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0087B1 - 통기성을 갖는 탄성밴드를 구비한 덧버선 - Google Patents

통기성을 갖는 탄성밴드를 구비한 덧버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0087B1
KR101100087B1 KR1020110052146A KR20110052146A KR101100087B1 KR 101100087 B1 KR101100087 B1 KR 101100087B1 KR 1020110052146 A KR1020110052146 A KR 1020110052146A KR 20110052146 A KR20110052146 A KR 20110052146A KR 101100087 B1 KR101100087 B1 KR 101100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and
elastic
opening
line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열
Original Assignee
정진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열 filed Critical 정진열
Priority to KR1020110052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00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0Stocking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2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 A41B11/121Elastic or flexible yarns knitted into the upper e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2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 A41B11/123Elastic or flexible bands attached at the upper e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80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 A41B2400/82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with the body of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부에 설치되는 탄성 밴드를 표면에 골이 형성되고 직물로 이루어진 골밴드로 구성함으로써 밴드와 피부 사이에 땀이 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통기성을 제공하여 피부가 짓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덧버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덧버선은 발이 끼워지는 개구부가 형성된 덧버선에 있어서, 상기 덧버선의 개구부의 내벽에 탄성밴드를 설치하여 구성되데, 상기 탄성밴드를 직조하는 씨실과 날실 중 어느 하나는 탄성이 우수한 고무 또는 합성수지이고, 필름형 핫멜트(hot melt)에 의해 덧버선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기성을 갖는 탄성밴드를 구비한 덧버선{outer socks with porous elastic band}
본 발명은 덧버선에 관한 것으로서, 덧버선의 발 삽입구(이하 "개구부"라 함)의 둘레 안쪽에 두께가 얇고 띠 형상으로 제조된 탄성을 갖는 골밴드를 부착하여 조여지게 함으로써 덧버선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한 덧버선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개구부에 설치되는 탄성 밴드를 표면에 골이 형성되고 직물로 이루어진 골밴드로 구성함으로써 밴드와 피부 사이에 땀이 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통기성을 제공하여 피부가 짓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덧버선에 관한 것이다.
발은 인체의 균형을 유지하고 체중을 지지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신체 부위로 수많은 혈관과 신경이 지나는 곳으로 원활한 혈액의 순환을 위해서는 적당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을 보호 및 보온하기 위한 수단으로 양말이나 스타킹 또는 덧버선 등(이하, "발 의류"라 통칭한다)의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발 의류 중 덧버선은 신축성을 지니는 나일론이나 면소재 등의 섬유로 만들어지고, 신축작용과 통풍작용이 우수한 장점이 있어 일상생활에서 실내에서 여성들이 간편하게 착용하고 있다.
이러한 덧버선은 나일론 등과 같이 신축성을 지닌 섬유로 짠 발바닥, 발등 및 발뒤꿈치를 감싸는 다수의 패턴들을 신축성 실로 재봉하여 만들어지고, 벗겨지지 않도록 개구부의 둘레에는 고무재질의 고무줄이 재봉실로 박아 설치하였다. 즉, 종래의 덧버선은 발바닥 커버패턴, 발가락 커버패턴 및 발뒤꿈치 커버패턴 등 복수의 패턴조각들을 재봉하여 연결하거나, 발가락 및 발 뒤꿈치 커버패턴을 일체로 한 패턴에 발바닥 커버패턴의 테두리부분을 서로 맞댄 뒤 겹쳐진 패턴부위를 박음질하여 연결하고, 박음질에 의해 형성되는 덧버선 개구부에는 고무와 같은 신축성을 지닌 고무줄을 재봉실로 박음질하여 부착된다.
