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728B1 - 가벼운 착용감을 가진 남성용 덧버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벼운 착용감을 가진 남성용 덧버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728B1
KR101875728B1 KR1020160181822A KR20160181822A KR101875728B1 KR 101875728 B1 KR101875728 B1 KR 101875728B1 KR 1020160181822 A KR1020160181822 A KR 1020160181822A KR 20160181822 A KR20160181822 A KR 20160181822A KR 101875728 B1 KR101875728 B1 KR 101875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yarn
lid
lid part
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미화
Original Assignee
고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미화 filed Critical 고미화
Priority to KR1020160181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7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2Reinfor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0Stocking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2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 A41B11/123Elastic or flexible bands attached at the upper e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2/00Multi-step production lines for making cloth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00Selvedg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20Air permeability; Ventilati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D10B2501/021Hosiery; Panti-hose

Abstract

본 발명은 가벼운 착용감을 가진 남성용 덧버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목 아래까지 올라오도록 착용하는 덧버선이 가벼운 소재로 제작되어 더운 날씨에 답답함이 해소되도록 착용을 하는데, 이러한 덧버선이 잘 벗겨지고, 미끄러지는 특징이 있어 이를 방지하도록 남성용으로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것이다. 남성용 덧버선은 활동성이 더 높고 발등을 여성용보다 더 많이 덮을 수 있는 특성을 가지며, 덧버선 양말과는 다르게 가볍고 밀착감이 좋아 시원한 느낌이 들도록 제조하게 된다.
상기 덧버선은 발바닥 형상의 바닥부(30)를 재단하는 단계; 발측부와 발뒤꿈치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덮개부(10)를 재단하는 단계; 발등부(20)는 발등을 거의 덮을 수 있는 크기로 발가락과 평행하도록 폭을 85 ~ 100mm 가 되도록 재단하는 단계; 상기 덮개부(10)에 형성된 삽입테두리(41)쪽 단부 길이의 50~70%의 길이가 덮이도록 벗겨짐이 방지되는 벗겨짐 방지부(11)를 접착하는 단계; 상기 발등부(20)에 신축성지지부(21)를 접착하는 단계; 상기 덮개부(10)와 상기 발등부를 핫멜트에 의하여 접착하는 단계; 상기 바닥부(30)에 접착된 덮개부(10)와 발등부(20)를 박음질 또는 오바로크에 의하여 재봉하는 단계; 상기 바닥부(30)와 발등부(20)는 가벼운 착용감과 신축성있고 흡수가 좋은 면사 85중량%와 한지원사 15 중량% 로 직조하여 구성하며, 상기 덮개부(10)는 폴리에스테르 70중량%를 주 원사로 하고, 여기에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해 스판사 30중량%를 혼합하여 탄성을 갖도록 이루어진 씨실과 날실이 격자 형태로 직조되되, 날실이 한올씩 건너 뛰어 직조 되며 세선부가 씨실과 날실에 갈지자형을 이루며 수직방향으로 직조되어 텐타처리로 올이 풀리지 않도록 구성된 덮개부(10)로 구성되도록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벼운 착용감을 가진 남성용 덧버선의 제조방법{Light and comfortable outer socks of manufacturing methods}
본 발명은 가벼운 착용감을 가진 남성용 덧버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목 아래까지 올라오도록 착용하는 남성용 덧버선을 가벼운 소재로 제작하여 더운 날씨에 답답함이 해소되도록 착용을 하는데, 이러한 덧버선은 잘 벗겨지고, 미끄러지는 특징이 있어 이를 방지하도록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덧버선은 발목 아래에 오는 목 없는 양말로 신축성을 지닌 나일론이나 면 소제로 제작되어 신축성과 통풍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어 일상생활에서 간편하게 착용하고 있다.
