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165B1 - 대상물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대상물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165B1
KR101462165B1 KR1020130055033A KR20130055033A KR101462165B1 KR 101462165 B1 KR101462165 B1 KR 101462165B1 KR 1020130055033 A KR1020130055033 A KR 1020130055033A KR 20130055033 A KR20130055033 A KR 20130055033A KR 101462165 B1 KR101462165 B1 KR 101462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unit
support
base
accommodation space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5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055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1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5/00Other 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1/00Safety devices, e.g. signalling or controlling devices for use in the discharge of co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하단부를 갖는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대상물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대상물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베이스와, 베이스 상부에 배치되어 대상물을 지지하고,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지지체 및 원위치에서 이탈되는 대상물이 수용공간으로 이송되도록, 베이스 상부에서 지지체 제1 면의 하측면에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처리기를 포함함으로써, 대상물이 원위치에서 이탈되더라도 대상물을 수용공간으로 이동시켜, 대상물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상물이 이송기의 이동경로 상으로 이탈되지 않고 이동경로의 외측에 형성된 수용공간으로 이동함으로써 안정적인 조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상물 이송 장치 {Object transfer unit}
본 발명은 대상물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상물이 원위치에서 이탈하는 경우, 대상물을 다른 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대상물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크스 건식 소화(Coke Dry Quenching; CDQ) 설비는 코크스 오븐에서 압출된 적열 코크스를 건식 방식으로 냉각시키는 설비이다. 적열 코크스는 코크스 오븐(cokes oven)의 여러 탄화실에 약 32톤 정도의 석탄을 장입하여, 대략 1400℃ 정도에서 18시간 정도 가열하여 건류시켜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적열 코크스는 코크스 오븐 탄화실의 도어 개방시에 진입되는 압출기 램에 의해 탄화실에서 그 반대편의 버켓(bucket)에 장입된다.
이때, 적열 코크스가 수용된 버켓은 전차(Loco)와 연결된 운반차(carriage car)에 탑재된 채 APS(Auto Position System)대기 위치로 이동된 후 크레인 설비에 의해 챔버 상단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적열코크스는 버켓으로부터 챔버로 배출되어 챔버 내에서 질소로 냉각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운반차는 APS 구간에서 정확한 위치에 정지한 뒤, 적열 코크스를 설비 내로 장입시키기 위한 자동화 공정을 수행하여야 적열코크스를 챔버에 안정적으로 불출할 수 있다.
이에 종래에는, 운반차를 정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해, 마그네틱 센서가 설치된 블록을 구비하는 센서부를 각각 운반차와 지상에 설치한다. 이에, 센서에 의해 운반차가 정위치에 정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운반차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때, 마그네틱 센서의 작동거리는 일반적으로 10 ~ 50mm이기 때문에, 운반차가 APS 대기 위치에 정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작동거리 내에 운반차가 정지되어야 한다.
그런데, 운반차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부의 블록은 운반차의 움직임에 의해 블록의 처짐이 발생하거나, 충격에 의한 블록의 변형이 발생하여 지상에 설치된 센서부와 충돌하여 블록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센서부가 기존에 설치된 위치에서 벗어나 이탈하는 경우, 운반차와의 충돌 가능성을 증가시켜 공정의 안정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블록의 파손에 의해 센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면, 전술한 자동화 공정이 이루어 지지 않아 조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챔버에 비주기적으로 적열코크스를 장입하게 되고, 이는 챔버 내에서 생성되는 각종 부산물의 편차가 발생되어 조업의 통일성을 감소시킨다.
이처럼, 조업지연 및 사고가 발생하면, 공정 설비의 효율성 및 생산성이 감소되고, 더욱이 조업이 지연되는 경우,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의 온도를 급격히 하락시키고 발전용 고압 보일러의 증기 생산이 중단됨으로써 터빈의 운전까지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에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의 챔버 내부의 내화물 수명이 단축되며, 보일러 튜브에 열 손상이 초래되어 설비의 유지보수가 요구된다.
