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3313A - 덧신형 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덧신형 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3313A
KR20160143313A KR1020150079843A KR20150079843A KR20160143313A KR 20160143313 A KR20160143313 A KR 20160143313A KR 1020150079843 A KR1020150079843 A KR 1020150079843A KR 20150079843 A KR20150079843 A KR 20150079843A KR 20160143313 A KR20160143313 A KR 20160143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melt
layer
sock
li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미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패션
Priority to KR1020150079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3313A/ko
Publication of KR20160143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3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1Decoration; Mar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5Hosiery made essentially of a multi-ply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2Reinfor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덧신형 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덮개부를 폴리에스테르, 스판 및 망사 또는 레이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함으로써 발목부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고, 바닥부를 면, 한지 및 에어매쉬가 혼합된 직물을 이중으로 구성함으로써 통기성 및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개구부를 핫멜트로 마감처리하고, 탄성이 있는 봉제선을 형성하도록 양말을 덧신형으로 제조함으로써, 발목부가 조이지 않아 더욱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고, 양말을 벗었을 때 발목부의 조임 자국이 남지 않으며, 발목부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패션 아이템으로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덧신형 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덧신형 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은 발바닥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와 접합되며, 발등부, 발측부 및 발목부를 덮을 수 있는 폭을 갖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발이 끼워지는 개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면, 한지 및 에어매쉬가 6 : 3 : 1의 비율로 혼합된 직물이 이중으로 구성되며, 상기 덮개부는 폴리에스테르, 스판 및 망사 또는 레이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5 : 3 : 2의 비율로 혼합되어, 발목부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고, 상기 개구부는 가장자리의 안쪽 일부에 부착되는 신축가능하도록 제작된 핫멜트를 덮개부가 얇게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부와 덮개부를 접합시키기 위해 박음질하되, 탄성을 주기 위해 혼합사에 고무사를 추가하여 봉제선이 탄성을 형성하며,
덧신형 양말의 바닥부를 면, 한지 및 에어매쉬가 6 : 3 : 1의 비율로 혼합된 직물을 이중으로 구성한 뒤 재단하는 단계; 발등부, 발측부 및 발목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폴리에스테르, 스판 및 망사 또는 레이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5 : 3 : 2의 비율로 혼합되어, 탄성을 갖는 섬유로 이루어진 씨실과 날실이 격자형태로 직조되되, 날실이 한 올씩 건너뛰어 직조되어, 발목부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한 덮개부를 재단하는 단계; 종이층, 핫멜트층, 폴리우레탄층, 핫멜트층, 종이층으로 구성된 핫멜트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핫멜트의 하부 종이층을 제거하여 접착성이 있는 핫멜트층을 상기 덧신형 양말의 개구부가 형성될 부분인 덮개부의 안쪽 가장자리 일부에 고정한 뒤 다리미로 열과 압력을 전달하여 부착시키고, 상기 핫멜트의 상부 종이층을 제거한 뒤 상기 덮개부 안쪽의 가장자리를 상기 핫멜트의 폭만큼 하부로 접어 열프레스 롤러로 눌림처리하여 고정시켜, 상기 덮개부가 상기 핫멜트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개구부를 마감처리하는 단계; 상기 덮개부의 하부 가장자리를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와 박음질하되, 탄성을 주기 위해 아크릴 스판사 또는 폴리에스테르 스판사로 구성된 혼합사에 고무사를 추가하여 봉제선이 탄성을 형성하도록 접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덧신형 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 {Outer socks-typed sock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덧신형 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덮개부를 폴리에스테르, 스판 및 망사 또는 레이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함으로써 발목부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고, 바닥부를 면, 한지 및 에어매쉬가 혼합된 직물을 이중으로 구성함으로써 통기성 및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개구부를 핫멜트로 마감처리하고, 탄성이 있는 봉제선을 형성하도록 양말을 덧신형으로 제조함으로써, 발목부가 조이지 않아 더욱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고, 양말을 벗었을 때 발목부의 조임 자국이 남지 않으며, 발목부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패션 아이템으로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덧신형 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은 인체의 균형을 유지하고 체중을 지지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신체 부위로 수많은 혈관과 신경이 지나는 곳으로 원활한 혈액의 순환을 위해서는 적당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을 보호 및 보온하기 위한 수단으로 양말이나 스타킹 또는 덧버선 등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양말은 대부분 종아리까지 이르는 길이를 가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발을 집어넣게 되는 입구 부분에 신축성 있는 밴드가 형성되어 흘러내리지 않게 형성된 것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양말은 발목부의 길이 조절이 어려워, 재단된 길이만큼 항상 일정한 길이로 착용해야하고, 길이를 조절하고자 발목부를 접는 경우 심미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개인마다 발 및 발목의 크기가 다른데 발목부가 조이는 경우 착용 시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양말을 벗었을 때 발목부의 조임 자국이 남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4072호(2014.08.