종래의 덧버선들은 여성 사용자에게 한정된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최근엔 남성들도 패션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어 목이 없는 양말을 착용하는 남성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며, 더운 여름철에는 특히 남성들이 목 없는 양말을 착용하는 일이 일반화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대부분 양말원단에 의존한 남성용 덧버선은 여성용과 달리 더운 소재로 제작되었고, 많이 공급된 가벼운 나일론 원단의 덧버선은 그 디자인이 남성이 착용 하기에는 부적절한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덧버선은 나일론 등과 같이 신축성을 지닌 섬유로 직조한 발바닥, 발등 및 발뒤꿈치를 감싸는 다수의 패턴들을 신축성 실로 재봉하여 만들고, 쉽게 벗겨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발이 들어가는 삽입구 쪽에 고무줄을 재봉실로 박아 조이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덧버선은 조임이 형성되어 발을 과도하게 압박하거나, 조임이 느슨하면 쉽게 벗겨지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압박을 감소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1615184호와 등록특허 제10-1586363호가 있지만 압박에 의한 조임은 불편함이 완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의하여 남성들은 여름에도 두꺼운 원단은 양말형 덧버선을 대부분 착용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5184호(2016.04.1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6363호(2016.01.12)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름철에도 시원하게 착용할 수 있는 가벼운 착용감의 남성용 덧버선을 제작하고 기존의 불편함을 보완하여 남성용 덧버선을 제작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인 착용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가벼운 나일론 소재 느낌의 덧버선이 벗겨지거나 돌아가지 않는 가공처리를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인 착용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닥의 원단을 면사와 한지원사로 제작하고 덮개부를 이물감이 적고 올이 풀리지 않는 원단으로 제작하여 제작비용의 단가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바닥 형상의 바닥부(30)를 재단하는 단계; 발측부와 발뒤꿈치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덮개부(10)를 재단하는 단계; 발등부(20)는 발등을 거의 덮을 수 있는 크기로 발가락과 평행하도록 폭을 85 ~ 100mm 가 되도록 재단하는 단계; 상기 덮개부(10)에 형성된 삽입테두리(41)쪽 단부 길이의 50~70%의 길이가 덮이도록 벗겨짐이 방지되는 벗겨짐 방지부(11)를 접착하는 단계; 상기 발등부(20)에 신축성지지부(21)를 접착하는 단계; 상기 덮개부(10)와 상기 발등부를 핫멜트에 의하여 접착하는 단계; 상기 바닥부(30)에 접착된 덮개부(10)와 발등부(20)를 박음질 또는 오바로크에 의하여 재봉하는 단계; 로 구성되어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부(30)와 발등부(20)는 가벼운 착용감과 신축성있고 흡수가 좋은 면사 85중량%와 한지원사 15 중량% 로 직조하여 구성하며, 상기 덮개부(10)는 폴리에스테르 70중량%를 주 원사로 하고, 여기에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해 스판사 30중량%를 혼합하여 탄성을 갖도록 이루어진 씨실과 날실이 격자 형태로 직조되되, 날실이 한 올씩 건너뛰어 직조 되며 세선부가 씨실과 날실에 갈지자형을 이루며 수직방향으로 직조되어 텐타처리로 올이 풀리지 않도록 구성된 덮개부(10),로 상기 벗겨짐 방지부(11)는 재단된 덮개부(10)의 실리콘과 핫멜트로 제작된 투명한 밴드를 열에 융착방식으로 발에 삽입되는 개구부 쪽 방항 단부에 접하도록 길게 부착하며, 길이는 상기 덮개부(10) 개구부 단부 길이의 50~70%를 덮을 수 있는 길이로 부착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성지지부(21)는 1cm의 폭으로는 신축성이 없고, 폭과 수직 방향으로는 신축성을 갖도록 직조한 원단으로 구성되며, 종이층, 핫멜트층, 직조한 원단층으로 3단 구성된 띠 형태로 구성되며, 종이층을 제거하면서 핫멜트층이 열에 의하여 발등부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제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덧버선은 착용하였을 때 바닥면에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미끄러움이 방지되도록 제조가 가능하여 제작 단가가 절약되면서 미끄러움 방지가 가능한 덧버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활동성이 높은 남성들의 경우에도 바닥부의 원단을 면사와 한지원사로 제작하여 소취율이 높고, 덮개부를 이물감이 적고 올이 풀리지 않는 원단으로 직조하여 제작함으로써 제작비용의 단가가 절약된 덧버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덧버선을 남성들이 많이 신는 형태인 발등을 여성용보다 많이 덮을 수 있도록 하고, 벗겨짐 방지부와 신축성 지지부를 길게 형성하여 밀착감이 좋고 더욱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덧버선의 분해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덧버선의 접합 밴드, 벗겨짐 방지부, 신축성지지부의 부착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덮개부와 발등부의 일부를 접합한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완성된 덧버선의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내측, 외측,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보면 상의 내측은 덧버선이 발에 접하는 면의 방향을 의미하며, 외측은 내측의 반대쪽을 의미하여 명명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덧버선 제조 방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1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가벼운 착용감을 가진 남성용 덧버선의 제조방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덧버선 제조 방법은 도 1과 같이 발바닥 형상의 바닥부(30)와 발측부와 발뒤꿈치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덮개부(10)와 발가락이나 발등 쪽을 덮을 수 있는 발등부(20)의 재단을 실시한다.
