의 선단의 지름과 동일하게 구멍(511)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를 통해 압축 스크류(540)의 선단이 약간 노출됨으로써 하우징(510)의 구멍(511)과 압축 스크류(540)의 선단 사이에는 압축되어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간극(560)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510)의 구멍(511)과 압축 스크류(540)의 선단 사이의 배출 간극(560)이 넓어지는 경우 압축률이 떨어지게 되고, 좁아지는 경우 압축률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를 조절함으로써 음식물의 수분 함유량에 따라 압축 강도를 압축력 조절부(600)에 의해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압축 스크류(540)가 하우징(510)의 내부에서 약간의 유격을 가지고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압축력 조절부(600의 로크너트(630)를 풀게 되면, 압축 스크류(540)가 하우징(510)의 구멍(511) 전방으로 많이 돌출되어 배출 간극(560)이 넓어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동작하지 않을 때, 즉 압축 스크류(540)가 회전하지 않을때는 스프링(640)에 의하여 압축 스크류(540)가 후방으로 탄성지지되어 하우징(510)의 구멍(511)과의 간극이 거의 없게 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잔여 찌꺼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이 동작하는 경우 압축 스크류(540)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음 식물 쓰레기의 압축 및 이송력에 의하여 로크너트(630)에 의해 설정된 압축 스크류(540)의 유격만큼 압축 스크류(540)의 선단이 구멍(511)의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이를 통하여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된다.
반대로 로크너트(630)를 잠그는 경우 압축 스크류(540)가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배출간극(560)이 좁아져서 압축강도가 증가되며, 본 발명이 동작하지 않을때는 마찬가지로 스프링(640)에 의하여 압축 스크류(540)가 후방으로 탄성지지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잔여 찌꺼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는 하부에 배출구(620)를 갖는 케이스(610)로 배출되어 하부로 낙하되어 비로소 수분히 제거되고 부피가 줄어든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로서, 1차 분쇄부(300)로부터 분쇄되어 낙하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부(400)의 스크류(420)로 고르게 분산되어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이송과 압축 효율을 높이고자 1차 분쇄부(300)와 이송부(400)의 사이에 분산부(700)를 형성한다.
상기 분산부(700)는 1차 분쇄부(300)의 제 1 분쇄날(321)과 제 2 분쇄날(331)이 겹쳐지는 위치의 하부에 회전축(710)이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710)의 선단은 하우징의 외측으로 지지구(730)를 통해 노출되어 동력을 인가받게 된다.
상기 회전축(710)의 외측으로는 분산날개(720)가 장착되는데, 상기 분산날개(720)는 관체(721)로 된 몸체를 가지며, 회전축(710)의 외측으로 삽입되어 회전 축(710)에 형성된 고정홈(711)과 관체(721)에 형성된 고정공(722)에 핀이 결합되어 이탈과 슬립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또한, 관체(721)의 외측으로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날개편(723)이 형성되어 회전축(710)의 회전에 따라서 같이 회전하므로 상부로부터 낙하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산시켜 하부의 이송부(400)로 낙하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압축 스크류의 단면도,
도 5는 압축부의 배출부위의 상세도.
도 6은 압축 스크류의 선단과 하우징의 결합관계를 보인 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프레임 200 : 호퍼
300 : 1차 분쇄부 310 : 하우징
320 : 제1축 321 : 제1분쇄날
322 : 동력 330 : 제2축
331 : 제2분쇄날 400 : 이송부
410 : 하우징 420 : 이송 스크류
430 : 후방축 440 : 전방축
450 : 회전분쇄부 500 : 압축부
510 : 하우징 520 : 탈수망
530 : 타공판 540 : 압착 스크류
550 : 축삽입공 560 : 배출간극
600 : 압축력 조절부 610 : 케이스
620 : 배출구 630 : 로크너트
640 : 스프링 700 : 분산부
710 : 회전축 720 : 분산날개
721 : 관체 722 : 고정공
723 : 날개편

Claims (5)

  1. 음식물 쓰레기를 일시 저장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어 호퍼로부터 낙하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받는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두 개의 축이 나란히 설치되며, 상기 각 축상에 다수의 분쇄날이 설치되어 이웃하는 축의 분쇄날과 서로 맞물려 위치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축에 모터의 동력이 인가되도록 구성된 1차 분쇄부;
    상기 1차 분쇄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1차 분쇄부로부터 분쇄되어 낙하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 스크류에 의하여 측면 이송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의 전방축이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전방축상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2차 분쇄하는 회전 분쇄부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이송 스크류의 후방축에 모터의 동력이 인가되도록 구성된 이송부;
    점진적으로 지름이 증가하는 몸체를 가지는 압축 스크류가 상기 이송부의 전방축상에 장착되며, 그 둘레로는 압축 스크류에 밀착되어 탈수망이 장착되어 압축시 발생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압축 스크류의 선단에는 체결구가 장착되어 압축 스크류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압축부;로 구성되며,
    상기 1차 분쇄부와 이송부의 사이에는 분산부가 설치되며, 상기 분산부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외측에 씌워져 고정 결합되는 관체와, 상기 관체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날개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80076164A 2008-08-04 2008-08-04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92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164A KR100892625B1 (ko) 2008-08-04 2008-08-04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164A KR100892625B1 (ko) 2008-08-04 2008-08-04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2625B1 true KR100892625B1 (ko) 2009-04-08