KR 2012-0005281 A1
본 발명은 대상물이 타격물의 충돌힘에 의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는 대상물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조업 지연 및 조업 사고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는 대상물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안정적인 조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대상물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상물 이송 장치는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하단부를 갖는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대상물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고, 상기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지지체 및 원위치에서 이탈되는 대상물이 수용공간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베이스 상부에서 상기 지지체 제1 면의 하측면에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처리기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대상물을 이동을 가이드해주는 가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은 서로 상이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2 면에 비해 80 내지 90% 작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은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제1 면으로 갈수록 하부방향으로 굴곡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처리기는 상기 대상물이 이탈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롤러 및 상기 롤러들의 양단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롤러들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롤러는 상기 수용공간 측으로 갈수록 상기 롤러들의 상부를 연결한 선이 경사를 형성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에서의 상기 대상물의 이탈을 감지하여, 상기 처리기를 작동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대상물의 이송이 감지되면 상기 처리기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상기 대상물이 이동하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에는 상기 대상물의 진행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의 측면과 상기 스토퍼의 이격공간에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대상물은 적열코크스를 운반하는 운반차에 설치된 제1 센서부와 대향되고, 이송경로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2 센서부일 수 있다.
상기 대상물의 이동방향으로의 상기 수용공간의 폭은 상기 이동방향으로의 상기 수용홈의 폭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상물 이송 장치에 의하면, 타격물의 타격에 의해 원위치에 대상물이 이탈되는 경우, 대상물을 수용공간으로 이송시킴으로써, 타격물의 타격힘에 의해 대상물의 변형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적열코크스가 수용된 버켓을 운반하는 운반차에 장착된 제1 센서부가 자동 공정 대기 위치(APS 대기 위치) 지상에 설치된 제2 센서부에 충돌하면, 제2 센서부는 지지체로부터 이탈되어 처리기에 의해 수용공간으로 이동한다. 즉, 제2 센서부는 충돌함과 동시에 원위치로부터 이탈되기 때문에, 제2 센서부가 받는 타격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제2 센서부는 타격힘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탈되는 제2 센서부는 운반차의 이동경로 상으로 이탈되지 않고 이동경로 외측에 형성된 수용공간으로 이송된다. 이에, 종래에 제2 센서부가 운반차의 이동경로로 이탈될 경우 발생하는 조업 지연 및 조업 사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안정적인 조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로 버켓을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상물 이송 장치가 장착된 도 1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이송기의 제1 센서부의 변형 상태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상물 이송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대상물 이송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용홈 및 처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상물 이송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수용공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상물 이송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대상물 이송 장치는 원위치에 배치된 대상물에 타격물이 충돌하여 대상물이 원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대상물이 이송기의 경로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수용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코크스 오븐(coke oven)으로부터 압출한 적열 코크스가 수용된 버켓을 APS 대기 위치까지 이송하는 운반차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레일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타격물은 운반차에 설치된 제1 센서부일 수 있고, 대상물은 레일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2 센서부일 수 있다. 그러나, 대상물 이송 장치가 사용되는 곳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서 이탈되는 물체를 안정적인 공간 또는 이송기의 경로에 방해가 되지 않는 공간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곳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로 버켓을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상물 이송 장치가 장착된 도 1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이송기의 제1 센서부의 변형 상태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상물 이송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대상물 이송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용홈 및 처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상물 이송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수용공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대상물 이송 장치(300)의 설명에 앞서, 적열 코크스가 수용된 버켓의 이동경로를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코크스 오븐(미도시)에서 압출된 적열코크스는 운반차(30)에 탑재된 버켓(50)에 담기고, 운반차(30)의 전방에 연결되는 전차(10)에 의해 운반차(30)가 운반차 주행레일(20)을 따라 움직이며 버켓(50)은 적열코크스 장입을 위한 APS 대기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APS 구간에서 운반차(30)의 중간트럭(35)을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90) 쪽으로 진행되는 주행레일로 끌어당기게 되고, 중간트럭(35) 위에 설치된 버켓(50)도 함께 이동한다. 