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847U - 바닥 무봉제 덧버선 - Google Patents

바닥 무봉제 덧버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847U
KR20180000847U KR2020160005430U KR20160005430U KR20180000847U KR 20180000847 U KR20180000847 U KR 20180000847U KR 2020160005430 U KR2020160005430 U KR 2020160005430U KR 20160005430 U KR20160005430 U KR 20160005430U KR 20180000847 U KR20180000847 U KR 201800008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hole
arch
foot
bottle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4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657Y1 (ko
Inventor
박기수
Original Assignee
박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수 filed Critical 박기수
Priority to KR2020160005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657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8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8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6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6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3Hosiery with intermediate sections of different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1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0Stocking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5S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덧버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몸통이 전체적으로 원통형이며 상단에는 발등밴드가 그리고 하단에는 구멍밴드가 구비되고 몸통이 구멍밴드를 향해 수렴하도록 구멍밴드 둘레에 환상형의 병목부가 형성되어 착용 시 발등밴드가 발등과 발꿈치를 압박하고 구멍밴드가 발바닥의 아치 아래에서 구멍을 제공하면서 오므라들어서 신발을 신어도 벗겨지지 않으면서 통풍 및 발한이 되는 바닥 무봉제 덧버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닥 무봉제 덧버선{No sewing socks on the floor}
본 고안은 덧버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착용 시 아치 부분에 통풍 및 발한 효과가 탁월하고, 기존 덧버선의 바닥 봉제부로 인한 이물감, 배김 현상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벗겨짐이 방지될 수 있는 바닥 무봉제 덧버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덧버선은 여성들이 힐, 슈즈, 부츠 등의 신발을 착용할 때, 발등, 발가락, 뒤꿈치 등 신발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살갗을 신발의 마찰로부터 보호하여 상처 또는 물집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신발을 신기 전에 맨발에 착용하는 것이다.
또한, 덧버선은 상기와 같이 상처나 물집 발생을 방지함과 더불어 구두나 단화 착용 시 외부에 드러나지 않아 맵시 있게 단화를 신을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기존 덧버선은 발가락부터 뒤꿈치까지 바닥 부위 또는 발가락 위 부분에서 봉합선이 형성되어 착용감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뒤꿈치가 잘 벗겨지며 상기 봉합선을 박음질해야 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뒤꿈치가 잘 벗겨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특허문헌 1이 제안되었으며, 발의 앞꿈치에서부터 뒤꿈치까지 삽입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편직 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저면에 박음질되는 봉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봉제부는 앞꿈치로부터 뒤꿈치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연장되어 뒤꿈치가 삽입되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된 유선부가 일체로 이루어져 벗겨짐이 방지되는 덧버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덧버선은 바닥 봉제부로 인한 이물감, 배김 현상이 여전하며, 바닥의 경사부와 유선부에도 불구하고 반복 착용하면 편조직이 느슨해져 벗겨짐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1377031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착용시 발바닥의 아치 부분에 구멍을 갖는 구멍밴드를 형성하여 덧버선의 벗겨짐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한편, 기존 덧버선의 바닥 봉제선을 없애 이물감 및 배김 현상을 제거하는 동시에 통풍 