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072Y1 - 양말 - Google Patents

양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072Y1
KR200474072Y1 KR2020140003786U KR20140003786U KR200474072Y1 KR 200474072 Y1 KR200474072 Y1 KR 200474072Y1 KR 2020140003786 U KR2020140003786 U KR 2020140003786U KR 20140003786 U KR20140003786 U KR 20140003786U KR 200474072 Y1 KR200474072 Y1 KR 2004740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sock
end portion
sk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7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성
Original Assignee
이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성 filed Critical 이인성
Priority to KR20201400037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0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0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0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1Seam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8Gussets, e.g. pouches or heel or toe por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500/00Materials for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500/10Knit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말은 발이 진입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와 연통하는 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에 진입한 발가락을 덮는 전단부, 발등을 덮는 상단부 및 발바닥을 덮는 하단부로 구성되고, 상기 전단부와 상단부의 경계면에 위치하는 봉제 시접선을 포함하며, 상기 봉제 시접선은 상단부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결합 봉제하여 공간부의 반대편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피부와 접촉하는 공간부에는 시접이 없게 하여 피부자극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피부가 약한 아가용 양말의 경우, 피부질환 등을 예방할 수 있는 등이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Description

양말{Socks}
본 고안은 양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과 관련된 양말은 (특허문헌 1)에서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종래의 양말은 환편기를 이용하여 양말의 목 부분부터 원형으로 편직하면서 양말의 앞 부분까지 편직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양말을 제조하면, 필연적으로 상기 양말의 앞 부분이 개봉된 일종의 홀(Hole)이 형성된 상태로 편직이 종료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개봉된 양말의 앞 부분을 봉제기계에서 봉제처리하는 과정을 거치고 있다.
여기서 이러한 양말의 봉제처리를 하게 되면, 봉제선이 발가락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생성되고, 상기 봉제선이 생성된 양말을 신은 다음 구두나 등산화와 같이 발에 꼭 맞는 신발을 신을 경우, 봉제선이 발가락을 누르게 되어 도보 및 달릴 때 발가락에 통증이 발생하여 매우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은 봉제선이 없는 양말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양말을 개시하고 있다.
KR 2011-129021 A JP 2008-303475 A
본 고안은 (특허문헌 1)에서 문제점으로 개시하고 있듯이, 양말의 내측(안쪽)으로 돌출된 봉제선이 양말의 착용시 발가락 및 발등 부분의 피부에 닿아 자극을 유발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하고 있다.
본 고안의 관점은, 착용시 감촉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양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말은 발이 진입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와 연통하는 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에 진입한 발가락을 덮는 전단부, 발등을 덮는 상단부 및 발바닥을 덮는 하단부로 구성되고, 상기 전단부와 상단부의 경계면에 위치하는 봉제 시접선;
을 포함하며,
상기 봉제 시접선은 상단부의 외측(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결합 봉제하여 공간부의 반대편에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말에 있어서, 상기 전단부, 상단부 및 하단부는 동일한 원단을 사용하여 편직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말에 있어서, 상기 원단의 보색, 은사 또는 형광색 봉사를 사용하여 봉제 시접선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말에 있어서, 상기 봉제 시접선에 원단과 다른 재질의 원단을 추가하여 장식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봉제 시접선이 양말의 외측(바깥쪽)에 위치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피부와 접촉하는 공간부에는 이음선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피부자극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피부가 약한 아가용 양말의 경우,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봉제 시접선을 형성하는 봉사로 원단의 보색, 은사 또는 형광색 봉사를 사용함으로써, 