이후, 버켓(50)은 크레인(70)에 의해 권상되어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의 챔버 상부로 이동되고, 버켓(50)은 챔버 상단에 배치되어 내부에 수용된 적열 코크스를 챔버 내부로 장입시킨다. 이와 같은 순서를 통해 적열 코크스의 장입이 완료되면 버켓(50)은 상기 순서를 역순으로 진행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공정을 자동으로 실시하기 위해서 이송 초기에 버켓을 APS 대기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하는 것이 요구되고, 이에,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운반차(30)에는 제1 센서부(100)가 장착되고, APS 대기 위치의 지상 운반차 레일(20)의 측면에는 제2 센서부(200)가 장착된다. 이에, 제1 센서부(100)와 제2 센서부(200)의 감지신호를 통해, 운반차(30) 상의 중간대차(35)의 고정 또는 미고정을 판단한다. 또한, 제1 센서부(100)와 제2 센서부(200)의 감지를 통해 버켓(50)의 자동화 이송공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때, 제1 센서부(100)와 제2 센서부(200)와 같은 마그네틱 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한 중간대차 고정 및 운반차 작동순서는 통상적으로 센서 감지 신호에 의한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제1 센서부(100)와 제2 센서부(200)의 양측면에는 센서(110, 21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플레이트(170, 270)가 배치된다. 이때, 센서(110, 210)가 장착되는 블록(130, 230)에 처짐 및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제1 센서부(100)와 제2 센서부(200) 사이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소정의 이격거리가 형성된다. 이는, 마그네틱 센서의 작동범위 내의 이격거리를 갖고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운반차(30)에 장착되는 제1 센서부(100)의 블록(130)의 쳐짐이 발생하게 되면, 제1 센서부(100)의 보호 플레이트(170)가 제2 센서부(200)의 보호 플레이트(270)와 충돌하는(즉, 접촉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대상물 이송 장치(300)는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하단부를 갖는 제2 센서부(200)를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제2 센서부(200)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베이스(310)와, 베이스(310) 상부에 배치되어 제2 센서부(200)를 지지하고, 제2 센서부(200)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수용홈(331)을 형성하는 지지체(330) 및 원위치에서 이탈되는 대상물이 수용공간으로 이송되도록, 베이스(310) 상부에서 지지체(330)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2 센서부(200)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처리기(350)를 포함한다.
제2 센서부(200)는 블록(230)의 일측에 센서(210)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지지바(250)가 설치된다. 이때, 지지바(250)는 하단부가 반원의 형상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바(250)의 하단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310)는 지지바(250)의 하측에 이격되어 구비되고, 운반차(30)의 이동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는 플레이트(plate)로 구비된다. 베이스(310)는 상부에 지지체(330) 및 처리기(35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베이스(310)는 운반차의 이동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지지바(250)의 폭 W1과 동일하거나 큰 폭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330)는 베이스(310) 상에 설치되고, 지지바(250)의 하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331)을 형성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체(330)는 베이스(310)의 상부면으로부터 지지바(250)의 하단부까지 소정길이 연장 형성된다. 이때, 지지체(330)의 총 높이를 기준으로 50% 이상의 상부는 수용홈(331)을 형성하기 위해 증가된 두께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체(330)는 전체가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체(330)는 지지바(250)가 이탈되는 방향의 제1 면(332)과, 제1 면(332)과 대향하는 제2 면(334) 및 제1 면(332)과 제2 면(334)을 상호 연결하는 가이드면(336)을 포함한다.
수용홈(331)은 전술한 제2 센서부(200)의 지지바의 하단부를 수용하여 지지체(330)에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고, 제2 센서부(200)가 지지체(330)로부터 이탈할 때에, 처리기(350)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굴곡을 형성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홈(331)은 도 5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제2 면(334)에서 제1 면(332)으로 갈수록 하부 방향으로 굴곡을 형성하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수용홈(331)은 지지바(250)의 단면형상과 유사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바(250)의 하단부의 단면 형상이 변경되 경우, 수용홈(331)의 단면 형상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제1 면(332)은 제2 센서부(200)가 이탈하는 방향으로의 지지체(330)의 측면이며, 제2 센서부(200)를 처리기(350)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낮은 높이를 갖는다. 즉, 제1 면(332)은 수용홈(331) 하단으로부터 높이 h를 갖는데, 상기 높이는 수용홈(331)을 빠져나오는 제2 센서부(200)가 제1 센서부(100)의 충돌힘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를 갖는다.
