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522Y1 - 덧버선 - Google Patents

덧버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522Y1
KR200463522Y1 KR2020120004402U KR20120004402U KR200463522Y1 KR 200463522 Y1 KR200463522 Y1 KR 200463522Y1 KR 2020120004402 U KR2020120004402 U KR 2020120004402U KR 20120004402 U KR20120004402 U KR 20120004402U KR 200463522 Y1 KR200463522 Y1 KR 2004635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el
band
cam
heel por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4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동준
신영임
김재동
박연숙
Original Assignee
손동준
박연숙
김재동
신영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56590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63522(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손동준, 박연숙, 김재동, 신영임 filed Critical 손동준
Priority to KR20201200044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5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5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5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2Reinfor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0Stocking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2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 A41B11/121Elastic or flexible yarns knitted into the upper en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8Gussets, e.g. pouches or heel or toe por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덧버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닥부의 신축성이 향상되고 앞꿈치부가 잘 뜯어지지 않으며, 뒤꿈치부의 밴드부와 마찬가지로 앞꿈치부의 밴드부도 잘 뜯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마무리되며 쿠션감이 있으며 다양한 무늬가 가미될 수 있는 덧버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바닥부, 바닥부 양측에 형성되는 앞꿈치부 및 뒤꿈치부, 앞꿈치부 또는 뒤꿈치부의 끝단과 바닥부 측단을 겹쳐지게 연결하도록 봉조되는 밴드부가 구성되는 덧버선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전단에는 폭방향으로 고무밴드가 편직되고 앞꿈치부에는 폭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는 봉조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버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덧버선{OUTER SOCKS}
본 고안은 덧버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부의 신축성이 향상되고 앞꿈치부가 잘 뜯어지지 않으며, 뒤꿈치부의 밴드부와 마찬가지로 앞꿈치부의 밴드부도 잘 뜯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마무리되며 쿠션감이 있으며 다양한 무늬가 가미될 수 있는 덧버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덧버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와, 바닥부 양측에 형성되는 앞꿈치부 및 뒤꿈치부와, 앞꿈치부 및 뒤꿈치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덧버선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밴드부로 구성된다.
밴드부는 신축성을 좋게 하기 위해 직조시 면사 또는 나일론사와 함께 고무사가 사용되고, 통상 신축성을 더욱 좋게 하기 위해 2겹으로 포개진 구조(Double welt)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덧버선은 편직기를 이용하여 생산되는데, 덧버선의 상부가 개방된 형태이기 때문에 도 4의 실린더(104)가 180°정/역회전하며 덧버선을 생산한다.
