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350B1 - 봉제선을 탄성으로 이용한 착용감을 살린 덧버선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봉제선을 탄성으로 이용한 착용감을 살린 덧버선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63350B1 KR101463350B1 KR1020130096421A KR20130096421A KR101463350B1 KR 101463350 B1 KR101463350 B1 KR 101463350B1 KR 1020130096421 A KR1020130096421 A KR 1020130096421A KR 20130096421 A KR20130096421 A KR 20130096421A KR 101463350 B1 KR101463350 B1 KR 1014633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el
- woven
- band
- line
- elasticit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1—Seam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2—Reinforcement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8—Gussets, e.g. pouches or heel or toe por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조와 봉제의 공정이 반드시 필요하는 덧버선을 제조하되, 봉제선이 터지는 부분이 아닌 탄성을 형성하여 착용감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봉제선을 탄성으로 이용한 착용감을 살린 덧버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일반적인 덧버선의 경우 발가락의 발톱부분에 수평되게 형성되어야만 하는 봉제선에 의해서 종래 발가락에 긁히여 봉제선이 터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덧버선 앞꿈치부의 외곽모서리부분인, 발가락 중심부분의 외곽부를 돌아 발가락 바닥의 중심부분까지 이어지는 좌우 절개선에 박음질부(=봉제선)를 형성하였으며, 이에 따라 발의 폭을 조이는 방향으로 탄력을 발생시켜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형상이나 모양이 우수하여 미감에도 훌륭한 덧버선을 실시한 봉제선을 탄성으로 이용한 착용감을 살린 덧버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일반적인 덧버선의 경우 발가락의 발톱부분에 수평되게 형성되어야만 하는 봉제선에 의해서 종래 발가락에 긁히여 봉제선이 터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덧버선 앞꿈치부의 외곽모서리부분인, 발가락 중심부분의 외곽부를 돌아 발가락 바닥의 중심부분까지 이어지는 좌우 절개선에 박음질부(=봉제선)를 형성하였으며, 이에 따라 발의 폭을 조이는 방향으로 탄력을 발생시켜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형상이나 모양이 우수하여 미감에도 훌륭한 덧버선을 실시한 봉제선을 탄성으로 이용한 착용감을 살린 덧버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직조와 봉제의 공정이 반드시 필요하는 덧버선을 제조하되, 봉제선이 터지는 부분이 아닌 탄성을 형성하여 착용감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봉제선을 탄성으로 이용한 착용감을 살린 덧버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일반적인 덧버선의 경우 발가락의 발톱부분에 수평되게 형성되어야만 하는 봉제선에 의해서 종래 발가락에 긁히여 봉제선이 터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덧버선 앞꿈치부의 외곽모서리부분인, 발가락 중심부분의 외곽부를 돌아 발가락 바닥의 중심부분까지 이어지는 좌우 절개선에 박음질부(=봉제선)를 형성하였으며, 이에 따라 발의 폭을 조이는 방향으로 탄력을 발생시켜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형상이나 모양이 우수하여 미감에도 훌륭한 덧버선을 실시한 봉제선을 탄성으로 이용한 착용감을 살린 덧버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덧버선은 평직조와 봉제라는 공정을 통해서 제작되는 여성들의 발에 신는 착용물이다.
종래의 덧버선은 대체적으로 폴리에스테르사, 아크릴사, 면사 등을 이용하여 별도의 평직조기를 통해서 직조되고 있었다. 원칙적으로 양말을 짖는 평직조기를 사용하여 덧버선을 직조하고 있었는데, 개발이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평직조의 방법을 통해서 직조가 발달되어질 즈음, 본 발명의 출원인은 "덧버선 편직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덧버선"을 실용신안출원번호 20-2010-2215호를 통해서 그 직조기는 물론 다른 형태의 덧버선을 소개한 바 있다. 즉, 별도의 고무사를 투입하여 필요한 부분에는 탄성을 주어 발의 안락함을 더 부여한 것이다.