제2 면(334)은 제1 면(332)과 대응되는 측면이며, 즉, 제2 센서부(200)가 이탈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의 지지체(330)의 측면이다. 이때, 지지바(250)의 하단부로부터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면(334)의 높이는 한정되지 않고, 지지바(250)의 하단부를 감싸며 지지할 수 있는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전술한 제1 면(332) 및 제2 면(334)은 각각 상이한 높이를 갖고 형성된다. 이때, 제1 면(332)은 앞서 설명한 것처럼 지지바(250)의 하단부로부터 높이 올라와 하단부를 감싸는 경우, 제2 센서부(200)가 이탈하는 것이 안정적이고,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제2 면(334)에 비해 80 내지 90% 작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80% 이하의 값으로 작게 형성되면, 제1 면(332)의 높이인 h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제2 센서부(200)가 제1 면(332)의 높이를 넘어서 처리기(350)로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제1 면(332)의 높이가 제2 면(334)에 비해 90% 이상의 값으로 작게 형성되면, 제1 면(332)이 지지바를 충분히 지지할 수 없기 때문에 공정 중 충돌 힘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제2 센서부(200)가 원위치를 이탈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면(332)과 제2 면(334)의 높이의 상관관계는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면(336)은 전술한 제1 면(332)과 제2 면(334)을 연결하고, 지지바(250)의 하측면의 일부를 감싸며 형성된다. 가이드면(336)은 제2 센서부(200)가 이탈하는 방향으로 지지바(250)를 안정적으로 가이드 해주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즉, 충돌에 의해 이탈하는 제2 센서부(200)가 지지체(330)로부터 안정적으로 이탈할 수 있도록 한다.
처리기(350)는 지지체(330)와 마찬가지로 베이스(3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제2 센서부(200)가 이탈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롤러(352) 및 롤러(352)들의 양단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354)을 구비한다.
프레임(354)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310)의 상부에서, 지지체(330)의 제1 면(332)의 하측면에 이격되어 구비된다. 이때, 프레임(354)은 제2 센서부(200)가 이동하는 위치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체(330)로부터 이탈되는 제2 센서부(200)를 수용하는 지점부터 수용공간(G)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354)은 도 4의 (b)에 도시된 것처럼, H의 높이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354)의 높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지체(330)의 제1 면(332)의 높이와 유사하게 형성되거나, 제1 면(332)의 높이보다는 높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352)는 이격되어 구비되는 프레임(354)의 안측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한 쌍의 프레임(354)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롤러(352)는 이격된 공간 내에서 한 쌍의 프레임(354)에서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양단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롤러(352)는 베이스(310)가 끝나는 지점(즉, 제2 센서부(200)의 이동방향 베이스 측면이 끝나는 지점)까지 다수개가 구비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된 처리기(350)에서 롤러(352)는 도 5의 (b)에 도시된 것처럼, 롤러(352)는 프레임(354)에 높낮이의 변화 없이 상호 이격되어 구비되며 롤러(352)의 상부를 연결하였을 때, L1과 같이 경사가 형성되지 않도록 장착될 수도 있고, 상기 도면 아래와 같이 수용공간(G) 측으로 갈수록 롤러(352)들의 상부를 연결하였을 때, L2와 같이 선이 경사를 형성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이때, 롤러(352)가 L2와 같이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선이 기울기를 형성하는 경우, 경사에 의해 제2 센서부(200)가 수용공간(G) 측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베이스(310)의 측면에는 처리기(350)에 의해 이동하는 제2 센서부(200)의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37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스토퍼(370)는 제2 센서부(20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베이스(310)의 측면에 구비되어, 제2 센서부(200)가 처리기(350)에 의해 스토퍼(370)에 의해 진행되지 않도록 막아줄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이때, 스토퍼(370)는 제2 센서부(200)가 넘어가지 않을 정도의 높이를 갖는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양단부가 베이스(310)측으로 꺾여 제2 센서부(200)가 이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베이스(310)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대상물 이송 장치(300)에는 전술한 처리기(3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제어기는 지지체(330)에서 제2 센서부(200)의 이탈을 감지하여, 처리기(350)를 작동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지지체(330)의 수용홈(331)에서 제2 센서부(200)의 지지바의 하단이 이탈된 것을 제어기가 감지하면, 제어기는 이탈된 제2 센서부(200)를 수용공간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처리기(350)의 롤러(352)를 회전시키기 위한 신호를 처리기(350)로 전달한다. 이에, 제어기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음으로써 롤러(352)는 수용공간 측으로 회전하며 제2 센서부(200)를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는 이탈된 제2 센서부(200)가 수용공간(G)에 이송된 것이 감지되면, 처리기(35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즉, 제2 센서부(200)의 이송이 완료된 후, 처리기(350)의 롤러(352)가 회전하는 것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대상물 이송 장치(300)에 의해 제2 센서부(200)가 이동하는 수용공간(G)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수용공간(G)은 지지체(330) 상에 배치된 제2 센서부(200)가 제1 센서부(100)에 의해 지지체(330)로부터 이탈되더라도 운반차의 이동경로 상으로 이탈되지 않고, 제2 센서부(20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다. 