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220B1 - 제품 실장용 트레이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제품 실장용 트레이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220B1
KR101469220B1 KR1020130047171A KR20130047171A KR101469220B1 KR 101469220 B1 KR101469220 B1 KR 101469220B1 KR 1020130047171 A KR1020130047171 A KR 1020130047171A KR 20130047171 A KR20130047171 A KR 20130047171A KR 101469220 B1 KR101469220 B1 KR 101469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unit
trays
guide rails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7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8588A (ko
Inventor
강창영
김태준
강채오
김효준
최영탁
신순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닉
주식회사 화인컴일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닉, 주식회사 화인컴일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닉
Priority to KR1020130047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220B1/ko
Publication of KR20140128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4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from supply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6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ller-ways or endless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 실장용 트레이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 수개의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적층 공급되는 트레이를 일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트레이 공급부; 상기 트레이 공급부의 일 측에 구비되며, 일 측으로 이동된 상기 트레이를 흡착시켜 낱개로 분리한 후, 일정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트레이 흡착부; 및 상기 트레이 흡착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트레이를 정해진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트레이 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트레이 흡착부를 통해 회전된 상기 트레이는 상기 트레이 이송부 상부에서 흡착이 해제되어 상기 트레이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적층 공급되는 상기 트레이가 일 측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트레이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트레이를 중력에 의해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품 실장용 트레이 공급장치{A tray supplying apparatus for goods mounter}
본 발명은 제품 실장용 트레이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박막형 미용 팩 제품을 실장하기 위한 트레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낱개로 분리하여 이송시킴으로써, 제품 생산의 자동화, 이로 인한 제품 생산효율 향상 및 인건비 절감에 따른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제품 실장용 트레이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국민 소득 및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개인 미용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높은 관심은 다양한 미용제품 특히, 피부를 탄력 있고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는 다양한 미용제품의 등장을 유발하였고, 이러한 미용제품의 예로는 누구나 손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팩(pack) 제품이 있다.
상기 팩의 종류로는 코의 피지(皮脂)를 제거하기 위한 코 팩, 눈가의 주름을 제거하기 위한 아이 팩, 얼굴에 충분한 영양분 또는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마스크(mask) 팩 등이 있다.
한편, 상기 미용제품의 일 예로 든 아이 팩의 경우,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일정형상의 트레이(tray)에 실장되고 포장되어 시판되는데, 상기 트레이는 별도의 공정을 통해 제작되며 물류비용 및 운송비용의 절감을 위하여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의 부피로 복수 개의 트레이가 적층되어 공급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적층 되어 공급되는 트레이는 팩을 실장하여 제품화하는 단계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먼저, 적층 되어 공급되는 상기 트레이는 제품 실장을 위하여 낱개로 분리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경우, 이러한 트레이 분리 작업이 제품의 특성상 수작업으로 이루어져야만 했다.
이로 인해 트레이 분리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이는 결국 제품생산효율 저하로 귀결되며, 또한 수작업에 따른 인건비 상승 및 이로 인해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수작업의 경우, 작업자의 집중력 감소에 따라 트레이의 낱개 분리가 정확하지 못하여 일부 트레이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트레이가 서로 적층 된 상태로 제품이 실장됨으로써 제품 불량이라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먼저 제품 실장을 위한 트레이의 분리 및 이송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제품 실장용 트레이 공급장치의 제공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트레이의 분리 및 이송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제품의 생산효율 향상 및 인건비 절감에 따른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제품 실장용 트레이 공급장치의 제공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 수개의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적층 공급되는 트레이를 일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트레이 공급부, 상기 트레이 공급부의 일 측에 구비되며, 일 측으로 이동된 상기 트레이를 흡착시켜 낱개로 분리한 후, 일정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트레이 흡착부 및 상기 트레이 흡착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트레이를 정해진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트레이 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트레이 흡착부를 통해 회전된 상기 트레이는 상기 트레이 이송부 상부에서 흡착이 해제되어 상기 트레이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적층 공급되는 상기 트레이가 일 측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트레이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트레이를 중력에 의해 가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트레이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트레이 공급부의 일 측으로 이송되도록 일정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레이 흡착부는 상기 트레이 이송부의 일 측 상부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및 상기 회전축 상에 구비되며 상기 트레이를 흡착시켜 회전이동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흡착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레이 이송부는 컨베이어밸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먼저, 제품 실장을 위한 트레이의 분리 및 이송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트레이의 분리 및 이송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제품의 생산효율 향상 및 인건비 절감에 따른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품의 실장을 위한 트레이(a) 및 트레이가 적층 된 상태(b)를 도시한 사시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품 실장용 트레이 공급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및 트레이 흡착부의 요부 확대도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품 실장용 트레이 공급장치의 평면도다.
