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527B1 - 원단 접힘 방식을 이용한 덧버선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원단 접힘 방식을 이용한 덧버선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527B1
KR101614527B1 KR1020150025383A KR20150025383A KR101614527B1 KR 101614527 B1 KR101614527 B1 KR 101614527B1 KR 1020150025383 A KR1020150025383 A KR 1020150025383A KR 20150025383 A KR20150025383 A KR 20150025383A KR 101614527 B1 KR101614527 B1 KR 101614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melt
foot
cover
lay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미화
정진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패션
Priority to KR1020150025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5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1Decoration;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덧버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덧버선의 발 삽입구(이하 "개구부"라 칭함.)의 둘레 안쪽에 얇으면서도 탄력성이 우수한 핫멜트를 부착한 뒤 접는 방식으로, 개구부의 둘레가 핫멜트를 얇게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덧버선을 착용하였을 때,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제작된 핫멜트의 탄성력으로 발에서 덧버선이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하고, 핫멜트가 접착되어 접힌부분이 얇아 이물감이 적어 착용감이 좋으며, 핫멜트를 접착시킨 부분을 접는 방식으로 개구부의 재단된 부분이 외관에서 보이지 않아 미감을 향상시키는 구성을 하는 덧버선을 제공하기 위한 원단 접힘 방식을 이용한 덧버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방식이 단순하여 작업효율이 증대되고, 핫멜트의 폭이 넓지 않아도 되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원단 접힘 방식을 이용한 덧버선의 제조 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outer socks using fabric for folding}
본 발명은 덧버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덧버선의 발 삽입구(이하 "개구부"라 칭함.)의 둘레 안쪽에 얇으면서도 탄력성이 우수한 핫멜트를 부착한 뒤 접는 방식으로, 개구부의 둘레가 핫멜트를 얇게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덧버선을 착용하였을 때,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제작된 핫멜트의 탄성력으로 발에서 덧버선이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하고, 핫멜트가 접착되어 접힌부분이 얇아 이물감이 적어 착용감이 좋으며, 핫멜트를 접착시킨 부분을 접는 방식으로 개구부의 재단된 부분이 외관에서 보이지 않아 미감을 향상시키는 구성을 하는 덧버선을 제공하기 위한 원단 접힘 방식을 이용한 덧버선의 제조 방법에 관한 분야이다.
발은 인체의 균형을 유지하고 체중을 지지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신체 부위로 수많은 혈관과 신경이 지나는 곳으로 원활한 혈액의 순환을 위해서는 적당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을 보호 및 보온하기 위한 수단으로 양말이나 스타킹 또는 덧버선 등(이하, "발 의류"라 통칭한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발 의류 중 덧버선은 신축성을 지니는 나일론이나 면소재 등의 섬유로 만들어지고, 신축작용과 통풍작용이 우수한 장점이 있어 일상생활에 있어 실내에서 여성들이 간편하게 착용하고 있다.
이러한 덧버선은 나일론 등과 같이 신축성을 지닌 섬유로 짠 발바닥, 발등 및 발뒤꿈치를 감싸는 다수의 패턴들을 신축성 실로 재봉하여 만들어지고, 벗겨지지 않도록 개구부의 둘레에는 고무재질의 고무줄이 재봉실로 박아 설치하였다. 즉, 종래의 덧버선은 발바닥 커버패턴, 발가락 커버패턴 및 발뒤꿈치 커버패턴 등 복수의 패턴조각들을 재봉하여 연결하거나, 발가락 및 발 뒤꿈치 커버패턴을 일체로 한 패턴에 발바닥 커버패턴의 테두리부분을 서로 맞댄 뒤 겹쳐진 패턴부위를 박음질하여 연결하고, 박음질에 의해 형성되는 덧버선 개구부에는 고무와 같은 신축성을 지닌 고무줄을 재봉실로 박음질하여 부착된다.
이러한 종래의 덧버선은 각 패턴을 재봉하여 연결함으로써 각 패턴이 연결되는 부위에 두툼해지거나 볼록하게 재봉선이 형성되어 발에 착용하였을 때 재봉선이 발에 압박을 가하여 착용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개구부에 재봉된 고무줄이 발등을 압박하여 발등에 자국이 생김은 물론 혈액순환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80592호(도 1 참고)가 있다. 이는 덧버선의 개구부에 덧버선의 신축작용과 대응하여 신축되는 밴드형 고탄력 실리콘을 부착한 것이다. 이러한 덧버선은 고탄력 실리콘이 탄성력이 우수하여 발등에 자국이 생기거나 혈액순환을 방해하는 문제는 해결할 수 있으나, 수 차례 세탁하면 개구부 가장자리의 올이 풀려 쉽게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덧버선은 발바닥부, 발뒤꿈치부, 발등부 등 다수의 조각을 박음질하여 만들어지므로 박음질된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두껍거나 신축성이 떨어져 착용시 이물감을 느끼는 등 착용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84247호(도 2 참고)가 있다. 이는 덧버선의 개구부에 덧버선의 신축작용과 대응하여 신축되는 헴원단을 부착한 것이다. 이러한 덧버선은 개구부에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원사로 직조된 원단인 헴원단을 부착함으로써, 원단을 자를 경우 별도의 시접처리를 하지 않아도 올이 풀리지 않는 특성을 갖고, 두께가 두껍지 않아 일반적인 탄성밴드와는 다르게 이물감이 적은 특성이 있으나, 프레스로 재단된 원단인 개구부의 둘레에 핫멜트를 이용하여 헴원단을 부착한 뒤, 별도의 마감처리 없이 마무리되어 프레스로 재단된 부분이 외관상 거칠게 보여 미감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14317호(도 3 참고)의 덧버선은 개구부의 가장자리 안쪽 및 바깥쪽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접합되는 접힘밴드를 부착하여, 개구부 가장자리의 올이 풀리지 않도록 하고, 덧버선이 발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하며, 미감을 향상시키는 구성을 하였으나, 접힘밴드가 개구부의 가장자리 안쪽 및 바깥쪽 일부를 감싸므로 작업방식이 까다롭고, 접힘밴드의 폭이 넓어야하므로 원가가 높아지며, 개구부에 두께감이 생겨 착용감에 불편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314317호 (2013.09.26.) 국내등록특허 제10-1284247호 (2013.07.03.) 국내등록특허 제10-1080592호 (2011.10.31.)