본 고안의 출원인은 별도의 봉조기가 필요없이 덧버선 편직과정에서 봉조가 한꺼번에 이루어지고 밴드부가 쉽게 뜯어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구성하기 위해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0-2215호로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하지만, 상기 고안의 경우 밴드부가 자동으로 봉조되어 생산효율은 향상되지만 앞꿈치부의 경사진 봉조 라인을 따라 잘 뜯어지고, 신축성이 떨어져서 바닥부를 통해 앞꿈치부로 발을 넣고 빼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앞꿈치부의 밴드부가 뒷꿈치부의 밴드와는 달리 쉽게 뜯어지고, 쿠션감이나 무늬를 가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바닥부의 신축성이 향상되고 앞꿈치부가 잘 뜯어지지 않으며, 뒤꿈치부의 밴드부와 마찬가지로 앞꿈치부의 밴드부도 잘 뜯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마무리되며 쿠션감이 있으며 다양한 무늬가 가미될 수 있는 덧버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덧버선은 바닥부, 바닥부 양측에 형성되는 앞꿈치부 및 뒤꿈치부, 앞꿈치부 또는 뒤꿈치부의 끝단과 바닥부 측단을 겹쳐지게 연결하도록 봉조되는 밴드부가 구성되는 덧버선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전단에는 폭방향으로 고무밴드가 편직되고 앞꿈치부에는 폭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는 봉조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앞꿈치부 또는 뒤꿈치부의 끝단과 바닥부 측단이 만나는 부분의 밴드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밴드부를 앞꿈치부 내지 뒤꿈치부와 바닥부에 고정하는 보강라인이 형성되고, 밴드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한 쌍의 캠뭉치에 의해 각각 앞꿈치부와 뒤꿈치부가 봉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앞꿈치부에는 색실에 의해 무늬가 편직되고, 상기 바닥부는 쿠션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덧버선은 첫째, 바닥부의 신축성이 향상되어 착용이 편리하고 앞꿈치부가 잘 뜯어지지 않으며, 둘째 뒤꿈치부의 밴드부와 마찬가지로 앞꿈치부의 밴드부도 잘 뜯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마무리되고, 셋째 쿠션감이 있으며 다양한 무늬가 가미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덧버선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조를 위한 편직기의 레이싱캠뭉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조를 위한 편직기의 레이싱캠뭉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조를 위한 편직기의 트랜스퍼캠뭉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조를 위한 편직기의 트랜스퍼캠뭉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조를 위한 편직기의 가이드캠뭉치와 보조가이드캠뭉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조를 위한 편직기의 보조가이드캠뭉치를 타나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쟈크의 보조돌기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실린더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출원인은 바늘을 내리기 위한 실린더의 공회전을 최소화하면서도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한 "다운픽커 일체형 복합 캠뭉치를 구비한 양말 편직기"를 2007년 8월 7일 특허출원하여 2009년 5월 19일 제899508호로 특허등록 받은 방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출원인은 덧버선의 밴드부 편직 후 이를 봉조하는 별도의 봉조기가 필요 없이 편직기에서 봉조까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덧버선 편직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덧버선"을 2010년 3월 4일 실용신안출원하여 제452389호로 실용신안등록 받은 바 있다.
상기 특허 제899508호 양말 편직기의 레이싱 캠뭉치는 대략 몸통을 이루는 베이스 블록과 보디 블록 사이에 레이싱캠이 설치되고, 보디 블록의 상부 좌측에는 1F 레이싱캠이 설치되며, 1F레이싱캠의 우측에 우측 사이드캠이 설치된다.
