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156B1 - 발가락 덧버선 - Google Patents

발가락 덧버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156B1
KR101474156B1 KR20130101519A KR20130101519A KR101474156B1 KR 101474156 B1 KR101474156 B1 KR 101474156B1 KR 20130101519 A KR20130101519 A KR 20130101519A KR 20130101519 A KR20130101519 A KR 20130101519A KR 101474156 B1 KR101474156 B1 KR 101474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toes
forefoot
present
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1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준
Original Assignee
김신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267927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7415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신준 filed Critical 김신준
Priority to KR20130101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4Hosiery with separated toe s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3Hosiery with intermediate sections of different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0Stocking protecto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8Gussets, e.g. pouches or heel or toe por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직기를 이용하여 직조의 형태로 제작한 발가락 덧버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일반적인 종래의 덧버선과 같이 앞꿈치부, 바닥부, 뒷꿈치부로 형성되지만, 앞꿈치부의 최 전방에 발가락의 형상으로 직조한 발가락부를 형성하여, 발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무좀을 가진 여성들의 경우도 자유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 발가락 덧버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가락 덧버선{toes outer socks}
본 발명은 평직기를 이용하여 직조의 형태로 제작한 발가락 덧버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일반적인 종래의 덧버선과 같이 앞꿈치부, 바닥부, 뒷꿈치부로 형성되지만, 앞꿈치부의 최 전방에 발가락의 형상으로 직조한 발가락부를 형성하여, 발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무좀을 가진 여성들의 경우도 자유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 발가락 덧버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덧버선은 평직조와 봉제라는 공정을 통해서 제작되는 여성들의 발에 신는 착용물이다.
종래의 덧버선은 대체적으로 폴리에스테르사, 아크릴사, 면사 등을 이용하여 별도의 평직조기를 통해서 직조되고 있었다. 실질적으로 양말을 짖는 평직조기를 사용하여 직조한다. 이러한 평직조의 방법을 통해서 직조가 발달되어질 즈음, 본 발명의 출원인은 "덧버선 편직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덧버선"을 실용신안출원번호 20-2010-2215호를 통해서 그 직조기는 물론 다른 형태의 덧버선을 소개한 바 있다. 즉, 별도의 고무사를 투입하여 필요한 부분에는 탄성을 주어 발의 안락함을 더 부여한 것이다.
그럼 이러한 종래 덧버선의 개발단계를 살펴본다. 실례로 도시된 도 1을 통해서 종래의 덧버선을 살펴보면, 종래의 덧버선의 경우도 앞꿈치부(20), 바닥부(10), 뒷꿈치부(30)로 이루어진다. 이 형태의 덧버선은 양말을 직조하던 평직조기를 통해서 직조된 것으로 발이 들어가는 개구부(11)를 양말의 개구부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착용감이 좋지 않다. 사실 양말의 경우 발목을 지나 종아리 부분에서 양말의 끝단이 착용되기에 원형의 개구부를 형성함이 타당하나 덧버선과 같이 발목에 끝단을 두어야 하기에 타당하지 않다.
발목의 경우 원형의 단면이 아니고 타원형의 단면이고 걸어다니는 동작에 의해서 발뒷꿈치부분이 자주 벗겨질 소지가 많다. 따라서 동일한 탄성으로 조이는 종래의 개구부(11)는 개선의 소지가 있었다.
따라서 타원형의 개구부(11)를 가진 덧버선도 제안되었지만, 뒷꿈치가 흘러내리는 현상이 발생된다. 결국 도2의 도면에서처럼, 개구부(11)에 탄력 레이스(19)를 박음질하여, 탄성을 향상시킨 실시예도 있었다.
이러한 덧버선은 더욱 개선되어 이 건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서 도시된 도 3과 같은 덧버선이 제안되었다. 이는 실용신안출원번호 20-2010-2215호로 "덧버선 편직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덧버선"이다.
