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370B1 - 위상누적다항식을 이용하여 양방향 첩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상누적다항식을 이용하여 양방향 첩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370B1
KR101465370B1 KR20130152172A KR20130152172A KR101465370B1 KR 101465370 B1 KR101465370 B1 KR 101465370B1 KR 20130152172 A KR20130152172 A KR 20130152172A KR 20130152172 A KR20130152172 A KR 20130152172A KR 101465370 B1 KR101465370 B1 KR 101465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nomial
time interval
generating
interval inform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52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범
양정환
김중표
원영진
조영준
강철
이상곤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20130152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370B1/ko
Priority to PCT/KR2014/011219 priority patent/WO2015088157A1/ko
Priority to US15/103,145 priority patent/US1027458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35Details of non-pulse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89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01S13/90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using synthetic aperture techniques, e.g.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35Details of non-pulse systems
    • G01S7/352Receivers
    • G01S7/354Extracting wanted echo-sig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3/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01S13/32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waves, whether amplitude-, frequency-, or phase-modulated, or unmodulated
    • G01S13/34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waves, whether amplitude-, frequency-, or phase-modulated, or unmodulated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frequency-modulated waves while heterodyning the received signal, or a signal derived therefrom, with a locally-generated signal related to the contemporaneously transmitted signal
    • G01S13/345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waves, whether amplitude-, frequency-, or phase-modulated, or unmodulated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frequency-modulated waves while heterodyning the received signal, or a signal derived therefrom, with a locally-generated signal related to the contemporaneously transmitted signal using triangular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상누적다항식을 이용하여 양방향 첩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첩 신호 생성 장치는 주파수 누적기의 출력으로부터 시간간격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된 시간간격정보에 대해 위상 누적 다항식을 적용하여 다항식 출력값을 생성하는 다항식 처리부, 및 상기 생성된 다항식 출력값에 기초하여 양방향 첩 신호를 출력하는 양방향 첩 신호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상누적다항식을 이용하여 양방향 첩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OF DIRECT DIGITAL SYNTHESIZER CHIRP SIGNAL USING PHASE ACCUMULATION POLYNOMIAL}
본 발명은 위상 누적에러가 발생하는 위상 누적기 대신에 위상 누적기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위상 누적 다항식을 이용하여 양방향 첩신호를 생성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위성의 SAR(synthetic aperture radar) 시스템은 요구되는 영상 해상도가 서브 미터급이며 사용 대역폭은 500MHz 이상으로 확장되고 있다. 그러므로 높은 품질의 영상 해상도를 지원하기 위하여 위성에서의 광대역 첩신호 발생기가 필요하다. 대역폭이 증가할수록 RF(Radio Frequency) 장치에서 발생하는 불균형 성분들은 신호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신호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먼저 개선된 성능을 갖는 시스템의 선택이 중요하다.
이상적인 첩 신호는 주파수가 시간에 따라 선형으로 변화하고 파형에 표현 비트 부족에 의한 에러와 양자화 잡음에 의한 에러가 거의 없는 신호라고 설명할 수 있다.
위성에서의 첩신호 생성을 위한 기존 기술은 메모리맵 방식이다. 이상적인 파형을 메모리에 저장한후에 어드레스 카운터를 이용하여 발생시킨다. 그러나 고해상도 영상을 위하여 요구 신호대역폭이 증가할수록 요구되는 메모리가 증가하고 파형 전환에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최근 메모리사용이 작고 스위칭 속도가 빠른 DDS(direct digital synthesizer)를 이용한 파형발생 방법을 사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DDS(direct digital synthesizer)를 사용하면 높은 주파수를 발생시킬수록 위상 절삭 에러와 양자화 에러에 의하여 진폭이나 위상의 선형성이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위성 관측을 위한 첩신호는 파형의 순수성이 중요하므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할 경우 비용이 증가 할 수 있으므로 발생 주파수가 제한될 수 있다.
DDS(direct digital synthesizer)를 사용하여 첩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첩율과 시스템 클럭을 이용하여 타이밍 로직을 구성하고 첩율에 따른 램프 타이밍 신호 내에 첩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첩신호의 시작과 종단 주파수를 위한 콘트롤 워드를 셋팅하고 첩율에 따른 주파수 증가를 위해 주파수 스텝을 계산하여 셋팅할 수 있다. 이후, 발생 첩신호의 위상과 진폭을 조절하기 위하여 위상 누적기와 위상 진폭 변환기에 각각 조절을 위한 덧셈기와 곱셈기를 사용한다.