및 발한 효과가 탁월한 바닥 무봉제 덧버선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몸통이 전체적으로 원통형이며 상단에는 발등밴드가 그리고 하단에는 구멍밴드가 구비되고 몸통이 구멍밴드를 향해 수렴하도록 구멍밴드 둘레에 환상형의 병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병목부의 둘레로부터 발바닥의 아치 양측을 따라 신축성 아치밀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발등밴드는 골조직이 늘어나는 니들쓰꾸이 방식으로 마감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바닥 무봉제 덧버선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밴드조직으로 환편하여 몸통의 상단에 발등밴드를 형성하는 제1단계; 무지조직으로 환편하여 발등밴드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몸통을 형성하는 제2단계; 몸통의 일부를 곱씹기조직으로 환편하여 아치밀착부를 형성하는 제3단계; 몸통의 폭이 오므라들도록 골조직으로 환편하여 환상형의 병목부를 형성하는 제4단계; 및 밴드조직으로 환편하여 몸통의 하단에 구멍밴드를 형성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등밴드를 접어서 골조직이 늘어나는 니들쓰꾸이 방식으로 마감처리하는 제6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바닥 무봉제 덧버선은
첫째, 구멍밴드, 병목부, 아치밀착부, 발등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덧버선이 발에 밀착되어 벗겨짐이 방지되며,
둘째, 발바닥에 봉제선이 형성되지 않고 구멍밴드가 발바닥의 아치 아래에 위치하게 되므로 배김이나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으며,
셋째, 구멍밴드에 의해 형성되는 구멍을 통해 통풍 및 발한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넷째, 발등밴드가 니들쓰꾸이 처리되어 착용 시 발등밴드를 반복적으로 늘리거나 당기더라도 찢어지는 등의 손상이 방지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덧버선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 무봉제 덧버선의 착용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 무봉제 덧버선의 착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 무봉제 덧버선의 예시적인 외관 사시도이고
도 5는 종래 덧버선의 싱커스꾸이 처리된 발등밴드 사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 무봉제 덧버선의 니들쓰꾸이 처리된 발등밴드 사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 무봉제 덧버선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닥 무봉제 덧버선(100)은 몸통(110)이 전체적으로 원통형이며 상단에는 발등밴드(120)가 그리고 하단에는 구멍밴드(130)가 구비되고 몸통(110)이 구멍밴드(130)를 향해 수렴하도록 구멍밴드(130) 둘레에 환상형의 병목부(1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닥 무봉제 덧버선(100)은, 몸통(110)이 전체적으로 원통형이라서 일반적으로는 몸통(110)의 상단을 통해 발가락부터 뒤꿈치의 순서로 발을 삽입하여 착용될 수 있는 원통형 덧버선이다. 몸통은 신축성이 우수한 스타킹의 무지조직[플레인(plain)조직이라고도 함]으로 편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바닥 무봉제 덧버선(100)의 상단에는 발등밴드(120)가 구비되어 덧버선(100)의 상단이 발등 아래로 흘러 내려가지 않도록 발등밴드(120)가 발등 둘레에서 몸통(110)을 잡아준다. 발등밴드(120)는 탄성사와 합성섬유를 혼직하여 탄력적인 밴드조직으로 편직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닥 무봉제 덧버선(100)의 하단에는 구멍밴드(130)가 구비되어 있어서, 덧버선(100)의 몸통(110) 또는 상단의 발등밴드(120)가 당겨 올려지면 구멍밴드(130)가 밴드의 원주 방향으로 신장되면서 이에 대응하여 구멍(135)의 중심을 향해 반탄력을 작용시키므로 발이 몸통(11O)의 하단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구멍밴드(130) 또한 탄성사와 합성섬유를 혼직하여 탄력적인 밴드조직으로 편직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구멍밴드(130)의 둘레에는 환상형의 병목부(150)가 형성되어 있어서 덧버섯(100)이 발바닥의 모양에 맞게 밀착될 수 있으며, 덧버선(100)의 몸통(110) 또는 상단의 발등밴드(120)가 당겨 올려지면 병목부(150)가 환상형의 원주 방향을 따라 팽창하면서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인장력을 원주 방향으로 분산시키므로 구멍밴드(130)만 형성되어 있을 때보다 발이 몸통(11O)의 하단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병목부(150)은 상부로 가해지는 인장력을 원주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환상형으로 펼쳐지는 골조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덧버선(특히 뒤꿈치)가 잘 벗겨지는 이유는 신발(특히 뒤꿈치)이 덧버선의 상단(특히 뒤꿈치 상단)을 짓눌러 밀어 내리기 때문이다. 만일 덧버선의 상단이 헐겁거나 몸통(110)이 발에 밀착되지 아니한 채 헐렁거리면 신발(특히 뒤꿈치)이 덧버선의 상단(특히 뒤꿈치 상단)을 짓눌러 밀어 내리고 이어서 발에 밀착되지 아니하여 헐렁거리는 덧버선의 몸통마저 밀려 내려 덧버선이 벗겨지는 지경에 이르게 된다.