발목을 감싸는 개구부를 형성하되, 발뒷꿈치부분과 발등 부분에만 특별한 탄성을 가지는 밴드부를 직조로 형성하여 탄력이 필요한 부분에만 탄성을 준 것이다. 이 건의 경우 개구부 상단의 밴드부가 쌍으로 형성되는데, 발뒷꿈치부분과 발등부분에 2개로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의 종래의 덧버선도 약간의 문제가 발생되는데, 밴드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투입되는 고무사의 가격이 고가이기에 직조비용이 높다. 또한 뒷꿈치부분에 형성하는 밴드부는 제직이 용이하지만, 발등부분에 형성하는 밴드부는 제직이 어려워 사실상 불량률이 높다. 그리고 발목만을 죄어 착용감을 안락하게 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발의 폭을 지그시 감싸 발의 폭이 벌어지는 현상을 막아주기 위한 덧버선은 아니었던 것이다.
이러한 덧버선 발전의 진행이 계속되고 있는 이때, 발가락 양말은 이미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지만 여성의 전유물인 발가락 덧버선은 개발이 되고 있지 않았다. 아니 착상도 하기 힘들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렇게 착상을 전환하여 개발을 완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평직기를 이용하여 직조의 형태로 제작한 발가락 덧버선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일반적인 종래의 덧버선과 같이 앞꿈치부, 바닥부, 뒷꿈치부로 형성되지만, 앞꿈치부의 최 전방에 발가락의 형상으로 직조한 발가락부를 형성하여, 발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무좀을 가진 여성들의 경우도 자유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 발가락 덧버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덧버선은, 앞꿈치부, 바닥부, 뒷꿈치부로 이루어진 덧버선에 있어서, 평직기를 이용하여 뒷꿈치부(10)의 상단에 고무사만을 통해서 직조된 수평된 밴드 형상의 밴드부(11)를 형성하고; 상기 밴드부(11)의 하단으로 연장된 뒷꿈치부(10)와 이 뒷꿈치부(10)에서 수평되게 길이 확대된 수평단(33)을 가진 바닥부(20)를 형성하되, 수직된 방향으로 일정한 두께로 직조되는 고무사를 추가하여 직조한 바닥조임 탄력부(35)를 통해서 앞꿈치부(30)와 구분하며; 앞꿈치부(30)는 최전방에 발가락부(40)를 형성하여 발가락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되, 발가락의 상단에 봉제선(50)을 형성하여 발톱이 봉제선(50)과 마찰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발가락 덧버선에 따른, 발가락부(40)는, 5개의 발가락 중 엄지발가락만 독립된 발가락 공간을 형성하고 : 발가락부(40)는,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4개의 발가락 중 선택된 하나만 독립되는 발가락 공간을 형성하며 : 발가락부(40)는,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4개의 발가락 중 선택된 2개의 발가락만 독립되는 발가락 공간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 발가락 덧버선에 따른, 발가락부(40)는, 엄지발가락을 포함하는 4개의 발가락이 모두 독립되는 발가락 공간을 가지고 : 발가락부(40)는, 앞꿈치부(30)의 내측에 별도의 발가락부(40)가 형성되며 : 발가락부(40)는, 앞꿈치부(30)의 내측에 구분라인(43)으로 공간을 구획한 발가락부(40)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직조하는 과정에서 덧버선을 제조할 때, 앞꿈치부의 최 전방에 발가락부를 자연스럽게 형성하여, 착용감이 우수한 발가락 덧버선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봉제부를 앞꿈치부의 상부에 형성하여 밖음질 하였고, 발가락부에는 발가락이 내장된 상태를 유지하기에 종래의 양말이나 덧버선과 같이 봉제부를 발톱이 비벼서 구멍을 내는 현상을 완벽하게 차단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엄지발가락만이 별개로 분리되거나, 