본 발명은 덧버선 제조방법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덧버선은 덧버선의 개구부에 고무줄과 갖은 탄성 밴드를 이용하여 덧버선과 발의 밀착력을 실현하였으나, 탄성 밴드에 의한 이물감이 커서 착용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잦은 세탁으로 인하여 개구부 가장자리의 올이 쉽게 풀리는 문제가 있으며, 헴원단을 사용한 덧버선은 프레스로 재단된 부분이 외관상 거칠게 보여 미감을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접힘밴드를 사용한 덧버선은 개구부에 두께감이 생겨 착용감에 불편함을 준다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발바닥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와 접합되며, 발등부, 발측부 및 발뒤꿈치부의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폭을 갖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발이 끼워지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는 덮개부 가장자리의 안쪽 일부에 부착되는 신축가능하도록 제작된 핫멜트를 덮개부가 얇게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접힘 방식을 이용한 덧버선을 제조한다.
종이층, 핫멜트층, 폴리우레탄층, 핫멜트층, 종이층으로 이루어진 핫멜트를 제작하는 단계; 덧버선의 바닥부와 덮개부를 재단하는 단계; 상기 덧버선의 덮개부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안쪽 가장자리 일부에, 상기 핫멜트의 하부 종이층을 제거하여 접착성이 있는 핫멜트층을 고정한 뒤 다리미로 열과 압력을 전달하여, 핫멜트를 덮개부 안쪽의 가장자리에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하부면이 덮개부에 부착된 핫멜트의 상부 종이층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상부 종이층을 제거하여 접착성이 있는 핫멜트층이 노출된 핫멜트가 고정되어 있는 덮개부 안쪽의 가장자리를 상기 핫멜트의 폭만큼 하부로 접어, 일정의 열, 압력 및 바람이 가해질 수 있는 열프레스 롤러로 눌림처리하여 고정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접힘 방식을 이용한 덧버선의 제조 방법을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원단 접힘 방식을 이용한 덧버선의 제조 방법은, 덧버선의 개구부에 제작된 핫멜트를 부착한 뒤 핫멜트가 부착된 원단을 덧버선의 안쪽으로 접어 마무리함으로써, 두께가 얇아 발에 대한 이물감이 적어 착용감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개구부의 올이 쉽게 풀리지 않으며, 원단의 프레스로 재단된 부분이 외관상 보이지 않게 되어 미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접힘밴드를 이용한 덧버선의 제조방법보다 작업방식이 단순하여 작업효율이 증대되고, 접힘밴드는 개구부 가장자리의 안쪽 및 바깥쪽 일부를 감싸야 하므로 폭이 넓어야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원단 접힘 방식을 이용한 덧버선은 덧버선 착용 시 발과 밀착할 수 있는 탄성의 폭을 가진 핫멜트를 제작하게 되므로 핫멜트의 폭이 넓지 않아도 되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이탈방지용 실리콘 밴드가 레이스에 일체로 구비된 덧버선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헴원단을 이용한 덧버선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접힘밴드를 이용한 덧버선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단 접힘 방식을 이용한 덧버선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단 접힘 방식을 이용한 덧버선을 나타내는 A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단 접힘 방식을 이용한 덧버선을 나타내는 B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원단 접힘 방식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원단 접힘 방식을 이용한 덧버선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원단 접힘 방식을 이용한 덧버선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덧버선은 도 4와 같이 발바닥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바닥부(110)와, 상기 바닥부(110)의 가장자리와 접합되며, 발등부, 발측부 및 발뒤꿈치부의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폭을 갖는 덮개부(120)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부(120)는 바닥부(110)의 앞쪽 외주연과 접합되어 발가락 또는 발가락을 포함한 발등을 덮는 전면덮개부(120a)와, 바닥부(110)의 중간·뒤쪽의 외주연과 접합되고 전면덮개부(120a)와 양 말단이 접합되어 발의 양쪽 측면부와 뒤꿈치 부분에 걸리는 후면덮개부(120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바닥부(110)는 발바닥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갖아 착용자가 덧버선을 신었을 때, 착용자의 발이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또한, 덮개부(120)는 발등부, 발측부 및 발뒤꿈치부의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폭을 갖고, 상부에는 개구부(130)가 형성되며, 하부 가장자리는 상기 바닥부(110)의 가장자리와 접합되는 구성으로서, 즉, 덮개부(120)의 하부 가장자리는 바닥부(110)의 가장자리와 접합되고, 하부 가장자리에서 폭을 형성하며 연장되는 상부는 개구부(130)를 