종래 발목 아래 길이의 덧버선은 몸통이 밀려 내려가는 것을 막기 위해 덧버선의 뒤꿈치 내면에 실리콘밴드를 접착시켜 두어 덧버선의 뒤꿈치가 밀려 내려가지 않도록 도모하고 있으나, 덧버선을 반복하여 사용 및 세탁하게 되면 편조직이 느슨해지고 땀으로 인하여 덧버선이 눅눅해지면서 늘어지면 덧버선의 몸통이 발에 밀착되지 않고 헐렁거리게 되면서 실리콘밴드가 발 뒤꿈치 살갗에 들러붙지 않게 되므로 이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종래 발목 아래 길이의 덧버선이 잘 벗겨지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100)은, 몸통(110)을 신축성이 좋은 스타킹의 무지조직으로 편직하면서, 발가락과 발뒤꿈치를 중심으로 볼 때, 몸통(110) 상단의 발등밴드(120)가 몸통(110)의 상단을 발등 부위에서 붙잡아 주도록 하고, 몸통(110) 하단의 구멍밴드(130) 및 병목부(150)가 몸통(110)의 하단을 발바닥에서 붙잡아 주도록 하여 덧버선(100)이 발등, 발가락, 발볼, 발꿈치바닥에 걸쳐 밀착되게 하고 발바닥의 아치 아래에 놓이게 되는 덧버선 몸통(110) 하단의 구멍(135)을 통해 통풍 및 발한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여 덧버선(100)이 눅눅해지는 것을 막게 됨으로써 신발(특히 뒤꿈치)이 덧버선의 상단(특히 뒤꿈치 상단)을 짓눌러 밀어 내리더라도 덧버선(100)이 벗겨지지 않게 된다.
한편 종래의 덧버선은 하단을 봉제 마감하므로 하단에 형성된 봉제선(봉합선)이 이물감 또는 배김현상을 유발하므로 착용감이 떨어지거나 쉽게 피로감을 유발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100)은 발바닥에 봉제선을 형성하지 아니하고 몸통(110) 하단의 구멍밴드(130) 및 병목부(150)가 발바닥의 움푹 패인 아치 바로 아래에 놓이게 함으로써 종래 덧버선의 봉제선이 주는 이물감 또는 배김현상을 없애는 유리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사람마다 개인차가 있기는 하지만 발바닥에는 움푹 파인 아치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100)에는 발바닥의 아치부 아래에 놓이도록 구멍밴드(130) 및 병목부(150)가 형성되어 있는데, 아치가 많이 발달한 사람의 경우, 구멍밴드(130) 및 병목부(150)가 아치로부터 과도하게 들뜰 수 있으며 이 경우 덧버선(100)과 발의 밀착도가 떨어져서 벗겨짐 방지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덧버선(100)은 상기 병목부(150)의 둘레로부터 발바닥의 아치 양측을 따라 신축성 아치밀착부(140)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병목부로부터 발꿈치 바닥을 향해 아치의 양측을 따라 예컨대, 날개 모양의 신축성 아치밀착부가 형성되면 아치가 발달한 경우라 하더라도 구멍밴드(130) 및 병목부(150)가 아치 내부로 밀착되게 되어 과도한 들뜸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벗겨짐 방지 효과가 증대될 수 있으며, 아치 내부에서 구멍밴드(130) 및 병목부(150)가 밀착되지만 아치 내부는 발바닥 부위 중 하중이 집중되는 부위가 아니라서 이물감 또는 배김현상은 여전히 덜하게 된다. 아치의 양 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만 신축될 수 있도록 아치밀착부(140)는 곱씹기조직으로 편직될 수 있다.