그외의 발가락도 선택적으로 분리된 상태의 덧버선을 제작할 수 있기에 기호나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양말 편직기를 이용하여 직조한 덧버선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양말 편직기를 이용하여 직조한 다른 형태의 덧버선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종래 출원하여 등록받은 덧버선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발가락 덧버선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발가락 덧버선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발가락 덧버선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발가락 덧버선을 측방에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발가락 덧버선 중, 발가락부가 앞꿈치부의 내측에 내장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발가락 덧버선 중, 앞꿈치부의 최 전방에 발가락을 구획할 수 있는 구분라인을 형성한 덧버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앞꿈치부, 바닥부, 뒷꿈치부로 이루어진 덧버선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용을 도시된 도 4 내지 9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것처럼, 평직기를 이용하여 뒷꿈치부(10)의 상단에 고무사만을 통해서 직조된 수평된 밴드 형상의 밴드부(11)를 형성하고, 상기 밴드부(11)의 하단으로 연장된 뒷꿈치부(10)와 이 뒷꿈치부(10)에서 수평되게 길이 확대된 수평단(33)을 가진 바닥부(20)를 형성하되, 수직된 방향으로 일정한 두께로 직조되는 고무사를 추가하여 직조한 바닥조임 탄력부(35)를 통해서 앞꿈치부(30)와 구분하며, 앞꿈치부(30)는 최전방에 발가락부(40)를 형성하여 발가락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되, 발가락의 상단에 봉제선(50)을 형성하여 발톱이 봉제선(50)과 마찰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덧버선은 그 형상이 종래의 덧버선()과 대다수에서 일치하지만, 앞꿈치부(30)에 별도의 발가락부(40)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따라서 사실상 종래 덧버선은 항상 유선형의 코가 상부로 뽀족히 서 있고, 신은 발이 아름답게 보이도록 하는 형태로만 제작되어 왔기에 본 발명과 같이 발가락부()를 형성하여 보다 편리하고 안락하게 신을 수 있는 덧버선을 제안하기는 실질적으로 처음이다.
덧버선이란 우리 선조때부터 착용해온 양말 전의 물품으로, 특히 여성들이 즐겨 신는다. 조선시대에서는 남성들도 즐겨신어 왔지만, 요즘들어서는 여성만이 덧버선을 즐겨 신는 것으로 나타난다. 덧버선은 여러조각을 서로 이어 덧버선의 형상으로 제조하고 있었지만, 요즘들어서는 덧버선의 길이를 대폭적으로 줄여 발목부분에서 마감될 수 있는 길이로 변화되었으며, 여러장을 붙여서 제직하는 방법에서 벗어나, 섬유사를 이용하여 직조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요즘의 덧버선은 양말에 비하여도 손쉽게 착용할 수 있는 여성들의 필수품이다.
그런데 이러한 덧버선은 여성들의 전유물이었고, 버선을 신은 발의 형상이나 모양을 아름답게 하기 위해서 개발되고 있던 추세이기에, 발가락이 들어나는 형태로 직조를 해야 한다는 생각이 전혀 없었다. 무좀이 걸린 여성의 경우, 발가락부(40)가 형성된 덧버선을 착용하는 것이 건강상 유익한데도 이러한 덧버선이 없어서, 착용을 하지 못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덧버선이지만, 앞꿈치부(30)의 최 전방에 발가락부(40)를 형성하여 손쉽게 신을 수 있는 덧버선을 제안했다.
본 발명은 도시된 도면 도 4의 밴드부(11)를 형성함에 있어서, 모두 고무사를 이용하여 직조를 하여 탄성이 우수한 밴드부(11)를 형성한다. 고무사는 고 탄성을 가진 섬유로써 평직조기를 통해서 직조를 하면 밴드로 성형이 된다. 바로 본 발명은 덧버선을 직조함에 있어서, 처음의 시작 부위를 밴드부(11)로 정하고 직조를 진행시킨다.