이러한 종래의 덧버선은 각 패턴을 재봉하여 연결함으로써 각 패턴이 연결되는 부위에 두툼해지거나 볼록하게 재봉선이 형성되어 발에 착용하였을 때 재봉선이 발에 압박을 가하여 착용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개구부에 재봉된 고무줄이 발등을 압박하여 발등에 자국이 생김은 물론 혈액순환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성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0-0008169호가 있다. 이는 덧버선의 개구부에 덧버선의 신축작용과 대응하여 신축되는 밴드형 고탄력 실리콘을 부착한 것이다. 이러한 덧버선은 고탄력 실리콘이 탄성력이 우수하여 발등에 자국이 생기거나 혈액순환을 방해하는 문제는 해결할 수 있으나, 실리콘이 피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땀이 나면 피부에 가려움증이 생기거나 습진이 생길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피부에 달라붙은 느낌을 주므로 착용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덧버선의 소재와 동일한 신축작용을 하여 피부(발등)가 배기거나 피부를 압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덧버선을 착용한 후 활동할 때 덧버선이 쉽게 벗겨지지 않는 착용감이 우수한 덧버선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활동 중 땀이 나도 피부와 덧버선 개구부 사이에 수분이 고이지 않아 피부에 가려움증이 생기거나 짓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덧버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덧버선은 발이 끼워지는 개구부가 형성된 덧버선에 있어서, 상기 덧버선의 개구부의 내벽에 탄성밴드를 설치하여 구성되데, 상기 탄성밴드를 직조하는 씨실과 날실 중 어느 하나는 탄성이 우수한 고무 또는 합성수지이고, 필름형 핫멜트(hot melt)에 의해 덧버선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덧버선은 상기 탄성밴드를 가능한 얇고 폭이 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너무 얇고 폭이 좁으면 쉽게 탄성을 잃어 덧버선이 발로부터 벗겨질 수 있고, 너무 두껍고 넓으면 제작비가 높아짐은 물론 발등을 압박하는 힘이 강해 착용감이 떨어지므로 두께는 0.1mm내지 0.2mm이고, 폭이 3㎜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덧버선의 몸체를 구성하는 각 부분은 바닥부와 발등부로 이분(二分)하여 가능한 재봉선을 줄여 재봉선이 발을 압박하거나 이물감을 느끼게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은 덧버선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탄성 밴드가 통기성을 가지므로 발에 땀이 나도 밴드와 피부 사이에 땀이 고이지 않고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덧버선은 밴드와 대향되는 피부에 가려움증이 생기거나 습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실리콘 밴드를 사용했을 때 느끼는 이물감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덧버선의 일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B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덧버신에 설치된 골밴드의 확대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덧버선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덧버선은 밴드와 피부 사이에 공기가 출입할 수 있게 통기성을 제공하여 밴드와 접촉되는 피부에 수분이 남아 있게 않게 함으로써 피부에 가려움증이 생기거나 습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이 끼워지는 개구부(10a)의 내벽에 탄성밴드(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밴드(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씨실과 날실 중 어느 하나는 탄성이 우수한 탄성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씨실(21)을 탄성섬유로 제작한 것을 일예로 도시하였고 씨실(21)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즉, 씨실(21)은 덧버선의 개구부(10a)를 따라 길게 배열된 상태이고, 날실(22)은 이러한 씨실(21)들 사이에 엮여져 있되 이웃하는 날실과의 사이에 어느 정도의 유격이 있어 씨실(21)이 신장 수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다.
물론, 날실(22)도 탄성섬유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덧버선의 개구부(10a)에 설치되었을 때 폭과 길이 방향으로 모두 신축되면 덧버선의 형태가 흐트러져 외관이 미려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길이 방향으로만 신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씨실(21)만을 탄성섬유로 제작하고 날실(22)은 탄성이 없는 일반 섬유를 사용하여 직조함으로써 길이 방향으로만 신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씨실(21)을 구성하는 탄성섬유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밴드(20)는 굵은 씨실(21)에 가는 날실(22)이 엮여 제작된 것으로 씨실(21)과 씨실(211) 사이 및 날실(22)과 날실(22) 또는 씨실(21)과 날실(22)사이에 틈이 있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직조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표면이 매끄럽지 않고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덧버선을 착용하였을 때 탄성밴드(20)와 피부 사이에도 공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어 피부에서 땀이 나도 공기의 순환에 의해 마를 수 있어 피부와 탄성밴드 사이에 수분이 고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탄성밴드(20)를 덧버선의 개구부 내측에 접착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나, 작업성을 높이기 위해 필름형 핫멜트(hot melt)(3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핫멜트(30)는 도 3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덧버선의 개구부 내벽과 탄성밴드(2) 사이를 접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가열에 의해 용융되는 열가소성수지 중 하나이다. 