형성하여 발이 덧버선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본 발명은 덮개부(120)를 발등의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폭을 갖고, 하부 가장자리가 바닥부(110)의 전면 가장자리와 접합되는 전면덮개부(120a)와, 상기 전면덮개부(120a)의 양쪽 말단과 양쪽 말단이 각각 체결되고, 하부 가장자리가 바닥부(110)의 측면 가장자리 및 후면 가장자리에 접합되는 후면덮개부(120b)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신축가능하도록 제작된 핫멜트(140)를 개구부(130)의 전면덮개부(120a)와 후면덮개부(120b)에 해당하는 위치의 가장자리에 구비하여 덮개부가 안쪽으로 접혀 핫멜트를 얇게 감싸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핫멜트(140)는 종이층, 핫멜트층, 폴리우레탄층, 핫멜트층, 종이층이 차례대로 층을 이루면서 구성한 뒤, 다리미로 열과 압력을 전달하며 제작되어, 얇으면서도 탄력성이 우수하여 신축가능하고 접착력이 있으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하면, 전면덮개부(120a)는 발가락 또는 발가락을 포함한 발등의 일부를 덮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바닥부(110)의 앞쪽 가장자리인 외주연과 전면덮개부(120a)의 하부 외주연이 상호 접합되고, 발가락 또는 발등에 위치되는 상부 외주연(가장자리)은 외주연의 안쪽에 접착된 신축가능한 핫멜트를 감싸고 있어 전면덮개부(120a)가 발가락 또는 발등에 일정의 탄성력을 갖으며 착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전면덮개부(120a)는 발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의 길이를 갖아 발가락 또는 발가락을 포함한 발등을 덮을 수 있고, 발의 폭 방향으로 일정의 폭을 갖아 일정의 면적을 형성한다.
아울러, 후면덮개부(120b)는 하부의 외주연은 바닥부(110)의 앞쪽 이외의 부분인 양쪽 측면부와 뒤꿈치 부분에 해당하는 후면부의 가장자리와 접합되고, 상부 외주연은 외주연의 안쪽에 접착된 신축가능한 핫멜트를 감싸고 있어 후면덮개부(120b)가 발의 측면부와 뒤꿈치 부분을 일정의 탄성력을 갖으며 착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전면덮개부(120a)와 후면덮개부(120b) 간의 접합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박음질 또는 핫멜트를 이용한 접합이 모두 가능하나, 전면덮개부(120a)와 후면덮개부(120b)의 원단과 각각의 원단 내부에 위치한 핫멜트(140)의 겹침으로 인한 두께 때문에, 핫멜트에 의한 접착이 원활하지 못할 우려가 있으므로 박음질로서 전면덮개부(120a)와 후면덮개부(120b)의 양 말단을 상호 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핫멜트(140)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덮개부(120)에 의하여 형성된 개구부(130)의 가장자리 일부에 접합되되, 핫멜트가 부착된 덮개부의 원단을 덧버선의 안쪽으로 접어 덮개부가 핫멜트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개구부의 올이 쉽게 풀리지 않으며, 원단의 프레스로 재단된 부분이 외관상 보이지 않게 되어 미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핫멜트에 폴리우레탄을 첨가하여 얇으면서도 탄력성이 우수하여 신축가능하고 접착력이 있는 핫멜트를 제조함으로써, 두께가 얇아 발에 대한 이물감이 적어 착용감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원단 접힘 방식을 이용한 덧버선의 제조 방법은 종래의 접힘밴드를 이용한 덧버선의 제조방법보다 작업방식이 단순하여 작업효율이 증대되며, 접힘밴드는 개구부 가장자리의 안쪽 및 바깥쪽 일부를 감싸야 하므로 폭이 넓어야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덧버선은 착용 시 발과 밀착할 수 있는 탄성의 폭을 가진 핫멜트를 제작하게 되므로 핫멜트의 폭이 넓지 않아도 되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첨부된 도 7을 참조하여 원단 접힘 방식을 이용한 덧버선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우선, 종이층, 핫멜트층, 폴리우레탄층, 핫멜트층, 종이층으로 이루면서 구성한 뒤, 다리미로 열과 압력을 전달하여, 얇으면서도 탄력성이 우수하여 신축가능하고 접착력이 있으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핫멜트(140)를 제작한다(S10).
다음으로는, 덧버선의 바닥부(110)와 덮개부(120)를 재단한다(S20). 이때, 바닥부(110)는 발바닥의 형상과 유사한 모양으로 재단하고, 덮개부(120)는 발가락 또는 발등의 일부를 덮을 수 있는 전면덮개부(120a)와 발의 측면부와 뒤꿈치 부분을 감쌀 수 있는 후면덮개부(120b)로 나눠서 재단하며, 아울러 당업자는 덧버선을 만드는 원단의 신축성을 고려하여 그 넓이나 폭을 일반적인 발 크기 보다 작게 재단해야함은 자명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상기에서 재단된 전면덮개부(120a)와 후면덮개부(120b)에 상기에서 제작한 핫멜트(140)를 부착한다(S30). 여기서, 핫멜트(140)의 부착위치는 전면덮개부(120a)와 후면덮개부(120b)가 만나 상부에 형성될 개구부(130) 안쪽 가장자리 위치에 해당하며, 각각 덮개부의 길이에 맞춰 핫멜트의 길이를 재단한 뒤, 핫멜트의 하부 종이층을 제거하여 접착성이 있는 핫멜트층을 원단에 고정하여, 다리미로 열과 압력을 전달하며, 핫멜트를 덮개부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는, 상기 하부면이 각각의 덮개부에 부착된 핫멜트(140)의 상부 종이층을 제거한다(S40).
다음으로는, 상기 상부 종이층을 제거하여 접착성이 있는 핫멜트층이 노출된 핫멜트가 고정되어 있는 각각 덮개부 안쪽의 가장자리를 상기 핫멜트의 폭만큼 하부로 접어, 열, 압력 및 바람이 가해질 수 있는 열프레스 롤러로 눌림처리하여 고정시킨다(S50).
다음으로는, 상기 핫멜트가 고정된 전면덮개부(120a)와 후면덮개부(120b)의 양 말단을 접합하여 일체의 덮개부를 만든다. 이때, 전면덮개부(120a)와 후면덮개부(120b)의 양 말단 간의 접합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박음질 또는 핫멜트 접합방법을 이용한다.
마지막으로, 당업자는 상기 일체의 덮개부를 바닥부(110)에 접합한다. 이때, 일체의 덮개부를 형성하는 전면덮개부(120a)의 하부와 후면덮개부(120b)의 하부는 바닥부(110)의 외주연인 가장자리와 박음질 또는 핫멜트 접합방법으로 접합을 이용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10 : 바닥부
120 : 덮개부
120a : 전면덮개부 120b : 후면덮개부
130 : 개구부
140 : 핫멜트