덧버선의 경우 착용 시 위치 조정을 위해 또는 착용 중 흘러내린 덧버선을 고쳐 신기 위해 발등밴드(120)을 잡아 당겨 줄 필요가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덧버선의 경우, 밴드조직으로 직조된 몸통(110) 상단을 일정 간격 접은 후에 원사가 지그재그로 박음질되는 방식(소위 싱커스꾸이 방식)으로 상단에 공간이 형성되면서 원사가 지그재그로 박힌 채 마무리 처리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발등밴드(120)을 자주 또는 강하게 잡아당기면 지그재그로 박음질된 원사가 찢어지면서 싱커스꾸이 처리된 부위가 파손되는 일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참고로, 싱커스꾸이(쓰꾸이는 당 업계에 통용되는 일본식 용어로서 영어로는 메이크업이라고도 함)는 환편기의 상판에 삽입되어 있는 싱커가 밖으로 돌출하여 원사(실)을 걸어 편직하다가 마무리 부분에서 바늘이 싱커 사이로 들어가 싱커가 걸고 있던 원사를 벋기면서 편직하여 마무리하는 방법을 말한다.
한편, 몸통(110)이 신축성 탄성사로 편직되고, 발가락과 발뒤꿈치를 중심으로 볼 때, 몸통(110) 상단의 발등밴드(120)가 몸통(110)의 상단을 발등에서 붙잡아 주고, 몸통(110) 하단의 구멍밴드(130) 및 병목부(150)가 몸통(110)의 하단을 발바닥에서 붙잡아 주어 발 전체가 밀착되는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100)의 경우, 덧버선(100)을 올바른 위치로 착용하기 위해서는 발등밴드(120)를 잡아 당겨 덧버선(100)의 위치를 조정해 줄 필요가 있으므로 발등밴드(120)의 내구성이 더욱 중요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덧버선(100)은 발등밴드(120)가 골조직이 늘어나는 니들쓰꾸이 방식으로 마감처리되어 착용 시 발등밴드(120)를 반복적으로 당기더라도 발등밴드(120)가 파손되지 아니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니들쓰꾸이 방식이란, 본원 출원인이 개발한 방식으로서, 바늘이 원사를 잡고 편직하다가 마무리 부분에서 원사를 잡고 있던 바늘이 올라왔다 내려가면서 코를 벗김과 동시에 편직을 마무리하는 쓰꾸이 방식을 니들쓰꾸이 방식이라 명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덧버선(100)은 종래 덧버선에 적용된 바와 같이 뒤꿈치 내면에 실리콘밴드와 같은 벗겨짐방지부(160)가 보충적 또는 선택적으로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바닥 외면(하면)에 실리콘엠보와 같은 슬립방지부(170)가 선택적으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닥 무봉제 덧버선(100)을 제조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바닥 무봉제 덧버선(100)은, 밴드조직으로 환편하여 몸통의 상단에 발등밴드를 형성하는 제1단계; 무지조직으로 환편하여 발등밴드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몸통을 형성하는 제2단계; 몸통의 일부를 곱씹기조직으로 환편하여 아치밀착부를 형성하는 제3단계; 몸통의 폭이 오므라들도록 골조직으로 환편하여 환상형의 병목부를 형성하는 제4단계; 및 밴드조직으로 환편하여 몸통의 하단에 구멍밴드를 형성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바닥 무봉제 덧버선(100)은 통상적으로 양말 또는 스타킹 제조기계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나, 합성사를 조밀하고 신축성있게 편직할 수 있는 300 N(니들갯수) 이상의 스타킹 환편기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1단계(S100)는 밴드조직으로 환편하여 몸통(110)의 상단에 발등밴드(120)를 형성한다. 밴드조직은 고무사와 같은 탄성사와 합성섬유를 혼직하여 탄력적인 밴드조직을 형성할 수 있다.
