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2697B1 - 로깅 설정 장치, 로깅 설정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로깅 설정 장치, 로깅 설정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697B1
KR101472697B1 KR1020137012316A KR20137012316A KR101472697B1 KR 101472697 B1 KR101472697 B1 KR 101472697B1 KR 1020137012316 A KR1020137012316 A KR 1020137012316A KR 20137012316 A KR20137012316 A KR 20137012316A KR 101472697 B1 KR101472697 B1 KR 101472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ddress
logging
input
constitu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2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3549A (ko
Inventor
슈이치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3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8Safety,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가급적 간단하게 로깅 설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유니트마다 제어 동작의 전형예의 명칭과 당해 제어 동작에 따른 관련 디바이스군의 관련성을, 관련 디바이스군을 구성하는 디바이스 마다의 선두 XY 의존성과 함께 기억하고 있는 로깅 설정 항목군 데이터베이스(72)를 구비하고, 로깅 대상의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니트에 따른 제어 동작의 전형예의 명칭의 일람을 상기 로깅 설정 항목군 데이터베이스(72)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추출한 명칭의 일람 중 유저에 의해 선택된 하나에 대응지어져 있는 관련 디바이스군을 구성하는 각각의 관련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선두 XY 의존성에 기초하여 변경한다.

Description

로깅 설정 장치, 로깅 설정 방법 및 기록 매체{LOGGING SETUP DEVICE, LOGGING SETUP METHOD AND RECORDABLE MEDIUM}
본 발명은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PLC)의 로깅 설정을 행하는 로깅 설정 장치, 로깅 설정 방법 및 당해 로깅 설정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PLC에는, 디바이스값을 로깅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이 있다. 어느 디바이스를 로깅 대상으로 할지는, 프로그래밍 장치(로깅 설정 장치)를 이용하여 PLC에 설정된다. 유저는 취급 설명서(이하, 간단하게 매뉴얼)의 기재예를 참고로 하여 유저 프로그램을 작성했을 때, 매뉴얼에 기재되어 있는 동작예와 비교하기 위해서, 참고로 한 부분의 동작예로서 기재되어 있는 디바이스와 동일한 디바이스의 값을 로깅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한편, PLC에는 PLC 전체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CPU 유니트와, 목적에 맞추어 적당 선택되는 서브 유니트가 베이스 유니트에 장착되어 구성되는 타입의 것이 있다. 이와 같은 타입의 PLC의 경우, 디바이스의 할당 어드레스는 서브 유니트의 장착 위치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유저는 로깅 설정때, 매뉴얼에 기재되어 있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를 찾는 작업을 행할 필요가 생긴다. 특히, 매뉴얼에 1개의 프로그램예에 대해서 복수의 관련되는 디바이스의 동작예가 기재되어 있는 경우, 당해 복수의 디바이스에 각각 대응하는 디바이스를 하나 하나 찾을 필요가 있어, 유저에게 있어서 로깅 설정의 작업이 매우 번잡했다.
유저에 의한 디바이스의 설정을 지원하는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유저가 모니터하고 싶은 솔레노이드나 코일 등의 디바이스를 지정하면, 유저 프로그램으로부터 지정한 디바이스에 관계되는 디바이스를 검색하고, 모든 관련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상태를 모니터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7-11936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유저 프로그램을 검사함으로써 관련 각 요소를 추출하게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인텔리전트 유니트와 같이 유저 프로그램과는 다른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유니트를 사용하는 경우, 당해 유니트가 중간 데이터의 격납 영역으로서 사용하는 디바이스를 추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가급적 간단하게 로깅 설정을 행할 수 있는 로깅 설정 장치, 로깅 설정 방법 및 당해 로깅 설정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디바이스를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로깅 설정 대상의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PLC)를 구성하는 유니트의 모델명(形名)과 당해 유니트가 사용하는 디바이스 어드레스 공간의 선두 어드레스의 대응을 기술한 미리 작성된 유니트 정보 리스트로부터, 상기 지정된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니트의 모델명 및 당해 유니트의 선두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유니트 정보 취득부와, 유니트마다 제어 동작의 전형예의 명칭과 당해 제어 동작에 따른 관련 디바이스군의 관련성(correspondence)을, 관련 디바이스군을 구성하는 디바이스마다 디바이스 어드레스와 선두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두 어드레스 의존성과 함께 기억하고 있는 로깅 설정 항목군(群)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유니트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유니트의 모델명을 검색키로서 상기 로깅 설정 항목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당해 유니트에 따른 제어 동작의 전형예의 명칭의 일람을 추출하는 관련 항목군 추출부와, 유저로부터 상기 추출한 제어 동작의 명칭의 일람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제어 동작에 대응지어져 있는 관련 디바이스군을 구성하는 각각의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상기 로깅 설정 항목군 데이터베이스가 기억하고 있는 선두 어드레스 의존성과 상기 취득한 선두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변경하는 디바이스 변경부와, 상기 변경된 관련 디바이스군을 구성하는 각각의 디바이스를 로깅 대상으로 설정하는 로깅 설정 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깅 설정 장치는, 유저는 선택한 디바이스에 관련되는 디바이스를 일괄하여 로깅 설정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 간단하게 로깅 설정을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로깅 설정의 대상으로 되는 PLC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매뉴얼에 기재되어 있는 인텔리전트 유니트(위치 결정 유니트)의 제어에 따른 유저 프로그램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프로그램예에 따른 인텔리전트 유니트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타이밍챠트이다.