Claims (2)

  1. 삭제
  2. 발바닥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바닥부(110); 상기 바닥부(110)의 가장자리와 접합되며, 발등부, 발측부 및 발뒤꿈치부의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폭을 갖는 덮개부(120); 상기 덮개부(120)의 상부에 형성되어 발이 끼워지는 개구부(130); 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120)는 바닥부(110)의 앞쪽 외주연과 접합되어 발가락 또는 발가락을 포함한 발등을 덮는 전면덮개부(120a)와, 바닥부(110)의 중간·뒤쪽의 외주연과 접합되고 전면덮개부(120a)와 양 말단이 접합되어 발의 양쪽 측면부와 뒤꿈치 부분에 걸리는 후면덮개부(120b)로 구성되며,

    상기 개구부(130)는 덮개부 가장자리의 안쪽 일부에 부착되는 신축가능하도록 제작된 핫멜트(140)를 덮개부(120)가 얇게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전면덮개부(120a)가 발가락 또는 발등에 탄성력을 갖으며 착용될 수 있도록 하며, 후면덮개부(120b)가 발의 측면부와 뒤꿈치 부분을 탄성력을 갖으며 착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핫멜트(140)는 종이층, 핫멜트층, 폴리우레탄층, 핫멜트층, 종이층이 차례대로 층을 이루면서 구성한 뒤, 다리미로 열과 압력을 전달하며 제작되어, 얇으면서도 탄력성이 우수하여 신축가능하고 접착력이 있으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고, 상기 덮개부(120)에 부착되기 전에 상기 종이층을 제거하며,