그럼 이러한 종래 덧버선의 개발단계를 살펴본다. 실례로 도시된 도 1을 통해서 종래의 덧버선을 살펴보면, 종래의 덧버선의 경우도 앞꿈치부(20), 바닥부(10), 뒷꿈치부(30)로 이루어진다. 이 형태의 덧버선은 양말을 직조하던 평직조기를 통해서 직조된 것으로 발이 들어가는 개구부(19)를 양말의 개구부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착용감이 좋지 않다. 사실 양말의 경우 발목을 지나 종아리 부분에서 양말의 끝단이 착용되기에 원형의 개구부(19)를 형성함이 타당하나 덧버선과 같이 발목에 끝단을 두어야 하는 덧버선에는 타당하지 않다.
발목의 경우 원형의 단면이 아니고 타원형의 단면이고 걸어다니는 동작에 의해서 발뒷꿈치부분이 자주 벗겨질 소지가 많다. 따라서 동일한 탄성으로 조이는 종래의 개구부는 개선의 소지가 있었다.
따라서 타원형의 개구부를 가진 덧버선도 제안되었지만, 뒷꿈치가 흘러내리는 현상이 발생된다. 결국 도2의 도면에서처럼, 개구부에 탄력 레이스를 박음질하여, 탄성을 향상시킨 실시예도 있었다.
이러한 덧버선은 더욱 개선되어 이 건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서 도시된 도 3과 같은 덧버선이 제안되었다. 이는 실용신안출원번호 20-2010-2215호로 "덧버선 편직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덧버선"이다.
발목을 감싸는 개구부를 형성하되, 발뒷꿈치부분과 발등 부분에만 특별한 탄성을 가지는 밴드부를 직조로 형성하여 탄력이 필요한 부분에만 탄성을 준 것이다. 이 건의 경우 개구부 상단의 밴드부가 쌍으로 형성되는데, 발뒷꿈치부분과 발등부분에 2개로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의 종래의 덧버선도 약간의 문제가 발생되는데, 밴드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투입되는 고무사의 가격이 고가이기에 직조비용이 높다. 또한 뒷꿈치부분에 형성하는 밴드부는 제직이 용이하지만, 발등부분에 형성하는 밴드부는 제직이 어려워 사실상 불량률이 높다. 그리고 발목만을 죄어 착용감을 안락하게 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발의 폭을 지그시 감싸 발의 폭이 벌어지는 현상을 막아주기 위한 덧버선은 아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직조와 봉제의 공정이 반드시 필요하는 덧버선을 제조하되, 봉제선이 터지는 부분이 아닌 탄성을 형성하여 착용감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봉제선을 탄성으로 이용한 착용감을 살린 덧버선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일반적인 덧버선의 경우 발가락의 발톱부분에 수평되게 형성되어야만 하는 봉제선에 의해서 종래 발가락에 긁히여 봉제선이 터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덧버선 앞꿈치부의 외곽모서리부분인, 발가락 중심부분의 외곽부를 돌아 발가락 바닥의 중심부분까지 이어지는 좌우 절개선에 박음질부(=봉제선)를 형성하였으며, 이에 따라 발의 폭을 조이는 방향으로 탄력을 발생시켜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형상이나 모양이 우수하여 미감에도 훌륭한 덧버선을 실시한 봉제선을 탄성으로 이용한 착용감을 살린 덧버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봉제선을 탄성으로 이용한 착용감을 살린 덧버선은, 평직기를 이용하여 뒷꿈치부(10)의 상단에 고무사만을 통해서 직조된 수평된 밴드 형상의 밴드부(11)를 형성하고; 상기 밴드부(11)의 하단으로 연장된 뒷꿈치부(10)와 이 뒷꿈치부(10)에서 수평되게 길이 확대된 수평단(33)을 가진 바닥부(20)를 형성하되, 수직된 방향으로 일정한 두께로 직조되는 고무사를 추가하여 직조한 바닥조임 탄력부(40)를 통해서 앞꿈치부(30)와 구분하며; 앞꿈치부(30)의 외곽모서리부분인, 발가락 중심부분의 외곽부를 돌아 발가락 바닥의 중심부분까지 이어지는 좌우 절개선(2)에 박음질부(=봉제선; 3)를 형성하여; 상기 탄력부가 일차적으로 발가락을 오무려주는 탄성력을 발생시키고, 박음질부가 앞꿈치부를 좌우 방향에서 당겨 발가락을 오무려주는 탄력을 부여한다.