상기 발바닥의 형상을 같는 바닥부(30)는 면사와 한지원사를 이용한다. 기존의 덧버선은 제작비가 저렴한 신축성 나일론 소재만을 이용하여 전체 원단을 재단하였으나, 상기와 같이 나일론 소재만을 이용할 경우 덧버선을 착용하였을 때, 이물감은 적게 제작되지만 미끄러운 감촉에 의해 덧버선이 잘 벗겨지고, 착용 후 보행 습관에 따라 덧버선이 밀려 돌아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제작된 전체를 면으로 구성한 면 덧버선의 경우 구두 안에 신을 경우 여름철 덥고 발이 답답하여 덧버선의 가벼움과 시원한 장점이 저해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더운 여름철 양말을 착용하기에는 답답하고 더우며, 착용을 안할 경우 발에 땀이 차고 통기가 안되는 신발을 착용했을 때의 발에 땀이 차고 끈적여 더욱 불편함을 초래 하게 되므로 남성들도 가벼운 덧버선을 선호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답답함이 줄어들도록 덧버선의 이물감이 적고, 일체형으로 재봉선이 거의 없는 덧버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덧버선으로 바닥부(30)만을 따로 면사와 한지원사로 재단하였다. 상기 바닥부(30)의 원단이 100중량%일 때, 면사 70중량%와 한지원사 30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와 같이 재단된 바닥면은 미끄러운 감촉이 감소되고, 땀 흡수 및 바닥에 밀착하는 면이 기존의 나일론 소재로 제작된 덧버선 보다 두꺼워서 안정감이 더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한지원사의 장점인 미끄러움이 줄어들고, 항균력과 암모니아 소취율, 땀냄새 제거율이 높아 발에 착용하기 적합한 소재라는 장점이 있다. 남성들의 경우 격렬한 움직임에 의하여 덧버선을 착용하였을 때 미끄러지거나 덧버선이 옆으로 돌아갈 확률이 여성보다 높으므로 한지원사를 30중량% 첨가하여 미끄러지거나 덧버선이 옆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줄어들게 하였다. 또한, 한지원사를 다량 첨가하여 장점인 소취율을 더욱 증가시키도록 하였다. 상기 면사와 한지원사를 소재로 이용하여 제작되는 바닥부(30)는 발에 착용하였을 때 바닥과 맞닿은 면에서 미끄러운 감각이 감소하여, 상기 덧버선에는 바닥면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실리콘 등을 부착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은 가공 과정이 줄어들어 생산효율이 증대되는 장점도 있다.
또한, 남성들의 양말착용 특성상 덧버선 착용모습이 비추었을 때 실리콘이 바닥면에 보이는 것을 싫어하는 경향이 있어 실리콘을 바닥면에 장착안하고도 미끄러움이 줄어들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발측부와 발뒤꿈치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덮개부(10)는 탄성을 갖는 섬유로 올이 풀리지 않도록 원단을 직조하여 재단한다. 상기와 같이 원단을 직조하기 위해서는 폴리에스테르 70중량%를 주 원사로 하고, 여기에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해 스판사 30중량%를 혼합하여 직조된 섬유를 이용하여, 날실은 씨실에 한 올씩 건너뛰어 형성됨과 동시에 세선으로 이루어져 씨실과 날실에 갈지자형을 이루며 수직 방향으로 직조 되는 세선부를 포함함으로써, 절개되어도 세선부에 의해 씨실 또는 날실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원단의 직조시 섬유 한 올의 거리는 0.1mm ~ 0.4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날실의 두께가 상기 한올의 거리보다 작기 때문에 너무 작은 거리로 건너뛰어 형성되면 통기성의 효과가 미미하게 되고, 너무 큰 거리로 건너뛸 경우, 상기 원단의 탄성 및 견고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원단의 견고함이 떨어질 경우 착용감이 저하되고, 올이 풀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재단된 원단들에는 도 2와 같이 벗겨짐 방지부(11), 신축성지지부(21), 접합밴드(12)를 각각의 위치에 부착하게 된다.