도 4는 선두 XY가 20으로서, 축 3을 구동 대상으로 하는 경우의 프로그램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로깅 설정 장치로서의 프로그래밍 장치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프로그래밍 장치의 기능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로깅 설정 항목군 DB의 데이터 구조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로깅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는 유저 프로그램 편집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로깅 설정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로깅 설정 항목군의 일람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디바이스 어드레스 변경 후의 관련 디바이스의 일람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변경 후의 디바이스를 로깅 대상으로 했을 경우의 인텔리전트 유니트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로깅 설정 장치, 로깅 설정 방법 및 기록 매체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도 1은 로깅 설정의 대상이 되는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PLC)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한 것처럼, PLC(1)는 CPU 유니트(2)와, 서브 유니트 중 하나로서의 인텔리전트 유니트(3)가 버스 유니트(4)에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CPU 유니트(2)는 유저 프로그램(25)에 기초하여 PLC(1) 전체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유니트이다. 인텔리전트 유니트(3)는 CPU 유니트(2)와는 다른 별개의 CPU(31)를 구비하고, 독자적인 프로그램(유니트 프로그램(33))에 기초하여 CPU 유니트(2)의 슬레이브로서 동작하는 유니트이다. 인텔리전트 유니트(3)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유저 프로그램(25)으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구동축 등에 장착된 모터를 구동하는 서보 앰프에 대한 구동 지령을 산출하는 위치 결정 유니트 등이 있다. 또한, 버스 유니트(4)에는, 목적에 따라서, CPU 유니트(2)를 추가로 증설하여 CPU 유니트(2)를 이중화하거나 인텔리전트 유니트(3) 외에 추가로 다른 서브 유니트를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CPU 유니트(2)는 CPU(21), 기억 장치(22), 및 통신 인터페이스(23)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각 요소는 내부 버스로 서로 접속되어 있다.
기억 장치(22)는 ROM(Read Only Memory)나 RAM(Random Access Memory)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유니트 정보 리스트(24), 유저 프로그램(25), 및 로깅 설정 데이터(26)를 기억하고 있다. 또, 기억 장치(22)에는, 디바이스 어드레스가 할당되고, 디바이스값이 격납되는 디바이스 메모리 영역(27)과, 로그 데이터가 격납되는 로그 데이터 격납 영역(28)이 확보되어 있다. 유니트 정보 리스트(24)는 버스 유니트(4)에 장착되어 있는 서브 유니트의 모델명과 당해 서브 유니트가 사용하는 디바이스의 할당처의 오프셋 어드레스인 선두 XY가 기술(記述)된 유니트 정보의 리스트이다. 선두 XY는 당해 서브 유니트의 장착 위치에 의존해 변화한다. 로깅 설정 데이터(26)는 로깅의 대상으로 되는 디바이스를 기술한 설정 정보이다. 유니트 정보 리스트(24) 및 로깅 설정 데이터(26)는 유저 프로그램(25)과 함께 유저에 의해 프로그래밍 장치를 이용하여 설정된다. 또한, CPU 유니트(2)가 장착되어 있는 유니트로부터 자동적으로 장착 위치나 모델명을 취득하고,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유니트 정보 리스트(24)를 자동으로 작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또, 유저가 프로그래밍 장치를 이용하여 유니트 정보 리스트(24)를 편집함으로써, 서브 유니트 마다의 선두 XY가 유저의 임의로 설정되는 경우도 있다.
CPU(21)는 유저 프로그램(25)을 실행함으로써 동일한 PLC(1)가 구비하는 서브 유니트의 제어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CPU(21)는 서브 유니트로부터 당해 서브 유니트에 대해서 디바이스 메모리 영역(27)에 할당되어 있는 입력 디바이스에 기록된 입력치를 취득하고, 취득한 입력치를 이용하여 당해 서브 유니트에 대한 출력값을 산출한다. 또, CPU(21)는 당해 산출한 출력값을 당해 서브 유니트에 대해서 디바이스 메모리 영역(27)에 할당되어 있는 소정의 출력 디바이스에 격납한다. 또, CPU(21)는 서브 유니트와의 사이에 디바이스를 통하여 입출력할 뿐만 아니라, 디바이스 메모리 영역(27)에 있어서의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와 다른 디바이스에 중간 데이터를 격납하기도 한다. 또한, 디바이스 어드레스는 후술의 인텔리전트 유니트(3)가 구비하는 버퍼 메모리 영역(34)에도 할당되어 있고, CPU(21)는 버퍼 메모리 영역(34)에 할당되어 있는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지정함으로써 당해 버퍼 메모리 영역(34)에 대해서 직접 액세스를 행할 수도 있다.
또한, CPU(21)는 로깅 설정 데이터(26)에 설정되어 있는 디바이스 어드레스의 값을 순차 취득하고, 취득한 디바이스값을 로그 데이터로서 로그 데이터 격납 영역(28)에 축적 기억시킨다. 유저는 로그 데이터 격납 영역(28)에 순차 입력되는 로그 데이터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로부터 거의 리얼 타임으로 취득하여 PLC(1)의 제어 동작을 모니터링하거나, 로그 데이터 격납 영역(28)에 축적 기억되어 있는 로그 데이터를 프로그래밍 장치나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로부터 소정의 타이밍으로 일괄 취득하여, 사후의 해석에 제공할 수 있다.
통신 I/F(23)는 외부 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유저는 당해 통신 I/F(23)에 본 실시 형태의 프로그래밍 장치를 접속하여 유저 프로그램(25)이나 로깅 설정 데이터(26)의 설정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인텔리전트 유니트(3)는 CPU(31)와 기억 장치(32)를 구비하고 있다. CPU(31) 및 기억 장치(32)는 버스로 서로 접속되어 있다.
