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251B1 - 신규한 인아인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규한 인아인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251B1
KR101467251B1 KR1020130011135A KR20130011135A KR101467251B1 KR 101467251 B1 KR101467251 B1 KR 101467251B1 KR 1020130011135 A KR1020130011135 A KR 1020130011135A KR 20130011135 A KR20130011135 A KR 20130011135A KR 101467251 B1 KR101467251 B1 KR 101467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um
aryl
alkyl
mmol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8464A (ko
Inventor
이필호
박상준
엄다한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11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251B1/ko
Publication of KR20140098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2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9/00Ketones; Ketenes; Dimeric ketenes; Ketonic chelates
    • C07C49/587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a keto groups being part of a ring
    • C07C49/647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a keto groups being part of a ring having unsaturation outside the 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0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 B01J31/1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containing organo-metall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3/00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rings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13/28Polycyclic hydrocarbons or acyclic hydrocarbon derivatives thereof
    • C07C13/32Polycyclic hydrocarbons or acyclic hydrocarbon derivatives thereof with condensed rings
    • C07C13/54Polycyclic hydrocarbons or acyclic hydrocarbon derivatives thereof with condensed rings with three condensed rings
    • C07C13/547Polycyclic hydrocarbons or acyclic hydrocarbon derivatives thereof with condensed rings with three condensed rings at least one ring not being six-membered, the other rings being at the most six-membered
    • C07C13/567Polycyclic hydrocarbons or acyclic hydrocarbon derivatives thereof with condensed rings with three condensed rings at least one ring not being six-membered, the other rings being at the most six-membered with a fluorene or hydrogenated fluorene ring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5/00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 C07C15/20Polycyclic condensed hydrocarbons
    • C07C15/24Polycyclic condensed hydrocarbons containing tw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3/00Ethers;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3/02Ethers
    • C07C43/20Ethers having an ether-oxygen atom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43/205Ethers having an ether-oxygen atom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the aromatic ring being a non-condensed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9/00Ketones; Ketenes; Dimeric ketenes; Ketonic chelates
    • C07C49/29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keto groups bound t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9/00Ketones; Ketenes; Dimeric ketenes; Ketonic chelates
    • C07C49/587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a keto groups being part of a ring
    • C07C49/603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a keto groups being part of a ring of a six-membered 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아인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바이닐 프로파질 할라이드 유도체와 인듐(Indium; In)을 반응시켜 인-시츄로 얻어지는 유기인듐 시약과 할라이드 유도체를 팔라듐 촉매 존재 하에서 교차짝지움 반응시켜 높은 수율로 인아인 유도체를 선택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제조된 신규한 인아인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09449734-pat0004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Description

신규한 인아인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Novel enyne derivatives and its preparation method}
본 발명은 신규한 인아인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바이닐 프로파질 할라이드 유도체와 인듐(Indium; In)을 반응시켜 인-시츄로 얻어지는 유기인듐 시약과 할라이드 유도체를 팔라듐 촉매 존재 하에서 교차짝지움 반응시켜 높은 수율로 인아인 유도체를 선택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제조된 신규한 인아인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바이닐 프로파질(vinyl propagyl) 구조, 일명 인아인(enyne) 구조는 생화학 분야나 약학 분야, 유기합성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구조이다. 생화학적으로 인아인를 포함하는 화합물로는 칼리쉬아미신(calicheamicine)과 다이니미신(dynemicin)과 같은 항생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화합물은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물질로써 주목 받고 있는 화합물이다. 인아인 구조는 다양한 합성법이 이미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합성법으로 에틸렌에 할로겐을 도입하여 말단의 아세틸렌 유도체와의 팔라듐(0), 혹은 팔라듐/구리 촉매를 사용하는 소노가시라(Sonogashira) 짝지움 반응을 통한 합성법과 로듐이나 팔라듐 촉매를 사용하여 알킨 유도체와 함께 알케인 유도체와의 알킬리딘 수소화 반응을 통한 합성법이 알려져 있다. 이 밖에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인아인을 합성하고 있다(Angew . Chem . Int . Ed . 1991 , 30, 1387; In Handbook of Organopalladium Chemistry for Organic Synthesis; John Wiley &Sons, Inc.: 2002; 2003; pp 1635; Chem . Rev . 2000 , 100, 2901; Yuki Gosei Kagaku Kyokaishi 2001 , 59, 346; Name Reactions and Reagents in Organic Synthesis ; John Wiley and Sons: Hoboken, 2005; Vol. 2; Name Reactions ; Springer: Berlin, 2006; Vol. 3; Org . Lett . 2007 , 9, 2919; Advanced Synthesis &Catalysis 2007 , 349, 2669; Yuki Gosei Kagaku Kyokaishi 2008 , 66, 1160; J. Am . Chem . Soc . 2003 , 125, 1184; Yuki Gosei Kagaku Kyokaishi 2009 , 67, 451; J. Org . Chem . 1998 , 63, 9007; J. Org. Chem . 2003 , 68, 662; Tetrahedron Lett . 2004 , 45, 2305).
알려진 인아인 유도체 합성법은 반응물의 원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인아인 구조를 도입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나, 인듐을 매개로 하여 바이닐 프로파질 할라이드와의 인-시츄(in-situ) 반응을 통해 얻는 유기인듐 시약의 경우에는 그 자체가 인아인 구조의 골격을 가지고 있으므로 반응물의 원하는 위치에 손쉽게 도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방법이 간편하고, 작용기의 선택이 광범위한 유기 금속 화합물을 사용하여 다양한 치환기가 도입된 인아인 화합물을 손쉽게 도입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Angew. Chem. Int. Ed. 1991, 30, 1387 In Handbook of Organopalladium Chemistry for Organic Synthesis; John Wiley &Sons, Inc.: 2002; 2003; pp 1635 Chem. Rev. 2000, 100, 2901 Yuki Gosei Kagaku Kyokaishi 2001, 59, 346 Name Reactions and Reagents in Organic Synthesis; John Wiley and Sons: Hoboken, 2005; Vol. 2 Name Reactions; Springer: Berlin, 2006; Vol. 3 Org. Lett. 2007, 9, 2919 Advanced Synthesis &Catalysis 2007, 349, 2669 Yuki Gosei Kagaku Kyokaishi 2008, 66, 1160 J. Am. Chem. Soc. 2003, 125, 1184 Yuki Gosei Kagaku Kyokaishi 2009, 67, 451 J. Org. Chem. 1998, 63, 9007 J. Org. Chem. 2003, 68, 662 Tetrahedron Lett. 2004, 45, 2305
본 발명의 목적은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천연물에서 발견될 뿐만 아니라, 유기합성에서 매우 유용한 구조로서 다양한 용도에 사용 가능한 신규한 인아인 유도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신규한 인아인 유도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아인(enyne)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09449734-pat00001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인아인 유도체의 제조방법으로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바이닐 프로파질 인듐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할라이드 유도체를 팔라듐을 매개로 하는 탄소-탄소 교차 짝지움 반응을 통해 상기 화학식 1의 인아인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13009449734-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13009449734-pat00003

상기 화학식 2의 바이닐 프로파질 인듐 화합물은 할라이드 금속염 존재 하에서 화학식 4의 바이닐 프로파질 할라이드 유도체와 인듐(Indium; In)과의 인-시츄 반응을 통해 얻어진다.