제2단계(S200)는 무지조직으로 환편하여 발등밴드(120)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몸통(110)을 형성하는 단계로 착용시 발 전체를 감싸는 원통 형상의 몸통(110)을 형성한다. 신축성이 우수하게 스타킹의 1 : 1 무지조직 [플레인(plain)조직이라고도 함]으로 몸통(110)을 편직할 수 있다.
제3단계(S300)는 몸통(110)을 무지조직으로 환편하면서 발바닥의 아치가 위치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곱씹기조직으로 환편하여 아치밀착부(140)를 형성한다.
예컨대, 발바닥의 아치 형태에 맞도록 3D 입체방식으로 3코당 1코씩 곱씹으면서 곱씹기 조직을 환편할 수 있다.
제4단계(S400)는 몸통(110)의 폭이 오므라들도록 골조직으로 환편하여 환상형의 병목부(150)를 형성한다. 골조직(주름)을 3 : 1 조직으로 넣어 발에 착용시 덧버선의 여유분이 남지 않고 바닥에 밀착되도록 병목부(150)을 환상형으로 편직할 수 있다.
제5단계(S500)는 상기 병목부(150)의 끝부분을 밴드조직으로 환편하여 몸통(110)의 하단에 구멍밴드(130)를 형성한다. 제1단계(S100)과 유사하게, 고무사와 같은 탄성사와 합성섬유를 혼직하여 탄력적인 밴드조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바닥 무봉제 덧버선(100)은, 상기 발등밴드(120)를 접어서 골조직이 늘어나는 니들쓰꾸이 방식으로 마감처리하는 제6단계(S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늘이 원사를 잡고 편직하다가 마무리 부분에서 원사를 잡고 있던 바늘이 올라왔다 내려가면서 코를 벗김과 동시에 편직을 마무리하는 니들쓰꾸이 방식으로 편직함으로써 발등밴드(120) 또는 구멍밴드(130)의 밴드조직을 몸통(110)의 상단/하단 조직과 견고하게 연결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바닥 무봉제 덧버선(100)은, 구멍밴드(130)이 니들쓰꾸이 방식으로 마감처리된 후 끝단이 풀리지 않도록 곱씹기조직으로 마감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덧버선
110: 몸통
120: 발등밴드
130: 구멍밴드
135: 구멍
140: 아치밀착부
150: 병목부
160: 벗겨짐방지부
170: 슬립방지부
S100: 발등밴드 형성 단계
S200: 몸통 형성 단계
S300: 아치밀착부 형성 단계
S400: 병목부 형성 단계
S500: 구멍밴드 형성 단계
S600: 발등밴드를 니들쓰꾸이 방식으로 마감하는 단계

Claims (3)

  1. 몸통이 전체적으로 원통형이며 상단에는 발등밴드가 그리고 하단에는 구멍밴드가 구비되고 몸통이 구멍밴드를 향해 수렴하도록 구멍밴드 둘레에 환상형의 병목부가 형성되어
    착용 시 발등밴드가 발등과 발꿈치를 압박하고 구멍밴드가 발바닥의 아치 아래에서 구멍을 제공하면서 오므라들어서 신발을 신어도 벗겨지지 않으면서 통풍 및 발한이 되는 바닥 무봉제 덧버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병목부의 둘레로부터 발바닥의 아치 양측을 따라 신축성 아치밀착부가 더 형성되어,
    착용 시 구멍밴드 및 병목부가 발바닥의 아치로부터 들뜨지 않는 바닥 무봉제 덧버선.
  3. 청구항 2에 있어서,
    발등밴드는 골조직이 늘어나는 니들쓰꾸이 방식으로 마감처리되어
    착용 시 발등밴드를 반복적으로 당기더라도 발등밴드가 파손되지 아니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무봉제 덧버선.