그리고, 1F 레이싱캠 및 우측 사이드캠의 상부에 가이드캠이 길게 설치되고, 이러한 가이드캠의 하부에는 'ㄱ'자 형상의 좌향 다운픽커가 자유롭게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특허 제899508호 양말 편직기의 트랜스퍼 캠뭉치는 크게 트랜스퍼캠, 가이드캠, 5F 컬러캠, 4F컬러캠 및 우향 다운픽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트랜스퍼캠은 베이스 블록 상부에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4F 컬러캠 및 5F 컬러캠은 그 사이에 설치되는 우향 다운픽커로 인하여 분리된 채로 설치된다.
여기서, 가이드캠은 4F 컬러캠와 5F컬러캠의 상부에 배치되며, 4F 컬러캠과 5F 컬러캠의 사이에도 또한 'ㄱ'자를 옆으로 뒤집은 형상의 우향다운픽커가 자유롭게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실용신안 제452389호는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싱싱 캠뭉치(300)의 레이싱캠(308)과 트랜스퍼캠뭉치(400)의 트랜스퍼 캠(406)을 전후진 시키는 별도의 제2구동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제2구동수단은 편직기의 상부베이스(101)에 회전가능하도록 부착된 고정체(340)(440)와, 상기 고정체(340)(440)의 양측으로 회전편(341)(441)이 각각 돌출되되, 상기 한 개의 회전편은 레이싱캠(308)과 트랜스퍼캠(406)의 후단에 돌출된 걸림돌기(308a)(406a)에 접하도록 설치하고, 다른 한 개의 회전편(341)(441)은 에어밸브(306)(404)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하는 공압 실린더 피스톤(342)(442)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구동수단의 공압 실린더에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피스톤(342)(442) 돌출하여 회전편(341)(441)이 고정체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레이싱캠(308)과 트랜스퍼캠(406)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구동수단과 레이싱 캠뭉치(300) 및 트랜스퍼 캠뭉치(400)의 내부에 설치된 에어 실린더(미도시)의 조합으로 레이싱캠(308)과 트랜스퍼캠(406)이 3단계로 구분되어 돌출된다.
그리고, 편직기의 상부베이스(101) 상부에는 레이싱 캠뭉치(300)와 트랜스퍼 캠뭉치(400) 외에 가이드 캠뭉치(500)가 설치되는데, 상기 가이드 캠뭉치(500)가 설치된 상부베이스(101)의 저면에는 보조가이드 캠뭉치(510)가 설치된다.
상기 보조가이드 캠뭉치(510)는 보디블록(511)의 내부에서 보조가이드캠(512)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내부에서 인장 스프링(미도시)이 보조가이드캠(512)을 탄력 지지하고 있고, 에어실린더(미도시)에 의해 상기 보조가이드캠(512)이 돌출/삽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바늘(102)은 편직기의 상부베이스(101)를 관통하여 속이 빈 파이프 형상의 실린더(104) 외면에 원주 방향으로 수십 개 내지 수백 개의 바늘(102)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바늘(102)은 몸통에서 직각으로 3단계의 밑둥(103) 크기 즉 긴 밑둥바늘(ℓ1), 중간 밑둥바늘(ℓ2), 짧은 밑둥바늘(ℓ3)로 각각 형성되어 실린더(104)에 설치되는데, 밑둥(103)의 크기가 서로 다르더라도 그 길이는 모두 동일하다.
상기 바늘(102)은 양말 또는 덧버선을 편직하는 프로그램에 따라 실린더(104)를 3분할하여 설치되거나, 긴 밑둥바늘(ℓ1), 중간 밑둥바늘(ℓ2) 및 짧은 밑둥바늘(ℓ3)이 서로 반복되도록 연속설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레이싱캠(308)과 트랜스퍼캠(406)이 구동수단과 제2구동수단의 조합으로 3단계로 돌출/삽입하는 과정을 통해 긴 밑둥바늘(ℓ1), 중간 밑둥바늘(ℓ2) 및 짧은 밑둥바늘(ℓ3)이 레이싱캠(308) 또는 트랜스퍼캠(406)을 타고 상승하여 덧버선의 밴드부를 직조하는데, 최초에는 레이싱캠(308)과 트랜스퍼캠(406)이 완전돌출하여 모든 바늘(102)이 상승한 상태에서 밴드부를 직조하다가 밴드부의 양 단부를 직조할 때 레이싱캠(308)과 트랜스퍼캠(406)이 구동수단에 의해 한 단계씩 삽입되며 긴 밑둥바늘-중간 밑둥바늘 순으로 직조과정에서 배제시키면서 밴드부 끝단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한다.