[화학식 4]
Figure 112013009449734-pat00004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아인 유도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09449734-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1-C7)알킬, (C6-C20)아릴, 또는
Figure 112013009449734-pat00006
이고, 상기 R1의 아릴은 할로겐원소, (C1~C7)알킬, (C1~C7) 알킬카보닐, (C1~C7)알콕시, (C1~C7)알콕시카보닐, (C6-C20)아릴, (C6-C20)아릴옥시, (C6-C20)아릴(C1~C7)알킬 및 (C6-C20)아릴(C1~C7)알킬옥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더 치환될 수 있으며;
R2는 수소 또는 (C1-C7)알킬이다.
상기 알킬 및 알콕시는 직쇄 또는 분쇄의 알킬 및 알콕시를 모두 포함하며, 아릴은 방향족고리로서 페닐, 바이페닐, 나프틸, 안트릴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헵틸, 페닐, 나프틸, 플루오레닐 또는
Figure 112013009449734-pat00007
이고, 상기 R1의 페닐 또는 나프틸은 클로로, 브로모, 플루오로, 아이오도,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헵틸, 아세틸,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부톡시, 펜틸옥시, 헥실옥시, 헵틸옥시, 에톡시카보닐, 페닐, 나프틸, 페녹시, 벤질 및 벤질옥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더 치환될 수 있고; R2는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또는 헵틸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인아인 유도체는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의 화합물일 수 있다.
Figure 112013009449734-pat00008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아인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권리범위로 포함하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인아인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아인 유도체의 제조방법은 팔라듐 촉매 및 포스핀계 리간드 존재 하에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바이닐 프로파질 인듐 화합물(유기인듐 시약)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할라이드 유도체를 탄소-탄소 교차 짝지움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아인 유도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09449734-pat00009
[화학식 2]
Figure 112013009449734-pat00010
[화학식 3]
Figure 112013009449734-pat00011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에서 R1은 (C1-C7)알킬, (C6-C20)아릴 또는
Figure 112013009449734-pat00012
이고, 상기 R1의 아릴은 할로겐원소, (C1~C7) 알킬카보닐, (C1~C7)알콕시, (C1~C7)알콕시카보닐, (C6-C20)아릴, (C6-C20)아릴옥시, (C6-C20)아릴(C1~C7)알킬 및 (C6-C20)아릴(C1~C7)알킬옥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더 치환될 수 있으며;
R2는 수소 또는 (C1-C7)알킬이고;
X는 할로겐원소이다.
또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바이닐 프로파질 인듐 화합물은 할라이드 금속염(MX : M=1가 알칼리금속, X = 할로겐) 존재 하에서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바이닐 프로파질 할라이드 유도체와 인듐(Indium; In)을 반응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4]
Figure 112013009449734-pat00013
상기 화학식 4에서 R2는 수소 또는 (C1-C7)알킬이고; X는 할로겐 원소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인아인 유도체의 제조방법에서 바이닐 프로파질 할라이드 유도체(화학식 4)를 인듐과 반응시켜 유기인듐 시약(화학식 2)을 별도의 분리 정제과정 없이 인-시츄로 반응을 수행한다. 인-시츄라 함은 할라이드 금속염(MX : M=1가 알칼리금속, X = 할로겐)의 존재 하에서 바이닐 프로파질 할라이드 유도체(화학식 4)를 인듐과 반응시켜 얻어지는 유기인듐 시약(화학식 2)을 별도로 분리 정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양한 친전자체가 치환된 할라이드 유도체(화학식 3)와 반응을 수행하는 제조방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반응용기는 둥근 바닥 플라스크와 테스트튜브 (test tub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두 가지 반응용기 모두에서 반응이 잘 진행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팔라듐 촉매는 Pd2dba3CHCl3 (dba = trans,trans-dibenzylidene-acetone), Pd(OAc)2, (dppf)PdCl2 (dppf=1,1'-bis(diphenylphosphino)ferrocene), Pd(PPh3)4, (PPh3)2PdCl2, (DPEphos)PdCl2 (DPEphos= bis(2-(diphenylphosphino)phenyl) ether) 및 PdCl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Pd2dba3CHCl3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반응 리간드로 사용되는 포스핀 리간드는 비스(2-다이페닐포스피노페닐)에터[DPEphos; Bis(2-diphenylphosphinophenyl)ether], 4,5-비스(다이페닐포스피노)-9,9-다이메틸크산텐[Xantphos; 4,5-Bis(diphenylphosphino)-9,9-di-methylxanthene], 사이클로헥실 다이페닐 포스핀[(Biph)PCy2], 1,1'-비스(다이페닐포스피노)페로센[DPPF; 1,1'-Bis(diphenylphosohino)ferrocene], 1,2-비스(다이페닐포스피노)에터[DPPE; 1,2-Bis(diphenylphosohino)ether], 1,3-비스(다이페닐포스피노)프로판 [DPPP; 1,3-Bis(diphenylphosohino-)propane] 및 트라이페닐포스핀[PPh3; triphenylphosph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4,5-비스(다이페닐포스피노)-9,9-다이메틸크산텐[Xantphos] 리간드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팔라듐 촉매는 상기 화학식 3의 할라이드 유도체에 대하여 1 내지 10 mol%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 mol%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포스핀 리간드는 사용하는 팔라듐 촉매에 대하여 1 내지 30 mol%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8mol%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바이닐 프로파질 인듐 화합물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인듐과 화학식 4의 바이닐 프로파질 할라이드 유도체 및 첨가제인 할라이드 금속염은 (1.0~2.0) : (1.0~2.0) : (1.0~2.0)의 당량비로 사용되며, 1 : 1.5 : 1의 당량비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첨가제인 할라이드 금속염(MX : M=1가 알칼리금속, X = 할로겐)은 LiX, NaX 및 KX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X는 F, Cl, Br, I이고, 구체적인 예로는 염화 리튬, 요오드화 리튬, 브로모화 리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염화 리튬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용매는 통상의 유기용매이며 상기 유기용매로는 다이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다이클로로메탄, 다이클로로에탄, 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반응물의 용해성 및 제거의 용이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며,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반응온도는 실온 내지 100℃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온 내지 40℃에서 수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부산물이 발생하여 반응 수율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반응시간은 반응물질, 용매의 종류 및 용매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TLC 등을 통하여 출발물질인 화학식 3이 모두 소모되었음을 확인 후 반응을 완결시키도록 한다. 