도 4는 도 2 및 3에 도시된 트레이 흡착부의 평면 확대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품 실장용 트레이 공급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및 트레이 흡착부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품 실장용 트레이 공급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 및 3에 도시된 트레이 흡착부의 평면 확대도다.
상기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품 실장용 트레이 공급장치(100)는 적층 되어 공급되는 트레이 공급부(1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트레이 공급부(110)는 상기 트레이(140)가 삽입되어 상기 트레이 공급부(110)의 일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레일(111)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11)은 필요에 따라 적정한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4개로 이루어져 있어 한번에 4개의 트레이(140)가 공급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111)은 상기 가이드레일(111)에 삽입된 트레이(140)가 상기 가이드레일(111)을 따라 상기 트레이 공급부(110)의 일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즉, 상기 가이드레일(111)의 타 측으로 삽입된 트레이(140)는 상기 가이드레일(111)의 경사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111)을 따라 일 측으로 이동된다.
아울러, 상기 트레이 공급부(110)는 트레이(140)가 보다 원활하게 상기 트레이 공급부(110)의 일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압수단(112)이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압수단(112)은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나,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있어서는 일정중량을 갖는 중량체가 상기 가이드레일(111)에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중량체는 상기 가이드레일(111)에 적층 된 트레이(140)가 삽입된 상태에서 다시 상기 트레이(140)의 후방에 상기 가이드레일(111)을 따라 삽입됨으로써, 경사진 상기 가이드레일(111)을 따라 낙하하려는 중력에 의해 상기 트레이(140)를 가압하고, 결과적으로 상기 트레이(140)를 상기 트레이 공급부(110)의 일 측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품 실장용 트레이 공급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 공급부(110)의 일 측으로 적층 되어 이동된 트레이(140)를 흡착시켜 낱개로 분리한 다음 일정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트레이 흡착부(120)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트레이 흡착부(120)는 후술할 트레이 이송부(130)의 일 측 상부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121), 상기 지지프레임(121) 상에 결합되는 회전축(122), 상기 회전축(12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23) 및 상기 회전축(122) 상에 구비되며 상기 트레이(140)를 흡착시켜 일정각도로 회전이동시키기 위한 복 수개의 흡착 바(12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흡착 바(124)는 일 단에 상기 트레이(140)를 흡착시켜 낱개로 분리 및 회전시키기 위한 흡착 패드(125)가 구비된다.
상기 흡착 패드(125)는 상기 트레이 공급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트레이(140)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다양한 방식의 패드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착 바(124)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한번에 4개씩 공급되는 트레이(140)를 동시에 회전이동시켜 상기 트레이 이송부(130) 상으로 4개씩 안착시키기 위해 총 4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흡착 바(12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착 패드(125)에 상기 트레이(140)를 흡착시킨 후, 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켜 상기 트레이 이송부(130) 상부로 회전이동시킨 다음 상기 흡착 바(124)의 흡착력을 해제하여 상기 트레이(140)를 상기 트레이 이송부(130) 상에 안착시킨다.
이후, 상기 흡착 바(124)는 다시 반 시계방향으로 90°회전되어 다음으로 공급되는 4개의 트레이(140)에 다시 흡착되며, 이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트레이(140)를 낱개로 분리 및 상기 트레이 이송부(130) 상에 안착시킨다.
한편, 상기 트레이 흡착부(120)를 통해 회전 이동된 상기 트레이(140)는 상기 트레이 이송부(130)를 통해 특정위치로 이송되며, 상기 트레이 이송부(130)를 통해 이송된 트레이(140)에는 별도로 구비되는 제품 로딩(loading)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품 즉, 팩과 같은 미용제품이 실장된다.