또한 본 발명 봉제선을 탄성으로 이용한 착용감을 살린 덧버선에 따른, 수평된 밴드부(11)의 끝단과 수평단(33)이 만나는 지점을 시작점으로 하여, 뒷꿈치부(10)의 끝단으로 이어지는 이음라인(21)을 형성하여 발꿈치의 형상에 따라 안락하게 조이고 : 뒷꿈치부(10)의 끝단으로 이어지는 이음라인(21)을 형성할 때, 이음라인(21)의 시작점은 밴드부(11)의 하단 일측에서 시작하거나 밴드부(11)를 지나 수평단(33)의 일측에서 시작되어 발꿈치의 형상에 따라 안락하게 조이며 : 이름라인(21)의 끝단에는 2선 내지 5선으로 분기되는 분기부(22)를 추가한다.
또한 본 발명 봉제선을 탄성으로 이용한 착용감을 살린 덧버선에 따른, 뒷꿈치부(10), 바닥부(20) 및 앞꿈치부(30)의 표면에는 선택된 색상이나 도안이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특징으로 봉제선을 탄성으로 이용한 착용감을 살린 덧버선 제조방법은, 제1단계; 고무사를 이용하여 일정한 폭 일정한 길이만큼 밴드부(11)를 직조하는단계; 제2단계; 직조된 밴드부(11)에서 연장되게 뒷꿈치부(10)와 바닥부(20)를 직조하되, 혼합사를 이용하여 평직조기의 실린더를 반만 회전시켜 직조하는 단계; 제3단계; 바닥부(20)의 끝단부분의 직조에서 연장되어 실린더를 다 회전시키면서 원통형으로 직조가 되도록 원통부(k)를 직조하되, 원통부의 시작점에서 7mm-15mm는 혼합사에 고무사를 추가하여 직조를 하여 탄력부(40)를 형성하는 단계; 제4단계; 바닥부(20)의 끝단 즉, 탄력부(40)에서부터 원통부(k)를 절단하여 앞꿈치부(30)의 형상으로 재단하는 단계; 제5단계; 재단된 부분에 밖음질을 하여 박음질부(3)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 봉제선을 탄성으로 이용한 착용감을 살린 덧버선 제조방법에 따른, 혼합사란, 탄성을 주기 위해서 아크릴 스판사나 폴리에스테르 스판사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앞꿈치부의 수직방향의 외곽면으로 형성되는 박음질부가 박음질의 효과로 인하여 발바닥을 좌우방향에서 가압하여 오무려주고, 바닥부와 앞꿈치부를 구분시키는 탄력부도 역시 발바닥을 좌우방향에서 가압하여 오무려주기에 덧버선을 신은 발의 형상이 우수하고, 안락하고 착용감을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덧버선의 경우 평직조를 하고 이 직조가 완성된 직조끝단부분을 항상 박음질하여 마감하는 형태로 제작하기에 발가락의 발톱에 수평된 방향으로 봉제선을 형성해야만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봉제선을 발톱이 긁어 봉제선이 풀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발꿈치부에 형성되는 이음라인에 의해서 착용을 하는 착용자의 발뒷꿈치의 다양한 형상에 적용되어, 안락하게 착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덧버선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다른 형태로 제작하던 덧버선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 대한민국 특허청에 실용신안 등록된 덧버선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덧버선이 제작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덧버선이 제작되어 봉제선으로 박음질부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덧버선을 평면으로 살펴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덧버선에 다양한 무늬와 모양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도 7의 실시예를 평면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이음라인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다른 형태로 제작하던 덧버선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 대한민국 특허청에 실용신안 등록된 덧버선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덧버선이 제작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덧버선이 제작되어 봉제선으로 박음질부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덧버선을 평면으로 살펴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덧버선에 다양한 무늬와 모양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도 7의 실시예를 평면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이음라인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앞꿈치부, 바닥부, 