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덮개부를 폴리에스테르, 스판 및 망사 또는 레이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함으로써 발목부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고, 바닥부를 면, 한지 및 에어매쉬가 혼합된 직물을 이중으로 구성함으로써 통기성 및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개구부를 핫멜트로 마감처리하고, 탄성이 있는 봉제선을 형성하도록 양말을 덧신형으로 제조함으로써, 발목부가 조이지 않아 더욱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고, 양말을 벗었을 때 발목부의 조임 자국이 남지 않으며, 발목부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패션 아이템으로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덧신형 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덧신형 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은 발바닥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와 접합되며, 발등부, 발측부 및 발목부를 덮을 수 있는 폭을 갖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발이 끼워지는 개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면, 한지 및 에어매쉬가 6 : 3 : 1의 비율로 혼합된 직물이 이중으로 구성되며, 상기 덮개부는 폴리에스테르, 스판 및 망사 또는 레이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5 : 3 : 2의 비율로 혼합되어, 발목부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고, 상기 개구부는 가장자리의 안쪽 일부에 부착되는 신축가능하도록 제작된 핫멜트를 덮개부가 얇게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부와 덮개부를 접합시키기 위해 박음질하되, 탄성을 주기 위해 혼합사에 고무사를 추가하여 봉제선이 탄성을 형성하며,
덧신형 양말의 바닥부를 면, 한지 및 에어매쉬가 6 : 3 : 1의 비율로 혼합된 직물을 이중으로 구성한 뒤 재단하는 단계; 발등부, 발측부 및 발목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폴리에스테르, 스판 및 망사 또는 레이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5 : 3 : 2의 비율로 혼합되어, 탄성을 갖는 섬유로 이루어진 씨실과 날실이 격자형태로 직조되되, 날실이 한 올씩 건너뛰어 직조되어, 발목부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한 덮개부를 재단하는 단계; 종이층, 핫멜트층, 폴리우레탄층, 핫멜트층, 종이층으로 구성된 핫멜트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핫멜트의 하부 종이층을 제거하여 접착성이 있는 핫멜트층을 상기 덧신형 양말의 개구부가 형성될 부분인 덮개부의 안쪽 가장자리 일부에 고정한 뒤 다리미로 열과 압력을 전달하여 부착시키고, 상기 핫멜트의 상부 종이층을 제거한 뒤 상기 덮개부 안쪽의 가장자리를 상기 핫멜트의 폭만큼 하부로 접어 열프레스 롤러로 눌림처리하여 고정시켜, 상기 덮개부가 상기 핫멜트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개구부를 마감처리하는 단계; 상기 덮개부의 하부 가장자리를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와 박음질하되, 탄성을 주기 위해 아크릴 스판사 또는 폴리에스테르 스판사로 구성된 혼합사에 고무사를 추가하여 봉제선이 탄성을 형성하도록 접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덧신형 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은 덮개부를 폴리에스테르, 스판 및 망사 또는 레이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함으로써 발목부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여 개인마다 발 및 발목의 크기가 달라도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목부가 조이지 않아 더욱더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고, 양말을 벗었을 때 발목부의 조임 자국이 남지 않으며, 발목부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패션 아이템으로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닥부를 면, 한지 및 에어매쉬가 혼합된 직물을 이중으로 구성함으로써 통기성 및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구부를 핫멜트로 마감처리함으로써, 상기 발목부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되, 발목부를 조이지 않으면서 발목부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이 있는 봉제선을 형성하여, 종래 발가락에 긁히여 봉제선이 터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아울러 봉제선이 터지는 부분이 아닌 탄성을 형성하여 착용감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덧신형 양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덧신형 양말을 나타내는 분해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덧신형 양말을 나타내는 도 1의 A-A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덧신형 양말을 나타내는 도 3의 B-B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덧신형 양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덧신형 양말을 나타내는 사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덧신형 양말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덧신형 양말은 발바닥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바닥부(10); 상기 바닥부(10)의 가장자리와 접합되며, 발등부, 발측부 및 발목부를 덮을 수 있는 폭을 갖는 덮개부(20); 상기 덮개부(20)의 상부에 형성되어 발이 끼워지는 개구부(30); 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10)는 발바닥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갖아 착용자가 덧신을 신었을 때, 착용자의 발이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이때 상기 바닥부(10)는 면, 한지 및 에어매쉬가 6 : 3 : 1의 비율로 혼합된 직물이 이중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한지를 함유함으로써 아토피성 피부염의 원인 물질이 활성화하는 것을 막고, 질병에 대한 면역력을 높이고, 특히 전염성 질환의 주원인인 황색 포도사상균과 폐렴구균이 거의 멸균되는 천연 항균성을 가지며, 악취의 제거효율이 탁월하여 발냄새를 없애 주어 편리하게 사용되며, 면보다 흡습성이 3~5배 우수하고, 건조성 또한 2배 이상 빨라 착용감이 탁월하고,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체내의 노폐물의 배출이 원활하고, 과다한 습기를 흡수하고 건조시에는 습기를 뱉어내는 습도 조절력이 탁월하고, 섬유 사이에 적당한 공간을 유지하여 