영상 레이다에 사용될 수 있는 도 1의 기술은 업 첩신호와 다운 첩신호를 발생시키기에 적당하나 양방향 첩신호를 발생하는 경우 파형의 시작 위상이 고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적인 첩신호와 동일한 파형을 발생시키려는 경우 위상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업 첩과 다운 첩신호가 동시에 존재하는 양방향 첩신호는 필요로 하는 시간 변수가 음의 부호로 시작된다. 그리고 DDS(direct digital synthesizer)에 음의 부호 콘트롤 워드를 입력하면 발생 신호는 180도로 뒤집어진다. 또한 보통 2의 보수를 취하여 위상을 보정하나 DDS(direct digital synthesizer)의 출력 위상은 0부터 시작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오차를 보상하려면 여러 가지 복잡한 예외처리가 필요하고 발생시키려는 파형마다 외부 프로세서에 연산하여 입력 정보를 구성하여야 한다. 특히 위상조절에 사용되는 위상 옵셋 값의 계산은 목표 신호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확실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지 않다.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첩 신호 생성 장치는 주파수 누적기의 출력으로부터 시간간격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된 시간간격정보에 대해 위상 누적 다항식을 적용하여 다항식 출력값을 생성하는 다항식 처리부, 및 상기 생성된 다항식 출력값에 기초하여 양방향 첩 신호를 출력하는 양방향 첩 신호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추출부는, 이상적인 첩신호(ideal chirp slope)의 시간간격 값들로부터 상기 시간간격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추출부는, 주파수 누적기에서 발생하는 콘트롤 워드의 펄스폭, 샘플링 주파수, 클럭 주파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시간간격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다항식 처리부는, 상기 시간간격정보, 첩율, 시작 주파수, 시작 위상, 및 위상 옵셋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위상 누적 다항식에 대한 다항식 출력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첩 신호 생성 장치는 주파수 누적기의 출력으로부터 복수의 위상차를 갖는 신호들을 생성하는 다중화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추출부는 상기 복수의 위상차를 갖는 신호들로부터 시간간격정보들을 추출하고, 상기 다항식 처리부는 상기 추출된 시간간격정보들에 대해 위상 누적 다항식을 각각 적용하여 다항식 출력값들을 생성하며, 상기 양방향 첩 신호 출력부는 상기 생성된 다항식 출력값들에 기초하여 양방향 첩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양방향 첩 신호 출력부는, 상기 생성된 다항식 출력값들 중에서 특정 다항식 출력값을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첩 신호 생성 방법은 추출부에서, 주파수 누적기의 출력으로부터 시간간격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다항식 처리부에서, 상기 추출된 시간간격정보에 대해 위상 누적 다항식을 적용하여 다항식 출력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양방향 첩 신호 출력부에서, 상기 생성된 다항식 출력값에 기초하여 양방향 첩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주파수 누적기의 출력으로부터 시간간격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이상적인 첩신호(ideal chirp slope)의 시간간격 값들로부터 상기 시간간격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시간간격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주파수 누적기에서 발생하는 콘트롤 워드의 펄스폭, 샘플링 주파수, 클럭 주파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시간간격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다항식 출력값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간격정보, 첩율, 시작 주파수, 시작 위상, 및 위상 옵셋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위상 누적 다항식에 대한 다항식 출력값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첩 신호 생성 방법은 다중화 처리부에서, 주파수 누적기의 출력으로부터 복수의 위상차를 갖는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간간격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위상차를 갖는 신호들로부터 시간간격정보들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항식 출력값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시간간격정보들에 대해 위상 누적 다항식을 각각 적용하여 다항식 출력값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양방향 첩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다항식 출력값들에 기초하여 양방향 첩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양방향 첩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다항식 출력값들 중에서 특정 다항식 출력값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DDS를 사용한 첩신호 생성 기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첩 신호 생성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첩신호 생성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상 누적 다항식을 이용하는 다항식 처리부의 출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위상 누적 다항식을 사용한 첩신호를 발생시키는 병렬 구조의 양방향 첩 신호 생성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첩신호 생성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과 종래 기술과의 차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과 특허청구범위를 통하여 명백하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잘 지적되고 명백하게 청구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다양한 도면을 통해서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첩 신호 생성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첩신호 생성 장치(200)는 DDS를 이용한 첩신호 발생기의 위상 누적기를 위상누적 다항식을 처리하는 다항식 처리부로 대체하여 발생신호를 이상적인 파형에 가깝게 조절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수의 위상차를 갖는 파형을 발생시켜 다중화하는 병렬 DDS(direct digital synthesizer) 방식에 적용함으로써 이상적인 첩신호(ideal chirp slope)와 동일하면서도 성능이 개선된 디지털 신호 대역 확장을 할 수 있다.