뒷꿈치부로 이루어진 덧버선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동의 설명을 도시된 도 3 내지 도 7을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평직기를 이용하여 뒷꿈치부(10)의 상단에 고무사만을 통해서 직조된 수평된 밴드 형상의 밴드부(11)를 형성하고, 상기 밴드부(11)의 하단으로 연장된 뒷꿈치부(10)와 이 뒷꿈치부(10)에서 수평되게 길이 확대된 수평단(33)을 가진 바닥부(20)를 형성하되, 수직된 방향으로 일정한 두께로 직조되는 고무사를 추가하여 직조한 바닥조임 탄력부(40)를 통해서 앞꿈치부(30)와 구분하며, 앞꿈치부(30)의 외곽모서리부분인, 발가락 중심부분의 외곽부를 돌아 발가락 바닥의 중심부분까지 이어지는 좌우 절개선(2)에 박음질부(=봉제선; 3)를 형성하여 상기 탄력부(40)가 일차적으로 발가락을 오무려주는 탄성력을 발생시키고, 박음질부가 앞꿈치부를 좌우 방향에서 당겨 발가락을 오무려주는 탄력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덧버선은 그 형상이 종래의 덧버선과 별반 차이가 없지만, 그 기능적인 면에서 독특한 부분이 있고, 탄성과 내구성이 우수하다. 즉, 본 발명은 밴드부(11)를 형성함에 있어서, 모두 고무사를 이용하여 직조를 하여 탄성이 우수한 밴드부(11)를 형성한다. 고무사는 고 탄성을 가진 섬유로써 평직조기를 통해서 직조를 하면 밴드로 성형이 된다. 바로 본 발명은 덧버선을 직조함에 있어서, 처음의 시작부위를 밴드부(11)로 정하고 직조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덧버선은 도시된 도 4의 (a)에서처럼 직조가 완성되면, 밴드부(11)의 하단으로 뒷꿈치부(10)가 직조되고, 뒷꿈치부(10)의 우측으로 바닥부(20)가 직조된다. 뒷꿈치부(10)와 바닥부(20)의 경우 실질적으로 평직조기가 좌우방향으로 연동을 하면서 직조가 되기에 원형의 형태로 직조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반원형의 형태로 직조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바닥부(20)를 지나고 앞꿈치부(30)를 직조할 때에는 평직조기가 전체적으로 가동되어 원통형으로 직조를 한다. 실질적으로 양말을 제조하는 평직조기나 덧버선을 제조하는 평직조기나 별반차이가 없는데, 본 발명의 출원인이 이미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실용신안 20-452389호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직조기를 이용하여 원통부(k)를 직조하면 도시된 도 4의 (a)와 같은 형상으로 직조가 완성되는 원통부(k)의 끝단은 도시된 것처럼 마감단이 형성된다. 직조가 완성된 끝단을 칭한다. 아 원통부(k)는 본 발명의 덧버선과는 그 형상이 다르기에 정확한 형상으로 절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본 발명의 덧버선은 평직조기의 기능을 최대한 살려 앞꿈치부(30)를 성형할 때, 앞꿈치부(30)의 형상으로 직조를 하는 것이 아니고 원형형의 형상으로 직조를 한 후, 앞꿈치부(30)의 형상에 맞추어 재단을 하는 단계를 거친다.
재단이 이루어지면 도시된 도 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의 덧버선이 완성된다. 물론 덧버선의 앞꿈치부(30)는 절개되어 개구된 상태이기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절개선(2)에 밖음질을 하여 밖음질부(3)를 형성한다. 본 발명이 특별하게 밖음질부(3)를 수직방향으로 형성한 이유는 다음에 있다.
전술된 종래기술에서 어느 정도 설명한 것처럼, 종래의 덧버선은 그 봉제부(=박음질부; 3)가 발가락의 상부 즉, 발톱의 상부에 수평되게 위치하도록 봉제된다. 평직조기로 직조를 하여 제직하기에 발가락의 상단부분에 마감단(1)이 생겨서 그러하다. 이는 전술한 것처럼 발톱과의 마찰에 의해서 덧버선이 터질 우려가 있다. 결국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봉제부(박음질부; 3)를 발가락과 수평방향으로 두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형성한 것이다. 큰 원통형으로 직조를 한 후, 앞꿈치부(30)의 형상으로 절개를 하여 그 절개부인 절개선(2)에 밖음질을 하는 것이다. 이 밖음질부(3)가 본 발명의 덧버선에 가져다주는 기능적인 효과는 상당히 훌륭하다.
첫째, 박음질부(3)가 발톱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기에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실질적으로 발가락의 발톱 중 덧버선의 내주면과 마찰을 일으키는 부위는 엄지발톱이 주요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봉제부인 박음질부(3)는 2번째나 3번째 발가락 사이를 지나가기에 발톱과의 마찰이 사실상 없다. 결국 이러한 본 발명의 덧버선은 내구성이 우수하다.