반응이 완결되면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류시킨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통상의 방법을 통하여 목적물을 분리 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닐 프로파질 인듐 화합물을 통한 인아인 유도체의 제조방법은 기존의 유기 금속 시약을 통한 합성법과는 달리 선택적으로 삼중 결합 화합물인 인아인 유도체만을 합성할 수 있는 차별화된 합성법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아인 유도체는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천연물에서 발견될 뿐 아니라, 유기합성에서 매우 유용한 구조로써 다양한 친전자체에 바이닐 프로파질 그룹을 도입시켜 인아인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펜트-4-엔-2-니닐)나프탈렌 [1-(pent-4-en-2-ynyl)naphthalene]의 제조
Figure 112013009449734-pat00014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용기에 1-브로모펜트-4-엔-2-닐 (5-bromopent-1-en-3-yne, 108.4 mg, 0.75 mmol), 인듐 (57.4 mg, 0.5 mmol)과 LiCl (21.2 mg, 0.5 mmol)을 넣고, 여기에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어 실온에서 20분간 교반하여 유기인듐 시약을 in-situ로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δ 6.02-5.93 (m, 1H), 5.52 (dd, J = 17.4 Hz, 2.4 Hz, 1H), 5.33 (dd, J = 10.0 Hz, 2.5 Hz, 1H), 4.78 (d, J = 1.92 Hz, 2H)
이 반응과 동시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별개의 반응용기에 Pd2(dba)3CHCl3 (10.4 mg, 2 mol%)과 Xantphos (23.1 mg, 8 mol%)과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고 실온에서 교반시키면서 1-아이오도나프탈렌 (127 mg, 0.5 mmol)와 상기 제조된 유기인듐 시약을 차례대로 첨가한 후 40℃에서 6 시간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이 종결되면 Et2O (20 mL x 3)으로 추출하고 물 (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 (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펜트-4-엔-2-니닐)나프탈렌 (92.0 mg, 96%)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δ 8.02 (d, J = 8.2 Hz, 1H), 7.87 (d, J = 8.5 Hz, 1H), 7.79 (d, J = 8.3 Hz, 1H), 7.60 (dd, J = 7.0 Hz, 0.7 Hz, 2H), 7.42-7.56 (m, 3H), 5.90 (ddt, J = 11.0 Hz, 17.5 Hz, 2.2 Hz, 1H), 5.65 (dd, J = 17.6 Hz, 2.4 Hz, 1H), 5.46 (dd, J = 11.0 Hz, 2.3 Hz, 1H), 4.13 (s, 2H)
[실시예 2] 에틸 2-(펜트-4-엔-2-니닐)벤조에이트 [ethyl 2-(pent-4-en-2-ynyl)benzoate]의 제조
Figure 112013009449734-pat00015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용기에 1-브로모펜트-4-엔-2-닐 (5-bromopent-1-en-3-yne, 108.4 mg, 0.75 mmol), 인듐 (57.4 mg, 0.5 mmol)과 LiCl (21.2 mg, 0.5 mmol)을 넣고, 여기에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어 실온에서 20분간 교반하여 유기인듐 시약을 in-situ로 제조하였다.
이 반응과 동시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별개의 반응용기에 Pd2(dba)3CHCl3 (10.4 mg, 2 mol%)과 Xantphos (23.1 mg, 8 mol%)과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고 실온에서 교반시키면서 에틸렌 2-아이오도벤조에이트 (138 mg, 0.5 mmol)와 상기 제조된 유기인듐 시약을 차례대로 첨가한 후 40℃에서 5 시간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이 종결되면 Et2O (20 mL x 3)으로 추출하고 물 (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 (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에틸 2-(펜트-4-엔-2-니닐)벤조에이트 (6.4 mg, 9%)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δ 7.95 (dd, J = 7.8 Hz, 1.3 Hz, 1H), 7.68 (d, J = 7.8 Hz, 1H), 7.53 (td, J = 7.5 Hz, 1.4 Hz, 1H), 7.34 (t, J = 7.8 Hz, 1H), 5.89 (ddt, J = 17.6 Hz, 11.1 Hz, 2.1 Hz, 1H), 5.64 (dd, J = 17.5 Hz, 2.0 Hz, 1H), 5.45 (dd, J = 11.0 Hz, 2.2 Hz, 1H), 4.40 (quartet, J = 7.1 Hz, 2H), 4.14 (d, J = 1.8 Hz, 2H), 1.42 (t, J = 3.1 Hz, 3H)
[실시예 3] 에틸 3-(펜트-4-엔-2-니닐)벤조에이트 [ethyl 3-(pent-4-en-2-ynyl)benzoate]의 제조
Figure 112013009449734-pat00016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용기에 1-브로모펜트-4-엔-2-닐 (5-bromopent-1-en-3-yne, 108.4 mg, 0.75 mmol), 인듐 (57.4 mg, 0.5 mmol)과 LiCl (21.2 mg, 0.5 mmol)을 넣고, 여기에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어 실온에서 20분간 교반하여 유기인듐 시약을 in-situ로 제조하였다.
이 반응과 동시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별개의 반응용기에 Pd2(dba)3CHCl3 (10.4 mg, 2 mol%)과 Xantphos (23.1 mg, 8 mol%)과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고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에틸렌 3-아이오도벤조에이트 (138 mg, 0.5 mmol)와 상기 제조된 유기인듐 시약을 차례대로 첨가한 후 40℃에서 7 시간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이 종결되면 Et2O (20 mL x 3)으로 추출하고 물 (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 (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에틸 3-(펜트-4-엔-2-니닐)벤조에이트 (93.2 mg, 87%)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δ 8.01 (s, 1H), 7.92 (d, J = 7.8 Hz, 1H), 7.56 (d, J = 8.2 Hz, 1H), 7.40 (t, J = 7.7 Hz, 1H), 5.84 (ddt, J = 17.6 Hz, 10.9 Hz, 2.1 Hz, 1H), 5.64 (dd, J = 17.6 Hz, 2.3 Hz, 1H), 5.45 (dd, J = 11.0 Hz, 2.3 Hz, 1H), 4.38 (quartet, J = 7.1 Hz, 2H), 3.77 (s, 2H), 1.40 (t, J = 7.2 Hz, 3H)
[실시예 4] 에틸 4-(펜트-4-엔-2-니닐)벤조에이트 [ethyl 4-(pent-4-en-2-ynyl)benzoate]의 제조
Figure 112013009449734-pat00017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용기에 1-브로모펜트-4-엔-2-닐 (5-bromopent-1-en-3-yne, 108.4 mg, 0.75 mmol), 인듐 (57.4 mg, 0.5 mmol)과 LiCl (21.2 mg, 0.5 mmol)을 넣고, 여기에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어 실온에서 20분간 교반하여 유기인듐 시약을 in-situ로 제조하였다.