본원 발명과 같이 직조된 덮개부(10)는 올이 풀리는 것이 방지되어, 덧버선의 제조시 단부에 접힘이나, 박음질, 가장자리 패턴 연결 등을 하여 올 풀림 방지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덮개부(10)의 일측 단부에 삽입테두리(41)가 형성되는데 상기와 같이 직조된 원단은 올 풀림 방지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제작되기 때문에 상기 삽입테두리(41)가 원단의 재단형태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직조에 의하여 작업공정의 수요를 단축함으로써, 제조단가 및 제조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덮개부(10)에 형성된 벗겨짐 방지부(11)는 재단된 덮개부(10)의 실리콘과 핫멜트로 제작된 투명한 밴드를 열에 융착방식으로 발에 삽입되는 개구부 쪽 방항 단부에 접하도록 길게 부착하며, 길이는 상기 덮개부(10) 개구부 단부 길이의 50~70%를 덮을 수 있는 길이로 부착하여 제작한다. 즉, 삽입테두리(41)가 형성된 단부와 접하도록하며, 그 내측인 발과 맞닿은 안쪽에 벗겨짐 방지부(11)가 길게 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벗겨짐 방지부(11)는 실리콘층과 핫멜트층으로 길게 제작된 투명한 밴드로써 핫멜트층인 덧버선에 접하도록 하여 열융착함으로써 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열 융착에 의해 형성된 벗겨짐방지부(11)는 실리콘 부위가 착용자의 발과 접하게 됨으로써 덧버선을 신고 움직일 경우에도 밀리거나 벗겨짐이 쉽게 일어나지 않도록 밀착력이 생기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재단된 덮개부(10)의 일측부위에 형성된 벗겨짐방지부(11)는 그 일측부위의 50 ~ 70 %의 길이로 형성되어 기존에 3 ~ 5cm의 크기로 형성된 벗겨짐 방지부(11)에 비하여 그 역할을 더욱 잘 수행하여 신발을 신고 벗을 때 전혀 벗겨짐이 없게 된다. 이는 기존에 부착되어 오던 뒤꿈치 중간에 5cm 정도의 실리콘 부착과는 크게 다른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접착방법은 스티커 방식에 의한 접착이 주로 수행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핫멜트에 의한 열융착으로 세탁을 실시하거나 장시간 착용하여도 내구성이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에는 상기와 같이 직조된 원단의 덮개부(10)는 통기성이 우수하고 착용 시 이물감이 줄어들도록 바닥부와 함께 일체형으로 덧버선을 제작하였으나, 상기의 경우 움직임에 의해 신발 속에서 미끄러져 벗겨지는 일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미끄러져 벗겨지는 일을 방지하기 위해서 벗겨짐 방지를 위한 실리콘을 발뒤꿈치 내측(B)에 부착하였으나 발바닥이 접하는 바닥면은 미끄러움은 완전히 방지되지 않아 착용하고 보행시 불편함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바닥부를 따로 재단하여 바닥부를 재봉하는 경우에는 일체형보다 밀림은 줄어들었지만 상기의 방법정도로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바닥면이 밀림이 적은 면과 한지로 제작하여, 상기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발등부(20)는 발가락을 덮는 부분으로 덧버선을 착용했을 때 발의 착용감을 나타내는 부분으로 남성용의 경우 여성용보다 발등을 많이 덮을수 있도록 제작하는 특징이 있다. 남성용은 원단을 바닥부(30)나 덮개부(10)의 원단을 선택하여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원단들은 모두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단은 각각 특징에 의하여 발가락이 비치거나 가려질 수 있고 원단이 말리거나 올이 풀릴 수 있다.