수용공간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310)와 스토퍼(370) 사이의 이격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용공간(G)은 베이스(310)와 스토퍼(370) 사이의 이격공간 전부가 수용공간(G)이 될 수 있다. 이때, 도 6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수용공간(G)은 제2 센서부(20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Wa 만큼의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용공간의 폭 Wa는 제2 센서부(200)에서 이동방향으로의 지지바(250)의 폭 W1과 동일하거나 W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용공간(G)의 폭 Wa는 지지바(250)가 수용되는 수용홈(331)의 이동방향으로의 폭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대상물 이송 장치(300)에 의해 제2 센서부(200)가 이동하는 수용공간(G)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수용공간(G)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310)와 스토퍼(370) 사이의 이격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용공간(G)은 베이스(310)와 스토퍼(370) 사이의 이격공간 전부가 수용공간(G)이 될 수 있다. 이때, 도 6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수용공간(G)은 제2 센서부(20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Wa 만큼의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용공간의 폭 Wa는 제2 센서부(200)에서 이동방향으로의 지지바(250)의 폭 W1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용공간(G)의 폭 Wa는 지지바(250)가 수용되는 수용홈(331)의 이동방향으로의 폭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대상물 이송 장치(300)에 의해 대상물이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상물 이송 장치에 의해 대상물이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 ~ (d)는 이동순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7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센서부(200)는 대상물 이송 장치(300)의 지지체(330) 상에 지지되어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지지체(330)의 수용홈(331)에 제2 센서부(200)의 지지바(250)의 하단부가 수용되어 지지된다.
이때, 운반차에 장착된 제1 센서부(100)의 블록이 쳐지거나 변형되면, 도 7의 (b) 및 (c)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센서부(100)가 제2 센서부(200)와 충돌한다. 이에, 제2 센서부(200)는 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되어 롤러(352) 상부에 안착된다.
이처럼, 제2 센서부(200)가 이탈되면 제어기는 제2 센서부(200)의 이탈을 감지하고, 제2 센서부(200)를 수용공간(G)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처리기(350)의 롤러(352)를 작동하기 위한 신호를 처리기(350)로 전달한다. 이에, 처리기(350)로 전달된 신호에 의해 롤러(352)는 수용공간 측으로(즉, 제2 센서부(200)의 이동방향쪽으로) 회전하며 제2 센서부(200)를 수용공간 측으로 이동시킨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수용공간으로 제2 센서부(200)가 이동하면, 베이스(310)의 측면에 구비된 스토퍼(370)에 의해 제2 센서부(200)의 이동은 완료되고, 제2 센서부(200)는 처리기(350)의 프레임(354)에 걸쳐지면서 수용공간에 수용된다. 이때, 수용공간에 제2 센서부(200)가 수용된 신호가 제어기로 전달되면, 제어기는 롤러(352)의 회전을 중지시키며 이송공정을 최종적으로 완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충돌에 의해 원위치로부터 이탈되는 제2 센서부를 운반차의 이동경로를 벗어난 수용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대상물 이송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에 변형된 제1 센서부와 제2 센서부가 충돌하는 경우, 제2 센서부가 충돌힘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제2 센서부는 충돌에 의해 수용홈으로부터 밀려나 처리기의 롤러에 의해 수용공간으로 이송되기 때문에, 고정된 상태에서 충돌하는 것에 비해 충돌에 의한 파손 및 변형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2 센서부가 운반차의 이동경로를 벗어나 수용공간에 수용되기 때문에 종래에 제2 센서부가 운반차의 이동경로로 이탈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조업 지연 및 조업사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안정적인 조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 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 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G : 수용공간 30 : 운반차
100 : 제1 센서부 200 : 제2 센서부
250 : 지지바 300 : 대상물 이송 장치
310 : 베이스 330 : 지지체
331 : 수용홈 332 : 제1 면
334 : 제2 면 336 : 가이드면
350 : 처리기 352 : 롤러
354 : 프레임 370 : 스토퍼

Claims (9)

  1.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하단부를 갖는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대상물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고, 상기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지지체; 및
    원위치에서 이탈되는 대상물이 수용공간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베이스 상부에서 상기 대상물이 이탈되는 방향으로의 상기 지지체의 측면인 제1 면의 하측면에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처리기;를 포함하는 대상물 이송 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대상물을 이동을 가이드해주는 가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2 면에 대해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대상물 이송 장치.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2 면에 비해 80 내지 90% 작은 높이로 형성되는 대상물 이송 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제1 면으로 갈수록 하부방향으로 굴곡을 형성하는 대상물 이송 장치.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처리기는,
    상기 대상물이 이탈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롤러; 및
    상기 롤러들의 양단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롤러들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대상물 이송 장치.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롤러는 상기 수용공간 측으로 갈수록 상기 롤러들의 상부를 연결한 선이 경사를 형성하도록 장착되는 대상물 이송 장치.