KR2020160005430U 2016-09-19 2016-09-19 바닥 무봉제 덧버선 KR2004866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430U KR200486657Y1 (ko) 2016-09-19 2016-09-19 바닥 무봉제 덧버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430U KR200486657Y1 (ko) 2016-09-19 2016-09-19 바닥 무봉제 덧버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847U true KR20180000847U (ko) 2018-03-28
KR200486657Y1 KR200486657Y1 (ko) 2018-06-18

Family

ID=61801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430U KR200486657Y1 (ko) 2016-09-19 2016-09-19 바닥 무봉제 덧버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657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8108U (ja) * 1999-10-12 2000-04-28 河村繊維株式会社 ストッキング
KR200463500Y1 (ko) * 2012-06-05 2012-11-06 손동준 발목 밴드가 구비된 덧버선
KR200470277Y1 (ko) * 2012-06-27 2013-12-11 손동준 덧버선
KR101377031B1 (ko) 2013-06-13 2014-03-25 이상옥 덧신 및 그 제조방법
KR101463350B1 (ko) * 2013-08-14 2014-11-18 김신준 봉제선을 탄성으로 이용한 착용감을 살린 덧버선과 그 제조방법
KR20150127481A (ko) * 2014-05-07 2015-11-17 김신준 이음라인을 제거하고, 통풍구를 살린 숨쉬는 덧버선과 그 제작방법
JP2016069750A (ja) * 2014-09-30 2016-05-09 吉谷靴下株式会社 フットカバ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8108U (ja) * 1999-10-12 2000-04-28 河村繊維株式会社 ストッキング
KR200463500Y1 (ko) * 2012-06-05 2012-11-06 손동준 발목 밴드가 구비된 덧버선
KR200470277Y1 (ko) * 2012-06-27 2013-12-11 손동준 덧버선
KR101377031B1 (ko) 2013-06-13 2014-03-25 이상옥 덧신 및 그 제조방법
KR101463350B1 (ko) * 2013-08-14 2014-11-18 김신준 봉제선을 탄성으로 이용한 착용감을 살린 덧버선과 그 제조방법
KR20150127481A (ko) * 2014-05-07 2015-11-17 김신준 이음라인을 제거하고, 통풍구를 살린 숨쉬는 덧버선과 그 제작방법
JP2016069750A (ja) * 2014-09-30 2016-05-09 吉谷靴下株式会社 フットカ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657Y1 (ko) 201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9774B2 (ja) シューズ
JP5031311B2 (ja) フート・ウェア及びソックス
JP6803331B2 (ja) フットレットおよび該フットレットの製造方法
US11357267B2 (en) Method for producing an article of clothing and an article of clothing
US20160029704A1 (en) Outer socks
KR200474152Y1 (ko) 벗겨짐 방지용 덧버선
KR20170006877A (ko) 덧신양말
KR101988651B1 (ko) 실리콘사를 이용한 덧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81161Y1 (ko) 발등 대면적 개방형 무봉조 덧버선
JP6335072B2 (ja) フットカバー
JP2022140650A (ja) フットカバー
JP6407129B2 (ja) フットカバー
KR200486657Y1 (ko) 바닥 무봉제 덧버선
JP2006028648A (ja) 衣料
JP6253257B2 (ja) フットカバー
KR20180000082U (ko) 착용감이 우수한 덧버선
JPWO2006098042A1 (ja) 足部刺激健康具
KR20180001908A (ko) 발가락 덧버선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46087A (ko) 다기능 덧신양말 및 그 제조방법
KR101938672B1 (ko) 스타킹발목양말
JP3944686B2 (ja) 靴下
KR200487990Y1 (ko) 무봉조 덧버선
KR101615184B1 (ko) 벗겨짐 방지용 덧버선
JP3224804U (ja) 踵抜きフットカバー
US20200315288A1 (en) Legw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