    a) 종이층, 상기 종이층 상부에 위치하는 핫멜트층, 상기 핫멜트층 상부에 위치하는 폴리우레탄층, 상기 폴리우레탄층 상부에 위치하는 핫멜트층, 상기 핫멜트층 상부에 위치하는 종이층으로 이루어진 핫멜트(140)를 제작하는 단계(S10);

    b) 덧버선의 바닥부(110)와 덮개부(120)를 재단하되, 상기 덮개부(120)는 전면덮개부(120a) 및 후면덮개부(120b)로 나눠서 재단하는 단계(S20);

    c) 상기 덧버선의 전면덮개부(120a) 및 후면덮개부(120b)가 만나 상부에 형성될 개구부(130)의 안쪽 가장자리 일부에, 상기 핫멜트(140)의 하부 종이층을 제거하여 접착성이 있는 핫멜트층을 고정한 뒤 다리미로 열과 압력을 전달하여, 핫멜트를 덮개부 안쪽의 가장자리에 부착시키는 단계(S30);

    d) 상기 하부면이 덮개부에 부착된 핫멜트(140)의 상부 종이층을 제거하는 단계(S40);

    e) 상기 상부 종이층을 제거하여 접착성이 있는 핫멜트층이 노출된 핫멜트가 고정되어 있는 덮개부(120) 안쪽의 가장자리를 상기 핫멜트(140)의 폭만큼 하부로 접어, 일정의 열, 압력 및 바람이 가해질 수 있는 열프레스 롤러로 눌림처리하여 고정시키는 단계(S50); 를 포함하고,