또한, 덧버선의 심미감을 증가 시키기 위해서 원단의 선택과 함께 발등부(20)는 바닥부(30)와 접하는 곳부터 발목 쪽으로 향한 폭이85 ~ 100mm의 크기로 재단하여 덮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덧버선은 발등부(20)에 띠 형태의 신축성지지부(21)를 부착하게 된다. 상기 신축성지지부(21)는 띠형태로 제작되어 발등부(20)에 부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상기 신축성지지부(21)는 폴리에테르와 메틸렌디페닐이소시아네이트를 합성하여 원단층을 제조하고, 폭을 1 cm로 하여 띠 형태로 제작한다. 상기 신축성지지부(21)는 1cm의 폭으로는 신축성이 없고, 폭과 수직 방향으로는 신축성을 갖도록 직조한다. 상기와 같은 직조에 의해서 밴드의 가장 아래 1층에는 밴드가 감길 수 있도록 하는 종이층, 그 다음 2층에는 핫멜트층, 그 다음 3층에는 폴리에테르와 메틸레디페닐이소시아네이트를 합성한 합성 원단층으로 제작하며, 상기 섬유층은 덧버선과 일치하는 색상 또는 피부색과 유사한 살구색으로 직조되어 부착시 신축성지지부(21)가 보이는 원단에도 심미감을 저해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신축성지지부(21)를 발등부(20)에 부착할 경우 발등부(20)에 선택된 모든 원단이 발등을 가로지르며 발등에 실리콘 도포와는 다른 촉감으로 끈적임 없이 밀착하여 편안하고 확실하게 잡아주며, 편안한 신축성을 유지할 수 있고, 폭으로는 신축성이 없어서 발등부(20)가 말려 올라가 접히거나, 올이 풀리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신축성지지부(21)는 발등부(20)를 재단한 원단의 일측부를 종이부를 제거하며, 핫 멜트에 열접합에 의하여 길게 부착하게 된다. 핫 멜트에 의해서 부착된 신축성지지부(21)는 색이 없고, 부착에 의한 잔여물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접힘 방식이나 재봉 방식에 비하여 이물감이 전혀 없이 착용감이 편안하도록 부착이된다. 신축성지지부(21)는 핫멜트에 의하여 발등부(20)에 열로 부착되고 수초 내에 냉각, 고화되어 접착력을 발휘하여 이물감 없이 장착이 가능하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성지지부(21)와 함께 덮개부(10)에 벗겨짐방지부(11)와 접합 밴드(12)를 부착한다. 덧버선은 발목 아래까지만 덮어서 신도록 되어 벗겨지기 쉬운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에서 대부분의 덧버선은 발을 삽입하는 부위를 강하게 압박을 주어 조이게 형성되거나, 덧버선의 뒤꿈치 부분 중간에 실리콘 밴드가 부착되어 벗겨짐을 방지하고자 했다. 하지만, 상기의 방법은 발이 조여 아프거나 밴드에 의해 충분히 벗겨짐이 방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활동성이 높은 남성들의 경우 신발을 신고 벗을 때 벗겨짐이 더 자주 일어 나기 때문에, 벗겨짐 방지에 더 효율이 높도록 발뒤꿈치와 발 측부를 모두 감싸는 덮개부(10)의 일측 단부에 50 ~ 70 %의 길이가 되도록 벗겨짐방지부(11)를 부착하였다. 상기 벗겨짐방지부(11) 부착부위는 완성된 덧버선에서 발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개구부(40) 쪽에 위치한 단면에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단면 즉 끝부분에 벗겨짐방지부(11)가 부착됨은 덧버선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것 보다 더욱 밀착력을 형성하여 효과적으로 벗겨짐이 방지된다. 상기 개구부(40)는 발이 삽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공간으로 덮개부(10)와 발등부(20)가 도 3과 같이 접합 밴드(12)에 의하여 결합되면서 형성된 내측(B) 공간을 의미하며, 개구부(40)를 형성하는 덮개부(10)와 발등부(20)가 접합하여 생성된 단부를 삽입테두리(41)라 한다. 그러므로, 벗겨짐방지부(11)는 삽입테두리(41) 내측(B)의 도 4와 같이 삽입테두리(41)가 형성이 되기 위해서는 덮개부 외측(A)에 발등부와 접합이 되어야 하며, 상기와 같은 이유로 도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덮개부의 양 끝 외측(A)부에 접합밴드(12)를 부착한다. 상기 접합밴드는 핫멜트에 종이 밴드가 결합된 띠 형태로 제조된 접합밴드(12)를 덮개부 양쪽 말단의 외측(A)에 종이 밴드가 없는 면으로 접하여 초음파로 접합을 한다. 상기와 같이 접합밴드(12)가 장착된 덮개부와 발등부의 신축성지지부(21)가 부착된 양측 끝단에 접합된 종이를 분리하고 열에 의하여 부착한다.