기억 장치(32)는 ROM나 RAM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유니트 프로그램(33)을 기억하고 있다. 또, 기억 장치(32)에는 버퍼 메모리 영역(34)이 확보되어 있다. 유니트 프로그램(33)은 유저 프로그램(25)으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동작하는 프로그램으로서, CPU(31)에 의해 실행되는 것에 의해서 인텔리전트 유니트(3)에 요구되는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인텔리전트 유니트(3)가 위치 결정 유니트였을 경우, 유저 프로그램(25)으로부터 위치 지령이 입력되면, CPU(31)는 유니트 프로그램(33)에 기초하여, 입력된 위치 지령보다 입도(粒度)가 세밀한 구동 지령을 산출한다. CPU(31)는 유니트 프로그램(33)을 실행할 때에 생성되는 중간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 영역(34)에 있어서의 소정의 영역에 격납한다. CPU 유니트(2)와 인텔리전트 유니트(3)의 사이의 입출력은, 디바이스 메모리 영역(27) 또는 버퍼 메모리 영역(34)에 할당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실행된다. 또, CPU 유니트(2)는 버퍼 메모리 영역(34)에 할당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버퍼 메모리 영역(34)에 격납되어 있는 전술의 중간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이후, 인텔리전트 유니트(3)는 복수 축의 구동 제어가 가능한 위치 결정 유니트이며, 당해 복수 축은 1에서부터 차례로 승순(昇順)으로 축 번호가 부여되어 서로 식별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매뉴얼에 기재되어 있는 인텔리전트 유니트(위치 결정 유니트)(3)의 제어에 따른 유저 프로그램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당해 매뉴얼은 인텔리전트 유니트(3)의 할당 어드레스의 선두 XY가 제로값이며, 축 1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서 작성되어 있다. 이 매뉴얼에 있어서는, 위치 결정 시동 신호(Y10), 시동 완료 신호(X10) 및 위치 결정 시동 지령 펄스(M104)가 유저 프로그램 중에서 사용되고 있다.
도 3은 도 2에 제시된 프로그램예에 따른 인텔리전트 유니트(3)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타이밍챠트이다. 통상, 매뉴얼에는, 유저가 올바르게 유저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있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예 중에서 이용되고 있는 디바이스 뿐만이 아니라, 당해 프로그램예를 실행했을 때의 중간 데이터가 격납되는 디바이스 등, 당해 프로그램예에 밀접하게 관련하는 디바이스의 동작예가 기재된다. 도 3의 타이밍챠트에 의하면, 도 2의 프로그램에 의해서, 유저 프로그램 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Y10, X10, M104 외에, 시퀀서 레디 신호(Y0), 유니트 준비 완료 신호(X0), BUSY 신호(XC), 위치 결정 완료 신호(X14), 에러 검출 신호(X8) 및 전송 속도(U0¥G804)가 각각 밀접하게 관련되는 동작을 행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CPU 유니트(2)가 시퀀서 레디 신호(Y0)를 온 하면, 인텔리전트 유니트(3)는 유니트 준비 완료 신호(X0)를 온 한다. 그 후, CPU 유니트(2)가 위치 결정 시동 신호(Y10)를 온 하면, 인텔리전트 유니트(3)는 축 1의 구동 제어를 개시하여 시동 완료 신호(X10) 및 BUSY 신호(XC)를 온 한다. 그리고 인텔리전트 유니트(3)는 위치 지령에 의해 지령된 위치에 축 1이 도달할 때마다 위치 결정 완료 신호(X14)를 펄스적으로 온 한다. 인텔리전트 유니트(3)는 유니트 프로그램(33)에 의해 정해진 일련의 동작을 완료하면, BUSY 신호를 오프하고, BUSY 신호의 오프를 확인하여 CPU 유니트(2)가 위치 결정 시동 신호를 오프한다. 인텔리전트 유니트(3)는 위치 결정 시동 신호의 오프를 확인하고 나서 시동 완료 신호(X10)를 오프한다.
또한, 인텔리전트 유니트(3)는 동작중, 현재의 전송 속도를 중간 데이터로서 디바이스(U0¥G804)가 할당된 위치에 순차 출력한다. 디바이스(U0¥G804)는 버퍼 메모리 영역(34)에 할당된 중간 데이터를 격납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통상, 유저 프로그램(25) 중에는 사용되지 않는 것이다. 또, 인텔리전트 유니트(3)는 동작 중에 에러를 검출했을 경우, 에러 검출 신호(X8)를 온 한다.
이와 같이, 도 2의 프로그램예에 밀접하게 관련하는 디바이스로서 Y10, Y0, X0, X10, XC, X14, X8, U0¥G804가 예시되고, 각 디바이스에 대해서 동작예가 기재되어 있다. 도 2의 프로그램예를 이용하여 작성한 유저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그램예부분의 동작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유저는 Y10, Y0, X0, X10, XC, X14, X8, U0¥G804를 로깅 대상으로 설정하면 좋게 된다. 이후, X10, Y0, X0, X10, XC, X14, X8, U0¥G804와 같이, 매뉴얼에 대해 1개의 프로그램의 설정예에 대해서 동작예가 기재되어 있는 복수의 디바이스를 관련 디바이스군, 당해 관련 디바이스군을 구성하는 개개의 디바이스를 관련 디바이스라고 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인텔리전트 유니트(3)의 장착 위치에 따라서 선두 XY가 0이 아닌 경우나, 축 1 이외를 제어 대상으로 하는 경우, 관련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변경하여 사용할 필요가 생긴다. 도 4는 선두 XY가 20으로서, 축 3을 구동 대상으로 하는 경우의 프로그램예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뉴얼에서는 Y10이 사용되고 있던 위치 결정 시동 신호가 Y32로 변경되어 있다. 이것은, Y32의 「32」는, 매뉴얼에서의 어드레스 Y10의 「10」에 선두 XY의 값 「20」과, 축 번호로부터 1 감산하여 얻어진 값 「2」를 가산한 오프셋 「22」가 더해진 값으로 되어 있다. Y3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매뉴얼로 X10이 사용되고 있던 시동 완료 신호가, 오프셋 「22」가 가산되어 X32로 변경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변경되어 있는 경우, 로깅 대상의 관련 디바이스군을 구성하는 각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도 변경할 필요가 있다. 