본 발명의 덧버선은 도시된 도 4에서처럼 직조가 완성되면, 밴드부(11)의 하단으로 뒷꿈치부(10)가 직조되고, 뒷꿈치부(10)의 우측으로 바닥부(20)가 직조된다. 뒷꿈치부(10)와 바닥부(20)의 경우 실질적으로 평직조기가 좌우방향으로 연동을 하면서 직조가 되기에 원형의 형태로 직조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반원형의 형태로 직조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바닥부(20)를 지나고 앞꿈치부(30)를 직조할 때에는 평직조기가 전체적으로 가동되어 원통형으로 직조를 한다. 실질적으로 양말을 제조하는 평직조기나 덧버선을 제조하는 평직조기나 별반차이가 없는데, 덧버선용 평직조기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이미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실용신안 20-452389호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직조기를 이용하여 밴드부(11)를 형성함에 있어서, 밴드부(11)는 고탄성을 가진 고무사만을 이용하여 직조를 한다. 양말의 경우 양말의 끝단이 발목이 아닌 종아리 부분에서 걸려 흘러내지지 않도록 해야 하기에 개구부(k)의 전방향에서 조이는 힘이 균일해야 한다. 그러나 덧버선의 경우 발목까지만 신는 것이어서, 서로 다른 힘이 작용해야 안락하게 착용할 수 있다. 즉, 발목의 단면은 타원형의 형상이다. 발뒤꿈치 부분과 발등 부분은 작은 지름의 원형이고, 발목의 측면은 보다 넓은 지름의 원형이다. 결국 발목을 감싸는 개구부(k)가 내측으로 작용하는 힘이 균일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서 발목을 감싸는 개구부(k)를 형성함에 있어서, 발등과 발뒤꿈치가 마주하는 부분에는 밴드부(11)완 탄력부(35)를 형성한다. 밴드부(11)는 고무사만을 이용하여 직조를 하기에 보다 탄성력이 높아 발뒤꿈치부분을 지그시 조여 덧버선의 착용감을 향상시킨다.
이후 본 발명은 뒷꿈치부(10)를 직조하고 바닥부(20)를 직조하면서 수평단(33)를 연장시키고, 최 전방의 앞꿈치부(30)를 직조한다. 하나의 평직조기를 통해서 직조를 한다. 상기 앞꿈치부(30)의 최 전방에는 전술된 발가락부(40)를 형성하여 발가락을 손쉽게 끼울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덧버선에서 중요한 구성이 있는데, 하나는 탄력부(35)이고 다른 하나는 봉제부이다. 탄력부(35)는 직조시에 일반적인 혼합사에 고무사를 추가하여 직조를 한다. 전술된 것처럼 본 발명의 덧버선에서 밴드부(11)는 고무사만을 이용하여 직조를 하고, 뒷꿈치부(10), 바닥부(20), 앞꿈치부(30)는 모두 혼합사로 직조를 한다. 혼합사란 아크릴사에 탄성기능을 부여한 스판사를 혼섬한 섬유이거나 폴리에스테르사에 탄성기능을 부여한 스판사를 혼섬한 섬유이다. 바로 본 발명은 그 주요한 구성인 뒷꿈치부(10), 바닥부(20) 및 앞꿈치부(30)를 모두 혼합사로 직조를 하고, 앞꿈치부(30)와 바닥부(20)를 구획하는 부분에 도시된 탄력부(35)를 형성한다. 이 탄력부(35)는 혼합사로 직조를 하면서 고무사를 더 추가하여 직조한다. 이러한 직조방식에 따라 탄력부(35)는 보다 높은 고탄력을 유지하여 발을 오므라들게 함으로 덧버선 신은 발의 형상과 모양을 훌륭하게 한다.