이 반응과 동시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별개의 반응용기에 Pd2(dba)3CHCl3 (10.4 mg, 2 mol%)과 Xantphos (23.1 mg, 8 mol%)과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고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에틸렌 4-아이오도벤조에이트 (138 mg, 0.5 mmol)와 상기 제조된 유기인듐 시약을 차례대로 첨가한 후 40℃에서 3 시간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이 종결되면 Et2O (20 mL x 3)으로 추출하고 물 (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 (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에틸 4-(펜트-4-엔-2-니닐)벤조에이트 (102.8 mg, 96%)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δ 8.02 (d, J = 8.2 Hz, 2H), 7.43 (d, J = 8.1 Hz, 2H), 5.89 (ddt, J = 11.0 Hz, 17.5 Hz, 2.3 Hz, 1H), 5.67 (dd, J = 17.1 Hz, 2.3 Hz, 1H), 5.48 (dd, J = 10.9 Hz, 2.1 Hz, 1H), 4.41 (quartet, J = 7.1 Hz, 2H), 3.78 (s, 2H), 1.42 (t, J = 7.1 Hz, 3H)
[실시예 5] 1-(2-(펜트-4-엔-2-니닐)페닐)에탄온 [1-(2-(pent-4-en-2-ynyl)phenyl)ethanone]의 제조
Figure 112013009449734-pat00018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용기에 1-브로모펜트-4-엔-2-닐 (5-bromopent-1-en-3-yne, 108.4 mg, 0.75 mmol), 인듐 (57.4 mg, 0.5 mmol)과 LiCl (21.2 mg, 0.5 mmol)을 넣고, 여기에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어 실온에서 20분간 교반하여 유기인듐 시약을 in-situ로 제조하였다.
이 반응과 동시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별개의 반응용기에 Pd2(dba)3CHCl3 (10.4 mg, 2 mol%)과 Xantphos (23.1 mg, 8 mol%)과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고 실온에서 교반시키면서 1-(2-아이오도페닐)에탄온 (123.0 mg, 0.5 mmol)와 상기 제조된 유기인듐 시약을 차례대로 첨가한 후 40℃에서 9 시간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이 종결되면 Et2O (20 mL x 3)으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 (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2-(펜트-4-엔-2-니닐)페닐)에탄온 (58.0 mg, 63%)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δ7.73 (dd, J = 7.7 Hz, 2.1 Hz, 1H), 7.69 (d, J = 7.7 Hz, 1H), 7.49 (td, J = 7.5 Hz, 1.3 Hz, 1H), 7.35 (t, J = 7.3 Hz, 1H), 5.84 (ddt, J = 17.6 Hz, 11.0 Hz, 2.1 Hz, 1H), 5.61 (dd, J = 17.5 Hz, 2.0 Hz, 1H), 5.43 (dd, J = 11.0 Hz, 2.2 Hz, 1H), 4.07 (d, J = 1.8 Hz, 2H), 2.61 (s, 3H)
[실시예 6] 1-(3-(펜트-4-엔-2-니닐)페닐)에탄온 [1-(3-(pent-4-en-2-ynyl)phenyl)ethanone]의 제조
Figure 112013009449734-pat00019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용기에 1-브로모펜트-4-엔-2-닐 (5-bromopent-1-en-3-yne, 108.4 mg, 0.75 mmol), 인듐 (57.4 mg, 0.5 mmol)과 LiCl (21.2 mg, 0.5 mmol)을 넣고, 여기에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어 실온에서 20분간 교반하여 유기인듐 시약을 in-situ로 제조하였다.
이 반응과 동시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별개의 반응용기에 Pd2(dba)3CHCl3 (10.4 mg, 2 mol%)과 Xantphos (23.1 mg, 8 mol%)과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고 실온에서 교반시키면서 1-(3-아이오도페닐)에탄온 (123.0 mg, 0.5 mmol)와 상기 제조된 유기인듐 시약을 차례대로 첨가한 후 40℃에서 9 시간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이 종결되면 Et2O (20 mL x 3)으로 추출하고 물 (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 (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3-(펜트-4-엔-2-니닐)페닐)에탄온 (66.3 mg, 72%)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δ 7.93 (s, 1H), 7.84 (d, J = 7.8 Hz, 1H), 7.58 (dd, J = 7.6 Hz, 0.7 Hz, 1H), 7.43 (t, J = 7.7 Hz, 1H), 5.85 (ddt, J = 17.6 Hz, 11.0 Hz, 2.1 Hz, 1H), 5.64 (dd, J = 17.6 Hz, 2.1 Hz, 1H), 5.46 (dd, J = 11.0 Hz, 2.2 Hz, 1H), 3.79 (d, J = 1.3 Hz, 2H), 2.62 (s, 3H)
[실시예 7] 1-(4-(펜트-4-엔-2-니닐)페닐)에탄온 [1-(4-(pent-4-en-2-ynyl)phenyl)ethanone]의 제조
Figure 112013009449734-pat00020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용기에 1-브로모펜트-4-엔-2-닐 (5-bromopent-1-en-3-yne, 108.4 mg, 0.75 mmol), 인듐 (57.4 mg, 0.5 mmol)과 LiCl (21.2 mg, 0.5 mmol)을 넣고, 여기에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어 실온에서 20분간 교반하여 유기인듐 시약을 in-situ로 제조하였다.