한편, 실린더(104)에 삽입 설치된 바늘(102)의 하부에는 돌기(107)가 실린더(104) 외면으로 돌출(인접한 쟈크의 돌기(107)와 수직방향으로 편차되도록 돌출된)된 쟈크(미도시)가 형성되는데, 상기 쟈크의 역할은 실린더(104)가 회전할 때 상부베이스(101) 하부에 설치된 액츄에이터(미도시)가 쟈크의 돌기(107)를 올려 쟈크 상부의 바늘(102)을 상승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액츄에이터(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상승되는 쟈크의 수는 돌기(107)가 경사지도록 돌출된 한 벌(돌기가 '\'의 형태로 경사 돌출된 쟈크들을 묶어서 한 벌이라 함)을 한꺼번에 상승시킨다.
본 고안은 소정 개수의 쟈크에 실린더(104) 외부로 돌출되도록 보조돌기(108)를 더 형성하되, 상기 보조돌기(108)가 수평방향이 되도록 보조돌기(108)를 형성한다. 한편, 보조돌기(108)는 실린더(104)의 180°방향 즉, 실린더(104) 뒷편에도 형성된다.
덧버선 직조시 즉, 실린더(104)가 회전할 때 상기 보조돌기(108)가 상부베이스(101) 저면에 설치된 보조가이드캠(510)을 따라 상승하여 쟈크가 상승하게 되고, 상승된 쟈크는 그 상부의 바늘(102)을 상승시키게 된다.
상승된 바늘(102)의 밑둥(103)은 보조가이드 캠뭉치(510)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 캠뭉치(500)의 가이드캠(501)을 따라 완전히 상승하여 실을 채어 덧버선의 밴드부와 바닥부를 봉합한다.
즉, 덧버선의 밴드부와 바닥부를 봉합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한 벌의 쟈크를 상승시키지 않고 몇 개의 쟈크만을 상승시켜 몇 개의 바늘만을 상승시켜야 하는데 상기와 같이 소정 개수의 쟈크에 수평방향이 되도록 보조돌기(108)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캠(501) 및 보조가이드캠(512)에 의해 몇 개의 바늘(102)만을 상승시켜 덧버선의 밴드부와 바닥부를 봉합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본 고안의 덧버선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직기를 사용하여 제조되는데, 기본적으로 바닥부(10), 앞꿈치부(20) 및 뒤꿈치부(30) 및 밴드부(40)가 구성된다.
바닥부(10)는 발바닥 부분을 감싸고 앞꿈치부(20)와 뒤꿈치부(30)는 바닥부(10) 양측에 형성되어 각각 발가락 부분과 발뒤꿈치를 감싸며, 밴드부(40)는 발등에 밀착될 수 있도록 앞꿈치부(20) 또는 뒤꿈치부(20)의 끝단과 바닥부(10) 측단을 겹쳐지게 연결하도록 고무사 재질로 봉조된다(도면에서는 일 실시예로 뒤꿈치부(20)와 연결).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 앞꿈치부(20) 또는 뒤꿈치부(20)의 끝단과 바닥부(10) 측단이 만나는 부분의 밴드부(4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밴드부(40)를 앞꿈치부(20) 내지 뒤꿈치부(20)와 바닥부(10)에 고정하는 보강라인(50)이 덧버선 편직과정에서 형성된다.
즉, 상기 보강라인(50)은 밴드부(40) 봉조 과정에서 편직기에 의해 밴드부(40)를 앞꿈치부(20) 내지 뒤꿈치부(20)와 바닥부(10)를 향하여 내측으로 강하게 눌러서 서로 집히게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10) 전단에는 발가락을 끼울 때 신축성을 향상시켜 착용이 편리하도록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고무밴드(11)가 편직되고, 앞꿈치부(20)에는 착용시에 잘 뜯어지지 않도록 폭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는 제2 봉조라인(21)이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뭉치(500)를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설치하여 상승된 바늘(102)의 밑둥(103)이 보조가이드 캠뭉치(510)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 캠뭉치(500)의 가이드캠(501)을 따라 완전히 상승하여 실을 채어 덧버선의 밴드부(40)와 바닥부(10)를 봉합할 때 앞꿈치부(20)와 뒤꿈치부(30)를 각각 봉조할 수 있기 때문에 앞꿈치부(20)의 밴드부(40)가 쉽게 뜯어지지 않는다.
이것은 종래에 캠뭉치(500)가 하나만 구비되어 있어서 뒤꿈치부(30)에 밴드부가 봉조된 후 앞꿈치부(20)를 봉조할 때 뒤꿈치부(30)와는 달리 앞꿈치부(30)가 견고하게 봉조되지 않아서 쉽게 뜯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앞꿈치부(20)에는 편직과정에서 컬러캠들에 의해 색실로 다양한 무늬가 편직될 수 있다.
또한, 덧버선의 쿠션을 향상시켜 착용감을 좋게 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부(10)는 쿠션 섬유로 편직(반쿠션)되거나 바닥부(10), 앞,뒤꿈치부(20,30), 밴드부(40) 전체는 쿠션 섬유로 편직(전쿠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 바닥부 11: 고무밴드
20: 앞꿈치부 21: 제2 봉조라인
30: 뒤꿈치부 40: 밴드부
50: 보강라인