또, 디바이스 어드레스의 숫자 부분이 선두 XY에 의존하는지 여부 및 축 번호에 의존하는지 여부는 디바이스마다 다르기 때문에, 관련 디바이스마다 어드레스를 변경하여 로깅 대상으로 설정하는 작업은 유저에게 번잡한 작업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로깅 설정 장치는, 유저가 로깅 대상의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관련 디바이스 군마다 미리 관련 디바이스가 등록되어, 각 관련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했던 것이 주된 특징으로 되어 있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로깅 설정 장치로서의 프로그래밍 장치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깅 설정 장치는 프로그래밍 장치의 일 기능으로서 실장되는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로깅 설정 장치는 프로그래밍 장치와는 다른 장치로서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도시하는 것처럼, 프로그래밍 장치(5)는 CPU(51), RAM(52), ROM(53), 통신 I/F(54), 외부 기억 장치(55), CD-ROM 드라이브(56), 입력 장치(57), 및 출력 장치(58)를 구비한 통상의 컴퓨터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CPU(51), RAM(52), ROM(53), 통신 I/F(54), 외부 기억 장치(55), CD-ROM 드라이브(56), 입력 장치(57) 및 출력 장치(58)는 각각 버스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CPU(51)는 로깅 설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인 로깅 설정 프로그램(62)을 실행한다. 출력 장치(58)는 액정 모니터 등의 표시 장치이며, CPU(5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조작 화면 등의 유저에 대한 출력 정보를 표시한다. 입력 장치(57)는 마우스나 키보드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유저로부터의 프로그래밍 장치(5)에 대한 조작이 입력된다. 입력 장치(57)로 입력된 조작 정보는, CPU(51)로 보내진다. 통신 I/F(54)는 CPU 유니트(2)와의 사이에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접속 인터페이스이다. 당해 통신 I/F(54)를 통하여 CPU 유니트(2)에 유저 프로그램(25), 로깅 설정 데이터(26)가 설정된다. ROM(53)은 프로그래밍 장치(5)가 기동하기 위한 부트 정보(boot information)를 기억하고 있고, 부트시에는 CPU(51)가 당해 부트 정보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의해 구성되는 외부 기억 장치(55)에 격납되어 있는 시스템 프로그램(도시하지 않음)을 기동하여 프로그래밍 장치(5)가 기동된다.
로깅 설정 프로그램(62)은 외부 기억 장치(55) 내에 격납되어 있다. 입력 장치(57)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로깅 설정 프로그램(62)의 기동이 지시되면, 로깅 설정 프로그램(62)은 버스 라인을 통하여 RAM(52)으로 로드된다. CPU(51)는 RAM(52) 내에 로드된 로깅 설정 프로그램(62)을 실행한다. 외부 기억 장치(55)는 유니트 정보 리스트(60) 및 유저 프로그램(61)이 미리 격납되어 있다. 유저 프로그램(61)은 예를 들면 프로그래밍 장치(5)를 이용하여 작성된 것으로, 유니트 정보 리스트(60)는, 예를 들면 PLC(1)로부터 취득한 것이다. CPU(51)는 RAM(52)에 로드된 로깅 설정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후술하는 여러 가지의 스텝을 실행하여, 로깅 설정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로깅 설정 프로그램(62)을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컴퓨터상에 격납하고, 네트워크 경유로 다운로드시킴으로써 제공 또는 배포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로깅 설정 프로그램(62)을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경유로 제공 또는 배포하도록 구성해도 괜찮다. 또, 로깅 설정 프로그램(62)을 ROM(53) 등에 미리 포함시켜 프로그래밍 장치(5)에 제공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CD-ROM 드라이브(56)는 CD-ROM(59)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장치이다. 로깅 설정 프로그램(62)을, CD-ROM(59) 등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격납하여 제공 또는 배포하도록 해도 좋다. CD-ROM(59)에 기록되어 있는 로깅 설정 프로그램(62)은 CD-ROM(59)을 통하여 판독되어 외부 기억 장치(55)에 인스톨되도록 해도 좋고, 직접 RAM(52)에 로드되도록 해도 좋다.
도 6은 RAM(52)에 로드된 로깅 설정 프로그램(62)이 실행됨으로써 실현되는 프로그래밍 장치(5)의 기능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것처럼, 프로그래밍 장치(5)는 유니트 정보 취득부(70), 관련 항목군 추출부(71), 로깅 설정 항목군 데이터베이스(DB)(72), 관련 항목군 표시/선택부(73), 오프셋 반영부(74), 및 로깅 설정 출력부(75)를 구비한다. 이러한 기능 구성 요소는 각각 예를 들면 RAM(52) 내에 생성된다.
유니트 정보 취득부(70)는 유저로부터의 입력 장치(57)를 통한 입력에 기초하여 유니트 정보 리스트(60)를 검색하여, 로깅 대상의 유니트에 따른 유니트 정보(유니트 모델명 및 선두 XY)를 취득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외부 기억 장치(55)에 미리 격납되어 있는 유니트 정보 리스트(60)로부터 유니트 정보를 취득한다고 하고 있지만, 당해 프로그래밍 장치(5)가 PLC(1)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CPU 유니트(2)에 설정되어 있는 유니트 정보 리스트(24)로부터 취득하도록 해도 좋다.