둘째, 박음질부(3)를 통해서 고 탄력이 발생된다. 덧버선을 신은 발바닥을 모아 발의 폭이 좁도록 유도한다. 이는 덧버선 착용의 안락함도 부여한다.
셋째, 특히 종래 우리 선조들이 즐겨 신었던 덧버선의 코처럼 발가락의 중심부분에 형성되고, 이들이 발가락이 벌어지는 것을 잡아주어 예쁜발의 형상을 갖출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경우 도시된 것처럼 앞꿈치부(30)의 시작부인 원통부(k)의 시작점에 전술된 것처럼 탄력부(40)가 제직된다. 고무사가 추가되어 직조가 이루어지기에 실질적으로 다른 바닥부(20)나 앞꿈치부(30) 및 뒷꿈치부(10)에 비하여 고 탄력을 유지한다.
이 탄력부(40)도 발바닥을 모으는 역할을 하는데, 바닥을 디디며 걷는 여성의 발은 그 폭이 벌어지면서 형상이 아름답지 못하다. 이 건 발명의 덧버선은 일차적으로 이 탄력부(40)가 모아주어서 발의 폭이 벌어지지 못하도록 잡아주고, 이 탄력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 봉제부(박음질부; 3)를 수직방향으로 두어 박음질을 했다. 결국 이 건 발명의 덧버선은 내구성이 향상되고, 착용감이 우수하며, 형상이 우수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수평된 밴드부(11)의 끝단과 수평단(33)이 만나는 지점을 시작점으로 하여, 뒷꿈치부(10)의 끝단으로 이어지는 이음라인(21)을 형성하여 발꿈치의 형상에 따라 안락하게 조인다. 이 이음라인(21)은 덧버선을 착용한 상태에서 발뒷꿈치가 덧버선의 내측에 안전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덧버선이 커서 일부가 우는 현상을 차단하고 사람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되는 발뒤꿈치(10)의 형상에 따라 효과적으로 착용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상기 뒷꿈치부(10)의 끝단으로 이어지는 이음라인(21)을 형성할 때, 이음라인(21)의 시작점은 밴드부(11)의 하단 일측에서 시작하거나 밴드부(11)를 지나 수평단(33)의 일측에서 시작되어 발꿈치의 형상에 따라 안락하게 조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도 8에서처럼 다양한 위치에서 시작하여 뒷꿈치를 향하여 사선으로 연장시킨다. 실질적으로 직조된 덧버선(A)을 통해서 살펴보면 상기 이음라인(21)으로 구분되는 좌우 양쪽의 뒷꿈치부(10)는 인장력에 의해서 발생되는 복원력의 힘과 방향이 차이가 있다. 좌측과 우측에 차별화가 이루어져 발 뒤꿈치부(10)에 안락하게 착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음라인(21)을 형성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도 8에서처럼 다향한 실시예로 실시가 가능하다. 밴드부(11)의 끝단에서 시작하는 이음라인(21)과 밴드부(11) 하단에서 시작하는 이음라인(21)은 물론 밴드부(11)를 지나 수평단(33)에서 시작하여 뒤꿈치부(10)로 이어지는 이음라인(21)까지 본 발명은 다양하게 실시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름라인(21)의 끝단에는 2선 내지 5선으로 분기되는 분기부(22)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도 4, 6 및 8에서 보이듯, 이음라인(21)의 끝단에 갈라지는 분기부(22)를 형성하여 착용감을 더 부가한다. 이음라인(21)과 동일한 목적으로 분기되는 분기부(22)는 2선 내지 5선으로 분기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킨다.
다음으로 뒷꿈치부(10), 바닥부(20) 및 앞꿈치부(30)의 표면에는 선택된 색상이나 도안이 도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색상을 가진 섬유사를 선택하고 조합하는 방법으로 다양하게 도시가 가능하다. 뒷꿈치부(10)는 검정색, 바닥부는 힌색 등 다양한 색상의 배열을 통해서 다양한 덧버선을 직조할 수 있다. 무늬나 모양을 넣어 보다 아름답고 예쁜 덧버선을 직조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 건 발명은 직조된 덧버선에만 그 특징이 있는 것은 아니다. 그 덧버선을 직조하는 제조방법에도 큰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시간의 순서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제1단계; 고무사를 이용하여 일정한 폭 일정한 길이만큼 밴드부(11)를 직조하는 단계를 거친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섬유는 다양한 섬유가 채택될 수 있다.