이상적인 첩신호는 위상 절삭 에러나 양자화 잡음 또는 스퍼리어스 발생으로 인한 에러 등이 발생하지 않은 이론상의 첩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첩신호 생성 장치(200)는 추출부(210), 다항식 처리부(220), 양방향 첩신호 출력부(230), 및 다중화 처리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추출부(210)는 주파수 누적기의 출력으로부터 시간간격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다항식 처리부(220)는 추출된 시간간격정보에 대해 위상 누적 다항식을 적용하여 다항식 출력값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부(210)는 주파수 누적기의 출력단에서 시간간격정보만을 추출할 수 있다. 이 시간간격정보가 이상적인 첩신호에 사용되는 시간간격과 동일하다면 그 다음 단에서 위상 누적기를 사용하지 않고 첩율이 적용되는 위상누적 다항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절삭에러에 의한 위상에러가 없는 출력값을 위상 진폭변환기에 입력할 수 있다.
이후,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첩신호 출력부(230)는 생성된 다항식 출력값에 기초하여 양방향 첩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양방향 첩신호 출력부(230)의 출력은 위상 누적기를 사용하지 않고 첩율이 적용되는 위상누적 다항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이상적인 첩신호와 거의 동일하고 스펙트럼 특성과 수신단 임펄스 응답 특성이 매우 비슷하다. 또한, 파이프라인 구조의 위상 누적기에 비하여 사용되는 소자의 수가 매우 적어질 수 있다. 일례로, 주파수 누적기의 출력단에 곱셈회로를 추가하면 좀더 빠른 대역전환 속도를 가질 수 있어 DDS의 장점과 메모리맵 방식의 장점을 모두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첩신호 생성 장치(200)는 다중화 처리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중화 처리부(240)는 주파수 누적기의 출력으로부터 복수의 위상차를 갖는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추출부(210)는 복수의 위상차를 갖는 신호들로부터 시간간격정보들을 추출하고, 다항식 처리부(220)는 추출된 시간간격정보들에 대해 위상 누적 다항식을 각각 적용하여 다항식 출력값들을 생성하며, 양방향 첩 신호 출력부(230)는 생성된 다항식 출력값들에 기초하여 양방향 첩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양방향 첩 신호 출력부(230)는 생성된 다항식 출력값들 중에서 특정 다항식 출력값을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첩신호 생성 장치(3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첩신호 생성 장치(300)는 주파수 누적기(301)의 출력단에서 추출기(303)를 통해 시간간격정보만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추출된 시간간격정보가 이상적인 첩신호에 사용되는 시간간격과 동일하다면 그 다음 단에 위상 누적기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즉, 다항식 처리기(304)는 첩율이 적용되는 위상누적 다항식을 사용하여 절삭에러에 의한 위상에러가 없는 데이터를 출력하여 위상 진폭변환기(305)에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위상 진폭변환기(305)의 출력은 이상적인 첩신호와 거의 동일하고 스펙트럼 특성과 수신단 임펄스 응답 특성이 매우 유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첩신호 생성 장치(300)는 다항식 처리기(304)를 이용하기 때문에, 파이프라인 구조의 위상 누적기에 비하여 사용되는 소자의 수가 매우 적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첩신호 생성 장치(300)는 주파수 누적기(301)의 출력단에 곱셈기(302)를 추가하는 경우에 좀더 빠른 대역전환 속도를 가질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상 누적 다항식을 이용하는 다항식 처리부의 출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기존 메모리맵 방식의 파형 발생기를 스위칭 속도가 빠르고 작은 메모리로도 동작이 가능한 DDS로 대체하기 위하여 에러를 줄이고 스펙트럼 특성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DDS를 사용한 파형발생기의 출력이 이상적인 첩신호와 비슷하다면 절삭에러와 스퍼리어스가 매우 적은 신호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DDS를 사용하게 되면 발생하게 될 시행착오가 감소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위상 누적에러가 발생하는 위상 누적기 대신에 위상 누적기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위상 누적 다항식을 처리하는 다항식 처리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상적인 첩 신호(410)는 1, 2 사분면에 걸쳐 좌우가 대칭인 형태로 이상적(ideal)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누적기로부터의 출력값(440)에서 시간간정정보(430)만이 추출될 수 있는데, 추출된 시간간격정보(430)는 [수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3112367413-pat00001

[수학식 1]에서 Tp는 펄스폭이고 Fs는 샘플링 주파수 또는 클럭 주파수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fmax는 파형 발생기에서 출력하는 최대 발생 주파수, b는 시작 주파수로 해석될 수 있다.