이 반응과 동시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별개의 반응용기에 Pd2(dba)3CHCl3 (10.4 mg, 2 mol%)과 Xantphos (23.1 mg, 8 mol%)과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고 실온에서 교반시키면서 1-(4-아이오도페닐)에탄온 (123.0 mg, 0.5 mmol)와 상기 제조된 유기인듐 시약을 차례대로 첨가한 후 40℃에서 7 시간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이 종결되면 Et2O (20 mL x 3)으로 추출하고 물 (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 (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4-(펜트-4-엔-2-니닐)페닐)에탄온 (82.9 mg, 90%)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δ 7.93 (d, J = 8.3 Hz, 2H), 7.45 (d, J = 8.3 Hz, 2H), 5.85 (ddt, J = 17.5 Hz, 11.0 Hz, 2.2 Hz, 1H), 5.64 (dd, J = 17.5 Hz, 2.1 Hz, 1H), 5.47 (dd, J = 11.0 Hz, 2.1 Hz, 1H), 3.78 (d, J = 1.5 Hz, 2H), 2.30 (s, 3H)
[실시예 8] 1-메톡시-3-(펜트-4-엔-2-니닐)벤젠 [1-methoxy-3-(pent-4-en-2-ynyl)benzene]의 제조
Figure 112013009449734-pat00021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용기에 1-브로모펜트-4-엔-2-닐 (5-bromopent-1-en-3-yne, 108.4 mg, 0.75 mmol), 인듐 (57.4 mg, 0.5 mmol)과 LiCl (21.2 mg, 0.5 mmol)을 넣고, 여기에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어 실온에서 20분간 교반하여 유기인듐 시약을 in-situ로 제조하였다.
이 반응과 동시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별개의 반응용기에 Pd2(dba)3CHCl3 (10.4 mg, 2 mol%)과 Xantphos (23.1 mg, 8 mol%)과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고 실온에서 교반시키면서 1-아이오도-3-메톡시벤젠 (117.0 mg, 0.5 mmol)와 상기 제조된 유기인듐 시약을 차례대로 첨가한 후 40℃에서 5 시간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이 종결되면 Et2O (20 mL x 3)으로 추출하고 물 (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 (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메톡시-3-(펜트-4-엔-2-니닐)벤젠 (78.4 mg, 91%)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δ 7.23 (t, J = 8.1 Hz, 2H), 6.91-6.94 (m, 2H), 6.77-6.79 (m, 2H), 5.84 (ddt, J = 17.6 Hz, 11.1 Hz, 2.0 Hz, 1H), 5.61 (dd, J = 17.5 Hz, 2.1 Hz, 1H), 5.43 (dd, J = 10.9 Hz, 2.1 Hz, 1H), 3.80 (s, 3H), 3.70 (t, J = 0.8 Hz, 2H)
[실시예 9] 1-부틸-4-(펜트-4-엔-2-니닐)벤젠 [1-butyl-4-(pent-4-en-2-ynyl)benzene]의 제조
Figure 112013009449734-pat00022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용기에 1-브로모펜트-4-엔-2-닐 (5-bromopent-1-en-3-yne, 108.4 mg, 0.75 mmol), 인듐 (57.4 mg, 0.5 mmol)과 LiCl (21.2 mg, 0.5 mmol)을 넣고, 여기에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어 실온에서 20분간 교반하여 유기인듐 시약을 in-situ로 제조하였다.
이 반응과 동시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별개의 반응용기에 Pd2(dba)3CHCl3 (10.4 mg, 2 mol%)과 Xantphos (23.1 mg, 8 mol%)과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고 실온에서 교반시키면서 1-부틸-4-아이오도벤젠 (130.1 mg, 0.5 mmol)와 상기 제조된 유기인듐 시약을 차례대로 적가한 후 40℃에서 5 시간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이 종결되면 Et2O (20 mL x 3)으로 추출하고 물 (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 (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부틸-4-(펜트-4-엔-2-니닐)벤젠 (99.2 mg, 81%)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δ 7.70 (t, J = 1.7 Hz, 1H), 7.61 (dd, J = 7.4 Hz, 1.77 Hz, 2H), 7.50 (dd, J = 8.4 Hz, 7.3 Hz, 1H), 5.68 (d, J = 4.1 Hz, 2H), 5.48 (d, J = 4.3 Hz, 2H)
[실시예 10] 1-메틸-3-(펜트-4-엔-2-니닐)벤젠 [1-methyl-3-(pent-4-en-2-ynyl)benzene]의 제조
Figure 112013009449734-pat00023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용기에 1-브로모펜트-4-엔-2-닐 (5-bromopent-1-en-3-yne, 108.4 mg, 0.75 mmol), 인듐 (57.4 mg, 0.5 mmol)과 LiCl (21.2 mg, 0.5 mmol)을 넣고, 여기에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어 실온에서 20분간 교반하여 유기인듐 시약을 in-situ로 제조하였다.
이 반응과 동시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별개의 반응용기에 Pd2(dba)3CHCl3 (10.4 mg, 2 mol%)과 Xantphos (23.1 mg, 8 mol%)과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고 실온에서 교반시키면서 1-아이오도-3-메틸벤젠 (109.2 mg, 0.5 mmol)와 상기 제조된 유기인듐 시약을 차례대로 적가한 후 40℃에서 4 시간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이 종결되면 Et2O (20 mL x 3)으로 추출하고 물 (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 (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메틸-3-(펜트-4-엔-2-니닐)벤젠 (66.4 mg, 85%)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δ 7.21 (t, J = 7.5 Hz, 1H), 7.14 (d, J = 8.2 Hz, 2H), 7.05 (d, J = 7.3 Hz, 1H), 5.84 (ddt, J = 17.5 Hz, 11.0 Hz, 2.3 Hz, 1H), 5.62 (dd, J = 17.6 Hz, 1.9 Hz, 1H), 5.43 (dd, J = 11.0 Hz, 2.1 Hz, 1H), 3.69 (d, J = 1.2 Hz, 2H), 2.35 (s, 3H)
[실시예 11] 2-(펜트-4-엔-2-니닐)바이페닐 [2-(pent-4-en-2-ynyl)biphenyl]의 제조
Figure 112013009449734-pat00024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용기에 1-브로모펜트-4-엔-2-닐 (5-bromopent-1-en-3-yne, 108.4 mg, 0.75 mmol), 인듐 (114.8 mg, 1.0 mmol)과 LiCl (42.4 mg, 1.0 mmol)을 넣고, 여기에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어 실온에서 20분간 교반하여 유기인듐 시약을 in-situ로 제조하였다.