도 3에서는 접합밴드(12)를 한쪽만 접합한 모습을 도시하였다. 도3과 같이 덮개부(10)에 장착한 접합밴드(12)의 한 쪽이 덮개부(10)와 발등부(20)가 결합을 하여 형성된 것과 같이 다른 한쪽도 같은 방법으로 결합을 할 경우, 형성된 내측(B) 구멍이 개구부(40)이며 개구부(40)를 형성하는 단면이 삽입테두리(41)가 된다(도4). 또한, 덮개부(10)와 발등부(20)가 결합하여 형성된 단면인 삽입테두리(41)와 반대쪽 단면은 바닥부(30)와 접합하는 부위가 된다.
도 4는 결합된 덮개부(10)와 발등부(20)에 재봉에 의한 바닥부(30)를 연결하여 완성한 도면이다. 상기 도4에서는 바닥부(30)까지 오버로크 또는 박음질에 의하여 재봉하여 완성한 덧버선의 외측(A)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덧버선은 착용시 발바닥이 미끄러움이 적은 면사와 한지원사의 제품이면서 재봉선에서 잡아주어 덧버선을 착용하고 보행할 때 밀리거나 돌아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덧버선은 후가공으로 방향가공(perfumed finish)을 실시한다. 상기 방향가공은 섬유상에 내구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고착제를 병용하여 분무법에 의해서 착향을 실시한다. 상기 가공에 의하여 발에 착용하는 덧버선의 발냄새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덧버선에 후가공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덧버선의 내구성이 증가하며, 향기처리에 의한 덧버선의 방향 효과는 더욱 소비자의 덧버선에 거부감을 줄여주는 역할을 할수 있을것으로 예상된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A : 외측 B : 내측
10 : 덮개부 11 : 벗겨짐방지부
12 : 접합 밴드 20 : 발등부
21 : 신축성지지부 30 : 바닥부
40 : 개구부 41 : 삽입테두리
42 : 재봉부

Claims (3)

  1. 발바닥 형상의 바닥부(30)를 재단하는 단계;
    발측부와 발뒤꿈치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덮개부(10)를 재단하는 단계;
    발등부(20)는 발등을 거의 덮을 수 있는 크기로 발가락과 평행하도록 폭을 85 ~ 100mm 가 되도록 재단하는 단계;
    상기 덮개부(10)에 형성된 삽입테두리(41)쪽 단부 길이의 50~70%의 길이가 덮이도록 벗겨짐이 방지되는 벗겨짐 방지부(11)와, 핫멜트에 종이 밴드가 결합된 띠 형태로 제조된 접합밴드(12)를 덮개부(10) 양쪽 말단의 외측(A)에 종이 밴드가 없는 면으로 접하여 초음파로 접합하는 단계;
    상기 발등부(20)에 폴리에테르와 메틸렌디페닐이소시아네이트를 합성한 원단층으로 1cm의 폭으로는 신축성이 없고, 폭과 수직 방향으로는 신축성을 갖도록 직조한 원단으로 구성되고,
    종이층, 핫멜트층, 직조한 원단층으로 3단 구성된 띠 형태로 구성되며,
    종이층을 제거하면서 핫멜트층이 열에 의하여 발등부에 부착이 가능한 신축성지지부(21)를 접착하는 단계;
    상기 덮개부(10)와 상기 발등부를 핫멜트에 의하여 접착하는 단계;
    상기 바닥부(30)에 접착된 덮개부(10)와 발등부(20)를 박음질 또는 오바로크에 의하여 재봉하는 단계;
    상기 바닥부(30)와 발등부(20)는 가벼운 착용감과 신축성있고 흡수가 좋은 면사 85중량%와 한지원사 15 중량% 로 직조하여 구성하며,
    상기 덮개부(10)는 폴리에스테르 70중량%를 주 원사로 하고, 여기에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해 스판사 30중량%를 혼합하여 탄성을 갖도록 이루어진 씨실과 날실이 격자 형태로 직조되되, 날실이 한올씩 건너 뛰어 직조 되며 세선부가 씨실과 날실에 갈지자형을 이루며 수직방향으로 직조되어 텐타처리로 올이 풀리지 않도록 구성되고, 원단직조 시 통기성과 원단의 탄성 및 견고함을 위하여 섬유 한올의 거리는 0.1mm 내지 0.4mm된 덮개부(10),로
    상기 벗겨짐 방지부(11)는 재단된 덮개부(10)의 실리콘과 핫멜트로 제작된 투명한 밴드를 열에 융착방식으로 발에 삽입되는 개구부 쪽 방항 단부에 접하도록 길게 부착하며, 길이는 상기 덮개부(10) 개구부 단부 길이의 50~70%를 덮을 수 있는 길이로 부착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벼운 착용감을 가진 남성용 덧버선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가벼운 착용감을 가진 남성용 덧버선.