미감의 향상과 봉탈 발견 용이성에 따른 봉탈 불량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추가적인 효과로써, 양말의 원단과 다른 재질인 레이스, 펠트 원단 등을 장식으로 사용함으로써, 패션 디자인의 확장성을 추구할 수 있어 판매를 증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말을 나타내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양말을 뒤집어서 나타내 보인 분해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양말을 봉제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양말의 봉제 시접선을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본 고안의 특이성 및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 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말은 착용시 발가락과 발등 사이에 위치하는 봉제선, 즉 봉제 시접선이 양말의 내측(안쪽)으로 돌출되어 발가락 및 발등의 피부에 닿아 자극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일반적으로 양말의 편직이 완료되면, 발가락을 덮는 전단부와 발등을 덮는 상단부는 봉제결합이 되지 않은 상태로 편직 공정이 끝나게 된다. 이후 별도의 코 봉조 기기를 사용하여 결합 봉제를 하여 완성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양말 내측(안쪽)에 두터운 봉제 시접선이 둑 모양으로 돌출되도록 봉제를 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봉제시 형성되는 봉제 시접선이 착용하는 사람의 발가락 및 발등의 피부를 자극하여 불편함을 야기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말은 발상을 전환하여 봉제 시접선이 양말의 외측(바깥쪽)으로 위치하도록 봉제하여 상대적으로 안쪽의 피부와 접촉하는 면에는 시접이 없게, 즉 이음선을 매끄럽게 처리함으로써, 피부자극을 줄일 수 있게 되며, 이는 피부가 약한 아가용 양말에 적용시 효과가 크다.
즉 성인은 봉제 시접선에 의한 피부자극이 발생하더라도 착용시 감촉의 저하 정도만이 발생하는데 반해, 피부가 약한 아가의 경우에는 상기 봉제 시접선에 의한 피부질환 등을 추가로 유발할 수 있어 아가용 양말에 있어서, 피부와 닿는 내측(안쪽)이 아닌 봉제 시접선을 외측(바깥쪽)으로 돌출시켜 형성할 경우, 큰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4에서 보듯이, 본 고안의 양말(1)은 발이 진입하는 개구부(10)가 도면상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0)의 반대편에 발가락을 덮는 전단부(11)가 형성된다. 그리고 개구부(10)와 전단부(11)를 연결하는 상단부(12) 및 하단부(13)가 형성되어 각각 발등과 발바닥을 덮게 되며, 상기 전단부(11), 상단부(12) 및 하단부(13)의 내부에 상기 개구부(10)와 연통하는 공간부(14)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단부(11), 상단부(12) 및 하단부(13)는 동일한 원단을 사용하여 판직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양말(1)을 구성하는 것을 일 실시 예로 하게 된다.
즉 하나의 원단(1a)을 사용하여 착용자의 발목에 위치하는 개구부(10)부터 원형으로 편직하고, 상기 개구부(10)에서 라운드를 이루면서 상단부(12) 및 하단부(13)를 편직한 후 다시 라운드를 이루면서 전단부(11)까지 편직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편직이 완료되면, 필연적으로 상단부(12)와 전단부(11) 사이의 경계면(11a)(12a)은 벌어진 상태(개봉)로 있는데, 이렇게 개봉된 경계면(11a)(12a)을 인접시켜 봉제처리함으로써, 봉제 시접선(20)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봉제 시접선(20)을 형성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말(1)은 봉제 시접선(20)이 상단부(12)의 외측(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즉 공간부(14)의 반대편에 형성되도록 상기 상단부(12)의 외측(바깥쪽)에서 결합 봉제 처리하게 되며, 이로 인해 발가락 및 발등의 피부와 직접 닿는 이음선(21)은 매끄럽게 처리되어 양말(1)의 착용시 감촉의 저하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봉제 시접선(20)은 지금까지 설명한 전단부(11), 상단부(12) 및 하단부(13)가 일체로 형성된 양말(1)은 물론이고, 서로 다른 원단(1a)을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판직 공정을 통해 형성된 후 봉제공정을 통해 결합한 구성에도 적용 가능하므로, 이를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봉제 시접선(20)은 봉사(20a)를 사용하여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봉사(20a)로써, 원단(1a)의 보색, 즉 양말(1)이 붉은색 원단을 사용하여 편직된 경우, 푸른색 봉사를 사용하거나, 이외에도 은사 또는 형광색 봉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양말(1)의 전체적인 미감향상과 함께, 봉탈 발견 용이성에 따른 봉탈 불량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봉제 시접선(20)에 봉사 외에 양말(1)의 원단과 다른 재질의 원단, 즉 일례로써, 레이스나 펠트 원단(미도시) 등을 추가로 사용하여 장식함으로써, 양말의 패션 디자인의 확장성을 추구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말(1)은 피부가 민감한 성인은 물론이고, 특별하기로는 피부가 약한 아가에게 착용시 피부자극을 현저하게 줄여 피부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아울러 양말(1)을 제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봉탈 관련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디자인으로의 추구도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양말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양말 1a - 원단
10 - 개구부 11 - 전단부
11a, 12a - 경계면 12 - 상단부
13 - 하단부 14 - 공간부
20 - 봉제 시접선 20a - 봉사
21 - 이음선