즉, 밴드부(11)를 직조할 때 사용되는 섬유는 고무사이고, 다른 부위를 직조할 때 사용되는 섬유는 혼합사다. 혼합사란, 탄성을 주기 위해서 아크릴 스판사나 폴리에스테르 스판사가 사용된다. 아크릴 스판사는 아크릴사에 약간의 탄성을 주기 위해서 스판기능을 부여한 섬유를 칭한다. 폴리에스테르 스판사는 폴리에스테르사에 스판기능을 부여한 섬유를 칭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혼합사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제2단계; 직조된 밴드부(11)에서 연장되게 뒷꿈치부(10)와 바닥부(20)를 직조하되, 혼합사를 이용하여 평직조기의 실린더를 반만 회전시켜 직조하는 단계를 거친다. 즉, 최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덧버선은 밴드부()를 직조한 후, 다음으로 뒷꿈치부(10)와 바닥부(20)를 직조한다. 평직조기가 모두 가동되는 것이 아니고 반만이 가동되어 직조를 달성한다. 결국 이 뒷꿈치부(10)와 바닥부(20)는 원통형으로 직조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반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제3단계; 바닥부(20)의 끝단부분의 직조에서 연장되어 실린더를 다 회전시키면서 원통형으로 직조가 되도록 원통부(k)를 직조하되, 원통부(k)의 시작점에서 7mm-15mm는 혼합사에 고무사를 추가하여 직조를 하여 탄력부(40)를 형성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수평단(33)와 바닥부(20)가 직조되고 난 후, 평직조기가 모두 가동되어 원통형으로 직조가 이루어지는데, 양말을 직조하는 평직조기의 경우도 유사하다. 보다 상세한 기계적인 부분은 본 출원인의 선 등록권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아무튼 원통부(k)가 직조될 때, 원통부(k)의 시작부분에는 별도의 탄력부(40)가 형성된다. 일반적인 혼합사가 직조를 하다가 이 부분에서는 고무사가 더 추가되어 직조가 이루어진다. 실질적으로 더 탄력을 주는 부분이 된다.
제4단계; 바닥부(20)의 끝단 즉, 탄력부(40)에서부터 원통부(k)를 절단하여 앞꿈치부(30)의 형상으로 재단하는 단계를 거친다. 전술된 것처럼 도시된 도 4의 바닥부(20)의 우측으로 원통부(k)가 직조되기에 사실상 발의 앞꿈치부(30)에 비하여 큰 부피를 갖는다. 이는 착용감을 떨어트리기에 본 발명에서는 적당한 모양과 크기로 재단을 한다. 앞꿈치부(30)의 형상에 따라 정확하게 재단을 하여, 그 외측은 버리게 된다.
마지막으로 제5단계; 재단된 부분에 밖음질을 하여 박음질부(3)를 형성하는 단계를 거친다. 즉, 터진 상태로 있을 재단부분을 박음질하여 박음질부(3)를 형성한다. 이 부분에 의해서 보다 큰 탄력을 가져오고, 내구성은 물론 착용감을 부가한다.
10; 뒷꿈치부 11; 밴드부
20; 바닥부 21; 이음라인
22; 분기부 30; 앞꿈치부
33; 수평단 40; 탄력부
20; 바닥부 21; 이음라인
22; 분기부 30; 앞꿈치부
33; 수평단 40; 탄력부
Claims (7)
- 앞꿈치부, 바닥부, 뒷꿈치부로 이루어진 덧버선에 있어서,
평직기를 이용하여 뒷꿈치부(10)의 상단에 고무사만을 통해서 직조된 수평된 밴드 형상의 밴드부(11)를 형성하고;
상기 밴드부(11)의 하단으로 연장된 뒷꿈치부(10)와 이 뒷꿈치부(10)에서 수평되게 길이 확대된 수평단(33)을 가진 바닥부(20)를 형성하되, 수직된 방향으로 일정한 두께로 직조되는 고무사를 추가하여 직조한 바닥조임 탄력부(40)를 통해서 앞꿈치부(30)와 구분하며;
앞꿈치부(30)의 외곽모서리부분인, 발가락 중심부분의 외곽부를 돌아 발가락 바닥의 중심부분까지 이어지는 좌우 절개선(2)에 박음질부(=봉제선; 3)를 형성하여; 상기 탄력부가 일차적으로 발가락을 오무려주는 탄성력을 발생시키고, 박음질부가 앞꿈치부를 좌우 방향에서 당겨 발가락을 오무려주는 탄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선을 탄성으로 이용한 착용감을 살린 덧버선.