이 반응과 동시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별개의 반응용기에 Pd2(dba)3CHCl3 (10.4 mg, 2 mol%)과 Xantphos (23.1 mg, 8 mol%)과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고 실온에서 교반시키면서 2-아이오도바이페닐 (140.1 mg, 0.5 mmol)와 상기 제조된 유기인듐 시약을 차례대로 첨가한 후 40℃에서 28 시간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이 종결되면 종결되면 Et2O (20 mL x 3)으로 추출하고 물 (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 (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2-(펜트-4-엔-2-니닐)바이페닐 (61.1 mg, 56%)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δ 7.61 (d, J = 7.5 Hz, 1H), 7.40-7.44 (m, 2H), 7.23-7.39 (m, 7H), 5.80 (ddt, J = 17.5 Hz, 11.0 Hz, 2.2 Hz, 1H), 5.57 (dd, J = 17.5 Hz, 2.2 Hz, 1H), 5.41 (dd, J = 11.0 Hz, 2.1 Hz, 1H), 3.61 (d, J = 1.9 Hz, 2H)
[실시예 12] 1,3-다이메틸-5-(펜트-4-엔-2-니닐)벤젠 [1,3-dimethyl-5-(pent-4-en-2-ynyl)benzene]의 제조
Figure 112013009449734-pat00025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용기에 1-브로모펜트-4-엔-2-닐 (5-bromopent-1-en-3-yne, 108.4 mg, 0.75 mmol), 인듐 (57.4 mg, 0.5 mmol)과 LiCl (21.2 mg, 0.5 mmol)을 넣고, 여기에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어 실온에서 20분간 교반하여 유기인듐 시약을 in-situ로 제조하였다.
이 반응과 동시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별개의 반응용기에 Pd2(dba)3CHCl3 (10.4 mg, 2 mol%)과 Xantphos (23.1 mg, 8 mol%)과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고 실온에서 교반시키면서 1-아이오도-3,5-다이메틸벤젠 (116.0 mg, 0.5 mmol)와 상기 제조된 유기인듐 시약을 차례대로 첨가한 후 40℃에서 12 시간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이 종결되면 Et2O (20 mL x 3)으로 추출하고 물 (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 (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3-다이메틸-5-(펜트-4-엔-2-니닐)벤젠 (69.8 mg, 82%)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δ 6.95 (s, 2H), 6.87 (s, 1H), 5.84 (ddt, J = 17.5 Hz, 11.0 Hz, 2.0 Hz, 1H), 5.61 (dd, J = 17.5 Hz, 2.3 Hz, 1H), 5.43 (dd, J = 11.0 Hz, 2.1 Hz, 1H), 3.65 (d, J = 1.6 Hz, 2H), 2.31 (s, 6H)
[실시예 13] 2-(펜트-4-엔-2-니닐)싸이클로헥센-2-엔온 [2-(pent-4-en-2-ynyl)cyclohex-2-enone]의 제조
Figure 112013009449734-pat00026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용기에 1-브로모펜트-4-엔-2-닐 (5-bromopent-1-en-3-yne, 108.4 mg, 0.75 mmol), 인듐 (57.4 mg, 0.5 mmol)과 LiCl (21.2 mg, 0.5 mmol)을 넣고, 여기에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어 실온에서 20분간 교반하여 유기인듐 시약을 in-situ로 제조하였다.
이 반응과 동시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별개의 반응용기에 Pd2(dba)3CHCl3 (10.4 mg, 2 mol%)과 Xantphos (23.1 mg, 8 mol%)과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고 실온에서 교반시키면서 2-아이오도싸이클로헥센-2-엔온 (111.0 mg, 0.5 mmol)과 상기 제조된 유기인듐 시약을 차례대로 첨가한 후 40℃에서 6 시간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이 종결되면 Et2O (20 mL x 3)으로 추출하고 물 (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 (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2-(펜트-4-엔-2-니닐)싸이클로헥센-2-엔온 (48.1 mg, 60%)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δ 7.13-7.15 (m, 1H), 5.82 (ddt, J = 17.6 Hz, 11.0 Hz, 2.1 Hz, 1H), 5.61 (dd, J = 17.6 Hz, 2.1 Hz, 1H), 5.44 (dd, J = 11.0 Hz, 2.2 Hz, 1H), 3.28 (d, J = 2.0 Hz, 2H), 2.40-2.48 (m, 4H), 1.98-2.05 (m, 2H)
[실시예 14] 1-클로로-4-(펜트-4-엔-2-니닐)벤젠 [1-chloro-4-(pent-4-en-2-ynyl)benzene]의 제조
Figure 112013009449734-pat00027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용기에 1-브로모펜트-4-엔-2-닐 (5-bromopent-1-en-3-yne, 108.4 mg, 0.75 mmol), 인듐 (57.4 mg, 0.5 mmol)과 LiCl (21.2 mg, 0.5 mmol)을 넣고, 여기에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어 실온에서 20분간 교반하여 유기인듐 시약을 in-situ로 제조하였다.
이 반응과 동시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별개의 반응용기에 Pd2(dba)3CHCl3 (10.4 mg, 2 mol%)과 Xantphos (23.1 mg, 8 mol%)과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고 실온에서 교반시키면서 1-클로로-4-아이오도벤젠 (119.2 mg, 0.5 mmol)와 상기 제조된 유기인듐 시약을 차례대로 첨가한 후 40℃에서 8 시간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이 종결되면 Et2O (20 mL x 3)으로 추출하고 물 (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 (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클로로-4-(펜트-4-엔-2-니닐)벤젠 (60.9 mg, 69%)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δ 7.28 (s, 4H), 5.83 (ddt, J = 17.6 Hz, 11.1 Hz, 2.1 Hz, 1H), 5.63 (dd, J = 17.6 Hz, 2.0 Hz, 1H), 5.45 (dd, J = 11.0 Hz, 2.2 Hz, 1H), 3.69 (d, J = 2.0 Hz, 1H)
[실시예 15] 2-(펜트-4-엔-2-니닐)-9H-플루오렌 [2-(pent-4-en-2-ynyl)-9H-fluorene]의 제조
Figure 112013009449734-pat00028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용기에 1-브로모펜트-4-엔-2-닐 (5-bromopent-1-en-3-yne, 108.4 mg, 0.75 mmol), 인듐 (57.4 mg, 0.5 mmol)과 LiCl (21.2 mg, 0.5 mmol)을 넣고, 여기에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어 실온에서 20분간 교반하여 유기인듐 시약을 in-situ로 제조하였다.