추출된 시간간정정보(430)는 위상 누적 다항식에 입력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다항식 처리부가 제공하는 위상 누적 다항식은 [수학식 2]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3112367413-pat00002

[수학식 2]에서 a는 K로 해석될 수 있고, 첩율 K는 BR(신호대역폭)/TP(펄스폭)으로 해석될 수 있다. b는 시작 주파수, c는 위상 옵셋값으로 조절이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항식 처리부가 제공하는 위상 누적 다항식은 시작주파수가 0이고 이상적인 첩 신호와는 위상 옵셋값이 없으므로 모두 0을 사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시간간정정보(430)를 위상 누적 다항식에 적용하면, [수학식 3]의 출력값이 발생하고, [수학식 3]은 다항식 처리부의 출력값(420)으로 해석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3112367413-pat00003

[수학식 3]에서 Tp는 펄스폭, 첩율 K는 BR(신호대역폭)/TP(펄스폭)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5는 위상 누적 다항식을 사용한 첩신호를 발생시키는 병렬 구조의 양방향 첩 신호 생성 장치(5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위상 누적 다항식에 의한 출력은 이상적인 첩신호와 거의 동일하고 스펙트럼 특성과 수신단 임펄스 응답 특성이 매우 비슷하다. 또한 파이프라인 구조의 위상 누적기에 비하여 사용되는 소자의 수가 매우 적을 수 있고 주파수 누적기의 출력단에 곱셈회로를 추가하여 좀더 빠른 대역전환 속도를 가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DDS의 장점과 메모리맵 방식의 장점을 모두 얻을 수 있도록 다수의 위상차를 갖는 파형을 발생시켜서 다중화함으로써 광대역의 디지털 신호 대역을 더욱 확장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양방향 첩 신호 생성 장치(50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병렬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기존 DDS를 사용한 병렬 DDS의 구조는 위상 누적기의 앞단에 곱셈회로를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첩신호의 에러에 의한 위상차가 곱셈의 수만큼 증가하게 되어 이상적인 첩신호와의 차이가 더욱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양방향 첩 신호 생성 장치(500)는 위상 누적 다항식을 사용함으로써 표현 해상도가 증가하게 되어 더욱 이상적인 첩신호와 동일하게 될 수 있다.
양방향 첩 신호 생성 장치(500)는 [수학식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추출기(303)에서 주파수 누적기(501)의 출력으로부터 추출된 시간간격정보에 먼저 4를 곱한 후 위상 누적 다항식에 입력하면 다항식 처리기(503)에 의해 [수학식 5]로 표현되는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이상적인 첩신호와 동일한 출력을 원하면 위상 옵셋을 보상할 필요가 없다.
[수학식 4]
Figure 112013112367413-pat00004

[수학식 4]에서 b는 사용비트수이다.
[수학식 5]
Figure 112013112367413-pat00005

[수학식 5]에서 Tp는 펄스폭, K는 첩률로서 BR(신호대역폭)/TP(펄스폭)으로 해석될 수 있다.