Family

ID=40757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164A KR100892625B1 (ko) 2008-08-04 2008-08-04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2625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21502A (zh) * 2013-10-23 2014-01-22 杨解定 一种餐厨垃圾的匀浆破碎装置
CN104399739A (zh) * 2014-12-03 2015-03-11 李军 家用餐厨垃圾处理装置
CN105618213A (zh) * 2016-03-23 2016-06-01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农产品加工研究所 一种新型粉碎脱水的饲料加工设备
CN105817467A (zh) * 2016-05-19 2016-08-03 四川天府立宇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餐厨垃圾处理的旋进固液分离脱水方法及装置
CN105921232A (zh) * 2016-05-20 2016-09-07 范志杰 一种厨房垃圾处理机
KR101834148B1 (ko) * 2016-10-04 2018-03-02 양재희 가압탈수 및 분쇄구조를 갖는 분쇄장치
KR101948294B1 (ko) 2018-03-26 2019-05-02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추락방지용 갱폼 조립체와 그 시공방법
CN109969816A (zh) * 2019-03-19 2019-07-05 广州市挂绿环保工程有限公司 螺旋脱水进料装置
CN110102564A (zh) * 2019-06-13 2019-08-09 广东贝希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商业食品垃圾处理设备
KR20200012337A (ko) 2018-07-27 2020-02-05 추광수 추락 방지용 갱폼 조립체
KR102141295B1 (ko) * 2019-01-29 2020-08-05 (주)휴렉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KR20230076384A (ko) * 2021-11-24 2023-05-31 주식회사 김포비앤에스 분체의 정량 배출이 가능한 조립식 스크류피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1960A (ko) * 1998-07-07 1998-10-26 김용수 음식물 찌꺼기 감량기
KR200149926Y1 (ko) * 1996-11-09 1999-06-15 김영곤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10027512A (ko) * 1999-09-14 2001-04-06 노현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230509Y1 (ko) * 2001-02-08 2001-07-03 정현상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9926Y1 (ko) * 1996-11-09 1999-06-15 김영곤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9980071960A (ko) * 1998-07-07 1998-10-26 김용수 음식물 찌꺼기 감량기
KR20010027512A (ko) * 1999-09-14 2001-04-06 노현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230509Y1 (ko) * 2001-02-08 2001-07-03 정현상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21502A (zh) * 2013-10-23 2014-01-22 杨解定 一种餐厨垃圾的匀浆破碎装置
CN104399739A (zh) * 2014-12-03 2015-03-11 李军 家用餐厨垃圾处理装置
CN105618213A (zh) * 2016-03-23 2016-06-01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农产品加工研究所 一种新型粉碎脱水的饲料加工设备
CN105817467A (zh) * 2016-05-19 2016-08-03 四川天府立宇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餐厨垃圾处理的旋进固液分离脱水方法及装置
CN105921232A (zh) * 2016-05-20 2016-09-07 范志杰 一种厨房垃圾处理机
KR101834148B1 (ko) * 2016-10-04 2018-03-02 양재희 가압탈수 및 분쇄구조를 갖는 분쇄장치
KR101948294B1 (ko) 2018-03-26 2019-05-02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추락방지용 갱폼 조립체와 그 시공방법
KR20200012337A (ko) 2018-07-27 2020-02-05 추광수 추락 방지용 갱폼 조립체
KR102141295B1 (ko) * 2019-01-29 2020-08-05 (주)휴렉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CN109969816A (zh) * 2019-03-19 2019-07-05 广州市挂绿环保工程有限公司 螺旋脱水进料装置
CN110102564A (zh) * 2019-06-13 2019-08-09 广东贝希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商业食品垃圾处理设备
KR20230076384A (ko) * 2021-11-24 2023-05-31 주식회사 김포비앤에스 분체의 정량 배출이 가능한 조립식 스크류피더
KR102655590B1 (ko) 2021-11-24 2024-04-08 주식회사 김포비앤에스 분체의 정량 배출이 가능한 조립식 스크류피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62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4906838B2 (ja) 生ごみ処理機の乾燥炉
KR100793322B1 (ko) 음식물쓰레기의 압착분쇄기
KR10123958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942504B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KR10081143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5102390B2 (ja) バルブ排出装置
US201202613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waste
KR200433588Y1 (ko) 다용도 분쇄 장치
KR10102646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이중 파쇄 시스템
KR200379509Y1 (ko) 고추분쇄기
KR2016003940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수 및 분쇄기
KR20130036084A (ko) 야채 쓰레기 처리장치
KR101255490B1 (ko) 탈수장치
JP6486396B2 (ja) 堆肥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100960175B1 (ko) 음식물 쓰레기 및 하수슬러지의 분쇄 및 펌핑 이송장치
KR20039678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위한 압축 스크류 구조
KR101841490B1 (ko) 별도의 부산물 투입구를 구비한 폐동식물 및 음식물복합처리기
KR200426854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50119622A (ko) 고추 분쇄기
KR200181276Y1 (ko) 식품 분말가루의 이송장치
KR200442408Y1 (ko)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장치
KR20060097090A (ko) 에어이송장치가 구비된 고추분쇄기
KR200252158Y1 (ko) 고추 분쇄 이송장치
KR102454528B1 (ko) 폐 콩나물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