그럼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실시예를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발가락부(40)는, 5개의 발가락 중 엄지발가락만 독립된 발가락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도 4의 (a)에서처럼, 발가락부를 형성할 때, 엄지발가락만을 독립되게 형성하고, 나머지는 하나로 합쳐진 형태로 직조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부(40)는,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4개의 발가락 중 선택된 하나만 독립되는 발가락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고,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4개의 발가락 중 선택된 2개의 발가락만 독립되는 발가락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엄지발가락을 포함하는 4개의 발가락이 모두 독립되는 발가락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덧버선은 모든 발가락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필요한 갯수와 위치에 독립된 발가락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도 4의 (b)에서처럼, 엄지발가락과 두 번째 발가락만이 독립된 발가락 공간을 가지고, 나머지 발가락은 서로 합쳐진 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도 5의 (a)에서는 엄지발가락, 두번째 발가락 세번째 발가락이 독립된 형태로 있고, 나머지는 하나로 뭉쳐진 상태의 실시예이다. 본 발명은 이렇게 5개의 모든 발가락이 선택적으로 발가락 공간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시된 도 6에서 처럼, 발가락부(40)는, 앞꿈치부(30)의 내측에 별도의 발가락부(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는 여성의 경우 덧버선을 신은 발을 외부에 노출시키기 힘든 경우가 있기에 발가락부(40)를 앞꿈치부(30)의 내측에 형성하는 방식이다. 앞꿈치부(30)의 내측으로 별도의 발가락부(40)가 직조되는 것이다. 사실상 덧버선의 착용자는 발가락 덧버선을 신은 착용감을 느끼지만 외부 형성은 앞꿈치부(30)에 가려져 발가락부(40)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무좀이 걸린 여성이 무좀 치료에 도움을 받고, 그 모양도 훌륭하게 해줄 수 있는 실시예이다.
이에 반하여 도시된 도 7에 도시된 덧버선은 발가락부(40)는, 앞꿈치부(30)의 내측에 구분라인(43)으로 공간을 구획한 발가락부(40)가 형성된다.
즉, 발가락부(40)를 형성함에 있어서, 앞꿈치부(30)를 적당한 간격을 구획하는 구분라인(43)을 형성시킨다. 실질적으로 앞꿈치부(30)의 내측에 위치하되 칸막이와 같이 발가락을 구분할 수 있는 실시예이다. 여인의 발의 모양을 해치지 않는 상태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건 발명의 앞꿈치부(30), 바닥부(20), 뒷꿈치부(10) 및 발가락부(40)에는 선택적으로 색상, 무늬, 모양을 추가하여 미감을 살린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앞꿈치부, 바닥부, 뒷꿈치부 및 발가락부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위에 색상을 넣어 직조가 가능하다. 각각의 부위의 색상을 달리하여 직조를 하여도 무방하고, 어느 특정한 부위에는 독특한 무늬를 넣을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케릭터나 다양한 문구 및 덧실로 수를 놓아도 무방하다.
10; 뒷꿈치부 11; 밴드부
20; 바닥부 30; 앞꿈치부
40; 발가락부 43; 구분라인
50; 봉제선

Claims (9)

  1. 앞꿈치부, 바닥부, 뒷꿈치부로 이루어진 덧버선에 있어서,
    평직기를 이용하여 뒷꿈치부(10)의 상단에 고무사만을 통해서 직조된 수평된 밴드 형상의 밴드부(11)를 형성하고;
    상기 밴드부(11)의 하단으로 연장된 뒷꿈치부(10)와 이 뒷꿈치부(10)에서 수평되게 길이 확대된 수평단(33)을 가진 바닥부(20)를 형성하되, 수직된 방향으로 일정한 두께로 직조되는 고무사를 추가하여 직조한 바닥조임 탄력부(35)를 통해서 앞꿈치부(30)와 구분하며;
    앞꿈치부(30)는 최전방에 발가락부(40)를 형성하여 발가락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되, 발가락의 상단에 봉제선(50)을 형성하여 발톱이 봉제선(50)과 마찰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고,
    상기 발가락부(40)는, 5개의 발가락 중 엄지발가락만 독립된 발가락 공간을 형성하되, 엄지발가락을 포함하는 4개의 발가락이 모두 독립되는 발가락 공간을 가지는 발가락 덧버선에 있어서,
    발가락부(40)는,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4개의 발가락 중 선택된 하나만 독립되는 발가락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덧버선.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발가락부(40)는,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4개의 발가락 중 선택된 2개의 발가락만 독립되는 발가락 공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덧버선.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발가락부(40)는, 앞꿈치부(30)의 내측에 별도의 발가락부(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덧버선.