통기성이 원활하고, 천년이 지나도 본래의 모습을 유지하며 화학적으로도 안정성을 유지하며,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여 열적 효율성이 높은 한지의 효능을 제공하여, 덧신을 착용하는 착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한지의 비율이 높아지면 신축성이 저하되고, 한지의 비율이 낮아지면 한지의 효과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면, 한지 및 에어매쉬를 6 : 3 : 1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바닥부(10)를 이중으로 구성함으로써 덧신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에어매쉬는 에어매쉬 외에도 푹신한 소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로써 상기 바닥부(10)에 쿠션감을 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10)는 하부에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바닥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바닥코팅층은 실리콘 고무, 천연고무 및 합성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부(10) 하부 전체면에 형성되어, 외부 이물질이 양말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행 시 모래나 딱딱한 이물질에 의하여 발바닥에 느껴지는 통증을 완화하며,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 덮개부(20)는 탄성을 갖도록 폴리에스테르 및 스판을 포함하되, 망사 또는 레이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스판 및 망사 또는 레이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5 : 3 : 2의 비율로 혼합되어, 폴리에스테르, 스판 및 망사 또는 폴리에스테르, 스판 및 레이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발목부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여 개인마다 발 및 발목의 크기가 달라도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목부가 조이지 않아 더욱더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고, 양말을 벗었을 때 발목부의 조임 자국이 남지 않으며, 발목부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패션 아이템으로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탄성을 갖는 섬유로 이루어진 씨실과 날실로 직조되고, 상기 씨실과 날실은 격자형태로 직조되되, 날실이 한 올씩 건너뛰어 직조되는 것으서, 자연스럽게 덮개부(20) 전체에 통기홀이 형성되어 우수한 통기성을 가지므로 발에 땀이 나도 땀의 배출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덮개부(20)의 내측면 즉, 발과 접촉되는 면은 씨실이 조밀하게 배열되어 이물감이 없고, 날실은 덮개부(20)의 외측면에 직조됨에 따라 더욱 우수한 착용감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개구부(30)는 가장자리의 안쪽 일부에 부착되는 신축가능하도록 제작된 핫멜트(40)를 덮개부(20)가 얇게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종이층, 핫멜트층, 폴리우레탄층, 핫멜트층, 종이층으로 구성된 핫멜트(40)의 하부 종이층을 제거하여 접착성이 있는 핫멜트층을 상기 개구부(30)의 안쪽 가장자리 일부에 고정한 뒤 다리미로 열과 압력을 전달하여 부착시키고, 상기 핫멜트(40)의 상부 종이층을 제거한 뒤 상기 덮개부(20) 안쪽의 가장자리를 상기 핫멜트(40)의 폭만큼 하부로 접어 열프레스 롤러로 눌림처리하여 고정시켜, 상기 덮개부(20)가 상기 핫멜트(40)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개구부(30)를 마감처리한다. 이로써 상기 발목부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되, 발목부를 조이지 않으면서 발목부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바닥부(10)와 덮개부(20)를 접합시키기 위해 박음질하되, 탄성을 주기 위해 혼합사에 고무사를 추가하여 봉제선이 탄성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혼합사는 탄성이 있는 아크릴 스판사 또는 폴리에스테르 스판사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이 있는 혼합사에 고무사를 추가함으로써 탄성을 더욱 증진시켜, 봉제선이 증진된 탄성을 형성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발가락에 긁히여 봉제선이 터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아울러 봉제선이 터지는 부분이 아닌 탄성을 형성하여 착용감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덧신형 양말의 제조방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덧신형 양말의 바닥부(10)를 면, 한지 및 에어매쉬가 6 : 3 : 1의 비율로 혼합된 직물을 이중으로 구성한 뒤 재단한다.
다음으로 발등부, 발측부 및 발목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폴리에스테르 및 스판을 포함하되, 망사 또는 레이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여, 상기 폴리에스테르, 스판 및 망사 또는 레이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5 : 3 : 2의 비율로 혼합되어, 탄성을 갖는 섬유로 이루어진 씨실과 날실이 격자형태로 직조되되, 날실이 한 올씩 건너뛰어 직조되어, 발목부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한 덮개부(20)를 재단한다.
다음으로 종이층, 핫멜트층, 폴리우레탄층, 핫멜트층, 종이층으로 구성된 핫멜트(40)를 제작한다.
다음으로 상기 핫멜트(40)의 하부 종이층을 제거하여 접착성이 있는 핫멜트층을 상기 덧신형 양말의 개구부(30)가 형성될 부분인 덮개부(20)의 안쪽 가장자리 일부에 고정한 뒤 다리미로 열과 압력을 전달하여 부착시키고, 상기 핫멜트(40)의 상부 종이층을 제거한 뒤 상기 덮개부(20) 안쪽의 가장자리를 상기 핫멜트(40)의 폭만큼 하부로 접어 열프레스 롤러로 눌림처리하여 고정시켜, 상기 덮개부(20)가 상기 핫멜트(40)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개구부(30)를 마감처리한다.
다음으로 상기 덮개부(20)의 하부 가장자리를 상기 바닥부(10)의 가장자리와 박음질하되, 탄성을 주기 위해 아크릴 스판사 또는 폴리에스테르 스판사로 구성된 혼합사에 고무사를 추가하여 봉제선이 탄성을 형성하도록 접합시킨다.
이로써 덮개부(20)를 폴리에스테르, 스판 및 망사 또는 레이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함으로써 발목부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고, 바닥부(10)를 면, 한지 및 에어매쉬가 혼합된 직물을 이중으로 구성함으로써 통기성 및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개구부(30)를 핫멜트(40)로 마감처리하고, 탄성이 있는 봉제선을 형성하도록 양말을 덧신형으로 제조함으로써, 발목부가 조이지 않아 더욱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고, 양말을 벗었을 때 발목부의 조임 자국이 남지 않으며, 발목부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패션 아이템으로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덧신형 양말을 제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10 : 바닥부
20 : 덮개부
30 : 개구부
40 : 핫멜트