Claims (3)

  1. 바닥부, 바닥부 양측에 형성되는 앞꿈치부 및 뒤꿈치부, 앞꿈치부 또는 뒤꿈치부의 끝단과 바닥부 측단을 겹쳐지게 연결하도록 봉조되는 밴드부가 구성되는 덧버선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전단에는 폭방향으로 고무밴드가 편직되고 앞꿈치부에는 폭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는 봉조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버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앞꿈치부 또는 뒤꿈치부의 끝단과 바닥부 측단이 만나는 부분의 밴드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밴드부를 앞꿈치부 내지 뒤꿈치부와 바닥부에 고정하는 보강라인이 형성되고, 밴드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한 쌍의 캠뭉치에 의해 각각 앞꿈치부와 뒤꿈치부가 봉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버선.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앞꿈치부에는 색실에 의해 무늬가 편직되고, 상기 바닥부는 쿠션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버선.
KR2020120004402U 2012-05-24 2012-05-24 덧버선 KR2004635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402U KR200463522Y1 (ko) 2012-05-24 2012-05-24 덧버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402U KR200463522Y1 (ko) 2012-05-24 2012-05-24 덧버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3522Y1 true KR200463522Y1 (ko) 2012-11-07

Family

ID=47565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402U KR200463522Y1 (ko) 2012-05-24 2012-05-24 덧버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522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739B1 (ko) * 2013-05-16 2014-11-03 박철환 덧버선 편직기의 레이싱 캠뭉치와 트랜스퍼 캠뭉치의 구동수단 및 덧버선
KR101463350B1 (ko) * 2013-08-14 2014-11-18 김신준 봉제선을 탄성으로 이용한 착용감을 살린 덧버선과 그 제조방법
KR101459260B1 (ko) * 2014-03-06 2014-11-20 박철환 쟈크를 이용한 덧버선의 밴드부 편직방법과 그 장치
KR101474156B1 (ko) * 2013-08-27 2014-12-17 김신준 발가락 덧버선
KR101504531B1 (ko) * 2013-04-09 2015-03-23 박철환 덧버선 편직기의 바늘 조절용 캠 장치 및 덧버선
KR200477861Y1 (ko) * 2014-09-04 2015-08-06 손동준 덧버선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덧버선 편직기
KR200487575Y1 (ko) * 2017-05-15 2018-11-28 주식회사 기승 일체형 마감구조를 갖는 덧신양말
KR20230037325A (ko) 2021-09-09 2023-03-16 이종현 U자 마감 처리된 앞 개방 테두리를 포함한 덧버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389Y1 (ko) 2010-03-04 2011-02-25 김신준 덧버선 편직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덧버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389Y1 (ko) 2010-03-04 2011-02-25 김신준 덧버선 편직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덧버선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531B1 (ko) * 2013-04-09 2015-03-23 박철환 덧버선 편직기의 바늘 조절용 캠 장치 및 덧버선
KR101436739B1 (ko) * 2013-05-16 2014-11-03 박철환 덧버선 편직기의 레이싱 캠뭉치와 트랜스퍼 캠뭉치의 구동수단 및 덧버선
KR101463350B1 (ko) * 2013-08-14 2014-11-18 김신준 봉제선을 탄성으로 이용한 착용감을 살린 덧버선과 그 제조방법
KR101474156B1 (ko) * 2013-08-27 2014-12-17 김신준 발가락 덧버선
KR101459260B1 (ko) * 2014-03-06 2014-11-20 박철환 쟈크를 이용한 덧버선의 밴드부 편직방법과 그 장치
KR200477861Y1 (ko) * 2014-09-04 2015-08-06 손동준 덧버선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덧버선 편직기
KR200487575Y1 (ko) * 2017-05-15 2018-11-28 주식회사 기승 일체형 마감구조를 갖는 덧신양말
KR20230037325A (ko) 2021-09-09 2023-03-16 이종현 U자 마감 처리된 앞 개방 테두리를 포함한 덧버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3522Y1 (ko) 덧버선
KR200463500Y1 (ko) 발목 밴드가 구비된 덧버선
KR200452389Y1 (ko) 덧버선 편직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덧버선
US6931762B1 (en) Footwear with knit upp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ootwear
KR101178028B1 (ko) 양말편직기를 이용한 덧버선, 그 제직장치 및 제직방법
US20160053415A1 (en)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KR101458950B1 (ko) 덧버선 제조용 양말편직기 및 이를 이용한 덧버선 제조방법
JP2017512264A (ja) 足被覆衣類、そのような足被覆衣類の製造方法、およびニットウエアまたは靴下類のための環状機械
US6415632B1 (en) Method for producing a knitted fabric with a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cylinder and dial, particularly for producing footlets or the like
KR100899508B1 (ko) 다운픽커 일체형 복합 캠뭉치를 구비한 양말 편직기
CN207041027U (zh) 一种具有织带的针织一体鞋
KR101266591B1 (ko) 양말 편직기를 이용한 덧버선 편직기 및 이를 이용한 뒤꿈치부에 겹면밴드와 단면밴드가 이중으로 연속 형성된 덧버선
KR200470277Y1 (ko) 덧버선
KR200469357Y1 (ko) 발가락 양말
US10145041B2 (en) Method for knitting shoe upper and shoe upper
JP3700147B2 (ja) 上下に第1第2の穿口開口縁を設けた靴下及びその編成方法
KR101504531B1 (ko) 덧버선 편직기의 바늘 조절용 캠 장치 및 덧버선
KR20130099571A (ko) 발가락양말 및 그 편직방법
KR101149673B1 (ko) 토시 편직방법
KR101261778B1 (ko) 보강라인을 갖는 덧버선
KR20220027717A (ko) 쿠션부가 있는 덧버선 및 그 편직방법
KR100966138B1 (ko) 타이츠의 탄성밴드 편직방법 및 탄성밴드가 구비된 타이츠
KR101463054B1 (ko) 덧버선 편직을 위한 양말편직기의 캠 유닛 작동장치
JP3157459U (ja) 筒状編地
JP3061334U (ja) ソ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124

Effective date: 20131216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511

Effective date: 20131216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113

Effective date: 20140215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114

Effective date: 20140829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925

Effective date: 2015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