이는 가열 용융시킨 후 냉각하면 바로 고화되기 때문에 접착제용이나 도장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덧버선은 상기 탄성밴드(20)의 신축 작용에 의해 개구부(10a)가 발등이나 발뒤꿈치에 밀착됨으로써 덧버선이 발에서 벗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덧버선에서 상기 탄성밴드(20)의 두께는 0.1mm내지 0.2mm이고, 폭이 3㎜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밴드(20)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탄성력은 우수할 수 있으나 발등이나 발뒤꿈치를 조여 착용감이 떨어지고, 너무 얇으면 탄성력이 약해 덧버선이 쉽게 발에서 벗겨질 수 있으므로 상기한 범위 내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밴드(20)의 폭이 너무 좁을 경우에도 탄성이 약하여 쉽게 벗겨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너무 넓으면 피부와의 접촉면이 넓어 착용감이 떨어짐을 물론 조이는 힘이 강하여 압박감을 느끼게 되므로 상기한 범위의 넓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덧버선은 다수의 조각으로 분리하고 이를 박음질하여 제작할 수 있으나, 박음질을 할 경우 박음질된 부분에 재봉선이 형성되고 이 재봉선이 신발과 발 사이에 끼이면 압박감 또는 이물감을 느끼게 되므로 가능한 종재선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의 덧버선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부(11)와 덮개부(12)만으로 분리하고 이 둘을 박음질하여 재봉선(10b)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재봉선(10b)은 덧버선을 착용하였을 때 발바닥의 가장자리에 위치함으로써 착용자가 압박감 또는 이물감을 덜 느끼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재봉선(10b)이 발바닥의 가장자리 부분에 놓이게 구성함으로써 신발을 신었을 때에도 이 재봉선(10b)이 발 가장자리와 신발 사이에 놓여 발바닥이나 발등에 이물감을 느끼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덧버선은 상기 탄성밴드(20)가 탄성이 있어 개구부(10a)가 발등과 발뒷꿈치에 밀착되지만 탄성밴드(20)가 통기성을 가지므로 발뒤꿈치로부터 미끄러져 벗겨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덧버선의 발뒤꿈치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미끄러짐방지부(4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러짐방지부(40)는 발뒤꿈치와 대응되는 어느 부분에도 형성할 수 있으나 너무 넓으면 착용자가 이물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가능한 좁은 면적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미끄러짐 방지부(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발뒤꿈치의 상단의 안쪽 가장자리인 탄성밴드(20)가 설치된 부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끄러짐방지부(40)는 연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나 고무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실리콘 등을 사용하는 것이다.
10 : 덧버선 10a : 개구부 10b : 재봉선
11 : 바닥부
12 : 덮개부
20 : 탄성밴드
21 : 씨실
22 : 날실
30 : 핫멜트
40 : 미끄러짐방지부

Claims (4)

  1. 발이 끼워지는 개구부(100)가 형성된 덧버선에 있어서,
    상기 덧버선의 개구부(100)의 내벽에 탄성밴드(20)를 핫멜트(hot melt)(30)로 접착하여 구성되며,
    상기 탄성밴드(20)는 씨실(21)과 날실(22)로 직조되고,
    개구부(100)가 길이 방향으로만 신축될 수 있도록 상기 씨실(21)은 개구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고, 탄성이 우수한 탄성섬유로 만들어지고,
    상기 날실(22)은 비 탄성(탄성이 없는)의 실로 구성하되, 상기 씨실(21)들 사이에 엮이되 이웃하는 날실(22)과의 사이에 어느 정도의 유격이 있어 씨실(21)이 신장 수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갖는 탄성밴드를 구비한 덧버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20)는 두께가 0.1mm내지 0.2mm이고, 폭이 3㎜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갖는 탄성밴드를 구비한 덧버선.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덧버선의 발뒤꿈치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미끄러짐방지부(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갖는 탄성밴드를 구비한 덧버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섬유는 탄성이 우수한 고무 또는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갖는 탄성밴드를 구비한 덧버선.