Claims (5)

  1. 발바닥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바닥부(10);

    상기 바닥부(10)의 가장자리와 접합되며, 발등부, 발측부 및 발목부를 덮을 수 있는 폭을 갖는 덮개부(20);

    상기 덮개부(20)의 상부에 형성되어 발이 끼워지는 개구부(30); 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10)는 면, 한지 및 에어매쉬가 6 : 3 : 1의 비율로 혼합된 직물이 이중으로 구성되며,

    상기 덮개부(20)는 폴리에스테르 및 스판을 포함하되, 망사 또는 레이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스판 및 망사 또는 레이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5 : 3 : 2의 비율로 혼합되어, 발목부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고,

    상기 개구부(30)는 가장자리의 안쪽 일부에 부착되는 신축가능하도록 제작된 핫멜트(40)를 덮개부(20)가 얇게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부(10)와 덮개부(20)를 접합시키기 위해 박음질하되, 탄성을 주기 위해 혼합사에 고무사를 추가하여 봉제선이 탄성을 형성하는 덧신형 양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20)는,
    탄성을 갖는 섬유로 이루어진 씨실과 날실로 직조되고, 상기 씨실과 날실은 격자형태로 직조되되, 날실이 한 올씩 건너뛰어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신형 양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30)는,
    종이층, 핫멜트층, 폴리우레탄층, 핫멜트층, 종이층으로 구성된 핫멜트(40)의 하부 종이층을 제거하여 접착성이 있는 핫멜트층을 상기 개구부(30)의 안쪽 가장자리 일부에 고정한 뒤 다리미로 열과 압력을 전달하여 부착시키고, 상기 핫멜트(40)의 상부 종이층을 제거한 뒤 상기 덮개부(20) 안쪽의 가장자리를 상기 핫멜트(40)의 폭만큼 하부로 접어 열프레스 롤러로 눌림처리하여 고정시켜, 상기 덮개부(20)가 상기 핫멜트(40)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개구부(30)를 마감처리하는 덧신형 양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사는,
    탄성이 있는 아크릴 스판사 또는 폴리에스테르 스판사로 구성되는 덧신형 양말.
  5. 덧신형 양말의 바닥부(10)를 면, 한지 및 에어매쉬가 6 : 3 : 1의 비율로 혼합된 직물을 이중으로 구성한 뒤 재단하는 단계(S10);

