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2479B1 - 마우스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우스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479B1
KR101472479B1 KR1020140121181A KR20140121181A KR101472479B1 KR 101472479 B1 KR101472479 B1 KR 101472479B1 KR 1020140121181 A KR1020140121181 A KR 1020140121181A KR 20140121181 A KR20140121181 A KR 20140121181A KR 101472479 B1 KR101472479 B1 KR 101472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pad
mold
epoxy resin
mous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숙
성정환
Original Assignee
김혜숙
성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숙, 성정환 filed Critical 김혜숙
Priority to KR1020140121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5Mouse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3/00Use of EP, i.e. epoxy resin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2Panels; Plates;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우스패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패드는 상면, 하면, 그리고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을 잇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은 상기 하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래 쪽으로 돌출 연장된 돌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패드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상부가 개방된 형틀(mold)을 작업대에 놓고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형틀에 에폭시수지를 주입하는 제2 단계, 상기 형틀의 개방된 상부를 덮개로 덮고 상기 덮개에 미리 정해진 압력을 가하는 제3 단계, 상기 에폭시수지를 경화시키는 제4 단계, 그리고 경화된 상기 에폭시수지를 상기 형틀로부터 분리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하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래 쪽으로 돌출 연장된 돌출부가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테이블면과 마우스패드의 하면 사이에 갇힌 공기의 압축 효과로 테이블면에 마우스패드가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마우스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mouse pa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마우스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우스패드는 마우스의 움직임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 마우스를 올려놓고 사용하는 판을 지칭한다.
이러한 마우스패드의 한 예가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7499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마우스패드는 테이블 위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저면에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되는 후지(厚紙) 혹은 수지 및 비닐계열의 소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소정 면적을 갖는 시트부재를 구비하는 등 구조가 복잡하고, 마우스패드를 테이블 상에 고정하는 효과도 제한적인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7499호 (공개일자 2013년12월31일)
본 발명은 손목에 무리를 가하지 않고, 또한 테이블면에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마우스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명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도 포함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패드는마우스를 올려놓고 사용하는 마우스패드로서, 상기 마우스가 놓이는 상면, 하면, 그리고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을 잇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은 상기 하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래 쪽으로 돌출 연장된 돌출부를 전 둘레에 걸쳐 구비하며, 상기 마우스패드는 탄성을 가지며, 상기 마우스패드가 테이블에 놓이면 상기 돌출부는 밖으로 벌어지게 되고 상기 테이블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돌출부는 탄성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귀한다.
또한, 상기 하면의 테두리 부분은 상기 측면으로 완만하게 경사지면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상면의 테두리 부분은 상기 측면 쪽으로 경사져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상면은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면에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패드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상부가 개방된 형틀(mold)을 작업대에 놓고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형틀에 에폭시수지를 주입하는 제2 단계, 상기 형틀의 개방된 상부를 덮개로 덮고 상기 덮개에 미리 정해진 압력을 가하는 제3 단계, 상기 에폭시수지를 경화시키는 제4 단계, 그리고 경화된 상기 에폭시수지를 상기 형틀로부터 분리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하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래 쪽으로 돌출 연장된 돌출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하면의 테두리 부분은 상기 측면으로 완만하게 경사지면서 연결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에폭시수지는 25℃에서 3시간 경화시킨 후, 45℃에서 5시간 경화시킨다.
또한, 상기 형틀의 바닥면은 샌딩처리된다.
또한, 상기 덮개는 유리판이고, 상기 미리 정해진 압력은 500g의 납덩어리에 의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우스패드의 상면에 손을 얹으면 돌출부가 눌러지게 되면서 마우스패드의 탄성에 의해 사용자는 쿠션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테이블면과 마우스패드의 하면 사이에 갇힌 공기의 압축 효과로 테이블면에 마우스패드가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샌딩처리된 형틀에 의해 마우스패드의 상면을 거칠기(요철)를 조절할 수 있어, 그래픽 작업, 게임 등 작업 환경에 적합한 마우스패드를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도출되는 다른 효과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패드의 평면도(a), 정면도(b), 측면도(c)를 나타낸다.
도 2의 (a)는 마우스패드가 테이블면에 닿기 전의 형상을 나타내고 도 2의 (b)는 마우스패드가 테이블에 닿은 후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마우스패드의 제작과 관련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패드의 평면도(a), 정면도(b), 측면도(c)를 나타내고, 도 2의 (a)는 마우스패드가 테이블면에 닿기 전의 형상을 나타내고 도 2의 (b)는 마우스패드가 테이블에 닿은 후의 형상을 나타낸다.