- 제1항에 있어서,
수평된 밴드부(11)의 끝단과 수평단(33)이 만나는 지점을 시작점으로 하여, 뒷꿈치부(10)의 끝단으로 이어지는 이음라인(21)을 형성하여 발꿈치의 형상에 따라 안락하게 조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선을 탄성으로 이용한 착용감을 살린 덧버선.
- 제1항에 있어서,
뒷꿈치부(10)의 끝단으로 이어지는 이음라인(21)을 형성할 때, 이음라인(21)의 시작점은 밴드부(11)의 하단 일측에서 시작하거나 밴드부(11)를 지나 수평단(33)의 일측에서 시작되어 발꿈치의 형상에 따라 안락하게 조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선을 탄성으로 이용한 착용감을 살린 덧버선.
- 제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이름라인(21)의 끝단에는 2선 내지 5선으로 분기되는 분기부(22)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선을 탄성으로 이용한 착용감을 살린 덧버선.
- 제1항에 있어서,
뒷꿈치부(10), 바닥부(20) 및 앞꿈치부(30)의 표면에는 선택된 색상이나 도안이 도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선을 탄성으로 이용한 착용감을 살린 덧버선.
- 제1단계; 고무사를 이용하여 일정한 폭 일정한 길이만큼 밴드부(11)를 직조하는단계;
제2단계; 직조된 밴드부(11)에서 연장되게 뒷꿈치부(10)와 바닥부(20)를 직조하되, 혼합사를 이용하여 평직조기의 실린더를 반만 회전시켜 직조하는 단계;
제3단계; 바닥부(20)의 끝단부분의 직조에서 연장되어 실린더를 다 회전시키면서 원통형으로 직조가 되도록 원통부(k)를 직조하되, 원통부의 시작점에서 7mm-15mm는 혼합사에 고무사를 추가하여 직조를 하여 탄력부(40)를 형성하는 단계;
제4단계; 바닥부(20)의 끝단 즉, 탄력부(40)에서부터 원통부(k)를 절단하여 앞꿈치부(30)의 형상으로 재단하는 단계;
제5단계; 재단된 부분에 밖음질을 하여 박음질부(3)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덧버선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선을 탄성으로 이용한 착용감을 살린 덧버선 제조방법.
- 제6항에 있어서,
혼합사란, 탄성을 주기 위해서 아크릴 스판사나 폴리에스테르 스판사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선을 탄성으로 이용한 착용감을 살린 덧버선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6421A KR101463350B1 (ko) | 2013-08-14 | 2013-08-14 | 봉제선을 탄성으로 이용한 착용감을 살린 덧버선과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6421A KR101463350B1 (ko) | 2013-08-14 | 2013-08-14 | 봉제선을 탄성으로 이용한 착용감을 살린 덧버선과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63350B1 true KR101463350B1 (ko) | 2014-11-18 |
Family
ID=52290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96421A KR101463350B1 (ko) | 2013-08-14 | 2013-08-14 | 봉제선을 탄성으로 이용한 착용감을 살린 덧버선과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63350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52925A (ko) * | 2015-11-05 | 2017-05-15 | (주)올텍스 | 덧신양말의 제조방법 |
CN107338564A (zh) * | 2017-08-08 | 2017-11-10 | 信泰(福建)科技有限公司 | 一种袜机一体编织的鞋面及其编织工艺 |
KR20180000847U (ko) * | 2016-09-19 | 2018-03-28 | 박기수 | 바닥 무봉제 덧버선 |
KR20220003743A (ko) * | 2020-07-02 | 2022-01-11 | 양호영 | 양말 제조방법 및 그 양말 |
KR20240056810A (ko) | 2022-10-23 | 2024-04-30 | 김재동 | 착용감과 균형감이 향상된 덧신 양말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9584Y1 (ko) * | 2005-12-15 | 2006-02-22 | 이옥희 | 개량 버선 |
KR101178028B1 (ko) * | 2012-01-10 | 2012-08-29 | 박철환 | 양말편직기를 이용한 덧버선, 그 제직장치 및 제직방법 |