KR1020110052146A 2011-05-31 2011-05-31 통기성을 갖는 탄성밴드를 구비한 덧버선 KR101100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146A KR101100087B1 (ko) 2011-05-31 2011-05-31 통기성을 갖는 탄성밴드를 구비한 덧버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146A KR101100087B1 (ko) 2011-05-31 2011-05-31 통기성을 갖는 탄성밴드를 구비한 덧버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0087B1 true KR101100087B1 (ko) 2011-12-29

Family

ID=45507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146A KR101100087B1 (ko) 2011-05-31 2011-05-31 통기성을 갖는 탄성밴드를 구비한 덧버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008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532B1 (ko) 2013-03-07 2013-07-02 이병수 벗겨지는 것이 방지되는 양말
KR101284247B1 (ko) 2012-07-03 2013-07-09 정진열 헴원단을 이용한 덧버선의 제조방법
KR101314317B1 (ko) 2012-08-17 2013-10-02 주식회사 제이패션 접힘밴드를 이용한 덧버선, 팬츠, 셔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70277Y1 (ko) 2012-06-27 2013-12-11 손동준 덧버선
KR101479641B1 (ko) * 2013-03-22 2015-01-12 박광무 용접 부산물 포집장치
KR20150072945A (ko) 2013-12-20 2015-06-30 주식회사 제이패션 남성용 덧버선 제조방법
KR101632988B1 (ko) * 2015-08-11 2016-06-23 주식회사 제이패션 무봉제 덧버선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486312Y1 (ko) 2017-07-12 2018-04-30 엄기현 벗겨짐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신축성 양말
KR102060923B1 (ko) 2019-07-04 2019-12-30 현성락 바닥면 신축 통기부를 갖는 양말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277Y1 (ko) 2012-06-27 2013-12-11 손동준 덧버선
KR101284247B1 (ko) 2012-07-03 2013-07-09 정진열 헴원단을 이용한 덧버선의 제조방법
KR101314317B1 (ko) 2012-08-17 2013-10-02 주식회사 제이패션 접힘밴드를 이용한 덧버선, 팬츠, 셔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80532B1 (ko) 2013-03-07 2013-07-02 이병수 벗겨지는 것이 방지되는 양말
KR101479641B1 (ko) * 2013-03-22 2015-01-12 박광무 용접 부산물 포집장치
KR20150072945A (ko) 2013-12-20 2015-06-30 주식회사 제이패션 남성용 덧버선 제조방법
KR101632988B1 (ko) * 2015-08-11 2016-06-23 주식회사 제이패션 무봉제 덧버선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486312Y1 (ko) 2017-07-12 2018-04-30 엄기현 벗겨짐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신축성 양말
KR102060923B1 (ko) 2019-07-04 2019-12-30 현성락 바닥면 신축 통기부를 갖는 양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087B1 (ko) 통기성을 갖는 탄성밴드를 구비한 덧버선
KR101080592B1 (ko) 이탈방지용 실리콘 밴드가 레이스에 일체로 구비된 덧버선의 제조 방법
US10694816B2 (en) Upper for a shoe
US7654117B2 (en) Sheer hosiery
US20140259260A1 (en) Protective Ankle And Calf Sleeve
KR200474152Y1 (ko) 벗겨짐 방지용 덧버선
KR101284247B1 (ko) 헴원단을 이용한 덧버선의 제조방법
KR101314317B1 (ko) 접힘밴드를 이용한 덧버선, 팬츠, 셔츠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781272A (zh) 具有防水又透气的鞋帮和鞋底的鞋子
US20050155137A1 (en) Clog sock
KR20160072005A (ko) 착용감이 우수하고 봉제를 최소화한 덧버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88651B1 (ko) 실리콘사를 이용한 덧신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219362B (zh) 鞋面
JP2017035471A (ja) 履物アセンブリ
KR101260656B1 (ko) 통기홀이 형성된 탄성실리콘밴드가 구비된 덧버선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32988B1 (ko) 무봉제 덧버선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14527B1 (ko) 원단 접힘 방식을 이용한 덧버선의 제조 방법
JP2018024954A (ja) フットカバー
KR101586363B1 (ko) 남성용 덧버선 제조방법
JP3227574U (ja) 二重編地の履物
CN117042645A (zh) 具有针织鞋面的鞋类制品
KR101893935B1 (ko) 운동용 덧신 및 그 제조방법
CN211186036U (zh) 一种透气鞋
CN213154372U (zh) 一种鞋垫袜
CN209643993U (zh) 一种舞蹈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