    상기 e)단계 이후, 상기 핫멜트(140)가 고정된 전면덮개부(120a)와 후면덮개부(120b)의 양 말단을 박음질 또는 핫멜트를 이용하여 접합하여 일체의 덮개부(120)를 만들며, 상기 일체의 덮개부(120)를 바닥부(110)에 박음질 또는 핫멜트를 이용하여 접합하여 제조를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접힘 방식을 이용한 덧버선의 제조 방법.
KR1020150025383A 2015-02-23 2015-02-23 원단 접힘 방식을 이용한 덧버선의 제조 방법 KR101614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383A KR101614527B1 (ko) 2015-02-23 2015-02-23 원단 접힘 방식을 이용한 덧버선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383A KR101614527B1 (ko) 2015-02-23 2015-02-23 원단 접힘 방식을 이용한 덧버선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4527B1 true KR101614527B1 (ko) 2016-04-21

Family

ID=55918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383A KR101614527B1 (ko) 2015-02-23 2015-02-23 원단 접힘 방식을 이용한 덧버선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5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728B1 (ko) * 2016-12-29 2018-07-06 고미화 가벼운 착용감을 가진 남성용 덧버선의 제조방법
KR101875726B1 (ko) * 2016-12-29 2018-07-06 고미화 밀림이 방지되어 착용감이 개선된 덧버선의 제조방법
KR20210085687A (ko)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제이패션 기능성 무재봉 덧신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672B1 (ko) 2007-01-12 2008-11-21 김동회 알레르겐의 침입이 방지된 침구류
KR101284247B1 (ko) 2012-07-03 2013-07-09 정진열 헴원단을 이용한 덧버선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672B1 (ko) 2007-01-12 2008-11-21 김동회 알레르겐의 침입이 방지된 침구류
KR101284247B1 (ko) 2012-07-03 2013-07-09 정진열 헴원단을 이용한 덧버선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728B1 (ko) * 2016-12-29 2018-07-06 고미화 가벼운 착용감을 가진 남성용 덧버선의 제조방법
KR101875726B1 (ko) * 2016-12-29 2018-07-06 고미화 밀림이 방지되어 착용감이 개선된 덧버선의 제조방법
KR20210085687A (ko)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제이패션 기능성 무재봉 덧신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
KR102429797B1 (ko) * 2019-12-31 2022-08-05 주식회사 제이패션 기능성 무재봉 덧신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592B1 (ko) 이탈방지용 실리콘 밴드가 레이스에 일체로 구비된 덧버선의 제조 방법
KR101100087B1 (ko) 통기성을 갖는 탄성밴드를 구비한 덧버선
KR200474152Y1 (ko) 벗겨짐 방지용 덧버선
KR101284247B1 (ko) 헴원단을 이용한 덧버선의 제조방법
KR101314317B1 (ko) 접힘밴드를 이용한 덧버선, 팬츠, 셔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6297B1 (ko) 착용감이 우수하고 봉제를 최소화한 덧버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4527B1 (ko) 원단 접힘 방식을 이용한 덧버선의 제조 방법
US20150052663A1 (en) Non-Slip and Non-Visible Hosiery Device
KR20180096928A (ko) 다이어트용 덧신 및 그의 제조 방법
CA3081273C (en) Double structure comfortable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shoe
KR101632988B1 (ko) 무봉제 덧버선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75726B1 (ko) 밀림이 방지되어 착용감이 개선된 덧버선의 제조방법
WO2013179559A1 (ja) ハーフシューズ及びハーフシューズの製造方法
KR101260656B1 (ko) 통기홀이 형성된 탄성실리콘밴드가 구비된 덧버선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86363B1 (ko) 남성용 덧버선 제조방법
KR101571692B1 (ko) 다기능 덧신
JP2018024954A (ja) フットカバー
KR101875728B1 (ko) 가벼운 착용감을 가진 남성용 덧버선의 제조방법
KR20150044321A (ko) 원단 접힘 방식을 이용한 덧버선 및 그 제조 방법
KR102429797B1 (ko) 기능성 무재봉 덧신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
KR101750765B1 (ko) 봉제를 최소화한 덧버선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29758B1 (ko) 실리콘 밴드가 부착된 남성용 덧버선 제조방법
JP3221302U (ja) 足被覆具
KR20170111774A (ko) 땅콩형 덧버선 제조방법
CN210611198U (zh) 一种透气隐形增高鞋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