로깅 설정 항목군 DB(72)는 로깅 설정 항목과 당해 로깅 설정 항목에 관련되는 관련 디바이스 일람의 관련성을 유니트마다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도 7은 로깅 설정 항목군 DB(72)의 데이터 구조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깅 설정 항목군 DB(72)는 모델명, 로깅 설정 항목명, 및 관련 디바이스를 기술하는 필드를 가지는 테이블 형식의 데이터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로깅 설정 항목명은 관련 디바이스군을 식별하기 위한 명칭이다. 여기에서는, 관련 디바이스군은 매뉴얼에 기재되어 있는 프로그램예마다 규정되어 있다고 하고 있으므로, 로깅 설정 항목명에는 매뉴얼에 기재되어 있는 프로그램예를 서로 식별하기 쉬운 명칭을 이용하면 좋다. 예를 들면 도 2의 프로그램예에 따른 관련 디바이스군은, 로깅 설정 항목명 「블록 시동 제어」가 부여되어 있다. 유니트 모델명 1개당에 등록되는 로깅 설정 항목명의 수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복수의 로깅 설정 항목의 관련 디바이스에 동일한 디바이스 어드레스가 등록되는 경우도 있다.
로깅 설정 항목군 DB(72)에는, 추가로, 관련 디바이스의 각각에 대해서, 선두 XY 의존성과 축 번호 의존성이 개개의 디바이스의 속성 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다. 도 7의 하부에 도시되는 데이터 구조예에 의하면, 선두 XY를 α, 축 번호를 β+1로 했을 경우의 디바이스 어드레스의 숫자 부분에 가산되는 값이 각각 등록되어 있다. 예를 들면 「Y10」는 선두 XY가 α, 축 번호가 β+1로 변경되었을 때, 디바이스 어드레스 변경 후는 「Y(10+α+β)」로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Y0」, 「X0」 및 「U0¥G804」는, 디바이스 어드레스는 축 번호에 의존하지 않는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U0¥G804」는 오프셋으로서 선두 XY의 값 α가 16 진법표기의 값 「10」으로 나눈 값이 가산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관련 항목군 추출부(71)는 유니트 정보 취득부(70)가 취득한 유니트 모델명을 검색키로서 로깅 설정 항목군 DB(72)를 검색하여, 당해 유니트 모델명에 속하는 로깅 설정 항목을 추출한다.
관련 항목군 표시/선택부(73)는 관련 항목군 추출부(71)가 추출한 항목을 출력 장치(58)에 표시하고, 표시한 항목 중 유저가 희망하는 항목의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
오프셋 반영부(74)는, 이용하여 선택된 로깅 설정 항목에 속하는 관련 디바이스의 각각에 대해서 당해 관련 디바이스의 각각의 속성 정보와 유니트 정보 취득부(70)가 취득한 선두 XY와 로깅 대상의 축 번호를 반영시킴으로써, 개개의 관련 디바이스의 변경 후의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산출한다.
로깅 설정 출력부(75)는 오프셋 반영부(74)가 산출한 개개의 관련 디바이스의 변경 후의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로깅 대상으로 설정한 로깅 설정 데이터 D1을 출력한다. 로깅 설정 데이터 D1은, 예를 들면 RAM(52)이나 외부 기억 장치(55)에 출력된 후, CPU 유니트(2)로 설정된다.
도 8은 프로그래밍 장치(5)를 사용해서 실현되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로깅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에 제시된 바와 같이, 우선, 유저가 디바이스를 지정하는 입력을 행한다(스텝 S1). 디바이스의 지정은,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프로그램(61)의 편집 화면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면 편리하다. 도 9에 도시된 유저 프로그램 편집 화면의 예에서는, 「SET Y32」에 커서를 맞춰서 소정의 클릭 동작을 행하면, 「로깅 설정 항목에 추가」, 「로깅 설정 항목에 관련 항목 추가」를 포함한 풀다운 메뉴가 나타난다. 그리고 「로깅 설정 항목에 관련 항목 추가」를 선택하면, 프로그래밍 장치(5)는 디바이스 「Y32」의 지정 입력을 인식한다. 또한, 「로깅 설정 항목에 추가」를 선택하면, 후술의 스텝이 실행되는 일 없이 「Y32」가 단독으로 로깅 대상으로서 지정 입력된다. 도 10은 「Y32」가 단독으로 로깅 대상으로서 지정된 경우의 로깅 설정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것처럼, 로깅 대상으로서 「Y32」만이 리스트되어 있다.
스텝 S1에서 디바이스의 선택 입력이 이루어지면, 유니트 정보 취득부(70)는 선택된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서브 유니트의 유니트 모델명 및 선두 XY가 기술된 유니트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2). 관련 항목군 추출부(71)는 취득한 유니트 모델명을 검색키로서 로깅 설정 항목군 DB(72)를 검색하고, 로깅 설정 항목군의 일람을 취득한다(스텝 S3). 또, 관련 항목군 추출부(71)는 로깅 설정 항목군 DB(72)에 등록되어 있는 관련 디바이스의 속성 정보와, 입력된 디바이스 및 취득한 선두 XY에 기초하여 축 번호를 산출한다(스텝 S4).
관련 항목군 표시/선택부(73)는 취득한 로깅 설정 항목군을 일람 표시하고, 로깅 설정 항목의 선택 입력을 촉구한다(스텝 S5). 도 11은 로깅 설정 항목군의 일람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는, 로깅 설정 항목군 외, 취득한 유니트 모델명, 및 취득한 선두 XY가 표시되어 있다. 또, 로깅 설정 항목군 중 「블록 시동 제어」가 액티브 표시되어 있다.