본 마우스패드는 상면(1), 하면(바닥면)(2), 그리고 상면(1) 및 하면(2)을 잇는 측면(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면(1)은 마우스 및 사용자의 손이 놓이는 부위이고, 하면(2)은 테이블 등과 접촉하는 부위이다.
상면(1)의 테두리 부분(11)은 측면(3) 쪽으로 경사져 있다. 예를 들면 45도 정도로 경사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손목과 손바닥을 보호할 수 있다.
측면(3)은 하면(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래 쪽으로 돌출 연장된 돌출부(31)를 구비한다. 이때, 하면(2)의 테두리 부분(21)은 측면(3)으로 완만하게 경사지면서 연결된다.
또한, 상면(1)은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2)에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지 않고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필요시, 하면(2)은 유광처리될 수도 있다.이러한 상면(1)의 요철은 후술하는 샌딩처리된 형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운 샌딩처리된 형틀에 의해 형성된 마우스패드는 마우스 슬라이딩시 정밀한 움직임으로 그래픽 작업 및 정밀성이 요구되는 게임 등에 효과적이다. 또한, 거친 샌딩처리된 형틀에 의해 형성된 마우스패드는 마우스 슬라이딩시 빠르고 가벼운 움직임으로 빠른 슬라이딩이 필요한 작업에 효과적이다.
한편, 본 마우스패드는 외부 힘에 의하여 변형을 일으킨 뒤 힘이 제거되었을 때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가려는 성질인 탄성을 가지는데, 예시적으로 에폭시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폭시수지로는 주재료로 DGEBA(Diglycidylether of bisphenol A)와 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propyleneglycol)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경화재로 폴리옥시프로필렌다이아민(Polyoxypropylene diamine)과 Tris-2,4,6-(dimethylaminomethyl)phenol 를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주재료의 성분인 DGEBA(Diglycidylether of bisphenol A)의 비율을 높일 경우(주재료 함유량 100% 기준시 DGEBA(Diglycidylether of bisphenol A) 함유량을 90% 이상) 상대적으로 딱딱한 재질의 마우스패드를 구현할 수 있고, DGEBA(Diglycidylether of bisphenol A)의 비율을 낮출 경우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재질의 마우스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이러한 구성을 가진 마우스패드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2의 (a)는 본 마우스패드가 테이블면에 닿기 전의 형태이며, 본 마우스패드를 테이블면에 올려놓으면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1)가 밖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때, 마우스패드의 상면(1)에 손을 얹으면 돌출부(31)가 눌러지게 된다. 이를 통하여 마우스패드의 탄성에 의해 사용자는 쿠션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테이블 표면과 마우스패드의 하면(2) 사이에 갇힌 공기의 압축 효과로 테이블 표면에 마우스패드가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 테이블로부터 분리되면 돌출부(31)는 탄성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귀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패드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부가 개방된 형틀(mold)(100)을 작업대에 놓아 준비한다. 형틀은 실리콘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형틀의 바닥면(102)은 샌딩처리된 것일 수 있다.
다음, 형틀에 에폭시수지를 주입한다. 이때, 에폭시수지는 진공탈포기에서 기포를 제거한 후 주입된다.
다음, 형틀의 개방된 상부를 덮개(101)로 덮고, 덮개(101)에 미리 정해진 압력을 가한다. 이를 통하여, 형틀 내부의 공기가 압축되는 과정을 통하여 마우스패드의 하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래 쪽으로 돌출 연장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마우스패드의 하면의 테두리 부분은 측면으로 완만하게 경사지면서 연결되게 형성된다.
한편, 예컨대, 덮개(101)로는 강화유리판이 사용될 수 있고, 압력은 500g 정도의 납덩어리를 덮개(101) 위에 올려둠으로써 발생시킬 수 있다.
다음, 에폭시수지를 경화시킨다. 예컨대, 에폭시수지는 25℃에서 3시간 경화시킨 후, 45℃에서 5시간 경화시킬 수 있다.
다음, 경화된 에폭시수지를 형틀로부터 분리한다.
이러한 마우스패드는 다양한 색상과 모양으로 주변 환경에 맞게 인테리어 할 수 있다.