  7.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에서의 상기 대상물의 이탈을 감지하여, 상기 처리기를 작동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대상물의 이송이 감지되면 상기 처리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대상물 이송 장치.
  8.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이 이동하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에는 상기 대상물의 진행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의 측면과 상기 스토퍼의 이격공간에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대상물은 적열코크스를 운반하는 운반차의 이송경로의 측면에 배치되고,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인 대상물 이송 장치.
  9.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이동방향으로의 상기 수용공간의 폭은 상기 이동방향으로의 상기 수용홈의 폭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대상물 이송 장치.
KR1020130055033A 2013-05-15 2013-05-15 대상물 이송 장치 KR101462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033A KR101462165B1 (ko) 2013-05-15 2013-05-15 대상물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033A KR101462165B1 (ko) 2013-05-15 2013-05-15 대상물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165B1 true KR101462165B1 (ko) 2014-11-14

Family

ID=52290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033A KR101462165B1 (ko) 2013-05-15 2013-05-15 대상물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1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404B1 (ko) * 2015-07-28 2017-04-24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가이드 분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2770A (en) * 1979-05-04 1983-11-01 Bergwerksverband Gmbh Charging of coke ovens and method
KR19990024800U (ko) * 1997-12-15 1999-07-05 이구택 장입차의 장입구 뚜껑 개폐장치
KR20120139437A (ko) * 2011-06-17 2012-12-27 주식회사 포스코 레일 록킹 장치 및 버켓 이송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2770A (en) * 1979-05-04 1983-11-01 Bergwerksverband Gmbh Charging of coke ovens and method
KR19990024800U (ko) * 1997-12-15 1999-07-05 이구택 장입차의 장입구 뚜껑 개폐장치
KR20120139437A (ko) * 2011-06-17 2012-12-27 주식회사 포스코 레일 록킹 장치 및 버켓 이송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404B1 (ko) * 2015-07-28 2017-04-24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가이드 분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3221B1 (ko) 반송 시스템 및 반송 방법
EP0330293B1 (en) Heat retaining means
KR20160119720A (ko) 물품 반송 설비
KR101770602B1 (ko) 열처리용 오븐 및 대차 시스템
WO2016031383A1 (ja) 自動倉庫、及び自動倉庫の制御方法
KR101462165B1 (ko) 대상물 이송 장치
EP0131214B1 (en) Method and walking beam furnace for the intermediate heating of pipes in hot rolling mills
KR101072522B1 (ko) 롤 교체장치
KR101010340B1 (ko) 컨테이너 이송장치
US5800161A (en) Heating and/or temperature-maintaining furnace for slabs
JP2011093638A (ja) ワークの搬送装置
KR101221995B1 (ko) 원료 버켓 장치
WO2016017354A1 (ja) 熱処理装置用の搬送装置及び熱処理装置
KR20150120007A (ko)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
KR101601206B1 (ko) 3실형 고진공 브레이징 장치
KR102088450B1 (ko)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KR100916093B1 (ko) 분리형 캐리어 롤러 스탠드 어셈블리
KR101461535B1 (ko) 압연용 가열로에서 가열능력과 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JPS5919017A (ja) 鋼片移載装置
KR101799178B1 (ko) 용융물의 온도 측정을 위한 광섬유용 침지 디바이스
KR20200118652A (ko) 벨트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101503441B1 (ko) 균형유지장치 및 원료 운반 방법
KR20140120969A (ko) 이송기 정위치 정지 장치
CN107457053A (zh) 易分离的重质重载辊道炉用松钵解碎机
KR20030048590A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교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5