KR200463522Y1 (ko) * | 2012-05-24 | 2012-11-07 | 손동준 | 덧버선 |
KR101261778B1 (ko) * | 2012-07-19 | 2013-05-09 | 신영임 | 보강라인을 갖는 덧버선 |
-
2013
- 2013-08-14 KR KR1020130096421A patent/KR10146335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9584Y1 (ko) * | 2005-12-15 | 2006-02-22 | 이옥희 | 개량 버선 |
KR101178028B1 (ko) * | 2012-01-10 | 2012-08-29 | 박철환 | 양말편직기를 이용한 덧버선, 그 제직장치 및 제직방법 |
KR200463522Y1 (ko) * | 2012-05-24 | 2012-11-07 | 손동준 | 덧버선 |
KR101261778B1 (ko) * | 2012-07-19 | 2013-05-09 | 신영임 | 보강라인을 갖는 덧버선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52925A (ko) * | 2015-11-05 | 2017-05-15 | (주)올텍스 | 덧신양말의 제조방법 |
KR101864421B1 (ko) | 2015-11-05 | 2018-06-05 | 송성달 | 덧신양말의 제조방법 |
KR20180000847U (ko) * | 2016-09-19 | 2018-03-28 | 박기수 | 바닥 무봉제 덧버선 |
KR200486657Y1 (ko) * | 2016-09-19 | 2018-06-18 | 박기수 | 바닥 무봉제 덧버선 |
CN107338564A (zh) * | 2017-08-08 | 2017-11-10 | 信泰(福建)科技有限公司 | 一种袜机一体编织的鞋面及其编织工艺 |
CN107338564B (zh) * | 2017-08-08 | 2023-01-10 | 信泰(福建)科技有限公司 | 一种袜机一体编织的鞋面及其编织工艺 |
KR20220003743A (ko) * | 2020-07-02 | 2022-01-11 | 양호영 | 양말 제조방법 및 그 양말 |
KR102497771B1 (ko) | 2020-07-02 | 2023-02-07 | 양호영 | 양말 제조방법 및 그 양말 |
KR20240056810A (ko) | 2022-10-23 | 2024-04-30 | 김재동 | 착용감과 균형감이 향상된 덧신 양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33878B2 (ja) | シューズ及びその製造方法 | |
TWI594708B (zh) | 用來編織一用於鞋類物件之編織組件之方法及鞋類物件 | |
KR101463350B1 (ko) | 봉제선을 탄성으로 이용한 착용감을 살린 덧버선과 그 제조방법 | |
US11864627B2 (en) | Footwear with embroidery transition between materials | |
JP5749774B2 (ja) | シューズ | |
RU2563756C2 (ru) |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цепляющегося текстильного материала | |
KR101668935B1 (ko) | 편직 설포 요소를 갖는 신발 갑피 | |
CN105877002B (zh) | 一种带环圈护眼的鞋面及其制造方法 | |
KR101448545B1 (ko) | 덧버선 | |
TW201524393A (zh) | 包含具有一整體式編織踝帶之一編織組件之鞋類物件 | |
EP3735851A1 (en) | Waistband for article of apparel | |
JPH06113905A (ja) | シューズ用胛被材 | |
KR101100087B1 (ko) | 통기성을 갖는 탄성밴드를 구비한 덧버선 | |
US3497971A (en) | Upper material for shoes | |
KR20150127481A (ko) | 이음라인을 제거하고, 통풍구를 살린 숨쉬는 덧버선과 그 제작방법 | |
KR101474156B1 (ko) | 발가락 덧버선 | |
TW201609009A (zh) | 合併有具有單絲區域之一編織組件之鞋類物件 | |
JP3227574U (ja) | 二重編地の履物 | |
KR101426209B1 (ko) | 발가락 부분만 커버하는 발가락 내피 | |
JP5961781B1 (ja) | 爪先伸縮ソックス | |
KR200364998Y1 (ko) | 이중양말 | |
KR200243853Y1 (ko) | 운동 및 댄싱용 타이즈 | |
KR20120001033U (ko) | 발목 밴드가 구비된 덧버선 | |
US20210085029A1 (en) | Shoe upper,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shoe | |
TWM630172U (zh) | 可防脫腳且易穿的透濕防水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