또한, 형틀에 일정한 로고 및 문자를 새겨넣어 다량의 광고물을 동반한 마우스패드를 생산할 수 있다. 이를 경우, 종래와 같이 완성된 마우스패드에 추가적으로 2~3차 공정을 더하여 로고나 문자를 새길 필요가 없어 단일의 공정으로 로고 또는 문자가 들어간 마우스패드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땀, 물, 음료 등의 습기가 음식물에 의해 오염된 부분은 간단히 천으로 닦거나 물로 세척함으로써 새것처럼 사용할 수 있고, 본 마우스패드는 헤어지거나 훼손되지 않아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겨울철에는 마우스패드에 손의 온기가 쉽게 전달되어 손시려움이 상대적으로 저감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상면, 11...상면의 테두리 부분
2...하면(바닥면) 21...하면의 테두리 부분
3...측면, 31...돌출부

Claims (11)

  1. 마우스를 올려놓고 사용하는 마우스패드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가 놓이는 상면, 하면, 그리고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을 잇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은 상기 하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래 쪽으로 돌출 연장된 돌출부를 전 둘레에 걸쳐 구비하며,
    상기 마우스패드는 탄성을 가지며,
    상기 마우스패드가 테이블에 놓이면 상기 돌출부는 밖으로 벌어지게 되고 상기 테이블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돌출부는 탄성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는
    마우스패드.
  2. 제1항에서,
    상기 하면의 테두리 부분은 상기 측면으로 완만하게 경사지면서 연결된 마우스패드.
  3. 제1항에서,
    상기 상면의 테두리 부분은 상기 측면 쪽으로 경사져 있는 마우스패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상면은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면에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지 않은 마우스패드.
  7.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마우스패드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상부가 개방된 형틀(mold)을 작업대에 놓고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형틀에 에폭시수지를 주입하는 제2 단계,
    상기 형틀의 개방된 상부를 덮개로 덮고 상기 덮개에 미리 정해진 압력을 가하는 제3 단계,
    상기 에폭시수지를 경화시키는 제4 단계, 그리고
    경화된 상기 에폭시수지를 상기 형틀로부터 분리하는 제5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하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래 쪽으로 돌출 연장된 돌출부가 형성되는
    마우스패드 제작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하면의 테두리 부분은 상기 측면으로 완만하게 경사지면서 연결되게 형성되는, 마우스패드 제작방법.
  9. 제7항에서,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에폭시수지는 25℃에서 3시간 경화시킨 후, 45℃에서 5시간 경화시키는 마우스패드 제작방법.
  10. 제7항에서,
    상기 형틀의 바닥면은 샌딩처리된 마우스패드 제작방법.
  11. 제7항에서,
    상기 덮개는 유리판이고, 상기 미리 정해진 압력은 500g의 납덩어리에 의해 발생하는 마우스패드 제작방법.
KR1020140121181A 2014-09-12 2014-09-12 마우스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72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181A KR101472479B1 (ko) 2014-09-12 2014-09-12 마우스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181A KR101472479B1 (ko) 2014-09-12 2014-09-12 마우스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2479B1 true KR101472479B1 (ko) 2014-12-12

Family

ID=52678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181A KR101472479B1 (ko) 2014-09-12 2014-09-12 마우스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247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1183A (ja) * 1993-06-07 1996-11-26 トップ カズンズ オイ マウス支持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1183A (ja) * 1993-06-07 1996-11-26 トップ カズンズ オイ マウス支持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41669A (zh) 3d玻璃装饰膜加工设备及方法
NO139514B (no) Fremgangsmaate til fremstilling av en sponplate med et dekorsjikt
CN106541670A (zh) 3d玻璃装饰膜加工设备及方法
PH12018500471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composite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for composite material, and preform for composite material
JP2011091307A5 (ko)
CN104223571B (zh) 一种软质布鞋及其生产工艺
WO2007030320A3 (en) Resilient floor tile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1472479B1 (ko) 마우스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MX2019009326A (es) Metodo para producir una parte de plastico conformada que tiene una superficie decorada y una parte de plastico configurada.
CN206201645U (zh) 3d玻璃装饰膜加工设备
KR101467332B1 (ko) 돌출부가 형성된 입체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340289B1 (ko) Uv 패턴 롤 제조방법
CN106149478B (zh) 模塑产品之制造方法及成品
CN105835597A (zh) 一种浮雕镶嵌板的生产方法
CN108099170A (zh) 一种不渗色的双色大底加工模具以及制作双色大底的方法
JPWO2021199799A5 (ko)
CN207535192U (zh) 曲面玻璃屏保护膜
CN104805988B (zh) 一种天然卵石按摩保健地砖的制造方法
US20190232546A1 (en) Shaped ti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204812537U (zh) 硅胶铅笔盒
KR101046572B1 (ko) 판유리가 결합된 테이블 상판 및 그 성형방법
CN105990262B (zh) Micro SD卡封装防翘曲压块和隔离块的结构
CN204367567U (zh) 一种用于隐形眼镜印刷机的防尘装置
CN107856468B (zh) 一种观赏石底座及其制作方法
CN207638704U (zh) 舒适型手机保护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