이 반응과 동시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별개의 반응용기에 Pd2(dba)3CHCl3 (10.4 mg, 2 mol%)과 Xantphos (23.1 mg, 8 mol%)과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고 실온에서 교반시키면서 2-아이오도-9H-플루오렌 (146.1 mg, 0.5 mmol)과 상기 제조된 유기인듐 시약을 차례대로 첨가한 후 40℃에서 6 시간동안 교반시켰다.반응이 종결되면 Et2O (20 mL x 3)으로 추출하고 물 (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 (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2-(펜트-4-엔-2-니닐)-9H-플루오렌 (71.4 mg, 62%)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δ 7.75 (d, J = 7.5 Hz, 1H), 7.72 (d, J = 7.8 Hz, 1H), 7.52-7.53 (m, 2H), 7.32-7.38 (m, 2H), 7.28 (td, J = 7.3 Hz, 1.0 Hz, 1H), 5.86 (ddt, J = 17.5 Hz, 11.0 Hz, 2.2 Hz, 1H), 5.64 (dd, J = 17.6 Hz, 2.1 Hz, 1H), 5.45 (dd, J = 11.0 Hz, 2.2 Hz, 1H), 3.88 (s, 2H), 3.79 (d, J = 1.6 Hz, 2H)
[실시예 16] 1-(4-메틸펜트-4-엔-2-니닐)나프탈렌 [1-(4-Methylpent-4-en-2-ynyl)naphthalene]의 제조
Figure 112013009449734-pat00029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용기에 5-브로모-2-메틸펜트-1-엔-3-인 (5-bromo-2-methylpent-1-en-3-yne, 119.3 mg, 0.75 mmol), 인듐 (57.4 mg, 0.5 mmol)과 LiCl (21.2 mg, 0.5 mmol)을 넣고, 여기에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어 실온에서 20분간 교반하여 유기인듐 시약을 in-situ로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δ 5.21 (s, 1H), 5.14 (m, 1H), 4.25 (s, 2H), 1.87 (d, J = 1.2 Hz, 3H)
이 반응과 동시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별개의 반응용기에 Pd2(dba)3CHCl3 (10.4 mg, 2 mol%)과 Xantphos (23.1 mg, 8 mol%)과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어 실온에서 교반시키면서 1-아이오도나프탈렌 (127 mg, 0.5 mmol)과 상기 제조된 유기인듐 시약을 차례대로 첨가한 후 실온에서 18 시간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이 종결되면 Et2O (20 mL x 3)으로 추출하고 물 (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 (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4-메틸펜트-4-엔-2-니닐)나프탈렌 (77.4 mg, 75%)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δ 8.04 (d, J = 8.4 Hz, 1H), 7.86-7.88 (m, 1H), 7.77 (d, J = 8.3 Hz, 1H), 7.63 (dd, J = 7.0 Hz, 0.8 Hz, 1H), 7.43-7.57 (m, 3H), 5.28 (s, 1H), 5.19-5.20 (m, 1H), 4.13 (s, 2H), 1.91 (s, 3H)
[실시예 17] 에틸 4-(4-메틸펜트-4-엔-2-니닐)벤조에이트 [ethyl 4-(4-methylpent-4-en-2-ynyl)benzoate]의 제조
Figure 112013009449734-pat00030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용기에 5-브로모-2-메틸펜트-1-엔-3-인 (5-bromo-2-methylpent-1-en-3-yne, 119.3 mg, 0.75 mmol), 인듐 (57.4 mg, 0.5 mmol)과 LiCl (21.2 mg, 0.5 mmol)을 넣고, 여기에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어 실온에서 20분간 교반하여 유기인듐 시약을 in-situ로 제조하였다.
이 반응과 동시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별개의 반응용기에 Pd2(dba)3CHCl3 (10.4 mg, 2 mol%)과 Xantphos (23.1 mg, 8 mol%)과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고 실온에서 교반시키면서 에틸렌 4-아이오도벤조에이트 (138 mg, 0.5 mmol)와 상기 제조된 유기인듐 시약을 차례대로 첨가한 후 실온에서 22 시간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이 종결되면 Et2O (20 mL x 3)으로 추출하고 물 (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 (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에틸 4-(4-메틸펜트-4-엔-2-니닐)벤조에이트 (85.6 mg, 75%)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δ 8.01 (d, J = 6.57 Hz, 2H), 7.42 (d, J = 8.30 Hz, 2H), 5.29 (s, 1H), 5.21-5.22 (m, 1H), 4.37 (quartet, J = 7.07 Hz, 3H), 3.78 (s, 2H), 1.92 (t, J = 1.27 Hz, 3H), 1.39 (t, J = 7.07 Hz, 3H)
[실시예 18] 1-(4-(4-메틸펜트-4-엔-2-니닐)펜닐)에탄온 [1-(4-(4-methylpent-4-en-2-ynyl)phenyl)ethanone]의 제조
Figure 112013009449734-pat00031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용기에 5-브로모-2-메틸펜트-1-엔-3-인 (5-bromo-2-methylpent-1-en-3-yne, 119.3 mg, 0.75 mmol), 인듐 (57.4 mg, 0.5 mmol)과 LiCl (21.2 mg, 0.5 mmol)을 넣고, 여기에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어 실온에서 20분간 교반하여 유기인듐 시약을 in-situ로 제조하였다.
이 반응과 동시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별개의 반응용기에 Pd2(dba)3CHCl3 (10.4 mg, 2 mol%)과 Xantphos (23.1 mg, 8 mol%)과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 mL)를 넣고 실온에서 교반시키면서 1-(4-아이오도페닐)에탄온 (123.0 mg, 0.5 mmol)와 상기 제조된 유기인듐 시약을 차례대로 첨가한 후 실온에서 22 시간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이 종결되면 Et2O (20 mL x 3)으로 추출하고 물 (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 (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4-(4-메틸펜트-4-엔-2-니닐)펜닐)에탄온 (83.3 mg, 84%)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δ 7.91-7.93 (m, 2H), 7.44 (d, J = 4.70 Hz, 2H), 5.29 (s, 1H), 5.21-5.23 (m, 1H), 3.78 (s, 2H), 3.60 (s, 3H), 1.91 (t, J = 1.15 Hz, 3H)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아인 (enyne) 유도체:
    [화학식 1]
    Figure 112013009449734-pat00032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1-C7)알킬, (C6-C20)아릴 또는
    Figure 112013009449734-pat00033
    이고, 상기 R1의 아릴은 할로겐원소, (C1~C7)알킬, (C1~C7)알킬카보닐, (C1~C7)알콕시, (C1~C7)알콕시카보닐, (C6-C20)아릴, (C6-C20)아릴옥시, (C6-C20)아릴(C1~C7)알킬 및 (C6-C20)아릴(C1~C7)알킬옥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더 치환될 수 있고; R2는 수소 또는 (C1-C7)알킬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헵틸, 페닐, 나프틸, 플루오레닐 또는
    Figure 112013009449734-pat00034
    이고, 상기 R1의 페닐 또는 나프틸은 클로로, 브로모, 플루오로, 아이오도,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헵틸, 아세틸,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부톡시, 펜틸옥시, 헥실옥시, 헵틸옥시, 에톡시카보닐, 페닐, 나프틸, 페녹시, 벤질 및 벤질옥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더 치환될 수 있고; R2는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또는 헵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아인(enyne) 유도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아인(enyne) 유도체는 하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아인(enyne) 유도체.