위상 누적 다항식의 출력은 [수학식 5]와 같이 여러 개의 위상차를 갖는 신호로 생성될 수 있고, 위상 진폭 변환기(504)를 포함하는 4 개의 다중화기와, 4MUX(505),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506)를 거쳐 4배의 고해상도와 4배의 대역이 디지털 영역에서 위상에러 없이 확장될 수 있다.
단일의 양방향 첩신호 생성 장치를 사용하는 구조는 위상 누적 다항식의 입력단에 곱셈 회로를 구성하여 대역전환이 매우 빨라질 수 있으나, 위상 진폭 변환기의 후단에서의 에러가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병렬 형태의 양방향 첩신호 생성 장치(500)를 사용하면, 발생 가능한 위상 진폭 변환기의 후단에서의 에러를 개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첩신호 생성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첩신호 생성 방법은 추출부를 통해 주파수 누적기의 출력으로부터 시간간격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단계 601). 주파수 누적기의 출력으로부터 시간간격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이상적인 첩신호(ideal chirp slope)의 시간간격 값들로부터 시간간격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첩신호 생성 방법은 주파수 누적기에서 발생하는 콘트롤 워드의 펄스폭, 샘플링 주파수, 클럭 주파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시간간격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첩신호 생성 방법은 다항식 처리부를 통해 추출된 시간간격정보에 대해 위상 누적 다항식을 적용하여 다항식 출력값을 생성할 수 있다(단계 602). 일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첩신호 생성 방법은 시간간격정보, 첩율, 시작 주파수, 시작 위상, 및 위상 옵셋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위상 누적 다항식에 대한 다항식 출력값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첩신호 생성 방법은 양방향 첩 신호 출력부를 통해 상기 생성된 다항식 출력값에 기초하여 양방향 첩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단계 603).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첩신호 생성 방법은 주파수 누적기의 출력으로부터 복수의 위상차를 갖는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첩신호 생성 방법은 복수의 위상차를 갖는 신호들로부터 시간간격정보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시간간격정보들에 대해 위상 누적 다항식을 각각 적용하여 다항식 출력값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첩신호 생성 방법은 생성된 다항식 출력값들에 기초하여 이상적인 첩신호에 근접하는 양방향 첩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4)

  1. 주파수 누적기의 출력으로부터 시간간격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된 시간간격정보에 대해 위상 누적 다항식을 적용하여 다항식 출력값을 생성하는 다항식 처리부; 및
    상기 생성된 다항식 출력값에 기초하여 양방향 첩 신호를 출력하는 양방향 첩 신호 출력부
    를 포함하는 양방향 첩 신호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이상적인 첩신호(ideal chirp slope)의 시간간격 값들로부터 상기 시간간격정보를 추출하는 양방향 첩 신호 생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주파수 누적기에서 발생하는 콘트롤 워드의 펄스폭, 샘플링 주파수, 클럭 주파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시간간격정보를 추출하는 양방향 첩 신호 생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항식 처리부는,
    상기 시간간격정보, 첩율, 시작 주파수, 시작 위상, 및 위상 옵셋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위상 누적 다항식에 대한 다항식 출력값을 생성하는 양방향 첩 신호 생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주파수 누적기의 출력으로부터 복수의 위상차를 갖는 신호들을 생성하는 다중화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첩 신호 생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복수의 위상차를 갖는 신호들로부터 시간간격정보들을 추출하고, 상기 다항식 처리부는 상기 추출된 시간간격정보들에 대해 위상 누적 다항식을 각각 적용하여 다항식 출력값들을 생성하며, 상기 양방향 첩 신호 출력부는 상기 생성된 다항식 출력값들에 기초하여 양방향 첩 신호를 출력하는 양방향 첩 신호 생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첩 신호 출력부는,
    상기 생성된 다항식 출력값들 중에서 특정 다항식 출력값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양방향 첩 신호 생성 장치.