KR1020160181822A 2016-12-29 2016-12-29 가벼운 착용감을 가진 남성용 덧버선의 제조방법 KR101875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822A KR101875728B1 (ko) 2016-12-29 2016-12-29 가벼운 착용감을 가진 남성용 덧버선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822A KR101875728B1 (ko) 2016-12-29 2016-12-29 가벼운 착용감을 가진 남성용 덧버선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5728B1 true KR101875728B1 (ko) 2018-07-06

Family

ID=62920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822A KR101875728B1 (ko) 2016-12-29 2016-12-29 가벼운 착용감을 가진 남성용 덧버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7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3468A1 (de) * 2019-07-24 2021-01-28 Mirbre Ug Haltevorrichtung für socken
KR102226960B1 (ko) * 2019-11-05 2021-03-11 주식회사 제이패션 무재봉 쿠션 덧신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8711A (en) * 1974-01-21 1975-09-30 Johnson & Johnson Narrow elastic waistband fabric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440339Y1 (ko) * 2007-07-16 2008-06-09 이배훈 옻양말
KR20120052697A (ko) * 2010-11-16 2012-05-24 주식회사 경원상사 한지 양말
KR101614527B1 (ko) * 2015-02-23 2016-04-21 주식회사 제이패션 원단 접힘 방식을 이용한 덧버선의 제조 방법
KR20160072005A (ko) * 2014-12-12 2016-06-22 주식회사 제이패션 착용감이 우수하고 봉제를 최소화한 덧버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43313A (ko) * 2015-06-05 2016-12-14 주식회사 제이패션 덧신형 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8711A (en) * 1974-01-21 1975-09-30 Johnson & Johnson Narrow elastic waistband fabric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440339Y1 (ko) * 2007-07-16 2008-06-09 이배훈 옻양말
KR20120052697A (ko) * 2010-11-16 2012-05-24 주식회사 경원상사 한지 양말
KR20160072005A (ko) * 2014-12-12 2016-06-22 주식회사 제이패션 착용감이 우수하고 봉제를 최소화한 덧버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4527B1 (ko) * 2015-02-23 2016-04-21 주식회사 제이패션 원단 접힘 방식을 이용한 덧버선의 제조 방법
KR20160143313A (ko) * 2015-06-05 2016-12-14 주식회사 제이패션 덧신형 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3468A1 (de) * 2019-07-24 2021-01-28 Mirbre Ug Haltevorrichtung für socken
KR102226960B1 (ko) * 2019-11-05 2021-03-11 주식회사 제이패션 무재봉 쿠션 덧신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83081A (en) Upper material for shoes
EP3513678B1 (en) Method of making a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shoe
US20220000218A1 (en) Shoe with knit upper portion
KR20180096928A (ko) 다이어트용 덧신 및 그의 제조 방법
US11206899B2 (en) Knit shoes with elastic region
KR101875726B1 (ko) 밀림이 방지되어 착용감이 개선된 덧버선의 제조방법
KR101875728B1 (ko) 가벼운 착용감을 가진 남성용 덧버선의 제조방법
US11849804B2 (en) Knit athletic shoes with continuous upper portion
CN210901624U (zh) 可多样式变化的透湿防水鞋
CN210929871U (zh) 可多样式变化的舒适鞋
US10874174B2 (en) Shoe with shoe eyelet structure
KR101988651B1 (ko) 실리콘사를 이용한 덧신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00405006A1 (en) Double structure comfortable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shoe
KR101976657B1 (ko) 무봉제 덧버선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442594Y1 (ko) 덧버선
KR101614527B1 (ko) 원단 접힘 방식을 이용한 덧버선의 제조 방법
JPH07148004A (ja) ソックス状ライナーおよびライナー着脱靴
KR101893935B1 (ko) 운동용 덧신 및 그 제조방법
KR101929758B1 (ko) 실리콘 밴드가 부착된 남성용 덧버선 제조방법
CN102342622A (zh) 防水鞋和其所采用的防水内衬
KR20170003643U (ko) 덧버선
TW201936076A (zh)
KR101929759B1 (ko) 착용감이 편한 남성용 덧버선 제조방법
CN210471037U (zh) 袜子
JP7069462B2 (ja) フットカバー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