유저가 로깅 설정 항목을 선택하면(스텝 S6), 오프셋 반영부(74)는 선택된 로깅 설정 항목의 관련 디바이스군을 구성하는 관련 디바이스에 선두 XY와 산출한 축 번호에 따른 오프셋을 반영하여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변경한다(스텝 S7). 로깅 설정 출력부(75)는 디바이스 어드레스 변경 후의 각 관련 디바이스를 로깅 대상으로 한 로깅 설정 데이터를 출력하고(스텝 S8), 로깅 설정을 완료한다. 도 12는 디바이스 어드레스 변경 후의 관련 디바이스의 일람 표시 화면의 예이다. 도시된 것처럼, 「블록 시동 제어」에 따른 관련 디바이스의 어드레스 Y10, Y0, X0, X10, XC, X14, X8, U0¥G804가 각각, Y32, Y20, X20, X32, X2E, X36, X2A, U2¥G804로 변경되어 일람 표시되어 있다. 유저가 이것으로 로깅 대상을 확정하면, Y32, Y20, X20, X32, X2E, X36, X2A, U2¥G804를 로깅 대상으로 하는 로깅 설정 데이터가 출력된다. 또한, 당해 일람 표시로부터 유저가 추가로 로깅 대상을 취사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도 13은 변경 후의 디바이스(Y32, Y20, X20, X32, X2E, X36, X2A, U2¥G804)를 로깅 대상으로 했을 경우의 인텔리전트 유니트(3)의 동작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것처럼, 「블록 시동 제어」에 따른 프로그램예의 관련 디바이스의 어드레스가 각각 선두 XY와 축 번호에 따라 적절히 변환되었으므로, 도 3에 도시된 매뉴얼 기재의 동작예와 비교 검토하여 유저 프로그램에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검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프로그래밍 장치(5)가 자동적으로 축 번호를 산출하는 것으로 했지만, 유저가 축 번호를 입력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Y0나 X0는 축 번호에 의존하지 않는다. 따라서 「Y20」가 선택 입력되면, 축 번호를 특정할 수 없다. 이와 같은 경우, 유저에 의한 축 번호의 지정이 필요하다.
또, 인텔리전트 유니트(3)의 예로서 복수 축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위치 결정 유니트를 채택하여 설명했지만, 복수의 입출력 계통을 구비하는 유니트(예를 들면 1개 이상의 입력 계통(채널)의 A/D 변환을 행하는 A/D 변환 유니트)이면, 어떠한 유니트여도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그때, 축 번호를 입출력 계통의 식별 번호로 바꿔 판독하여 해석하면 된다.
또, 관련 디바이스군은 매뉴얼에 기재되어 있는 프로그램예 마다 규정되고 있다고 하여 설명했지만, 관련 디바이스군을 프로그램의 기재예에 한정하지 않고, 제어 동작의 전형예 마다 규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서, 매뉴얼과 동작을 비교하는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유저가 로깅 설정 항목군 데이터베이스(72)에 등록되어 있는 동작에 따른 관련 디바이스를 개개로 설정하는 노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로깅 설정 항목군 데이터베이스(72)는 유저에 의한 편집이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또, 프로그래밍 장치(5)는 유니트 정보 리스트(60)가 편집되거나, 서브 유니트의 장착 위치가 변경된 것에 의해 CPU 유니트(2)에 격납되어 있는 유니트 정보 리스트(24)가 자동 변경되었을 때, 유니트 정보 취득부(70)가 유니트 정보 리스트의 편집 또는 변경을 검지하여 각 디바이스에 대해서 유니트 정보를 다시 취득하여, 프로그래밍 장치(5)에 있어서 스텝 S3 이하의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로깅 설정 데이터 D1을 자동으로 수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서브 유니트의 장착 위치를 변경할 때마다 로깅 대상의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변경하는 수고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유니트마다 제어 동작의 전형예의 명칭과 당해 제어 동작에 따른 관련 디바이스군의 관련성을, 관련 디바이스군을 구성하는 디바이스 마다의 선두 XY 의존성과 함께 기억하고 있는 로깅 설정 항목군 데이터베이스(72)를 구비하고, 로깅 대상의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니트에 따른 제어 동작의 전형예의 명칭의 일람을 상기 로깅 설정 항목군 데이터베이스(72)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추출한 명칭의 일람 중 유저에 의해 선택된 하나에 대응지어져 있는 관련 디바이스군을 구성하는 각각의 관련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선두 XY 의존성에 기초하여 변경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유저는 선택한 디바이스에 관련되는 디바이스를 일괄하여 로깅 설정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 간단하게 로깅 설정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유저 프로그램(25) 중에서는 기술되어 있지 않은 인텔리전트 유니트(3)가 중간 데이터 격납 영역으로서 사용하는 디바이스까지 로깅 대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깅 설정 장치 및 로깅 설정 방법은 PLC의 로깅 설정을 행하는 로깅 설정 장치 및 로깅 설정 방법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1: PLC
2: CPU 유니트
3: 인텔리전트 유니트
4: 버스 유니트
5: 프로그래밍 장치
21: CPU
22: 기억 장치
23: 통신 인터페이스
24: 유니트 정보 리스트
25: 유저 프로그램
26: 로깅 설정 데이터
27: 디바이스 메모리 영역
28: 로그 데이터 격납 영역
31: CPU
32: 기억 장치
33: 유니트 프로그램
34: 버퍼 메모리 영역
51: CPU
52: RAM
53: ROM
54: 통신 인터페이스
55: 외부 기억 장치
56: CD-ROM 드라이브
57: 입력장치
58: 출력 장치
60: 유니트 정보 리스트
61: 유저 프로그램
62: 로깅 설정 프로그램
70: 유니트 정보 취득부
71: 관련 항목군 추출부
72: 로깅 설정 항목군 데이터베이스
73: 관련 항목군 표시/선택부
74: 오프셋 반영부
75: 로깅 설정 출력부

Claims (7)