  8. 추출부에서, 주파수 누적기의 출력으로부터 시간간격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다항식 처리부에서, 상기 추출된 시간간격정보에 대해 위상 누적 다항식을 적용하여 다항식 출력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양방향 첩 신호 출력부에서, 상기 생성된 다항식 출력값에 기초하여 양방향 첩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양방향 첩 신호 생성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누적기의 출력으로부터 시간간격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이상적인 첩신호(ideal chirp slope)의 시간간격 값들로부터 상기 시간간격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양방향 첩 신호 생성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간격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주파수 누적기에서 발생하는 콘트롤 워드의 펄스폭, 샘플링 주파수, 클럭 주파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시간간격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양방향 첩 신호 생성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항식 출력값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간격정보, 첩율, 시작 주파수, 시작 위상, 및 위상 옵셋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위상 누적 다항식에 대한 다항식 출력값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양방향 첩 신호 생성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다중화 처리부에서, 주파수 누적기의 출력으로부터 복수의 위상차를 갖는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간간격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위상차를 갖는 신호들로부터 시간간격정보들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항식 출력값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시간간격정보들에 대해 위상 누적 다항식을 각각 적용하여 다항식 출력값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양방향 첩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다항식 출력값들에 기초하여 양방향 첩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양방향 첩 신호 생성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첩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다항식 출력값들 중에서 특정 다항식 출력값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양방향 첩 신호 생성 방법.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에서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30152172A 2013-12-09 2013-12-09 위상누적다항식을 이용하여 양방향 첩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65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2172A KR101465370B1 (ko) 2013-12-09 2013-12-09 위상누적다항식을 이용하여 양방향 첩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PCT/KR2014/011219 WO2015088157A1 (ko) 2013-12-09 2014-11-20 위상누적다항식을 이용하여 양방향 첩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US15/103,145 US10274584B2 (en) 2013-12-09 2014-11-20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bidirectional chirp signal by using phase accumulation polynom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2172A KR101465370B1 (ko) 2013-12-09 2013-12-09 위상누적다항식을 이용하여 양방향 첩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5370B1 true KR101465370B1 (ko) 2014-11-26

Family

ID=52291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52172A KR101465370B1 (ko) 2013-12-09 2013-12-09 위상누적다항식을 이용하여 양방향 첩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74584B2 (ko)
KR (1) KR101465370B1 (ko)
WO (1) WO20150881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972A (ko) * 2016-12-22 2018-07-0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디지털 디첩 처리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26790B2 (en) * 2019-12-12 2023-08-15 Intel Corporation Processor and instruction set for flexible qubit control with low memory overhead
KR102113567B1 (ko) * 2020-03-25 2020-05-2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첩 신호의 위상 오차 보상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8396B2 (ja) * 1996-10-23 1999-12-13 日本電気株式会社 二次監視レーダ装置
KR101035267B1 (ko) 2009-11-13 2011-05-18 국방과학연구소 배경 움직임에 의한 오경보를 제거한 도플러 레이더 기반의 표적이동 탐지 방법
KR101092570B1 (ko) 2010-10-04 2011-12-1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이동물체 속도 탐지장치 및 상기 탐지장치를 사용하는 uwb 레이더 수신기
JP2012018058A (ja) 2010-07-07 2012-01-26 Honda Elesys Co Ltd レーダ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7020B2 (ja) * 1992-03-17 1997-09-24 富士通株式会社 Fm−cwレーダ装置
US5289252A (en) * 1992-12-08 1994-02-22 Hughes Aircraft Company Linear frequency modulation control for FM laser radar
FR2735582B1 (fr) * 1995-06-15 1997-07-11 Alcatel Espace Procede de reduction des ambiguites dans un radar a synthese d'ouverture et radar mettant en oeuvre le procede
US5719580A (en) * 1996-06-06 1998-02-17 Trw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compensation of VCO nonlinearity in a radar system
KR100488028B1 (ko) * 1996-10-17 2005-05-09 사브테크 일렉트로닉스 아베 Fmcw형 레이더 유닛에서의 간섭 제거 방법