이때, 상기 트레이 이송부(130)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진 이송수단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컨베이어밸트로 이루어진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품 실장용 트레이 공급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구성들을 통해 제품 실장을 위한 트레이의 분리 및 이송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트레이의 분리 및 이송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제품의 생산효율 향상 및 인건비 절감에 따른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제품 실장용 트레이 공급장치
110:트레이 공급부
111:가이드레일
112:가압수단
120:트레이 흡착부
121:지지프레임
122:회전축
123:구동모터
124:흡착 바
125:흡착 패드
130:트레이 이송부
140:트레이

Claims (5)

  1. 트레이 공급장치에 있어서,
    복 수개의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적층 공급되는 트레이를 일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트레이 공급부;
    상기 트레이 공급부의 일 측에 구비되며, 일 측으로 이동된 상기 트레이를 흡착시켜 낱개로 분리한 후, 일정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트레이 흡착부; 및
    상기 트레이 흡착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트레이를 정해진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트레이 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트레이 흡착부를 통해 회전된 상기 트레이는 상기 트레이 이송부 상부에서 흡착이 해제되어 상기 트레이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적층 공급되는 상기 트레이가 일 측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트레이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트레이를 중력에 의해 가압하는 제품 실장용 트레이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트레이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트레이 공급부의 일 측으로 이송되도록 일정각도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실장용 트레이 공급장치.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흡착부:는
    상기 트레이 이송부의 일 측 상부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및
    상기 회전축 상에 구비되며 상기 트레이를 흡착시켜 회전이동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흡착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실장용 트레이 공급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이송부는 컨베이어밸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실장용 트레이 공급장치.
KR1020130047171A 2013-04-29 2013-04-29 제품 실장용 트레이 공급장치 KR101469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171A KR101469220B1 (ko) 2013-04-29 2013-04-29 제품 실장용 트레이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171A KR101469220B1 (ko) 2013-04-29 2013-04-29 제품 실장용 트레이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588A KR20140128588A (ko) 2014-11-06
KR101469220B1 true KR101469220B1 (ko) 2014-12-09

Family

ID=52454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171A KR101469220B1 (ko) 2013-04-29 2013-04-29 제품 실장용 트레이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2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1840A (ja) * 2000-06-23 2002-01-08 Furukawa Mfg Co Ltd 紙製トレイの整形装置
JP2008230795A (ja) * 2007-03-22 2008-10-02 Fuji Mach Co Ltd トレー取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1840A (ja) * 2000-06-23 2002-01-08 Furukawa Mfg Co Ltd 紙製トレイの整形装置
JP2008230795A (ja) * 2007-03-22 2008-10-02 Fuji Mach Co Ltd トレー取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588A (ko) 2014-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219B1 (ko) 시트 마스크 자동포장 장치
CN204210837U (zh) 一种试管贴标传送装置
CN106184878B (zh) 瓷砖自动包装设备
TW201605704A (zh) 送料系統
US20140013591A1 (en) Machining system
JP6702715B2 (ja) テープ材巻きロールの自動移載装置及びラベル貼着機
US20100270124A1 (en) plant product conveyor system and method
JP2011201579A (ja) 板状部材のラベル貼付システム
KR101469220B1 (ko) 제품 실장용 트레이 공급장치
KR102294935B1 (ko) 다열 제함기
JP2009035310A (ja) 物品移載装置
JP5324261B2 (ja) 物品保持装置
JP2009091023A (ja) 葉状農産物の供給装置
CN112061473B (zh) 贴膜机
CN114056662A (zh) 一种瓷砖自动包装生产线
JPH03256814A (ja) 果菜物整列箱詰装置
JP6602137B2 (ja) 箱詰め装置
KR100692246B1 (ko) 제품 자동정렬장치
CN210681350U (zh) 一种包装纸箱输送装置
JP5894029B2 (ja) 長方形海苔供給装置
JP5507277B2 (ja) 中仕切り待機装置及び紙パック段積み搬送設備
JP5726508B2 (ja) 集合体の搬送装置
CN208530918U (zh) 一种新型输送喂料机构
KR101411053B1 (ko) 패키지 개별화 장치
CN211109869U (zh) 包装袋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