  1. 디바이스를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로깅 설정 대상의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PLC)를 구성하는 유니트의 모델명(形名)과 당해 유니트가 사용하는 디바이스 어드레스 공간의 선두 어드레스와의 대응을 기술한 미리 작성된 유니트 정보 리스트로부터, 상기 지정된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니트의 모델명 및 당해 유니트의 선두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유니트 정보 취득부와,
    유니트마다 그 제어 동작으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동작 예시인 전형예의 명칭과 당해 제어 동작에 따른 관련 디바이스군의 관련성을, 관련 디바이스군을 구성하는 디바이스마다 디바이스 어드레스와 선두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두 어드레스 의존성과 함께 기억하고 있는 로깅 설정 항목군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유니트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유니트의 모델명을 검색키로서 상기 로깅 설정 항목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당해 유니트에 따른 제어 동작의 전형예의 명칭의 일람을 추출하는 관련 항목군 추출부와,
    유저로부터 상기 추출한 제어 동작의 명칭의 일람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제어 동작에 대응지어져 있는 관련 디바이스군을 구성하는 각각의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상기 로깅 설정 항목군 데이터베이스가 기억하고 있는 선두 어드레스 의존성(依存性)에 상기 취득한 선두 어드레스를 반영함으로써 변경하는 디바이스 변경부와,
    상기 변경된 관련 디바이스군을 구성하는 각각의 디바이스를 로깅 대상으로 설정하는 로깅 설정 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깅 설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정보 리스트는 상기 로깅 설정 대상의 PLC 또는 당해 PLC의 유저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프로그래밍 장치에 미리 격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깅 설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PLC를 구성하는 유니트는 복수 계통의 입출력을 실행하는 복수 계통 입출력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로깅 설정 항목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복수 계통 입출력 유니트가 사용하는 디바이스마다 디바이스 어드레스와 입출력 계통의 관계를 나타내는 입출력 계통 의존성을 기억하고,
    상기 디바이스 변경부는, 상기 선택된 제어 동작에 대응지어져 있는 관련 디바이스군을 구성하는 각각의 디바이스 중 상기 복수 계통 입출력 유니트가 사용하는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상기 로깅 설정 항목군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되어 있는 선두 어드레스 의존성 및 입출력 계통 의존성에 기초하여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깅 설정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정보 취득부는 상기 유니트 정보 리스트의 변경을 검지했을 때, 상기 지정된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니트의 모델명 및 당해 유니트의 선두 어드레스를 재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깅 설정 장치.
  5. 디바이스를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디바이스 지정 입력 수신 스텝과,
    로깅 설정 대상의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PLC)를 구성하는 유니트의 모델명과 당해 유니트가 사용하는 디바이스 어드레스 공간의 선두 어드레스의 대응을 기술한 미리 작성된 유니트 정보 리스트로부터, 상기 지정된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니트의 모델명 및 당해 유니트의 선두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유니트 정보 취득 스텝과,
    유니트마다 그 제어 동작으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동작 예시인 전형예의 명칭과 당해 제어 동작에 따른 관련 디바이스군의 관련성을, 관련 디바이스군을 구성하는 디바이스마다 디바이스 어드레스와 선두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두 어드레스 의존성과 함께 기억하고 있는 로깅 설정 항목군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유니트 정보 취득 스텝에서 취득한 유니트의 모델명을 검색키로서 검색하여, 당해 유니트에 따른 제어 동작의 전형예의 명칭의 일람을 추출하는 관련 항목군 추출 스텝과,
    유저로부터 상기 추출한 제어 동작의 명칭의 일람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제어 동작 입력 수신 스텝과,
    상기 선택된 제어 동작에 대응지어져 있는 관련 디바이스군을 구성하는 각각의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상기 로깅 설정 항목군 데이터베이스가 기억하고 있는 선두 어드레스 의존성에 상기 취득한 선두 어드레스를 반영함으로써 변경하는 디바이스 변경 스텝과,
    상기 변경된 관련 디바이스군을 구성하는 각각의 디바이스를 로깅 대상으로 설정하는 로깅 설정 출력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깅 설정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PLC를 구성하는 유니트는 복수 계통의 입출력을 실행하는 복수 계통 입출력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로깅 설정 항목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복수 계통 입출력 유니트가 사용하는 디바이스마다 디바이스 어드레스와 입출력 계통의 관계를 나타내는 입출력 계통 의존성을 기억하고,
    상기 디바이스 변경 스텝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제어 동작에 대응지어져 있는 관련 디바이스군을 구성하는 각각의 디바이스 중 상기 복수 계통 입출력 유니트가 사용하는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상기 로깅 설정 항목군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되어 있는 선두 어드레스 의존성 및 입출력 계통 의존성에 기초하여 변경하는 로깅 설정 방법.