Claims (4)

  1. 발이 진입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와 연통하는 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에 진입한 발가락을 덮는 전단부, 발등을 덮는 상단부 및 발바닥을 덮는 하단부로 구성되고, 상기 전단부와 상단부의 경계면에 위치하는 봉제 시접선;
    을 포함하며,
    상기 봉제 시접선은 상단부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결합 봉제하여 공간부의 반대편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단부, 상단부 및 하단부는 동일한 원단을 사용하여 편직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원단의 보색, 은사 또는 형광색 봉사를 사용하여 봉제 시접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봉제 시접선에 원단과 다른 재질의 원단을 추가하여 장식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KR2020140003786U 2014-05-16 2014-05-16 양말 KR2004740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786U KR200474072Y1 (ko) 2014-05-16 2014-05-16 양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786U KR200474072Y1 (ko) 2014-05-16 2014-05-16 양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072Y1 true KR200474072Y1 (ko) 2014-08-21

Family

ID=51983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786U KR200474072Y1 (ko) 2014-05-16 2014-05-16 양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0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3313A (ko) 2015-06-05 2016-12-14 주식회사 제이패션 덧신형 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1604A (ja) 1999-09-06 2001-03-27 Kawamura Seni Kk 靴 下
JP2008303475A (ja) 2007-06-05 2008-12-18 Horihokku:Kk 靴下
KR20100113835A (ko) * 2009-04-14 2010-10-22 이승희 융착된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에 의하여 형성된 봉조라인을 구비한 양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29021A (ko) * 2010-05-25 2011-12-01 오석장 봉제선 없는 양말 및 이것에 대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1604A (ja) 1999-09-06 2001-03-27 Kawamura Seni Kk 靴 下
JP2008303475A (ja) 2007-06-05 2008-12-18 Horihokku:Kk 靴下
KR20100113835A (ko) * 2009-04-14 2010-10-22 이승희 융착된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에 의하여 형성된 봉조라인을 구비한 양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29021A (ko) * 2010-05-25 2011-12-01 오석장 봉제선 없는 양말 및 이것에 대한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3313A (ko) 2015-06-05 2016-12-14 주식회사 제이패션 덧신형 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5072B2 (ja) フットカバー
KR100832080B1 (ko) 하의와 허리고정밴드의 봉재 방법
KR100919969B1 (ko) 봉제선이 없는 덧신양말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덧신양말
KR200474072Y1 (ko) 양말
JP3161696U (ja) ソックス
JP6253257B2 (ja) フットカバー
JP2005307370A (ja) 靴下
JP6171130B2 (ja) 靴下
KR100384686B1 (ko) 덧버선 및 그의 편성방법
JP2017066565A (ja) 靴下及びその編成方法
CN206213400U (zh) 具有穿绕带体的鞋面结构
CN205456100U (zh) 具有按摩功能的袜子
KR101307130B1 (ko) 기능성 발가락 양말
KR20110010605U (ko) 양말
JP2014133952A (ja) フットカバー
JP3212239U (ja) 靴下
CN204070758U (zh) 一种舒适广场舞女鞋
CN2919916Y (zh) 一种足套
WO2021149721A1 (ja) 靴下
CN208783789U (zh) 袜子
CN203015847U (zh) 露指船袜
CN209498766U (zh) 一种护踝型一体针织袜鞋面
JP3199901U (ja) ソックス
JP2012019942A (ja) 脚部用アクセサリー
JP3218443U (ja) 靴下ストッキ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