    Figure 112013009449734-pat00035
  4. 팔라듐 촉매 및 포스핀계 리간드 존재 하에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바이닐 프로파질 인듐 화합물(유기인듐 시약)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할라이드 유도체를 탄소-탄소 교차 짝지움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아인 유도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아인(enyne) 유도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3009449734-pat00036

    [화학식 2]
    Figure 112013009449734-pat00037

    [화학식 3]
    Figure 112013009449734-pat00038

    상기 화학식 1 내지 3에서, R1은 (C1-C7)알킬, (C6-C20)아릴 또는
    Figure 112013009449734-pat00039
    이고, 상기 R1의 아릴은 할로겐원소, (C1~C7)알킬, (C1~C7)알킬카보닐, (C1~C7)알콕시, (C1~C7)알콕시카보닐, (C6-C20)아릴, (C6-C20)아릴옥시, (C6-C20)아릴(C1~C7)알킬 및 (C6-C20)아릴(C1~C7)알킬옥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더 치환될 수 있고; R2는 수소 또는 (C1-C7)알킬이고; X는 할로겐 원소이다.
  5. 제 4 항에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바이닐 프로파질 인듐 화합물(유기인듐 시약)은 할라이드 금속염(MX : M=1가 알칼리금속, X = 할로겐) 존재 하에서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바이닐 프로파질 할라이드 유도체와 인듐(Indium; In)을 반응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화학식 2]
    Figure 112013009449734-pat00040

    [화학식 4]
    Figure 112013009449734-pat00041

    상기 화학식 2 및 4에서 R2는 수소 또는 (C1-C7)알킬이고; X는 할로겐 원소이다.
  6. 제 5 항에서,
    상기 인듐, 화학식 4의 바이닐 프로파질 할라이드 유도체 및 할라이드 금속염은 (1.0~2.0) : (1.0~2.0) : (1.0~2.0)의 당량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 6 항에서,
    상기 할라이드 금속염은 염화 리튬, 요오드화 리튬 및 브로모화 리튬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 4 항에서,
    상기 팔라듐 촉매는 Pd2dba3CHCl3, Pd(OAc)2, (dppf)PdCl2, Pd(PPh3)4, (PPh3)2PdCl2, (DPEphos)PdCl2 및 PdCl2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포스핀계 리간드는 비스(2-다이페닐포스피노페닐)에테르(DPEphos), 4,5-비스(다이페닐포스피노)-9,9-다이메틸크산텐(Xantphos), 사이클로헥실 다이페닐 포스핀((Biph)PCy2 (Cy= Cyclohexyl)), 1,1'-비스(다이페닐포스피노)페로센(DPPF), 1,2-비스(다이페닐포스피노)에테르(DPPE), 1,3-비스(다이페닐포스피노)프로판(DPPP) 및 트라이페닐포스핀(PPh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포스핀 리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130011135A 2013-01-31 2013-01-31 신규한 인아인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KR101467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135A KR101467251B1 (ko) 2013-01-31 2013-01-31 신규한 인아인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135A KR101467251B1 (ko) 2013-01-31 2013-01-31 신규한 인아인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464A KR20140098464A (ko) 2014-08-08
KR101467251B1 true KR101467251B1 (ko) 2014-12-01

Family

ID=51745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135A KR101467251B1 (ko) 2013-01-31 2013-01-31 신규한 인아인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2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4495B (zh) * 2019-02-02 2022-12-09 盐城师范学院 一种新型偶联反应在制备碳-碳键结构化合物中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9754A (en) * 1982-07-29 1988-12-06 National Research Development Corporation Pesticide intermediat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9754A (en) * 1982-07-29 1988-12-06 National Research Development Corporation Pesticide intermedi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464A (ko) 2014-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29082A1 (zh) 一种钯催化二氧化碳和炔烃合成α-丙烯酸化合物的方法
NO335760B1 (no) Ruteniumkomplekser, fremgangsmåte for fremstilling av slike og mellomprodukter samt slike forbindelser som (pre)katalysatorer for metatesereaksjoner
JP5971656B2 (ja) シクロポリアリーレン化合物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Chang et al. Pd-Catalyzed decarboxylative alkynylation of alkynyl carboxylic acids with arylsulfonyl hydrazides via a desulfinative process
KR101467251B1 (ko) 신규한 인아인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CN113979897A (zh) 一种γ-芳基烯丙基磺酰氟化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EP2546219A1 (en) Carbon nanoring and method for producing a ring-shaped compound suitable as a starting material for production of the same
CN109970789B (zh) 一种三芳基膦化合物的制备方法
CN102249871B (zh) 番茄红素中间体2,6,10-三甲基-1,1-二烷氧基-3,5,9-十一烷三烯的制备方法
CN116496316A (zh) 一种氟烯基磷的合成方法
CN112675920B (zh) 一类单手性中心催化剂及其制备和催化合成手性醇类化合物和手性α-烯丙醇的方法
CN113354500B (zh) 一种制备1,5-二烯衍生物的方法
CN111116285B (zh) 一种高效的1-芳基-4-丁烯化合物的制备方法
CN114539097A (zh) 一种多取代烯基氰化物及其合成方法
CN102311320B (zh) 一种2,6,10-三甲基-1,1-二烷氧基-3,5,9-十一烷三烯的制备方法
KR100921783B1 (ko) 나프틸기를 가지는 방향족 다중 고리 화합물과 이 화합물의제조방법
CN112574244B (zh) 一种1-苯基乙烯基硼酸酯的合成方法
CN115160196B (zh) 对称硫醚类化合物的制备方法
KR101125531B1 (ko) 신규한 인돌리진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CN113801015B (zh) 一种利用二氧化碳合成芳香羧酸化合物的方法
CN111777582B (zh) 一种2-氟烷基-3-炔基取代萘并呋喃化合物及其制备方法
CN115466158B (zh) 一种1,1,3-三芳基-1,3-丁二烯衍生物及其合成方法
CN113999263B (zh) 三取代氧膦化合物的合成方法
CN106496005B (zh) 一种4-(4-氯苯基)环己酮的合成方法
CN116947586A (zh) 一种高效的多取代丙烯基芳香化合物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