  7. 디바이스를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디바이스 지정 입력 수신 스텝과,
    로깅 설정 대상의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PLC)를 구성하는 유니트의 모델명과 당해 유니트가 사용하는 디바이스 어드레스 공간의 선두 어드레스의 대응을 기술한 미리 작성된 유니트 정보 리스트로부터, 상기 지정된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니트의 모델명 및 당해 유니트의 선두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유니트 정보 취득 스텝과,
    유니트마다 그 제어 동작으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동작 예시인 전형예의 명칭과 당해 제어 동작에 따른 관련 디바이스군의 관련성을, 관련 디바이스군을 구성하는 디바이스마다 디바이스 어드레스와 선두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두 어드레스 의존성과 함께 기억하고 있는 로깅 설정 항목군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유니트 정보 취득 스텝에서 취득한 유니트의 모델명을 검색키로서 검색하여, 당해 유니트에 따른 제어 동작의 전형예의 명칭의 일람을 추출하는 관련 항목군 추출 스텝과,
    유저로부터 상기 추출한 제어 동작의 명칭의 일람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제어 동작 입력 수신 스텝과,
    상기 선택된 제어 동작에 대응지어져 있는 관련 디바이스군을 구성하는 각각의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상기 로깅 설정 항목군 데이터베이스가 기억하고 있는 선두 어드레스 의존성에 상기 취득한 선두 어드레스를 반영함으로써 변경하는 디바이스 변경 스텝과,
    상기 변경된 관련 디바이스군을 구성하는 각각의 디바이스를 로깅 대상으로 설정하는 로깅 설정 출력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7012316A 2010-10-27 2010-10-27 로깅 설정 장치, 로깅 설정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472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69113 WO2012056539A1 (ja) 2010-10-27 2010-10-27 ロギング設定装置、ロギング設定方法および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549A KR20130103549A (ko) 2013-09-23
KR101472697B1 true KR101472697B1 (ko) 2014-12-12

Family

ID=45993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316A KR101472697B1 (ko) 2010-10-27 2010-10-27 로깅 설정 장치, 로깅 설정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312695B2 (ko)
KR (1) KR101472697B1 (ko)
CN (1) CN103180789B (ko)
DE (1) DE112010005963B4 (ko)
TW (1) TWI448858B (ko)
WO (1) WO20120565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3006802T5 (de) * 2013-04-04 2015-12-0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ngineering-Tool und speicherprogrammierbare Steuerung
JP2016012172A (ja) * 2014-06-27 2016-01-21 オムロ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情報処理装置、動作制御方法、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615191B (zh) * 2015-06-01 2019-03-15 三菱电机株式会社 调试装置及调试方法
DE112016006217T5 (de) * 2016-06-08 2018-09-2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rogrammierbare Anzeigevorrichtung
JP7212496B2 (ja) * 2018-10-23 2023-01-25 株式会社キーエンス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プログラム作成支援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757385B2 (ja) 2018-10-23 2020-09-16 株式会社キーエンス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およびメインユニット
JP7412076B2 (ja) * 2018-10-23 2024-01-12 株式会社キーエンス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用のエンジニアリングツール
JP7173826B2 (ja) * 2018-10-23 2022-11-16 株式会社キーエンス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プログラム作成支援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303424B2 (ja) * 2019-05-22 2023-07-05 オムロン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情報提供方法
JP6833129B1 (ja) * 2020-04-14 2021-02-24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バッグ支援プログラム、記憶媒体、デバッグ支援装置およびデバッグ支援方法
JP6806946B2 (ja) * 2020-08-07 2021-01-06 株式会社キーエンス 外部設定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CN116724278A (zh) * 2021-01-21 2023-09-08 三菱电机株式会社 日志记录辅助装置、日志记录系统、日志记录辅助方法及程序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0592A (ja) * 2003-04-09 2004-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ロギング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1582A (en) 1986-11-07 1989-05-16 Allen-Bradley Company, Inc. Database access machine for factory automation network
JP3761126B2 (ja) * 1998-12-04 2006-03-29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周辺装置
EP1758002B1 (en) 2000-03-17 2009-07-29 Digital Electronics Corporation Control server, control terminal, control system,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ntrol communication program
DE602004029508D1 (de) * 2004-04-15 2010-11-18 Mitsubishi Electric Corp Peripherieeinrichtung einer programmierbaren logisür
JP4278580B2 (ja) * 2004-07-16 2009-06-17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ム変更方法、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およびプログラム編集装置。
JP2007011936A (ja) * 2005-07-04 2007-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
US7835806B2 (en) 2007-01-29 2010-11-16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Method for indirect access to controller data using name stored in string tag
KR100967761B1 (ko) * 2007-02-19 2010-07-0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의 주변 장치, 치환 방법 및프로그램
US7974828B2 (en) * 2007-04-27 2011-07-05 Omron Corporation Simulation device for programmable controller
US8688258B2 (en) * 2008-09-11 2014-04-01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Method of controlling a machine too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0592A (ja) * 2003-04-09 2004-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ロギング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0005963T5 (de) 2013-07-25
JP5312695B2 (ja) 2013-10-09
CN103180789A (zh) 2013-06-26
TWI448858B (zh) 2014-08-11
WO2012056539A1 (ja) 2012-05-03
CN103180789B (zh) 2016-03-02
TW201217925A (en) 2012-05-01
JPWO2012056539A1 (ja) 2014-03-20
DE112010005963B4 (de) 2018-05-03
KR20130103549A (ko) 201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697B1 (ko) 로깅 설정 장치, 로깅 설정 방법 및 기록 매체
KR900001033B1 (ko) 시켄스 제어방법 및 그 제어장치
CN105830417B (zh) 用于替换和调试现场设备的方法和系统
KR101860252B1 (ko) 작화 장치 및 제어 시스템
JP2008152799A (ja) 制御システム設定装置
US7356773B1 (en) Wizard builder, for application software, building a setup wizard which sets up a defacto interface between the application program and monitoring or control equipment
RU2294015C2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моделирования системы управления процессом и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процессом
CN110780637A (zh) 工具管理系统、工具管理装置以及工具管理方法
JP4842541B2 (ja) 制御用表示装置、画面データ生成装置、並びに、それら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3251423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プログラミング機器および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用機能ユニット
US20220326673A1 (en) Support device and storage medium
JPWO2005114344A1 (ja) エンジニアリングツールおよびエンジニアリングツールの起動プログラムの選択方法および新規プログラムの追加方法
JP4462426B2 (ja) Plc用ツール装置
CN111052010A (zh) 控制系统、开发辅助装置和开发辅助程序
US20070239288A1 (en) Power system and work flow thereof
JPH0399380A (ja) 収集データの格納方法
CN111240764A (zh) 设备配置方法及系统
JP2006227820A (ja) プログラムテスト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テスト方法
JPH1139010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プログラム作成支援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作成支援方法
JP2522593B2 (ja) 数値制御装置
EP0498453A2 (en) Programmable controller with independent display
JP2734958B2 (ja) コマンド自動実行及び応答情報チェック方式
JP4818551B2 (ja) 工作機械のスケジュール運転管理装置、スケジュール運転システムおよびスケジュール運転方法
JP2002323992A (ja) テストケース生成条件生成装置及びテストケース生成条件生成方法
JP2000263385A (ja) 製品製造情報作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