SE516347C2 (sv) 1999-11-17 2001-12-17 Micronic Laser Systems Ab Laserskanningssystem och metod för mikrolitografisk skrivning
JP2003232851A (ja) * 2002-02-08 2003-08-22 Murata Mfg Co Ltd レーダおよびその特性調整方法
JP2003294835A (ja) * 2002-04-01 2003-10-15 Murata Mfg Co Ltd レーダ
US7302237B2 (en) * 2002-07-23 2007-11-27 Mercury Computer Systems, Inc. Wideband signal generators, measurement devices, methods of signal generation, and methods of signal analysis
DE10315012B4 (de) * 2003-04-02 2005-05-12 Eads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Linearisierung von FMCW-Radargeräten
US7656931B2 (en) 2003-12-31 2010-02-02 Ut-Battelle, Llc Hybrid spread spectrum radio system
EP1645890A1 (de) * 2004-10-09 2006-04-12 Leica Geosystems AG Distanzmessverfahren mit Bestimmung eines nichtidealen Chirpverlaufs
DE102006058852B4 (de) * 2006-12-13 2014-01-02 Vega Grieshaber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rrektur nichtidealer Zwischenfrequenzsignale bei Abstandsmessgeräten nach dem FMCW-Prinzip
US8085097B2 (en) * 2008-05-06 2011-12-27 Hittite Microwave Corporation Integrated ramp, sweep fractional frequency synthesizer on an integrated circuit chip
US7728757B2 (en) * 2008-06-09 2010-06-01 The Boeing Company Autofocus for minimum entropy through multi-dimensional optimization
US7999724B2 (en) * 2008-12-15 2011-08-16 The Boeing Company Estimation and correction of error in synthetic aperture radar
US8811535B2 (en) * 2009-07-17 2014-08-19 Mitre Corporation Time-frequency space constructions of families of signals
JP2011127923A (ja) 2009-12-15 2011-06-30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レーダシステム
US8493262B2 (en) 2011-02-11 2013-07-23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Synthetic aperture radar image formation system and method
US9151827B2 (en) * 2012-12-11 2015-10-06 Infineon Technologies Ag Compensating slowly varying if DC offsets in receiv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8396B2 (ja) * 1996-10-23 1999-12-13 日本電気株式会社 二次監視レーダ装置
KR101035267B1 (ko) 2009-11-13 2011-05-18 국방과학연구소 배경 움직임에 의한 오경보를 제거한 도플러 레이더 기반의 표적이동 탐지 방법
JP2012018058A (ja) 2010-07-07 2012-01-26 Honda Elesys Co Ltd レーダ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092570B1 (ko) 2010-10-04 2011-12-1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이동물체 속도 탐지장치 및 상기 탐지장치를 사용하는 uwb 레이더 수신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972A (ko) * 2016-12-22 2018-07-0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디지털 디첩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879516B1 (ko) * 2016-12-22 2018-07-1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디지털 디첩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8157A1 (ko) 2015-06-18
US10274584B2 (en) 2019-04-30
US20160370457A1 (en) 2016-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1877B2 (ja) レーダ装置、飛翔体誘導装置及び目標検出方法
KR101465370B1 (ko) 위상누적다항식을 이용하여 양방향 첩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4197676A3 (en) Circuits and method to enable efficient generation of direct digital synthesizer based waveforms of arbitrary bandwidth
ES2381997T3 (es) Re-muestreador de señal de audio NICAM
US9712225B2 (en) Digital combiner for phased-array RF receivers
JP2017003591A (ja) デジタル化装置及び方法
JP2015070589A (ja) 音場測定装置、音場測定方法および音場測定プログラム
KR101879516B1 (ko) 디지털 디첩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70005483A (ko) 아날로그 rf 메모리 시스템
KR101466516B1 (ko) 양방향 첩신호 생성 및 검증 장치 및 방법
EP3975456B1 (en) Clock synchronization device, optical transmitter and method
JP2019530324A (ja) 周波数領域における相関関数を取得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Gunaratne et al. Novel RFI mitigation methods in the square kilometre array 1 mid correlator beamformer
US20090128400A1 (en) Stepped frequency radar device
CN111371454A (zh) 基于低轨卫星的多普勒信号模拟方法、装置及终端
US9671817B1 (en) Accumulator-based phase memory
CN112242844A (zh) 信号处理方法及其系统
Navarro Frequency domain beamforming for a deep space network downlink array
US9000958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verting data rate
CA2952416C (en) Butterfly channelizer
KR101389147B1 (ko) 위상 누적기를 이용한 광대역 신호 변환 장치 및 방법
EP42033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using a rational sampling frequency calibration digital-to-analog converter
CN117826198B (zh) 伪码调相-线性调频的时分低轨导航信号生成方法与装置
KR20150109650A (ko) 시간 디지털 변환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N112542998B (zh) 一种数字下变频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