  7. 제1항에 있어서,
    발가락부(40)는, 앞꿈치부(30)의 내측에 구분라인(43)으로 공간을 구획한 발가락부(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덧버선.



  8. 삭제
  9. 삭제
KR20130101519A 2013-08-27 2013-08-27 발가락 덧버선 KR101474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519A KR101474156B1 (ko) 2013-08-27 2013-08-27 발가락 덧버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519A KR101474156B1 (ko) 2013-08-27 2013-08-27 발가락 덧버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4156B1 true KR101474156B1 (ko) 2014-12-17

Family

ID=52679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1519A KR101474156B1 (ko) 2013-08-27 2013-08-27 발가락 덧버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15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078B1 (ko) 2015-11-20 2016-05-31 백문흠 발가락 덧신 양말의 제조방법
KR200486312Y1 (ko) * 2017-07-12 2018-04-30 엄기현 벗겨짐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신축성 양말
KR101929759B1 (ko) * 2016-08-19 2018-12-17 고미화 착용감이 편한 남성용 덧버선 제조방법
KR101929758B1 (ko) * 2016-08-19 2018-12-17 고미화 실리콘 밴드가 부착된 남성용 덧버선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522Y1 (ko) * 2012-05-24 2012-11-07 손동준 덧버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522Y1 (ko) * 2012-05-24 2012-11-07 손동준 덧버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078B1 (ko) 2015-11-20 2016-05-31 백문흠 발가락 덧신 양말의 제조방법
KR101929759B1 (ko) * 2016-08-19 2018-12-17 고미화 착용감이 편한 남성용 덧버선 제조방법
KR101929758B1 (ko) * 2016-08-19 2018-12-17 고미화 실리콘 밴드가 부착된 남성용 덧버선 제조방법
KR200486312Y1 (ko) * 2017-07-12 2018-04-30 엄기현 벗겨짐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신축성 양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9774B2 (ja) シューズ
JP6245482B2 (ja) 靴下部分およびベロ部分を有するニット部品を組み込んだ履物製品
CN101336081B (zh) 袜子
TWI736836B (zh) 用於鞋類物件之鞋面及鞋類物件
CN205913005U (zh) 鞋类物品和鞋面
KR20170033817A (ko) 개량형 구조를 가진 신발류
TW201524393A (zh) 包含具有一整體式編織踝帶之一編織組件之鞋類物件
TW201615115A (zh) 結構改進之鞋類製品
KR20170015388A (ko) 접어 넣은 부분을 갖는 편직 이음매 없는 부티의 제조 방법
KR100639035B1 (ko) 양말 및 그의 편성방법
CN105264133A (zh) 编织具有一体式编织鞋舌的编织部件的方法
TW201528981A (zh) 具有設置本體部及跟部之編織組件的鞋類物件
CN104254260A (zh) 具有编织的鞋舌元件的鞋类鞋面
KR101474156B1 (ko) 발가락 덧버선
TWM590881U (zh) 具有鑲嵌緩衝的編織組件
KR20150127481A (ko) 이음라인을 제거하고, 통풍구를 살린 숨쉬는 덧버선과 그 제작방법
KR101463350B1 (ko) 봉제선을 탄성으로 이용한 착용감을 살린 덧버선과 그 제조방법
JP6335072B2 (ja) フットカバー
JP7222717B2 (ja) 履物甲被
JP6253257B2 (ja) フットカバー
JP5961781B1 (ja) 爪先伸縮ソックス
KR101426209B1 (ko) 발가락 부분만 커버하는 발가락 내피
KR100460684B1 (ko) 하이힐 또는 구두용 양말
CN206699523U (zh) 一种多变凉鞋
CN213487216U (zh) 一种柔软舒适靴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5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250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823

Effective date: 20220315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200002769;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200002769;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419

Effective date: 2022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