    발등부, 발측부 및 발목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폴리에스테르 및 스판을 포함하되, 망사 또는 레이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여, 상기 폴리에스테르, 스판 및 망사 또는 레이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5 : 3 : 2의 비율로 혼합되어, 탄성을 갖는 섬유로 이루어진 씨실과 날실이 격자형태로 직조되되, 날실이 한 올씩 건너뛰어 직조되어, 발목부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한 덮개부(20)를 재단하는 단계(S20);

    종이층, 핫멜트층, 폴리우레탄층, 핫멜트층, 종이층으로 구성된 핫멜트(40)를 제작하는 단계(S30);

    상기 핫멜트(40)의 하부 종이층을 제거하여 접착성이 있는 핫멜트층을 상기 덧신형 양말의 개구부(30)가 형성될 부분인 덮개부(20)의 안쪽 가장자리 일부에 고정한 뒤 다리미로 열과 압력을 전달하여 부착시키고, 상기 핫멜트(40)의 상부 종이층을 제거한 뒤 상기 덮개부(20) 안쪽의 가장자리를 상기 핫멜트(40)의 폭만큼 하부로 접어 열프레스 롤러로 눌림처리하여 고정시켜, 상기 덮개부(20)가 상기 핫멜트(40)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개구부(30)를 마감처리하는 단계(S40);

    상기 덮개부(20)의 하부 가장자리를 상기 바닥부(10)의 가장자리와 박음질하되, 탄성을 주기 위해 아크릴 스판사 또는 폴리에스테르 스판사로 구성된 혼합사에 고무사를 추가하여 봉제선이 탄성을 형성하도록 접합시키는 단계(S50); 를 포함하는 덧신형 양말의 제조방법.
KR1020150079843A 2015-06-05 2015-06-05 덧신형 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143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843A KR20160143313A (ko) 2015-06-05 2015-06-05 덧신형 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843A KR20160143313A (ko) 2015-06-05 2015-06-05 덧신형 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313A true KR20160143313A (ko) 2016-12-14

Family

ID=57575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843A KR20160143313A (ko) 2015-06-05 2015-06-05 덧신형 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331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728B1 (ko) * 2016-12-29 2018-07-06 고미화 가벼운 착용감을 가진 남성용 덧버선의 제조방법
KR101875726B1 (ko) * 2016-12-29 2018-07-06 고미화 밀림이 방지되어 착용감이 개선된 덧버선의 제조방법
KR101977403B1 (ko) * 2017-12-12 2019-05-10 고미화 무봉제 토시 및 그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072Y1 (ko) 2014-05-16 2014-08-21 이인성 양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072Y1 (ko) 2014-05-16 2014-08-21 이인성 양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728B1 (ko) * 2016-12-29 2018-07-06 고미화 가벼운 착용감을 가진 남성용 덧버선의 제조방법
KR101875726B1 (ko) * 2016-12-29 2018-07-06 고미화 밀림이 방지되어 착용감이 개선된 덧버선의 제조방법
KR101977403B1 (ko) * 2017-12-12 2019-05-10 고미화 무봉제 토시 및 그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38263B (zh) 无鞋带的鞋
US20080034479A1 (en) Sheer Hosiery
KR101726297B1 (ko) 착용감이 우수하고 봉제를 최소화한 덧버선 및 이의 제조방법
US11324263B2 (en) Fishing wader with breathable stocking foot bootie
US20090277042A1 (en) Shoe pad
TWM451012U (zh) 編織鞋
JP2010185161A (ja) 足首部クッションを有するガー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143313A (ko) 덧신형 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
CN109219362B (zh) 鞋面
US20230371650A1 (en) Shoe
US20190380440A1 (en) Laceless shoe
KR101260656B1 (ko) 통기홀이 형성된 탄성실리콘밴드가 구비된 덧버선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143311A (ko) 양말형 덧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93935B1 (ko) 운동용 덧신 및 그 제조방법
JP5097065B2 (ja) 帽子
JP3165725U (ja) 足カバー
KR101552570B1 (ko) 기능성 발가락 스타킹 및 그 제조방법
JP2014233586A (ja) 蒸れ防止機能付き中敷及びそれを備えた靴及びスリッパ
US11930870B2 (en) Multi-layered reversible wicking and absorbing sweatband,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s
KR20180089092A (ko) 복합기능을 갖는 발가락 양말
KR101400381B1 (ko) 보온용 덧버선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003597U (ko) 신발 깔창
KR200438931Y1 (ko) 기능성 실내화
KR200486712Y1 (ko) 바닥 통기부 슬림 마감 구조를 갖는 덧신 양말
KR200354604Y1 (ko) 패드형 양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